KR20110003796U -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796U
KR20110003796U KR2020090013235U KR20090013235U KR20110003796U KR 20110003796 U KR20110003796 U KR 20110003796U KR 2020090013235 U KR2020090013235 U KR 2020090013235U KR 20090013235 U KR20090013235 U KR 20090013235U KR 20110003796 U KR20110003796 U KR 201100037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voltage
current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073Y1 (ko
Inventor
여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to KR202009001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7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온 및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제공된 역률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상기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장치{Receptacle}
본 고안은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 공급 단자(메인 콘센트)에서 콘센트 장치를 거쳐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 장치는 메인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콘센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는 세탁기, TV, 오디오, 컴퓨터, 공기 청정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서, 메인 콘센트는 벽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하며, 콘센트 장치는 싱글 탭 또는 멀티 탭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기기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콘센트 장치에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있으면 대기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절전을 위하여는 전자기기의 코드를 콘센트 장치로부터 제거하거나 콘센트 장치의 공급 전원 자체를 차단시켜야 한다.
하지만, 전자기기를 끌 때마다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전자기기와 콘센트 장치를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자기기만의 전원 제어를 통하여 전자기기를 온/오프 시키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콘센트 장치는 복수개의 전자장치들의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 또는 미사용되는 전자기기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전자기기의 콘센트에서의 대기전력 차단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수의 전자기기가 멀티 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제품별로 다양한 대기 전력값으로 인해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기가 어려우며, 대기 전력의 기준값이 다른 전자기기로 인해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42811)에는 전자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 전류를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라 하더라도, 대기전력이 매우 낮은 경우, 예를 들어, 대기전력이 1[W] 이하인 경우에는 미세 전류를 감지해야하기 때문에, 전자기기가 대기 전력시에 소비하는 미세 전류의 감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미세 전류의 감지를 위해서는 정밀도가 높은 전류 감지회로를 구현해야 하며, 이로 인해 콘센트 장치 제작에 있어서 제품 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 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전자기기의 전원이 꺼지면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온 및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제공된 역률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상기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콘센트 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꺼지는 경우 메인 콘센트와 콘센트 장치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대기 전력이 1[W] 이하인 경우에도, 전자 기기가 대기 전력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대기 전력을 갖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불필요한 대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 장치의 제품 구성 단가를 높이지 않고서도 정밀도 높은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콘센트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콘센트 장치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전원 접속 단자와 전자기기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센트 장치(100)는, 복수의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복수의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4, 126), 전압 변환부(128), 복수의 신호 변환부들 1 내지 N(130, 132, .., 134, 136), 제어부(140), 스위치부 1 내지 M(150, 152,...154), 디스플레이부(160), 유무선 통신부(165), 플 러그(170) 및 다구 접속 단자들(180, 182,...186)을 포함한다. 다구 접속 단자들(180, 182,...186) 각각에는 전자기기들 1 내지 N(190, 192, ...196)이 접속되어 있다.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각각은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기기로서, 특히, 전자기기들 1 내지 M(190, 192, ...194) 각각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고, 설정 명령에 대응하는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명령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각각은 스위치부 1 내지 M(150, 152,...154)를 직접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개폐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개폐동작 명령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각각은 버튼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외관(200)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접속 단자들(200, 202, 204, 206)에 각각 대응하는 버튼 형상의 키 입력부들(210, 212, 214, 216)이 예시되어 있다. 도 2의 217은 콘센트 장치의 다른 제어기능들(예를 들어, 업다운. 엔터 기능 등)을 수행하는 버튼들이다.
도 2에 도시된 콘센트 장치(200)는 전기기기들이 연결되기 위한 플러그 삽입구(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도 1의 구조를 갖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예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접속 단자(플러그 삽입구)가 4개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을 통하여 콘센트 장치(100)의 각종 설정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는 이것을 대기전력 기준값 설정을 위한 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설정 명령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버튼 형상을 갖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은 버튼을 누루고 있는 시간에 따라 입력 명령을 달리 인식하는 등, 다양한 입력 명령 패턴에 대응하는 명령 인식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누루고 있는 시간인 일정 시간(예를 들어, 3[sec]) 이상일 경우에는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라는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고, 버튼을 누루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1[sec]) 이내인 경우에는, 후술할 스위치부 1 내지 M(150, 152,...154)를 직접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개폐 동작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6)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각각의 전자기기들 1 내지 N(190, 192, ...196)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각각의 소비 전류를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로 각각 출력한다. 이때,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6)은 검출된 소비 전류 각각에 대해, 일정한 크기 만큼 다운 그레이드(down gragde)하여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로 각각 출력한다. 다운 그레이드의 크기는 임의의 크기(예를 들어, 1/10)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M(120, 122,... 124)은 제공되는 전원을 바이 패스하여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출력한다. 그러나, 전류 검출부 N(126)은 제공되는 전원을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출력하지 않고, 전자기기 N(196)과 접속되어 있는 접속 단자(186)로 직접 출력한다. 전류 검출부 N(126)를 통해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 N(196) 은 대기 전력 기준값과 상관 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 공급 단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상용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도 1의 플러그(170)를 통해 전류 검출부들 1 내지 N(120, 122,... 126) 각각에 공급된다.
전압 변환부(128)는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한다. 전압 변환부(128)는 전원의 전압값을 다운시켜 변환한다. 전압 변환부(128)는 변환된 전압을 신호 변환부들 1 내지 N(130, 132, .., 134, 136)로 각각 출력한다.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한다. 역률은 교류에서 전류와 전압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구한다.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구해진 역률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구비한다.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각각은 검출된 역류, 소비 전류, 전압, 주파수 데이터들을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콘센트 장치(100)에 연결된 전자 기기 및 현재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값 및 전류값 등을 이용하여 전류, 전압, 역률, 제로위상, 과전압, 과전류 등을 연산 및 측정하여 부하측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자 기기의 대기전력 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대기전력 이하일 경우 출력을 차단하는 등 콘센트 장치(100)의 제어 및 연산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로부터 수신된 대기전력 기준값에 대한 설정명령신호에 대응하여,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전류 및 역률을 각각 곱셈함으로써 유효 전력값을 각각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유효 전력값을 구할 수 있는 제어부(140)가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설정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면, 그때 당시에 오프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들 1 내지 M(190, 192,... 194)의 대기 유효 전력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으로 각각 설정한다. 제어부(140)는 설정된 대기 전력 기준값을 소정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소정의 메모리는 제어부(140) 내에 구비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적인 기록매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대기전력 기준값은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서 재설정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140)는 신호 변환부들 1 내지 M(130, 132, ...134)에서 변환된 각각의 역률을 사용해, 각각의 전자 기기들 1 내지 N(190, 192, ...196)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각각 검출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전류 및 역률을 각각 곱셈함으로써 유효 전력값을 각각 구한다.
그 후,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고, 대응하는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 각각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140)는 유효 전력값이 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대응하는 스위치부가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유효 전력값이 대기전력 기준값 이하라는 것은 전자기기가 오프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응하는 스위치부가 오프되도록 하여, 대기 전력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대기 전력 기준값에 옵셋값(offset value)를 추가하여 유효 전력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검출된 유효 전력값이 대기 전력 기준값 이하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대기 전력 기준값의 옵셋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스위치부가 오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대기전력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해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이를 대기전력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제어부(140)는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는 대신에 피상 전력값 즉, 전압과 소비 전류의 곱에 해당하는 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 각각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유효 전력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할지, 아니면 피상 전력값을 대기 전력 기준값과 비교하여 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할지 여부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의 옵션 설정 명령에 따라 선택가능하며, 이러한 옵션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140)가 동작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를 개폐하라는 개폐동작 명령신호를 수신하면, 키 입력부들 1 내지 M(110, 112,.. 114)에 대응하는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대응하는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로 각각 출력한다.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 각각은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자기기들 1 내지 M(190, 192, ..194)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들 1 내지 M(180, 182,..184)와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온 및 오프 스위치 동작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160)의 하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액정표시장치(LCD: 22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부(165)는 콘센트 장치(100)를 관리하는 호스트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에는 유무선 통신부(165)의 기능을 제어한다. 유무선 통신부(165)는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서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기타, 무선 통신 위해,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등에 의해 호스트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부(165)를 통해서 제공된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디스플 레이하고, 이를 통해 콘센트 장치(100)를 모니터링한다. 도 3는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 전류, 전압, 역률, 유효 전력값 등과, 이들 값들에 대한 변화 추이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소비 전류, 전압, 역률 및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
또한,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제어부(140)를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유무선 통신부(165)를 통해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치부들 1 내지 M(150, 152,...15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멀티 탭을 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키 입력부들(110, 112,.. 114), 복수의 전류 검출부들(120, 122,... 126), 복수의 신호 변환부들(130, 132, ...136), 복수의 스위치부(150, 152,...154)을 예시하고 있으나, 싱글 탭을 구성하기 위해, 하나의 키 입력부, 전류 검출부, 신호 변환부, 스위치, 제어부, 유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콘센트 장치(100)는 이동성이 가능한 포터블(portable)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벽면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 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외관(2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호스트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9)

  1.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기준값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사이에서 온 및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제공된 역률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유효 전력값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전력 기준값과 상기 검출된 유효 전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소비 전류를 일정한 크기 만큼 다운 그레이드(down gragde)하여 상기 신호 변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 전력값이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스위치부가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다양한 입력 명령 패턴에 대응하는 명령 인식 기능을 갖으며, 상기 전자 기기가 오프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명령을 상기 다양한 입력 명령 패턴 중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라는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력 기준값을 설정하라는 설정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기전력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를 개폐하라는 개폐동작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전류, 상기 전압, 상기 역률 및 상기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장치를 관리하는 호스트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소비 전류, 상기 전압, 상기 역률 및 상기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콘센트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며, 상기 소비 전류, 상기 전압, 상기 역률 및 상기 유효 전력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별도의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제공된 소비 전류 및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사용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소비되는 역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역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별도의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별도의 전류 검출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하는 상기 접속 단자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장치가 다구 멀티 탭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다구 멀티 탭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입력부들, 복수의 전류 검출부들, 복수의 신호 변환부들 및 복수의 스위치부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신호 변환부들에서 수신된 각각의 역률들과 상기 복수의 키 입력부들의 설정 명령을 통해 설정된 각각의 대기전력 기준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부들 각각에 대한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KR2020090013235U 2009-10-12 2009-10-12 콘센트 장치 KR200459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35U KR200459073Y1 (ko) 2009-10-12 2009-10-12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35U KR200459073Y1 (ko) 2009-10-12 2009-10-12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96U true KR20110003796U (ko) 2011-04-20
KR200459073Y1 KR200459073Y1 (ko) 2012-03-23

Family

ID=4420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35U KR200459073Y1 (ko) 2009-10-12 2009-10-12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45A1 (ko) * 2011-04-28 2012-11-01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221727B1 (ko) * 2012-05-24 2013-01-11 황성하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KR101257449B1 (ko) * 2011-06-01 2013-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전력 품질 감시 시스템
KR101425101B1 (ko) * 2013-06-27 2014-08-01 (주)이든웍스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07B1 (ko) * 2013-11-06 2014-02-24 (주) 에스제이 이엘씨 적응적 대기전력 차단 레벨을 가진 대기전력 차단 회로 및 장치
KR20190062744A (ko) 2017-11-29 2019-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554A (ko) * 2003-04-10 2003-04-21 주식회사 세신이엠씨 멀티 탭의 제어회로
KR20070033485A (ko) * 2004-12-06 2007-03-27 홍종운 자동모드 전환, 멀티 리모트 컨트롤 신호 인식형 데이터저장 및 영상 재생장치
KR200442811Y1 (ko) 2008-05-28 2008-12-11 여운남 파워메터 겸용 콘센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45A1 (ko) * 2011-04-28 2012-11-01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257449B1 (ko) * 2011-06-01 2013-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전력 품질 감시 시스템
KR101221727B1 (ko) * 2012-05-24 2013-01-11 황성하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KR101425101B1 (ko) * 2013-06-27 2014-08-01 (주)이든웍스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073Y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073Y1 (ko) 콘센트 장치
US8281162B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426331B1 (ko) 대기전력 차단용 다기능 멀티탭(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34274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200428011Y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GB2427513A (en) Power distribution socket assembly with sampling means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US20090289507A1 (en) Intellectual power saving switching assembly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US2018036477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
WO2010097580A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US8373958B2 (en) Combined power meter and outlet device
KR101389897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101362777B1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014686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제어 및 소비전력측정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수행방법
KR101479659B1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101506701B1 (ko) 복수의 콘센트 입력구를 구비한 전력절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KR101201787B1 (ko)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KR100701990B1 (ko) 절전형 멀티탭
CN204720712U (zh) 一种智能插排的控制电路及智能插排
KR20100051161A (ko) 절전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37757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KR101112214B1 (ko) 전기 콘센트에서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