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794U -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794U
KR20110002794U KR2020090012007U KR20090012007U KR20110002794U KR 20110002794 U KR20110002794 U KR 20110002794U KR 2020090012007 U KR2020090012007 U KR 2020090012007U KR 20090012007 U KR20090012007 U KR 20090012007U KR 20110002794 U KR20110002794 U KR 201100027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filter
cigarette
caps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준
Original Assignee
이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득준 filed Critical 이득준
Priority to KR2020090012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794U/ko
Publication of KR20110002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0Cigars; Cigarettes with extinguish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소화 가능한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초와 상기 연초를 감싸고 있는 권련지를 포함하는 연초부; 상기 연초부로부터 전달받은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감싸는 필터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열에 의해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가 터지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의 단면적은 담배의 단면적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를 제안한다.
담배, 자동, 소화, 소화부

Description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Tobacco having automatic fire capability and method for tobacco manufactures}
본 고안은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소화 가능한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많은 사람이 애용하는 기호식품으로서 그 구성은 연초가 수납되며 외주연에 연초지가 감싸여진 연초부와, 흡연자가 입으로 물을 수 있게 하고, 흡연과정에서 연소되는 연초에서 발생하는 타르를 제거할 수 있게 한 필터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담배는 흡연과정에 있어 연초부에 수납된 연초가 흡연자의 흡인력에 의한 산소의 유입에 의하여 연소되는 것으로, 연초를 감싸고 있는 연초지는 연초의 연소과정에 있어 함께 연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담배는 흡연자가 흡연하지 않아서 강제적으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서도 노출부위와 연소된 연초지를 통하여 산소가 공급되어서 계속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소각하고자 할 경우에는 발로 밟아 비벼서 끄거나 재떨이 등에 점화된 연초부를 비벼 소화시켰다.
그러나, 부주의하게 처리하면 쓰레기통에서 불이 나는 등 그 폐단은 엄청난 화재로 재화의 손실을 안겨준다. 일 예로 각지에서 담배불로 인한 신림훼손이나 주택 화재 등 각 화재로 엄청난 재산상 손실을 입고 있다. 또한, 음주상태에서 흡연을 하게 되면 미처 담배를 소화하지 않고 버려서 쓰레기통 등에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담배를 피우다가 만일 불을 잘 끄지 않은 상태에서 버려졌다고 하더라도 연초부의 지속적인 연소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담배를 제공한다.
부가하여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담배에 소화부를 추가하여 연초부의 연소가 제한되게 하여 자동으로 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초와 상기 연초를 감싸고 있는 권련지를 포함하는 연초부; 상기 연초부로부터 전달받은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감싸는 필터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열에 의해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가 터지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의 단면적은 담배의 단면적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를 제안한다.
부가하여 본 고안의 상기 캡슐은 내부에 향기를 갖고 있는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색은 상기 액체의 향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캡슐은 열에 의해 부피가 증가되며, 설정된 크기로 부피가 증가되면 내부의 액체가 터져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초와 상기 연초를 감싸는 권련지를 포함하는 연초부, 상기 연초부로부터 전달받은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감싸는 필터지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열에 의해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가 터지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상기 소화부를 하나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배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초부의 연소를 적당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담배불로 인한 화재의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음과 아울러 흡연을 감소시켜 건강상으로 이롭게 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으로 필터부까지 생담배를 태우는 현상을 없애 비흡연자에게 이롭고 실내의 공기를 덜 오염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담배에 소화부를 추가함으로서, 흡연자가 실수로 담배를 소
각하지않고 버렸을 때나 음주 등으로 인하여 담배의 소각상태를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에 소화부의 연소제한에 의하여 자동으로 소화되어 강제적으로 소화되지 않고 버려진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가 방지되는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가 가능한 담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가 가능한 담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담배(100)는 필터부(130)와 연초부(110)를 포함하며, 필터부(130)는 필터(132)와 필터지(134)를 포함한다. 또한 연초부(110)는 연초(112)와 권련지(114)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담배(100)는 필터부(130)와 연초부(110) 사이에 소화부(120)를 구성한다. 물론 소화부(120)는 필터부(130)와 연초부(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담배(100)의 다른 부분에 구성할 수 있다. 즉, 소화부(120)는 연초부(110)의 하단에 위치하거나 있다.
연초(112)는 흡연자의 흡인력에 의해 또는 대기 상태에서는 연기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연초(112)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기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담배 제조사의 선택에 따라 원기둥의 굵기 및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원기둥 이외에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나 부피나 사용자의 촉감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권련지(114)는 연초를 감싸는 재질로서, 불에 쉽게 탈 수 있는 얇은 종이 재질로 구성된다.
필터(132)는 담배 연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성분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담배 잎에는 12종류의 알칼로이드가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 서 니코틴의 함량이 가장 많고 놀리코틴, 아나바신, 피페리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담배 잎이 함유한 성분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니코틴으로 담배 1개비 속에 0.6∼0.2mg이 들어있다.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너무 많이 피웠을 때 가벼운 구토증, 현기증, 두통이 생기는 것은 니코틴이 신경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담배의 니코틴 양이 증가하면 역효과가 일어나 위의 운동을 줄이고 임산부의 경우에 태반의 혈액 흐름을 방해한다.
또한, 담배를 피우면 필터나 파이프가 검게 변하는데, 이것은 담뱃진 때문인데, 담뱃진이 바로 타르이다. 타르는 200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담배가 약 880℃로 연소할 때 작은 입자로 연기 속에 존재한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연기 1mℓ속에 0.01∼1.0μm의 입자가 100만 개 이상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부가하여, 담배가 탈 때에는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가 나온다. 담배 연기 속에는 일산화탄소가 최고 4만 5000ppm이나 들어있다. 공기 중에는 대기 오염이 심하다고 하더라도 50ppm 이하이므로 담배를 피우면 평소보다 매우 많은 양의 일산화탄소가 허파 속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필터(132)는 상술한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지(134)는 필터(132)를 감싸는 재질로서, 권련지(114)와 동일하게 얇은 종이 재질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소화부(120)는 액체가 들어있는 작은 캡슐(200)들로 구성된다. 캡슐(200)의 크기 및 모양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캡슐은 갖풀로 얇게 만든 갑으로서, 맛이나 냄새, 색상 따위가 좋은 않은 가루약이나 기름 따위를 넣어서 먹는데 사용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캡슐을 이용하여 담배 내부의 소화장치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소화부(120)를 구성하고 있는 캡슐(200)은 내부에 액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열에 의해 캡슐(200)이 터질 수 있는 재질로 된다. 일반적으로 담배불의 온도는 약 섭씨 500도이며, 흡입일 할 때에는 섭씨 약 800도 되는 열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캡슐(200)은 섭씨 약 500도 이하에서 터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소화부(120)의 길이는 담배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담배의 길이가 길면 소화부(120)의 길이 역시 길게 제조하며, 담배의 길이가 짧다면, 소화부(120)의 길이 역시 짧게 제조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부(12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소화부(120)의 단면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소화부(120)를 구성하고 있는 캡슐(200)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제조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캡슐(200)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소화부(120)는 연초부(110)에서 발생되는 담배 연기를 원활하게 필터부(130)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캡슐(200)들로 소화부(120)를 구성하면, 캡슐(200)들간의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캡슐(200)들간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면, 연소부에서 발생된 담배 연기는 원활하게 필터부(130)로 전달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화부(120)를 구성하고 있는 캡슐(200) 들의 크기는 동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캡슐(200)의 내부는 액체로 채워지며, 액체는 열에 의해 캡슐(200)이 터졌을 때 담배 냄새를 없애기 위해 특정 향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액체는 레몬향이나 박하향 또는 다른 향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a는 캡슐(200)로 구성된 소화부(120)의 면적과 담배(100)의 면적이 동일하게 제조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의 b는 캡슐(200)로 구성된 소화부(120)의 면적이 담배(100)의 면적보다 작게 제조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 의하면 소화부(120)의 모양은 원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사에 따라 소화부(120)의 형태는 원 형태를 가지거나, 사각 형태 기타 다른 형태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캡슐(200)의 색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캡슐(200) 내부의 액체 성분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즉, 레몬향을 갖는 캡슐(200)은 노란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박하향을 갖는 캡슐(200)은 백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담배를 구성하는 캡슐(200)들은 하나의 색상만 갖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노란색 캡슐(200)과 백색 캡슐(200)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소화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캡슐(200)은 열에 의해 터지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부피가 점차로 커지는 구조를 할 수도 있다. 즉,구 형태의 캡슐(200)이 열에 의해 그 부피가 증가하고,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터지는 구조를 할 수 있다. 물론 부피의 증가 없이 초기 부피를 유지한 채 열에 의해 터질 수도 있다.
또한 캡슐(200)은 내부에 액체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은 내부에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가루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연초부(110)로부터 전이되는 열을 필터부(130)로 전달하지 않는 재질이라면 모두 캡슐(200)의 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 역시 동일하게 캡슐(200)의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300단계에서 제조사는 필터와 캡슐(200), 연초를 생산한다. 필터와 캡슐(200), 연초는 하나의 공정으로 생산하거나, 각기 다른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구성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공정으로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캡슐(200)들의 크기는 동일하게 생산한다. 또한, 캡슐(200)의 크기 역시 연초부(110)에서 발생된 연기가 필터부(13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결정한다.
S301단계에서 제조사는 필터지를 이용하여 필터를 감싸는 공정을 수행한다. S302단계에서 제조사는 권련지를 이용하여 연초를 감싸는 고정을 수행하다. S301단계와 S302단계의 수행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제조사는 권련지를 이용하여 연조를 감싸는 공정을 수행한 후, 이후에 필터지를 이용하여 필터를 감싸는 공정을 수행한다. 물론 각 공정은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하거나, 서로 다른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S303단계에서 제조사는 S301단계에서 공정을 수행한 필터부(130)와 S302단계에서 공정을 수행한 연초부(110)와 S300단계에서 생산한 캡슐(200)을 하나로 결합한다. 필터부(130)와 연초부(110) 캡슐(200)의 결합은 종이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필터부(130)와 연초부(110), 캡슐(200)로 구성된 소화부(120)는 각각 다른 과정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터부(130)와 캡슐(200)은 하나의 과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캡슐(200)과 연초부(110)는 하나의 과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를 구성하고 있는 소화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0:담배 110:연초부
120:소화부 130:필터부
112:연초 114:권련지
132:필터 134:필터지
200:캡슐

Claims (5)

  1. 연초와 상기 연초를 감싸고 있는 권련지를 포함하는 연초부;
    상기 연초부로부터 전달받은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감싸는 필터지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열에 의해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가 터지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의 단면적은 담배의 단면적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내부에 향기를 갖고 있는 액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의 색은 상기 액체의 향에 따라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담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열에 의해 부피가 증가되며, 설정된 크기로 부피가 증가되면 내부의 액체가 터져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담배.
  4. 연초와 상기 연초를 감싸는 권련지를 포함하는 연초부, 상기 연초부로부터 전달받은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감싸는 필터지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열에 의해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가 터지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캡슐들로 구성된 소화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초부와 상기 필터부, 상기 소화부를 하나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배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내부에 향기를 갖고 있는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색은 상기 액체의 향에 따라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담배 제조 방법.
KR2020090012007U 2009-09-14 2009-09-14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KR201100027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07U KR20110002794U (ko) 2009-09-14 2009-09-14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07U KR20110002794U (ko) 2009-09-14 2009-09-14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94U true KR20110002794U (ko) 2011-03-22

Family

ID=4420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007U KR20110002794U (ko) 2009-09-14 2009-09-14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7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958U (ko) * 2016-03-14 2016-03-23 신종현 안전하고 편리한 담배
CN111801028A (zh) * 2018-12-05 2020-10-2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物品以及与其一同使用的气溶胶生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958U (ko) * 2016-03-14 2016-03-23 신종현 안전하고 편리한 담배
CN111801028A (zh) * 2018-12-05 2020-10-2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物品以及与其一同使用的气溶胶生成装置
CN111801028B (zh) * 2018-12-05 2023-08-04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物品以及与其一同使用的气溶胶生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442B2 (en) Smoke generation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U2524887C1 (ru) Бездымный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US9254002B2 (en) Tobacco solution for vaporized inhalation
KR102250151B1 (ko) 삽입식 필터 유닛
CN108601403A (zh) 吸烟制品
JPH02283271A (ja) シガレット
JP2021528967A (ja) タバコ加熱デバイス用のエアロゾル生成構成要素及びそれ用のマウスピース
CN113080508A (zh) 一种两用型卷烟
CN109730365B (zh) 一种负压厌氧抽吸加热不燃烧烟支
JP2018507688A (ja) 管がはめ込まれた喫煙物品組立品
KR20110002794U (ko) 자동 소화 기능을 가지는 담배 및 담배 제조 방법
US20050194013A1 (en) Hydrated lime tobacco smoke filter
WO2014155340A1 (en) Smokers' article
JP2021525055A (ja) 使い捨てのデュアルチャネルタバコスティックとその作製方法
CN216315572U (zh) 可加热不燃烧抽吸且可燃吸的卷烟
US20060225755A1 (en) Cigarette with colored smoke
CA3135683A1 (en) Smoking article
CN210782891U (zh) 一种烟弹及一种电子烟
CN214126993U (zh) 加热不燃烧烟弹及茶烟颗粒
CN213695695U (zh) 一种新型烟草制品
KR20050108852A (ko) 연꽃등을 이용한 금연 보조 담배
KR20200022023A (ko) 모듈형 담배 산업 제품
CN212911655U (zh) 一种双烟弹加热不燃烧卷烟烟支
CN210782889U (zh) 一种可变吸味的加热不燃烧卷烟
CN205390288U (zh) 用于戒烟控烟的代替型可燃植物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