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734A -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734A
KR20110002734A KR1020090060353A KR20090060353A KR20110002734A KR 20110002734 A KR20110002734 A KR 20110002734A KR 1020090060353 A KR1020090060353 A KR 1020090060353A KR 20090060353 A KR20090060353 A KR 20090060353A KR 20110002734 A KR20110002734 A KR 20110002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ugar
value
glycated hemoglobin
hemoglobin level
suga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303B1 (ko
Inventor
윤건호
조재형
박래웅
최윤희
김헌성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3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자가측정을 통하여 측정한 혈당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여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자가측정 혈당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혈당값 자료를 이용하여 1개월 후의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수치의 예측치를 추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병원을 방문하여 별도의 검사를 받지 않고도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당화혈색소, 혈당, 자가측정, 예측, 회귀분석, 추정

Description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HbA1c}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가측정한 혈당값을 입력 받고 이를 기초로 1개월 후의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당뇨병 환자들이 가정에서 스스로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혈당 수치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당뇨병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당화혈색소 수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당화혈색소(HbA1c, hemoglobin A1c)는 장기간의 혈중 포도당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혈색소의 한 형태로, 높은 혈중 포도당 상태, 즉 혈당이 높은 상태에 혈색소가 노출되면서 형성된다. 당화혈색소는 혈액 내의 적혈구 속에 있는 혈색소가 포도당과 결합하면서 생성되는데,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당화혈색소의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적혈구의 수명이 120일 정도이지만, 포도당과 결합하여 당화된 적혈구는 수명이 조금 짧아지기 때문에, 당화혈색소 수치는 약 3개월간의 혈중 혈당 농도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당화혈색소 수치를 이용하면, 식사 등의 환경적인 영향에 의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혈당에 비하여 약 3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에 적혈구가 어느 정도의 혈당에 노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인 환자의 혈당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혈당 수치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가 개인들에게도 널리 보급되어 집에서도 자가 측정이 가능한 반면, 당화혈색소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집에서 자가측정이 가능한 혈당 수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자가측정이 가능한 혈당 수치를 이용하여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당화혈색소 수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가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수치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을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으로 나누어 입력 받는 혈당값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을 저장하는 혈당값 데이터베이스, 상기 혈당값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는 평균값 연산부,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은 [식 1]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다.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 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또한, 상기 평균값 연산부는 1개월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 값을 입력 받는 혈당값 입력부,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은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을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으로 나누어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혈당값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 계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식 1]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다.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 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또한, 상기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는 1개월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 값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가측정이 가능한 혈당 수치를 이용하여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당화혈색소 수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가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화혈색소 수치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기에 혈당조절 정도 및 혈당관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철저한 혈당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률 감소, 여러가지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국민 건강 증진 및 사회 의료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PDA, 휴대전화, PMP 등의 각종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개인용 자가 혈당 측정 장치에 결 합되어 설치됨으로써, 개인의 자가 혈당 측정 결과를 곧바로 수신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상술한 개인용 컴퓨터 또는 각종 휴대 단말기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의 형태로 본 발명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101)은 혈당값 입력부(110),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 평균값 연산부(130),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140) 및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 별로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혈당값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을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으로 나누어 입력 받는다. 당화혈색소 수치는 혈당 조절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므로, 공복 혈당 및 식후 혈당의 변화에 의하여 그 값이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101)은 사용자 가 자가측정을 통하여 측정한 각 상황에서의 혈당값을 입력 받고, 이를 기초로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도록 한다.
이 때, 혈당값 입력부(110)에서 입력 받는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은 사용자가 매 번 자가측정을 할 때마다 각 자가측정의 결과를 입력 받는 것일 수도 있고, 당화혈색소 수치는 단기간의 혈당값으로 예측하는 것이 어렵고 소정의 기간 동안의 혈당값을 기초로 추정해야 하므로, 소정의 기간 동안의 자가측정한 혈당의 평균 값을 입력 받는 것일 수도 있다.
혈당값 입력부(110)에서는 혈당값을 수치로 입력 받을 수 있는데 입력 받는 혈당값의 단위는 mmol/L가 될 수 있다.
혈당값 입력부(110)는 혈당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해서 별도의 키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데이터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혈당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가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각 상황에서의 혈당값을 자가측정하고, 그 결과를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혈당값 입력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는 혈당값 및 혈당값이 측정된 상황(식후, 공복 또는 취침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달리, 혈당값 입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101)이 혈당값을 자가측정하는 장치와 결합되어 구성된 경우, 상기 혈당값을 측정하는 장치로부터 직접 혈당 값을 입력 받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사용자가 혈당값을 측정하는 상황(식후, 공복 또는 취침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측정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혈당값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혈당값 정보가 소정 기간의 각 상황에서의 혈당값의 평균 정보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각 상황에서의 기간내의 혈당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자가측정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입력 받은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을 저장한다.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에 상기 혈당값들을 저장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각각의 자가측정에서의 혈당값을 입력하는 경우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 기간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에 혈당값들을 저장하지 않고 바로 입력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입력 받은 각각의 경우에 대한 혈당값을 저장하는데 정확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하여 입력 받은 일시에 관한 정보, 혈당값 및 상기 혈당값이 측정된 상황(식후, 공복 또는 취침전)에 관한 정보를 하나의 필드(field)에 함께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혈당값 정보들은 소정의 기간이 경과된 후에 삭제될 수도 있는데, 1개월간의 각각의 경우의 혈당값 정보들을 이용하여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므로, 최소 2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의 혈당값 정보를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데이터 삭제 명령을 내리기 전까지 모든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데이터 저장용량이 가득 차게 되면 가장 오래 전에 입력된 혈당값 정보부터 삭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는 오라클, MySQL, DB2 등의 상용 DBMS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여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이 밖에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모든 저장 장치 또는 상기 저장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평균값 연산부(130)는 상기 혈당값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110)은 각각의 경우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각의 자가측정에서 얻어진 혈당값을 입력한 경우 이 혈당값이 저장된 혈당값 데이터베이스(120)를 기초로 각 경우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평균값 연산부(130)에서 구하는 식후, 공복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은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각 경우의 혈당값의 평균이 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개월간의 각 경우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평균값 연산부(130)에서는 1개월간의 식후, 공복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구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혈당값 입력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 1개월간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바로 입력 받는 경우에는 평균값 연산부(1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140)은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에 의하면 1개월간의 식후 혈당값의 평균값, 공복 혈당값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높은 상관관계로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각각의 변수(식후 혈당값의 평균값, 공복 혈당값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모델을 수립하고, 수립된 모델을 검증함으로써, 당화혈색소 수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실험은 제2형 당뇨병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변수로 공복시 혈당값, 식후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을 이용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1개월 단위로 측정하였다. 상기 환자의 혈당값은 모두 1일에 최소 1회 이상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30일치씩의 변수 값들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총 215건의 실험 자료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215건의 실험 자료 중 53.5%인 115건의 실험 자료는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나머지 46.5%인 100건은 구축된 모델의 상관계수를 평가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기초로 수립된 모델은 아래의 [식 1]과 같다.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 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140)은 상기 [식 1]의 모델을 기초로 식후 혈당값의 평균값, 공복 혈당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을 입력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실험에서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식 1]의 모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상관계수가 0.763이며, R square가 0.582인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표 1]
Model R R Square Adjusted R Square Std . Error of the Estimate
0.763(c) 0.582 0.563 0.66623
상기 실험에서는 식후 혈당의 평균값, 공복 혈당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을 모두 이용하는 모델을 구하였는데,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변수를 다르게 설정한 경우에 수립되는 모델의 예측 성능을 평가하여 상기 [식 1]의 모델과 비교하도록 하였다.
실험시 변수로 식후 혈당의 평균값, 공복 혈당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와 그 밖의 경우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 [표 2]이다.
[표 2]
Figure 112009040573114-PAT00001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 1]의 모델이 변수를 다르게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변수로 변수로 식후 혈당의 평균값, 공복 혈당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그 중 하나 이상을 누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확하게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모듈(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모델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식 1]의 모델 이외의 모델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 모델을 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른 모델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모델의 변수로 식후 혈당의 평균값, 공복 혈당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150)는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부(140)에서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추정된 수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그 밖에도 음성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고, 작은 용지에 추정된 당화혈색소 수치가 인쇄되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당화혈색소 수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당화혈색소 값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에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은 1개월 동안의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공복, 식후 및 취침전의 혈당값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구한다. 또한,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예측한다.
일반적으로 당화혈색소 수치는 3개월 동안의 혈당량에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3개월마다 한 번씩 당화혈색소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혈당관리를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도면에서와 같이 1개월간의 혈당 수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꾸준히 혈당 관리를 하면서 필요한 때에 당화혈색소 수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01은 사용자로부터 자가측정된 혈당값을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으로 나누어 입력 받는다. 이 때 입력 받는 혈당값은 수치로 입력 받을 수 있는데 입력 받는 혈당값의 단위는 mmol/L가 될 수 있다. 단계 S301에서 각각의 경우의 혈당값을 입력 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는 단계 S301에서 입력 받은 각각의 경우에 해당되는 혈당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당화혈색소 수치는 일회적인 측정을 통하여 파악이 가능한 혈당 수치와는 달리 사용자의 장기적인 혈당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이므로, 이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한 번 측정된 혈당값을 바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기간 동안 누적된 혈당 값을 이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에서는 입력 받은 혈당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소정의 기간 동안의 혈당 값 데이터가 쌓이면 이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도록 한다.
단계 S30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는 각각의 경우의 혈당값, 혈당값이 측정된 상태(식후, 공복 또는 취침전 등)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혈당값이 측정된 일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당화혈색소 수치를 예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당의 측정 일시 및 측정된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혈당 수치를 체계적 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 S303에서는 단계 S30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혈당값 정보를 이용하여 식후, 공복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소정 기간 동안의 식후 혈당값의 평균값, 공복 혈당값의 평균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모두 변수로 활용하여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통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경우 실제 당화혈색소 수치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단계 S303에서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델에 입력될 각각의 변수를 구하기 위하여, 식후, 공복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 때, 평균값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산술평균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만일 단계 S301에서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혈당값의 측정 결과를 입력 받는 것이 아니라, 소정 기간 동안의 각각의 상황에서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직접 입력 받는 경우에는 단계 S303에서와 같이 혈당값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는 단계 S303에서 구한 각각의 상황에서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을 통하여, 실제 당화혈색소 수치와 당화혈색소 수치의 추정치 사이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상기 모델을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식 1]과 같다.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 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 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이 때 입력되는 각각의 경우의 혈당의 평균값들은 단계 S303에서 계산하였거나 단계 S301에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은 혈당의 평균값일 수 있으며, 이 때의 평균값은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기 1개월 전부터 1개월간의 혈당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상술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1개월간의 각각의 상황에서의 사용자의 혈당값의 평균값을 이용하면 실제 당화혈색소 수치와 매우 유사하게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예측할 수 있었다.
단계 S305에서는 단계 S304에서 추정한 1개월 후의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추정된 수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그 밖에도 음성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고, 작은 용지에 추정된 당화혈색소 수치가 인쇄되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당화혈색소 수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당화혈색소 값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 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에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110: 혈당값 입력부
120: 혈당값 데이터베이스
130: 평균값 연산부
140: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
150: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을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으로 나누어 입력 받는 혈당값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을 저장하는 혈당값 데이터베이스;
    상기 혈당값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는 평균값 연산부;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은
    [식 1]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 연산부는
    1개월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4. 사용자로부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입력 받는 혈당값 입력부;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모듈은
    [식 1]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 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 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은
    1개월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7. 사용자의 자가측정 혈당값을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으로 나누어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식 1]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는
    1개월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
  10. 사용자로부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 각각의 평균값을 기초로 1개월 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당화혈색소 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식 1]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수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
    [식 1]
    당화혈색소 수치 = 0.219 * 식후 혈당의 평균값 + 0.407 * 공복 혈당의 평균값 - 0.111 * 취침전 혈당의 평균값 + 3.075
    (이때, 혈당의 단위는 mmol/L이고, 당화혈색소 수치의 단위는 %이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은
    1개월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식후 혈당값, 공복 혈당값 및 취침전 혈당값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60353A 2009-07-02 2009-07-02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09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353A KR101095303B1 (ko) 2009-07-02 2009-07-02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353A KR101095303B1 (ko) 2009-07-02 2009-07-02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34A true KR20110002734A (ko) 2011-01-10
KR101095303B1 KR101095303B1 (ko) 2011-12-16

Family

ID=4361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353A KR101095303B1 (ko) 2009-07-02 2009-07-02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503A (ko)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메디푸드랩 당뇨 관리 식이요법 제공 시스템
KR102651312B1 (ko) * 2023-08-31 2024-03-26 (주)닥터다이어리 혈당 데이터 테이블 기반의 당화혈색소 추정치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90A (ko) 2020-08-10 2022-02-17 강시온 인공지능 딥러닝을 활용한 당뇨병환자의 당화혈색소값 예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545B (fi) * 1997-05-30 2003-12-15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otilaan veren glykosyloidun hemoglobiinikomponentin tason ennustamiseksi
US7824333B2 (en) * 2006-03-31 2010-11-02 Lifescan, Inc. Diabetes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503A (ko)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메디푸드랩 당뇨 관리 식이요법 제공 시스템
KR102651312B1 (ko) * 2023-08-31 2024-03-26 (주)닥터다이어리 혈당 데이터 테이블 기반의 당화혈색소 추정치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303B1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erger et al. A health policy model of CKD: 1. Model construction, assumptions, and validation of health consequences
CN105190316A (zh) 跟踪糖尿病中的平均血糖的变化
US87582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tern recognition in diabetes management
US8117020B2 (en) Method to determine the degree and stability of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via creation and continuous updating of new statistical indicators
JP4920474B2 (ja) 糖尿病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Mazze et al. Measuring glucose exposure and variability us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n normal and abnormal glucose metabolism in pregnancy
Jones et al. Cost-effectiveness of an emergency department-based early sepsis resuscitation protocol
US20090240127A1 (en) Methods of determining pre or post meal time slots or intervals in diabetes management
US20090149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septic shock
Lurbe et al. The spectrum of circadian blood pressure changes in type I diabetic patients
US20150164343A1 (e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hysiology data measurement
JP5900044B2 (ja) 糖尿病治療支援装置、糖尿病治療支援方法、糖尿病治療支援プログラム
JP2005328924A (ja) 血糖値予測装置、血糖値予測モデル作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Caire et al. Risk for end-stage renal disease over 25 years in the population-based WESDR cohort
CN105209920B (zh) 用于基于生物化学标记分析确定糖尿病风险的系统和方法
Jethwani et al. Diabetes connect: an evaluation of patient adoption and engagement in a web-based remote glucose monitoring program
WO2020119098A1 (zh) 一种健康评估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95303B1 (ko) 당화혈색소 수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Leal et al. Estimating risk factor progression equations for the UKPDS Outcomes Model 2 (UKPDS 90)
Mai et al. 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2 and AGEs ar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women with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affa et al. Multivariat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with random intercepts to analyze cardiovascular risk markers in type-1 diabetic patients
Kotiso et al. Determinants of hypertension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on follow-up at Tikur Anbessa Specialized Hospital, Addis Ababa: A case-control study
Wu et al. Accurate method to estimate insulin resistance from multiple regression models using data of metabolic syndrome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Pietrzak-Nowacka et al. Association of kidney and cysts dimensions with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ADPKD
Remigio et al. Assessing proximate intermediates between ambient temperature, hospital admissions,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