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73U -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73U
KR20110002473U KR2020100009106U KR20100009106U KR20110002473U KR 20110002473 U KR20110002473 U KR 20110002473U KR 2020100009106 U KR2020100009106 U KR 2020100009106U KR 20100009106 U KR20100009106 U KR 20100009106U KR 20110002473 U KR20110002473 U KR 201100024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container
spout
hollow body
cov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스 와이 후버
재비어 코스타
Original Assignee
레쿠에,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쿠에, 에스.엘. filed Critical 레쿠에, 에스.엘.
Priority to KR2020100009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473U/ko
Publication of KR20110002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8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일정량의 유동 물질을 함유하도록 구성되고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중공몸체(1), 상기 중공몸체(1)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주둥이(2), 및 상기 주둥이(2)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된 로딩 개구(3)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에는 상기 로딩 개구(3)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커버(4)가 제공되며, 중공몸체(1)는 상기 주둥이(2)를 통해 상기 유동 물질을 분배하도록 압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OPENABLE FLEXIBLE APPLICATOR CONTAINER}
본 고안은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무 벌브와 유사하게 분배 주둥이(dispensing spout)가 제공되며 로딩 개구와 스냅-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로딩 개구를 닫을 수 있는 탈착식 커버가 추가로 제공된 가요성의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 컨테이너는 식품 반죽, 페이스트 또는 소스, 또는 페인트, 특히 어린이용 수용성 페이트, 또는 분말 제품, 가령, 예를 들어 밀가루 또는 탤컴(talcum) 파우더 등과 같은 반죽 제품 또는 액체와 같은 유동 물질을 함유하고 도포하기에 유용하다.
통상 "고무 벌브(rubber bulb)"로 언급되며 강성 또는 가요성 튜브와 결합될 수 있기에 적합한 주둥이 또는 노즐의 형태로 주둥이가 일체로 제공된 가요성 벽을 가진 용기로 구성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가 오랜 세월동안 잘 알려져 왔다. 이 고무 벌브가 제조된 재료는 압착된 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는 용기를 우선 압착함으로써 액체 또는 반죽 물질로 채워질 수 있고, 그 후 용기가 압착되면서 액체 또는 반죽 물질 내에 주둥이를 삽입시키며, 마지막으로 액체 또는 반죽 물질을 주둥이를 통해 용기 내로 흡입하도록 용기의 재료에 의해 가해진 탄성 복원력을 위해 주둥이가 액체 또는 반죽 물질 내에 담겨있으면서 용기를 구속해제한다. 일단 용기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나면, 액체 또는 반죽 물질은 누르기 위해 용기를 압착시킴으로써 주둥이를 통해 다시 분배될 수 있다. 이 "고무 벌브"들은 가정, 병원 및 산업계의 다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상기 "고무 벌브"의 단점으로는, 주둥이를 통해 반죽 재료를 흡입할 수 있기에 용기 재료의 탄성 복원력에 대해 반죽 재료의 점성이 너무 높을 때에는 고무 벌브를 채우기가 어렵거나 또는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이 용기가 가진 유일한 개구는 상대적으로 좁은 유입관과 주둥이를 통하는 배출관이기 때문에 사용 후에 고무 벌브를 세척하기가 어렵고 노력이 많이 들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의 내부 공동은 실질적으로 세척 기구에 의해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미국특허 US 4072249호는 예를 들어 의학용 제품과 같은 작은 양의 액체 또는 반죽 물질에 적합한 단일-용도의 컨테이너를 기술한다. 이 컨테이너는 주변(perimeter)을 따라 연결된 두 개의 반구에 의해 형성되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반구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며 다른 하나는 분배 주둥이를 포함한다. 상기 두 반구 사이의 주변 영역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하고 주둥이를 통해 액체 또는 반죽 물질을 밀어내기 위해 엄지손가락이 가요성 반구를 압착하도록 사용되는 동안 두 손가락을 위한 지지부로 사용되는 한 쌍의 플랜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적용분야에 있어서 이 컨테이너의 단점은 재충진과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미국특허 US 4397879호는 패스트리 백(pastry bag) 형태로 케이크를 만들기 위한 컨테이너와 그 방법에 관해 기술하며,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는 일단 물과 혼합되고 나면 케이크를 만들기 위해 반죽으로 변환되고 컨테이너의 주둥이를 통해 분배될 수 있는 일정량의 건조 혼합물을 함유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컨테이너는 한 단부에서 평평한 베이스를 포함하고 맞은편 단부에서 개구를 포함하는 가요성의 원통형 벽을 가지며, 컨테이너의 중앙 영역에서 주둥이와 일체구성된 스레드구성된 커버에 의해 닫힌다. 주둥이는 처음에는 막혀 있으며 캡으로 덮혀 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 우선 정량의 물을 컨테이너 내로 붓기 위해 커버가 열리고, 그 다음에, 이 커버가 닫히며 컨테이너는 건조 제품과 물을 혼합시키기 위해 흔들어지고, 캡이 제거되며, 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주둥이의 끝 부분은 가위 또는 또 다른 적합한 기구로 절단되고, 그 후 반죽 혼합물은 컨테이너의 가요성 벽들을 압착시킴으로써 주둥이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모든 제품들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주둥이는 상기 캡으로 다시 닫힐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주된 단점으로는, 원통형의 벽이 한 단부에서는 평평한 베이스와 연결되고 맞은편 단부에서는 커버가 결합되는 스레드구성된 형상으로 형성된 상측벽에 연결되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완전히 압착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특히 반죽 혼합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점성을 가질 때 컨테이너에 함유된 반죽 혼합물을 주둥이를 통해 완전히 밀어내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이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내부로의 접근이 복잡하기 때문에 재충진 경우에 있어서 적절하게 세척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재료가 컨테이너 자체 내에 준비되는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반죽 재료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어렵다.
본 고안은 일정량의 유동 물질을 함유하도록 구성되고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중공몸체(hollow body), 및 상기 중공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주둥이(spout)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몸체는 상기 주둥이를 통해 유동 물질을 분배하도록 압착될 수 있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제공함으로써 앞에서 기술된 단점들을 해결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에 따르면, 상기 중공몸체는 주둥이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된 로딩 개구(loading opening)를 가지고 상기 중공몸체에는 상기 로딩 개구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커버가 제공된다.
이 구성으로, 로딩 개구는, 커버가 제거될 때, 액상, 유액형, 반죽형이든지 간에, 심지어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을 가졌든지, 또는 분말 형태이든지 상관없이, 어떤 임의의 유동 물질도 중공몸체 내에 쉽게 채울 수 있게 한다(특히 유동 물질을 뒤섞이게 할 수 있다). 일단 중공몸체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커버가 닫히면, 상기 중공몸체는 내부에 함유된 유동 물질을 가압하도록 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둥이의 배출관(outlet conduit)을 통해 흐를 수 있게 한다. 사용 후에, 로딩 개구를 통해 중공몸체의 내부에 쉽게 접근하고 따라서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버는 다시 제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주둥이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관을 위해 실질적으로 밀폐식으로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캡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서로 다른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진 노즐 또는 노즐 세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노즐에는 내부 통로가 제공되고 주둥이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즐의 상기 내부 통로와 주둥이의 배출관 사이가 유체 소통된다. 이 노즐은 위에서 언급한 캡이 사용중이지 않을 때 주둥이에 결합될 것이다.
또한 커버, 캡 및 노즐 또는 노즐들은 이들이 플라스틱 또는 그 외에 다른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구체예에서, 중공몸체, 커버, 캡 및 노즐 또는 노즐들의 가요성 재료는 압축된 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재료, 가령, 고무 및 실리콘, 가령, 예를 들어, 그 외의 분야뿐만 아니라 요리 용도로 매우 적합한, 백금-촉매화 실리콘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엘라스토머와 같은 재료이다. 중공몸체가 패스트리 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오직 중공몸체만이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반면, 커버와 노즐은 플라스틱과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로 제조된다.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의 우수한 작동을 위해 즉 커버가 밀폐식으로 닫히며 주둥이의 배출관을 통해 유체 소통되는 것을 유지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압착될 때, 중공몸체의 정확한 탄성 변형을 보장하기 위해, 중공몸체는 주변 취약선(perimetric weakened line)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을 가지며, 주둥이는 상기 주변 취약선과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된다. 로딩 개구는 상기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 중 한 부분 내에 형성되고 베이스 표면(base surface)은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 중 다른 한 부분 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를 누름으로써 (따라서 추가로 완전히 닫히는 것을 보장하여), 및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 중 다른 한 부분을 누름으로써 또는, 존재하는 경우에, 베이스 표면을 누름으로써,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가 압착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중공몸체는 납작하게 될 것이며, 대체로 주변 취약선 주위로 변형되고 중공몸체의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은 서로 가깝게 이동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유동 물질을 누를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들과 이점들 외에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구체예를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 설명으로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구체예에 따른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중공몸체, 커버, 캡 및 노즐을 분해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는 중공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주둥이의 배출관을 닫도록 위치된 캡을 가지며, 로딩 개구를 자유로이 들어올리기 위해 커버 없는 중공몸체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커버가 덮혀서, 주둥이에 결합된 노즐과 로딩 개구를 닫는 중공몸체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성에 따라 압착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구체예에 따른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중공몸체, 커버 및 노즐 세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도시한 전방 입면도이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제 1 구체예에 따른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일정량의 유동 물질을 함유하도록 구성된 중공몸체(1), 상기 중공몸체(1)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둥이(2), 및 상기 주둥이(2)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된 상대적으로 넓은 로딩 개구(3)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상기 로딩 개구(3)를 닫도록 구성된 커버(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몸체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실리콘,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백금-촉매화 실리콘(platinum-catalyzed silicone)과 같이, 압착된 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4)에 의해 닫혀진 로딩 개구(3)를 포함하는 중공몸체(1)는 주둥이(2)의 배출관(2a)을 통해 유동 물질을 분배하도록 압착될 수 있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대안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보다 강성의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커버(4)는 중공몸체(1)와 동일한 재료인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주둥이(2)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캡(10)을 추가로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배출관(2a)을 밀폐식으로 닫는다(도 2). 또한,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내부 통로(11a)를 가지며 주둥이(2)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11)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캡(10)이 사용중이지 않을 때 주둥이(2)의 배출관(2a)과 상기 노즐(11)의 상기 내부 통로(11a) 사이가 유체 소통된다(도 2). 본 고안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진 여러 노즐(11) 세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캡(10)과 노즐(11) 또는 노즐들은, 대안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보다 강성의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제 1 구체예에서, 주둥이(2)는 주둥이의 자유 단부로부터 특정 거리에 형성된 외부 주변 리브(2b)를 가지며, 상기 주둥이(2)의 외부 주변 리브(2b)가 주둥이 상에서 캡(10) 또는 노즐(11)을 보유하기 위해 캡(10) 또는 노즐(11)의 내부 주변 홈(10a, 11b) 내에 삽입될 때까지, 캡(10)과 각각의 노즐(11)은 모두 주둥이(2)에 스냅-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리브-형태의 부분 내에 형성된 내부 주변 홈(10a, 11b)을 포함한다(도 2 및 도 3). 게다가, 커버(4)에 의해 닫힌 로딩 개구(3)를 가진 중공몸체(1)가 압착될 때, 유동 물질의 압력은 주둥이(2)를 팽창시키며 캡(10) 또는 노즐(11)의 내부 주변 홈(10a, 11b)과 주둥이(2)의 외부 주변 리브(2b)이 결합된 것을 강화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몸체(1)는 중공몸체(1)의 벽이 얇게 됨으로써 형성된 주변 취약선(5)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을 가지며, 주둥이(2)는 상기 주변 취약선(5)과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딩 개구(3)는 상기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 중 한 부분(1a) 내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지지 표면 상의 한 안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베이스 표면(6)이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 중 다른 한 부분(1b) 내에 형성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주변 취약선(5)과 주둥이(2)의 배출관(2a)은 실질적으로 제 1 가상면(P1) 내에 있으며, 로딩 개구(3)는 제 2 가상면(P2) 내에 있고 상기 베이스 표면(6)은 제 3 가상면(P3) 내에 있으며, 이 세 개의 가상면(P1, P2 및 P3)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납작해지며, 따라서 내부 공동으로의 접근은 특히 분배되어야 하는 유체에 작용하거나 또는 이를 조절하기에 용이해진다.
두 개의 절반-부분들과 코어에 의해 가요성의 컨테이너가 몰딩 공정에 의해 유리하게 얻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로딩 개구(3)는 몰딩된 부분을 코어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우 넓다. 특히, 중앙 영역(평면 P1)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개구(평면 P2)의 직경의 1.5배 이상이다.
주변 취약선(5)의 주변은 로딩 개구의 주변보다 더 길고 베이스 표면(6)의 주변보다 더 길며, 이에 따라 중공몸체(1)의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은 각각 주변 취약선(5)으로부터 로딩 개구(3)와 베이스 표면(6)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벽들에 의해 형성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주변 취약선(5), 로딩 개구(3) 및 베이스 표면(6)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주변을 가지며 이들의 중앙이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배열된다. 중공몸체(1)는 로딩 개구(3)로부터 베이스 표면(6)으로의 크기가 중공몸체(1)의 최대 직경인 주변 취약선(5)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납작해진다.
또한, 중공몸체(1)의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의 상기 경사진 벽들의 두께는 각각 주변 취약선(5)으로부터 로딩 개구(3)와 베이스 표면(6)으로 점차 증가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딩 개구(3)가 커버(4)에 의해 닫힐 때 제 1 가상면(P1)에 대해 대략 대칭인 편두콩 형태의 내부 공간과 함께 커버(4)가 제공된다. 상기 중공몸체(1)의 내부 공간은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주둥이(2)의 배출관(2a)을 향한 유동 물질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해 매끈한 바닥을 가진다(또는 마감질되어 광택이 난다). 커버(4)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커버(4)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그리핑 탭(9)이 제공되어 컵(4)이 열리도록 쥐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의 내부면도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주둥이(2)의 배출관(2a)을 향한 유동 물질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해 매끈한 바닥을 가지거나 또는 마감질되어 광택이 난다.
도 3에서 잘 볼 수 있듯이, 로딩 개구(3)의 에지에 주변 폐쇄 형상(8)이 형성되고 커버(4)는 로딩 개구(3)를 위한 상기 주변 폐쇄 형상(8)과 압력 하에서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응하는 주변 폐쇄 형상(7)을 가져서 실질적으로 밀폐식으로 닫는다. 로딩 개구(3)를 위한 주변 폐쇄 형상(8)은 내부 주변 에지(8a)와 외부 주변 돌출부(8b) 사이에 위치된 원추대 표면(8c)을 포함하며, 커버(4)의 상기 커버 주변 폐쇄 형상(7)은 로딩 개구(3)의 상기 내부 주변 에지(8a)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내부 주변 돌출부(7a)와 로딩 개구(3)의 상기 개구 외부 주변 에지 돌출부(8b)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외부 주변 부속부(7b) 사이에 위치되고 로딩 개구(3)의 상기 원추대 표면(8c)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원추대 표면(7c)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변 폐쇄 형상들은 커버(4)가 로딩 개구(3)의 에지에 대해 가압될 때 복원과 탄성 변형에 의해 결합된다. 중공몸체(1)의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의 경사진 벽들의 두께 구배(gradient)는 커버(4)를 로딩 개구(3)에 대해 밀폐식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데 보조하고 압착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조절된 중공몸체(1)의 변형을 제공한다. 로딩 개구(3)와 커버(4)를 위한 각각의 주변 폐쇄 형상(7, 8)이 원형이기 때문에, 커버(4)는 임의의 각위치에서 그리핑 탭(9)과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핑 탭(9) 상에서 끌어당김으로써 커버(4)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예를 들어 유동 물질을 중공몸체(1)의 내부 공간 내로 흐를 수 있게 하기 위해 로딩 개구(3)가 열리도록, 커버(4)가 없는 중공몸체(1)를 보여주는데, 이는 중공몸체(1)가 지지 표면 상에서 베이스 표면(6)과 안정 위치에 정지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캡(10)은 로딩되는 동안 유동 물질이 주둥이(2)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둥이(2)의 배출관(2a) 가까이 배치된다. 따라서 유동 물질이 매우 점성이 강하면 캡(10)은 없어도 된다. 중공몸체(1)가 로딩되고 나면, 커버(4)는 로딩 개구(3)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로딩되고 닫힌 중공몸체(1)는 애플리케이터로서 중공몸체가 사용되는 시간까지 완전히 안전하게 보관되고 및/또는 운송될 수 있다.
도 3은 주둥이(2)에 결합된 노즐(11)과 로딩 개구(3)를 닫는 커버(4)가 배치된 중공몸체(1)를 보여주는데, 이전에 로딩된 중공몸체(1)를 포함하는 애클리케이터 컨테이너가 유동 물질을 도포하도록 사용될 수 있을 때 캡(10)을 대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가 한 세트의 노즐(11)을 가지는 경우, 고려되는 적용분야에 가장 잘 맞는 노즐이 선택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주둥이(2)가 원하는 적용분야에 꼭 맞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노즐(11)은 제외되어 없을 수도 있다.
도 4는 중공몸체(1)의 로딩 개구(3)가 커버(4)에 의해 닫히며 주둥이(2)에 결하보딘 노즐(11)은 유동 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압착되는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이를 위하여, 중공몸체(1)의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을 서로에 대해 가깝도록 이동시키고 주로 주변 취약선(5)에 대해 굽혀지기 위해, 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으로 커버(4)를 누르고 엄지손가락으로는 중공몸체(1)의 마주보는 부분(1b) 또는 지지 표면(6)을 누르거나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따라서 중공몸체의 내부 용적은 감소하여 유동 물질이 노즐(11)의 내부 통로(11a)와 주둥이(2)의 배출관(2a)을 통해 흘러나가게 한다. 이는 커버가 항상 정확하게 닫히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주둥이(2)가 주변 취약선(5)과 나란하게 정렬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주둥이(2)는 압착되는 동안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유동 물질을 상대적으로 정확하고 조심스럽게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구체예에 따른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를 도시하는데, 하기 특징들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관해 위에서 기술된 제 1 구체예와 유사하다. 제 2 구체예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제 1 구체예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보다 현저하게 더 크며, 이에 따라 중공몸체(1)는 예를 들어 패스트리 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 용으로 충분한 양의 유동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중공몸체(1)의 로딩 개구(3)와 상응하는 커버(4)는 중공몸체(1)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제 2 구체예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주둥이(2)에 가까이 위치한 캡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주둥이(2)에 결합될 수 있기에 적합한 상이한 형상을 가진 노즐 세트(11.1-11.6)를 포함한다. 예로서, 노즐(11.1-11.3)은 증가하는 크기를 가진 각각의 매끄러운 배출 오리피스를 가지는 반면, 노즐(11.4-11.6)은 증가하는 크기를 가지는 각각의 톱니형(indented) 배출 오리피스를 가진다. 노즐(11.1-11.6)과 중공몸체(1)의 주둥이(2)는 중공몸체(1)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진다.
제 2 구체예에서, 오직 중공몸체(1)는 예를 들어 백금-촉매화 실리콘과 같은 고무와 실리콘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반면, 커버(4)와 노즐(11.1-11.6)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선택적으로 투명 플라스틱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료로 제조된다.
중공몸체(1)의 주둥이(2)는 맞은편 쪽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스터브(2c)와 배출관(2a)을 가진다. 노즐(11.1-11.6)은 맞은편 쪽에서 한 쌍의 오리피스(11C,)와 내부 통로(11a)를 가진다. 이 노즐(11.1-11.6)들 중 어떤 임의의 노즐(예를 들어 도 6과 도 7의 노즐(11.5)와 같은 노즐)이 주둥이(2)에 결합될 때, 상기 주둥이(2)의 스터브(2c)는 결합을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 노즐(11.1-11.6)의 상기 오리피스(11c) 내에 삽입되며, 노즐(11.1-11.6)의 내부 통로(11a)는 주둥이(2)의 배출관(2a)과 유체 소통된다.
중공몸체(1)는 로딩 개구(3)에 마주보는 한 측면에 베이스 표면과 주변 취약선(5)을 가진다. 제 1 구체예와 유사하게, 로딩 개구(3)는 상기 주변 취약선(5)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상면에 있다. 하지만, 제 2 구체예에서, 베이스 표면(6)은 로딩 표면(3)과 주변 취약선(5)에 대해 경사진 평면 내에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관(2a)이 주변 취약선(5)과 나란하게 정렬되어 가상면 내에 있는 주둥이(2)는 도 6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중공몸체(1)가 수평방향 표면 상에 정지해 있을 때 상부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 제 2 구체예의 커버(4)는 제 1 구체예에서와 같이 횡방향으로 돌출한다라기보다 그리핑 탭(9)을 가지는데, 이 그리핑 탭(9)은 도 6과 도 7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커버(4)의 주변 에지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약간 올라가 있다.
해당 업계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술되고 도시된 구체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예들과 변경예들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일정량의 유동 물질을 함유하도록 구성되고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중공몸체(1), 및 상기 중공몸체(1)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주둥이(2)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몸체(1)는 상기 주둥이(2)를 통해 유동 물질을 분배하도록 압착될 수 있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중공몸체(1)는 주둥이(2)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된 로딩 개구(3)를 가지고 상기 중공몸체(1)에는 상기 로딩 개구(3)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커버(4)가 제공된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중공몸체(1)는 주변 취약선(5)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을 가지며, 주둥이(2)는 상기 주변 취약선(5)과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딩 개구(3)는 상기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 중 한 부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중공몸체(1)는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 중 그 외의 다른 부분 내에 형성된 베이스 표면(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주변 취약선(5)과 주둥이(2)의 배출관(2a)은 제 1 가상면(P1)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로딩 개구(3)는 상기 제 1 가상면(P1)에 대해 평행한 제 2 가상면(P2) 내에 있으며 상기 베이스 표면(6)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상면(P1, P2)에 대해 평행한 제 3 가상면(P3)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6. 제 4항에 있어서,
    로딩 개구(3)는 상기 제 1 가상면에 대해 평행한 제 2 가상면 내에 있으며 상기 베이스 표면(6)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상면(P1, P2)에 대해 경사진 제 3 가상면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 취약선(5)은 로딩 개구(3)의 주변(perimeter)보다 더 긴 주변과 상기 베이스 표면(6)의 주변보다 더 긴 주변을 가지며, 중공몸체(1)의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은 각각 주변 취약선(5)으로부터 로딩 개구(3)와 베이스 표면(6)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8. 제 7항에 있어서,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1a, 1b)들의 상기 경사진 벽들의 두께는 각각 주변 취약선(5)으로부터 로딩 개구(3)와 베이스 표면(6)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주변 취약선(5), 로딩 개구(3) 및 베이스 표면(6)의 주변들은 이들의 중심과 나란하게 정렬되어 배열된 원형 주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커버 주변 폐쇄 형상(7)을 가지며, 이 커버 주변 폐쇄 형상(7)은 로딩 개구(3)의 에지에 형성된 상응하는 개구 주변 폐쇄 형상(8)과 압력 하에서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밀폐식으로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주변 폐쇄 형상(8)은 개구 내부 주변 에지(8a)와 개구 외부 주변 돌출부(8b) 사이에 위치된 개구 원추대 표면(8c)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주변 폐쇄 형상(7)은 상기 개구 내부 주변 에지(8a)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내부 커버 주변 돌출부(7a)와 상기 개구 외부 주변 돌출부(8b)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외부 커버 주변 부속부(7b)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 원추대 표면(8c)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커버 원추대 표면(7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2. 제 10항에 있어서,
    커버(4)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3. 제 10항에 있어서,
    커버(4)는 강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4)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리핑 탭(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주둥이(2)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캡(10)을 추가로 포함하여 배출관(2a)을 밀폐식으로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는 내부 통로(11a)가 제공되고 주둥이(2)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노즐(11, 11.1-11.6)을 포함하여, 상기 캡(10)이 사용중이지 않을 때 상기 노즐(11)의 상기 내부 통로(11a)와 주둥이(2)의 상기 배출관(2a) 사이가 유체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캡(10) 및/또는 상기 노즐(11)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8. 제 1항, 제 12항 또는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재료는 재료가 압축된 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19. 제 18항에 있어서,
    탄성력을 가진 상기 가요성 재료는 고무와 실리콘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1.1-11.6)은 강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KR2020100009106U 2009-09-03 2010-08-31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KR201100024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06U KR20110002473U (ko) 2009-09-03 2010-08-31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U200901286 2009-09-03
KR2020100009106U KR20110002473U (ko) 2009-09-03 2010-08-31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73U true KR20110002473U (ko) 2011-03-09

Family

ID=4420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06U KR20110002473U (ko) 2009-09-03 2010-08-31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4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209A1 (en) * 2020-07-24 2022-01-27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A dispensable food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209A1 (en) * 2020-07-24 2022-01-27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A dispensable food container
AU2020207877B2 (en) * 2020-07-24 2023-01-05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A dispensable food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494A (en) Dual stream liquid dispensing structure
KR101464307B1 (ko) 유체 공급 조립체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TWI651070B (zh) 用於施配可流動材料之施配器
TW200306233A (en) Small liquid supply assembly
US5680966A (en) Squeeze dispenser having refill cartridge
US10850894B2 (en) Dispensing system, spout and squeezable container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US20170326578A1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US20150217895A1 (en) Dispensing closure for powdered products
US6209757B1 (en) Squeezable mixing and dispensing container having removable attachable supply vessels
WO2008017939A1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for disposable tissues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JP3630233B2 (ja) 毛染め剤用送り出しシステム
JP5702973B2 (ja) フレキシブルなアプリケータ容器
GB2536886A (en) An Airless, Fluid dispensing assembly and system
KR20110002473U (ko) 가요성의 애플리케이터 컨테이너
AU2003269097B2 (en)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US10086391B2 (en) Pump dispenser
US20130105520A1 (en) Batter dispens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70157630A1 (en) Pump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ump dispenser
JP2011213409A (ja) 内容物押出容器
JP6632799B2 (ja) 霧吹き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US10836539B1 (en) Selectable volume precision liquid dispenser
US20170254689A1 (en) Rigid Container for Precision Liquid Measuring and Disp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