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032U -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 Google Patents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32U
KR20110002032U KR2020110001025U KR20110001025U KR20110002032U KR 20110002032 U KR20110002032 U KR 20110002032U KR 2020110001025 U KR2020110001025 U KR 2020110001025U KR 20110001025 U KR20110001025 U KR 20110001025U KR 20110002032 U KR20110002032 U KR 201100020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reservoir
indoo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진
허강의
Original Assignee
(주)레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레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10001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032U/ko
Publication of KR20110002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는 저장고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유닛과, 저장고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유닛과, 실내유닛 및 실외유닛을 순환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배관과, 실내유닛 및 실외유닛 사이를 이격시키며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저장고에 공조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공조기의 설치작업 및 설치 후 각종 시험 등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냉매가 순환되는 배관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각 부품의 연결부위의 손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ONE BODY TIPE AIR CONDITIONER FOR STORAGE WAREHOUSE}
본 발명은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과일, 채소, 육류, 수산물 및 유제품 등을 유통시키거나 장기 보관하기 위해서는 보관할 물품의 특성에 따라 온도조절이 가능한 저장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저장고에는 내부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기가 설치된다. 저장고는 보관할 물품의 양에 적합한 규모로 설치되고, 설치된 저장고의 규모에 적합한 용량의 공조기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조기에는 실내유닛 및 실외유닛이 포함된다. 저장고의 내부에는 실내유닛을 설치하고, 저장고의 외부에는 실외유닛을 설치한 다음, 실내유닛 및 실외유닛을 작동유체의 통로인 배관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저장고에 공조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기의 설치에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고, 저장고가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설치작업 후에도 기밀시험, 냉매충전 및 시운전 등에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숙련자가 아닌 경우에도 저장고에 공조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공조기의 설치작업 및 설치 후 각종 시험 등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고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유닛; 상기 저장고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유닛;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을 순환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배관; 및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 사이를 이격시키며 연결하고,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과 일체로 설치되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의 측벽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홈에 상기 연결부재를 안착시킴으로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가 제공된다.
배관은 연결부재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한 쌍이고 서로 이격 배치 되며, 각각 일측이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을 갖고, 한 쌍의 연결부재는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에는, 연결부재의 개방된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는 실외유닛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연결부재의 타단부는 실외유닛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를 저장고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저장고의 측벽의 상단부에 연결부재에 대응하는 지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지지홈에 연결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저장고의 천장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실외유닛의 일면은 측벽의 외측 벽면에 인접 배치되고, 실내유닛은 측벽의 내측 벽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홈에 안착된 연결부재는, 측벽에 설치된 앵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조기의 실내유닛 및 실외유닛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저장고에 공조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공조기의 설치작업 및 설치 후 각종 시험 등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냉매가 순환되는 배관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각 부품의 연결부위의 손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가 설치된 저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도 1에 표시한 직선 Ⅶ-Ⅶ에 의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가 설치된 저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가 저장고(10)에 설치되어 있다. 저장고(10)의 다른 측면에는 저장할 물품을 출납하는 출입문(14)이 설치되어 있다.
저장고(10) 내의 공기의 온도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므로, 저장고(10)에 저장될 물품의 특성에 따라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의 작동을 조절하여 저장고(10) 내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에는 실외유닛(110), 실내유닛(130) 및 연결부재(151)가 포함된다.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은 배관(도 4의 120)으로 연결되는데, 이 배관(120)을 통하여 작동유체가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을 순환한다.
실내유닛(130)은 작동유체 및 저장고(10) 내부의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저장고(10) 내부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실외유닛(110)은 실내유닛(130)을 순환한 작동유체 및 저장고(10)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한 다음, 작동유체가 다시 실내유닛(130)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연결부재(151)는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 사이를 이격 시키며 견고하게 연결한다. 즉, 연결부재(151)는 실외유닛(110)과 실내유닛(13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51)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저장고(10)의 측벽(11) 상단부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된다(S10). 이 지지홈(12)에 연결부재(151)를 안착시키면(S20),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이 연결부재(151)에 의해 측벽(11)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후, 저장고(10)에 천장패널(13)을 설치하면(S30), 저장고(10)에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은 연결부재(151)에 의해 서로 일체화 됨으로써,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를 저장고(10)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특히, 배관(120)이나 도시되지 않은 전선 등을 연결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게 되므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설치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배관(120) 등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유로(도시되지 않음)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시킨 후 작동유체를 주입하는 작업과 같이 장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은,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미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설치방법은,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를 저장고(10)에 설치하는 현장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크게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외유닛(110)의 내부 상측에는 보강부재(140)가 설치되고, 보강부재(140)는 연결부재(15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연결부재(151)의 타단부는 실내유닛(130)의 상면에 결합된다.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의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은, 연결부재(151)에 의하여 견고하게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가 저장고(10)에 설치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1)가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을 지지한다.
실외유닛(110)은 연결부재(151)의 일단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데, 실외유닛(110)은 실내유닛(130)에 비하여 하중이 크다. 따라서, 연결부재(151)의 일단부를 실외유닛(110)의 하우징에 직접 연결하면 하우징이 변형 또는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유닛(110)의 내부 상측에 보강부재(140)를 설치하여 실외유닛(110)의 하중이 하우징의 특정위치로 집중되지 않게 한다. 실외유닛(110)이 실내유닛(130)에 비하여 하중이 큰 이유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부재(151)가 포함되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연결부재(15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151)의 수가 증가되면, 측벽(11)에도 연결부재(151)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지지홈(12)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51)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개방부(152)가 형성된다. 배관(120)은 이 개방부(152)를 통하여 연결부재(151) 내에 설치된다. 배관(120)이 연결부재(151) 내에 설치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도 6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실외유닛(110)에는 응축기 팬(112)이 설치되고, 실내유닛(130)에는 증발기 팬(132)이 설치된다. 실외유닛(110) 및 실외유닛(130)은 응축기 팬(112) 및 증발기 팬(132)의 작동에 의하여 저장고(10) 외부 및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각각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계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유닛(130) 내에는 증발기(131), 증발기 팬(132), 팽창밸브(133) 및 리퀴드 솔레노이드 밸브(134)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외유닛(110) 내에는 액열기(116), 압력 스위치(113, 117), 압축기(118), 제상 밸브(119), 응축기(111), 응축기 팬(112), 수액기(114) 및 드라이어(115)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다수의 부품들은 배관(120)에 의해 연결되고, 배관(120) 내로는 작동유체가 유동된다. 따라서, 배관(120)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연결부위에서 작동유체가 누출될 수 있다.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 사이에도 배관(120)이 연결되는데, 통상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배관(120)으로는 동관(銅管)이 널리 사용된다. 동관은 가요성이 있으므로,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소 변경되더라도 작동유체의 유동에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외력에 의해 심하게 구부러지거나 무거운 물체에 의해 눌리는 등 동관에 많은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동관의 중공부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작동유체가 원활히 유동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의 외부로 노출된 배관(120)은 외력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의 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51)의 단면은 ㄷ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개방부(도 4의 152)가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실외유닛(110) 및 실외유닛(13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120)은 연결부재(151)의 중공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배관(120)은 연결부재(151)에 의해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개방부(152)에는 커버(15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부(152)를 통하여 분진이나 수분 등이 연결부재(15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재(151)의 양단부에는 실외유닛(110) 및 실내유닛(130)이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재(151)의 중간영역은 측벽(11)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홈(12)에 의해 지지되므로, 연결부재(151)에는 굽힘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연결부재(151)에 작용되는 굽힘응력에 의해, 연결부재(151)의 상측에는 인장력이 가해지고 하측에는 압축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151)의 상측 및 하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면 상술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에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개방부(152)는 연결부재(151)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굽힘강도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를 유지 및 보수하는 과정에서 배관(120)이 분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배관(12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연결부재(151)의 개방부(152)는 바깥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100)와 같이 연결부재(151)가 한 쌍일 경우에는, 개방부(152)가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지지홈(12) 및 연결부재(151) 사이의 틈으로 저장고(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수분 또는 해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154)와 결합된 연결부재(151) 및 지지홈(12) 사이에는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표시한 직선 Ⅶ-Ⅶ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외유닛(110)의 일면은 측벽(11)의 외측 벽면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반해, 실내유닛(130)의 일면은 측벽(11)의 내측 벽면과 이격 배치된다.
실외유닛(110)에는 압축기(118)와 같이 하중이 크고 진동이 발생되는 부품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실외유닛(110)의 일면이 측벽(11)의 외측 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실외유닛(100)의 하중이 측벽(11)에 의해 지지되고 압축기(118)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킨다.
또는, 실외유닛(110)의 일면을 측벽(11)의 외측 벽면에 밀착시키거나, 실외유닛(110)의 일면 가장자리 부분을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재를 이용하여 측벽(11)의 외측 벽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실외유닛(110)의 일면이 측벽(11)의 외측 벽면에 밀착되면 압축기(118)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실외유빗(110)의 일면이 측벽(11)의 외측 측면에 부착되면 실외유닛(110)의 진동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실외유닛(110)의 하중이 측벽(11)으로 분산되므로, 실외유닛(110)의 하중에 의하여 연결부재(151)에 가해지는 굽힘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실외유닛(110)은 저장고(10) 외부의 공기를 실외유닛(110)의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흡기구(112a)로 유입하여 응축기(111)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와 열교환이 일어나게 한 후, 응축기 팬(112)을 통하여 실외유닛(110) 외부로 배출시킨다.
실내유닛(130)은 저장고(10)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저장고(10) 내부에 공기의 순환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측벽(11)의 내측 벽면 및 실내유닛(130)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저장고(10) 내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참고로, 저장고(10) 내부 공기를 저온으로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실내유닛(130)을 거치며 냉각된 공기를 저장고(10) 내의 상측으로 배출시키고, 저장고(10) 내부를 순환하며 온도가 상승되어 대류현상에 의해 천장패널(13) 쪽으로 상승하는 공기를 증발기 팬(132)으로 흡입함으로써, 저장고(10) 내부의 공기가 난류를 일으키지 않고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측벽(11)의 내측 벽면 및 실내유닛(13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부재(151)가 길어지는 경우, 실내유닛(130)의 하중에 의해 연결부재(151)에 가해지는 굽힘응력 또한 증가된다. 따라서, 측벽(11)의 내측 벽면에 앵글(155)을 설치하여 연결부재(151)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및 그것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장고 11: 측벽 12: 지지홈
13: 천장패널 110: 실외유닛 120: 배관
130: 실내유닛 151: 연결부재 153: 보강부재
155: 앵글

Claims (5)

  1. 저장고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유닛;
    상기 저장고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유닛;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을 순환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배관; 및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 사이를 이격시키며 연결하고,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실내유닛 및 상기 실외유닛과 일체로 설치되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의 측벽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홈에 상기 연결부재를 안착시킴으로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연결부재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 일측이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개방된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유닛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실외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KR2020110001025U 2011-02-07 2011-02-07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KR201100020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25U KR20110002032U (ko) 2011-02-07 2011-02-07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25U KR20110002032U (ko) 2011-02-07 2011-02-07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03A Division KR20100132682A (ko) 2009-06-10 2009-06-10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및 그것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32U true KR20110002032U (ko) 2011-03-02

Family

ID=4420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025U KR20110002032U (ko) 2011-02-07 2011-02-07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0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6410A (zh) * 2018-03-23 2018-08-21 深圳市中集冷链科技有限公司 用于模块化组合冷箱的冷源模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6410A (zh) * 2018-03-23 2018-08-21 深圳市中集冷链科技有限公司 用于模块化组合冷箱的冷源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3535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1719378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EP3130866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WO2012029086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組立方法
EP3441684B1 (en) Heat source unit
US20240142156A1 (en) Refrigerator
AU2017252884B2 (en) Heat source unit
KR101872290B1 (ko) 고정 부재 및 이를 구비한 기기
US10753640B2 (en) Heat source unit
KR20110002032U (ko)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KR20100132682A (ko) 저장고용 일체형 공조기 및 그것의 설치방법
US10443902B2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US20200248912A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US20180245805A1 (en) Outdoor unit
JP2015014445A (ja) 低温倉庫
CN114127495B (zh) 真空绝热体和冰箱
CN114080531A (zh) 真空绝热体和冰箱
EP3348936B1 (en) Outdoor machine
US20240085056A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4960293B2 (ja) 断熱パネル及び環境試験装置
US20210048137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EP3492833A1 (en) Refrigerating cycle device
KR20240037033A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및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방법
JP2021092326A (ja) 熱源機
JP2019158305A (ja) 輻射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