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764U - 가로등 단자함 - Google Patents

가로등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764U
KR20110001764U KR2020090010600U KR20090010600U KR20110001764U KR 20110001764 U KR20110001764 U KR 20110001764U KR 2020090010600 U KR2020090010600 U KR 2020090010600U KR 20090010600 U KR20090010600 U KR 20090010600U KR 20110001764 U KR20110001764 U KR 20110001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box
powe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671Y1 (ko
Inventor
오정희
Original Assignee
웰컨트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컨트롤 (주) filed Critical 웰컨트롤 (주)
Priority to KR2020090010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67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mounted on top of the standard, e.g. for pedestrian z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1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resin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가로등 단자함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에 전원 차단기 및 다수의 전원 단자를 수용하고 전면에 탈착 가능한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부면에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제1 관통홀과 연결되어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인입관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의 전면에 투명창을 통해 전원 동작 및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케이블 인입관을 통해 전원 케이블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가로등 단자함을 제공할 수 있다.
가로등, 단자함, 전원 케이블, 케이블 인입관

Description

가로등 단자함 {The Circuit box for street lighting}
본 고안은 가로등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인입이 용이한 가로등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야간에 빛을 비추기 위하여 인도 또는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이나 사람의 통행을 돕는다. 이러한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 도로, 상업지구의 도로, 주택지구의 도로 등에 설치되며, 설치 장소에 따라 그에 적합한 구조(예를 들면, 모양이나 밝기)로 설치될 수 있다.
가로등은 빛을 출력하는 광원, 광원을 지지하는 지주, 그리고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전원공급부는 전원 케이블, 단자 및 스위치 등과 같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가로등 단자함에 내장되며, 이 가로등 단자함을 지주에 장착함으로써 지주에 전원 공급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가로등 단자함은 불투명한 박스로 이루어져 있어 전원 차단기나 케이블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가로등 단자함을 해체해야만 한다. 특히, 광원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고장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가로등 단자함을 확인해야만 한다. 하지만, 광원의 동작은 광원 자체 문제일 수도 있으며, 단전의 문제일 수도 있어, 불필요하게 가로등 단자함을 해체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로등 단자함을 해체하지 않고, 외부에서 가로등 단자함의 전원 차단기나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 가로등 단자함은 비교적 큰 관통홀이 형성되어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원 케이블이 인입된 상태에서 전원 케이블과 관통홀 사이에 공간이 많이 남아 있었다. 이로 인해 가로등 단자함이 침수되거나 결로, 습기가 발생했을 때, 전원 케이블을 밀폐시키지 못해 누전이나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전면에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전원 차단기 및 케이블 연결 상태를 하우징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로등 단자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고 절단 가능하게 형성된 케이블 인입관을 구비함으로써, 전원 케이블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가로등 단자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에 전원 차단기 및 다수의 전원 단자를 수용하고, 전면에 탈착 가능한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부면에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되어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인입관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관통홀은 사각형, 원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 측면, 하부면 및 상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광원과 연결되는 광원 접속 케이블이 인출되는 제2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인입관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인입관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계 수지는 폴리카보나이트 수지 및 스티렌 수지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로등 단자함에서 하우징의 전면에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전원 차단기 및 케이블 연결 상태를 하우징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원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하우징 외부에서 전원 차단기 및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가로등 단자함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가로등 단자함을 해체하게 된다. 그 결과, 불필요하게 가로등 단자함을 해체하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고 절단 가능하게 형성된 케이블 인입관을 구비함으로써,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의 전체 직경에 적합한 부분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입된 전원 케이블이 케이블 인입관에 밀착되어 침수나 습기로부터 전원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가로등 단자함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이 가로등에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등은 지주(100), 지주(100)의 상단에 연결된 광원(300) 및 지주(100) 내부에 장착되어 광원(3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가로등 단자함(200)을 포함한다.
가로등 단자함(200)은 지주(100)의 하단부에 위치한 개폐 수단(110)이 열린 상태에서 그 내부에 장착되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 지주(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로등 단자함(200)은 다수의 단자와 차단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지주(100)의 하부 통로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을 인입시키기 위한 케이블 인입관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구성의 가로등 단자함(200)을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케이블 인입관을 확대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등 단자함(200)은 하우징(210)과 케이블 인입관(23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하우징(210)의 상부면에는 가로등 단자함(200)을 지주(100) 내에 고정시킬 때 이용되는 너트홈(220)이 위치한다. 따라서, 지주(100)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가로등 단자함(2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너트홈(220)에 너 트를 끼워 조이는 작업을 통해 가로등 단자함(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210)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이 내부 공간에는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전원 단자와, 광원(300)으로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기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전면에 탈착 가능한 투명창(2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투명창(211)은 네 개의 모서리에 고정수단(211a)(예를 들어, 너트) 조이거나 푸는 것을 통해 하우징(210)의 전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같은 투명창(211)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전원 단자와 전원 차단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원(300)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가로등 단자함(200)을 지주(100)로부터 분리하여 해체할 필요없이 투명창(210)을 통해 전원 케이블 연결 상태 및 전원 차단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210)은 그 하부면에 제1 관통홀(212) 및 제2 관통홀(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관통홀(212)은 전원 케이블 인입을 위한 케이블 인입관(230)과 연결된다. 제1 관통홀(212)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삼각형, 그외의 다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관통홀(213)은 광원(300)과의 연결을 위한 광원 접속 케이블을 하우징(210) 내부에서 인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이 경우, 제1 관통홀(212)은 지 주(100)의 하부 통로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을 인입시키기 위해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2 관통홀(213)은 광원(300)과 연결되는 광원 접속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0)의 일 측면이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관통홀(213)을 통해 광원(300) 방향으로 인출되는 광원 접속 케이블은 광원(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2.5*2c(EV) 또는 3.5*2c(EV) 등의 규격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0)은 플라스틱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계 수지로는 폴리카보나이트(Poly Carbonate) 수지 및 스티렌(styrene) 수지 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하우징(210)은 상기의 물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면체 형상의 제작이 용이하고, 다수의 단자 및 차단기, 그리고 전원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한 물질이라면 대체할 수 있다.
케이블 인입관(230)은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블 인입관(230)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한다.
케이블 인입관(230)을 확대한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인입관(230)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계단 형상을 갖는 것으로, 복수의 단(231, 232, 233, 234)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복수의 단(231, 232, 233, 234) 중 제1 단(231)은 제1 관통홀(212) 및 제2 단(232)과 연결된다. 또한, 제2 단(232)은 제1 단(231) 및 제3 단(233)과 연결되며, 제3 단(233)은 제2 단(232) 및 제4 단(234)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4 단(234)은 제3 단(233)과 연결된다.
이 경우, 복수의 단(231, 232, 233, 234)은 서로 단면적이 상이하므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중간 연결판(23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231)과 제2 단(232)을 연결하는 경우, 제2 단(232)의 외측 테두리에 중간 연결판(235)을 형성하여 제1 단(231)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중간 연결판(235)을 통해 제1 단(231)과 제2 단(232) 사이에 존재하는 단면적 차이를 보상하여 줌으로써, 제1 단(231)과 제2 단(232)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절취선(230a, 230b, 230c)은 제1 내지 제4 단(231, 232, 233, 234)들이 서로 연결되는 단 사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절취선(230a)은 제1 단(231)과 제2 단(232) 사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제1 단(231)과 중간 연결판(235)의 연결 부분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2 및 제3 절취선(230b, 230c) 역시 제1 절취선(230c)과 동일한 형태로 각각 제2 단(232)과 제3 단(233), 제3 단(233)과 제4 단(234) 사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한편, 전원 케이블을 케이블 인입관(230)에 인입시키는 경우, 전원 케이블의 수와 직경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통로를 제공하는 단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단 내지 제4 단(231, 232, 233, 234)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므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의 수와 직경에 적합한 단에 전원 케이블을 인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233)이 적합할 경우에는, 제2 단(232)과 제3 단(233)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취선(230b)을 이용하여 제2 단(232)을 제3 단(23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케이블 인입관(230)의 최하단이 제3 단(233)이 되도록 하여 제3 단(233)을 인입구로 하여 전원 케이블을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같이 케이블 인입관(230)을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을 절취하여 전원 케이블이 케이블 인입관(230)의 최하단 인입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등 단자함이 침수되더라도 전원 케이블을 밀폐시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케이블 인입관(230)이 네 개의 단(231, 232, 233, 234)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케이블 인입관(230)을 보다 많은 단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같이 단이 많아질 경우에는, 단들의 단면적 차이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의 수와 직경에 최적인 케이블 인입관(23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지주(100)의 하단 통로로부터 연장되어 케이블 트레이(200)에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은 60ø*1c*4(EV), 38ø*1c*4(EV), 22ø*1c*4(EV) 및 14ø*1c*4(EV)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규격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블 인입관(230)에서 각 단의 외주면에는 슬롯(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롯은 케이블 타이를 삽입 및 인 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 슬롯에 케이블 타이를 삽입시키고 전원 케이블이 인입된 단의 내주면을 따라 케이블 타이를 이동시킨 후, 슬롯을 통해 다시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케이블 타이를 묶어 전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가로등 단자함(300)은 도 3에 도시된 가로등 단자함(200)과 동일하게 하우징(310) 및 케이블 인입관(330)을 포함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제2 관통홀(312)의 위치와 케이블 인입관(330)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된 그것들과 상이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로등 단자함(300)은 하우징(310)과 케이블 인입관(33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하우징(310)의 상부면에는 가로등 단자함(300)을 지주(100) 내에 고정시킬 때 이용되는 너트홈(320)이 위치한다.
하우징(310)에는 전면에 탈착 가능한 투명창(3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투명창(311)은 네 개의 모서리에 고정수단(311a)(예를 들어, 너트)에 의해 하우징(310)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10)은 제1 관통홀(312) 및 제2 관통홀(3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관통홀(312)은 하우징(3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전원 케이블 인입을 위한 케이블 인입관(330)과 연결된다. 또한, 제2 관통홀(313)은 하우징(3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광원 접속 케이블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 인입관(330)은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제1 내지 제5 단(331, 332, 333, 334, 335)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5 단(331, 332, 333, 334, 335)은 도 3의 케이블 인입관(330)과 같이 단차를 갖는 것이 아니라,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는다.
도 4에서는 케이블 인입관(330)이 사각 기둥의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케이블 인입관(330)의 형상은 제1 관통홀(312)의 형상에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홀(312)이 원형인 경우에 케이블 인입관(330)은 원기둥의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관통홀(312)이 삼각형인 경우에는 케이블 인입관(330)은 삼각 기둥의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인입관(330)에서, 제1 단(331)은 제1 관통홀(312)과 제2 단(332)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2 단(332)은 제1 단(331)과 제3 단(333) 사이에 연결되며, 제3 단(333)은 제2 단(332)과 제4 단(334)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4 단(334)은 제3 단(333)과 제5 단(335) 사이에 연결되며, 최하단에 위치한 제5 단(335)은 제4 단(334)과 연결된다.
또한, 케이블 인입관(330)은 복수의 절취선(330a, 330b, 330c, 330d)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절취선(330a, 330b, 330c, 330d)은 제1 내지 제5 단(331, 332, 333, 334, 335)들이 서로 연결되는 단 사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즉, 제1 절 취선 내지 제4 절취선(330a, 330b, 330c, 330d) 각각은 제1 내지 제5 단(331, 332, 333, 334, 335)들 사이에 형성된다.
전원 케이블을 케이블 인입관(330)에 인입시키는 경우, 전원 케이블의 수와 직경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통로를 제공하는 단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의 수와 직경에 적합한 단이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절취선을 경계로 일부 단을 절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의 절단은 작업자가 절단 대상에 해당하는 절취선에 연결된 양 단을 잡고 구부리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절취선(330a, 330b, 330c, 330d)은 절취 기능 외에, 테이퍼 형상의 케이블 인입관(330)을 복수 개의 단으로 나누는 기능을 한다. 즉, 동일한 크기의 케이블 인입관(330)에 제1 간격 단위로 절취선을 형성하면 도 4에서와 같이 5개의 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 단위로 절취선을 형성하면 5개를 초과하는 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같이, 절취선의 간격을 조절하여 단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전원 케이블이 인입된 상태의 가로등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가로등 단자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등 단자함(200)은 하우징(210)과 너트홈(220) 및 케이 블 인입관(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210) 내부 공간에는 전원 차단기(250) 및 다수의 전원 단자(270)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블 인입관(230)을 통해 가로등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400)이 인입되어 있다. 전원 케이블(400) 인입시, 전원 케이블(400)의 전체 직경에 적합하도록 케이블 인입관(230)의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인입관(230)에서 제2 단(232)이 전원 케이블(400)의 전체 직경에 적합한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인입관(230)에서 제2 절취선(230b)을 기준으로 제3 단(232)을 절단하여 최하단에 제2 단(232)이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케이블 인입관(230)에 인입된 전원 케이블(400)은 전원 공급 선로로 기능하는 복수의 전원 단자(27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원 단자(270)와 전원 차단기(250)는 접속 케이블(26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 차단기(250)에서 연장되는 광원 접속 케이블(500)은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위치한 제2 관통홀(213)을 통해 상부에 위치하는 광원(300)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인출된 광원 접속 케이블(500)을 광원(300)에 연결시켜 광원(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에 투명창(211)을 설치함으로써 하우징(210) 내부의 전원 차단 상태와 케이블 연결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 로등 단자함(230)을 불필요하게 해체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인입관(230)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입된 전원 케이블(400)이 물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케이블(400)이 물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감전 등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 비용이 절약되어 경제적인 이점과 안전 사고에 대비하여 재산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이 가로등에 장착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케이블 인입관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전원 케이블이 인입된 상태의 가로등 단자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300 : 가로등 단자함 210, 310 : 하우징
211, 311 : 투명창 220, 320 : 너트홈
230, 330 : 케이블 인입관
230a, 230b, 230c, 330a, 330b, 330c, 330d : 절취선
212, 312 : 제1 관통홀 213, 313 : 제2 관통홀

Claims (7)

  1.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에 전원 차단기 및 다수의 전원 단자를 수용하고, 전면에 탈착 가능한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부면에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연결되어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인입관;을 포함하는 가로등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사각형, 원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단자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 측면, 하부면 및 상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광원과 연결되는 광원 접속 케이블이 인출되는 제2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단자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입관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계단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단자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입관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단자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단자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계 수지는,
    폴리카보나이트(Poly Carbonate) 수지 및 스티렌(styrene)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단자함.
KR2020090010600U 2009-08-14 2009-08-14 가로등 단자함 KR200452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00U KR200452671Y1 (ko) 2009-08-14 2009-08-14 가로등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00U KR200452671Y1 (ko) 2009-08-14 2009-08-14 가로등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64U true KR20110001764U (ko) 2011-02-22
KR200452671Y1 KR200452671Y1 (ko) 2011-03-16

Family

ID=4420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00U KR200452671Y1 (ko) 2009-08-14 2009-08-14 가로등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6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23B1 (ko) * 2019-05-22 2019-12-0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수배전반
KR102118985B1 (ko) * 2019-04-15 2020-06-05 주식회사 엘파워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및 ess용 도어개폐 시스템
KR20200121107A (ko) *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KR2020013445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89B1 (ko) * 2005-01-24 2006-11-24 곽정주 가로등용 단자함
KR20080001514U (ko) * 2006-11-29 2008-06-03 곽정주 가로등 전용 방수형 단자함
KR20090004184A (ko) * 2007-07-06 2009-01-1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충격저감 장치 및 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85B1 (ko) * 2019-04-15 2020-06-05 주식회사 엘파워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및 ess용 도어개폐 시스템
KR20200121107A (ko) *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KR102052023B1 (ko) * 2019-05-22 2019-12-0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수배전반
KR2020013445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671Y1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671Y1 (ko) 가로등 단자함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200464098Y1 (ko)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KR20090120296A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CN108933404A (zh) 一种节能型景观式地埋箱变
KR200254299Y1 (ko) 가로등 안정기 인출박스 구조
CN203231461U (zh) 用于空调机室内机的电气部件盒
KR20110005002A (ko) 가로등 철주의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KR100960572B1 (ko) 전주
KR100942151B1 (ko) 투광등 거치대
KR20110000510U (ko) 볼라드용 조명장치
KR100672800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KR200359003Y1 (ko) 안전커버
KR200220740Y1 (ko) 분전반의 누전차단기 설치용 브라켓
KR200382486Y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100538676B1 (ko) 절연기능을 갖는 등주
CN202274347U (zh) 一种新型无极灯路灯
KR20090103402A (ko)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CN213625375U (zh) 一种电力照明护栏
CN216814023U (zh) 结构稳固型太阳能标志灯
CN219672281U (zh) 一种组合式安防监控杆
KR100942126B1 (ko) 보행자 보호커버 겸용 가로등 보호커버
CN117781207B (zh) 一种路杆多功能警示灯及其拆装方法
CN212657667U (zh) 一种带5g通信天线安装箱的路灯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