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745U -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 Google Patents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745U
KR20110001745U KR2020110000973U KR20110000973U KR20110001745U KR 20110001745 U KR20110001745 U KR 20110001745U KR 2020110000973 U KR2020110000973 U KR 2020110000973U KR 20110000973 U KR20110000973 U KR 20110000973U KR 20110001745 U KR20110001745 U KR 20110001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door
fitting
flat plat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771Y1 (ko
Inventor
한찬희
Original Assignee
미르젠(주)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젠(주), 한찬희 filed Critical 미르젠(주)
Priority to KR2020110000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7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은 결합 부재, 격벽 부재, 여닫이문 부재, 암톨쩌귀 부재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10)는 축을 중심으로 등분되는 각도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끼움홈들(12)이 형성된 제1 끼움홈부(11)와, 상기 축과 직교하는 면을 상기 축을 중심으로 등분하는 각도로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끼움홈들(22)이 형성되며 상기 축과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12)의 일측을 종단하도록 상기 제1 끼움홈부(11)와 합체되는 제2 끼움홈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 부재(30)는 적어도 네 개의 모서리(33)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 부재(10)의 끼움홈(12, 22)에 상기 모서리(33)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수납 공간을 위한 상하좌우의 벽체를 구현할 수 있다. 여닫이문 부재(40)는 문 프레임(42)의 둘레에 적어도 네 개의 문 모서리(43)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서, 문 프레임(42)의 한 변의 양 모서리에서 돌출촉(44)이 돌출된다. 암톨쩌귀 부재(50)는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체(51)에 상기 돌출촉(44)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공(52)을 가진다.

Description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STORAGE SHELF CAPABLE OF MOUNTING DOOR AT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은 조립식 정리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부품을 가지고 손으로 조립 가능한 조립식 정리 선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옷이나 장식품, 그 밖에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운 물건들을 정리하여 보관하거나 진열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철재 앵글을 이용하여 원하는 수납 공간을 만들면 비록 적은 비용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다. 하지만 철재 앵글의 절단과 볼트 조립에 별도의 작업 공간에서 톱이나 바인더, 스패너, 렌치 등의 공구가 필요하고, 무거운 철재 앵글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을 감수해야 하고, 정확한 측정을 하지 않으면 완성 후에 수평이 맞지 않는다거나, 철재 앵글 자체의 외관이 조악하기 때문에 완성된 정리 선반의 외관도 조악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
따라서, 공구를 쓰지 않거나 최소한도로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으면서 완성품의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정리 선반에 관하여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된 조립식 정리 선반들은 바닥면 부품과 벽면 부품, 후면 부품이 따로 있어 조립을 위한 부품의 종류가 많거나, 각각의 부품 외형이 복잡하고 따라서 공급자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없고 수요자는 쉽게 조립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되는 부품의 종류를 최소화하고,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면서, 부품 형상이 간결하여 조립 방법이 쉽고, 완성된 선반의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여닫이문을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은
축을 중심으로 등분되는 각도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끼움홈들(12)이 형성된 제1 끼움홈부(11)와, 상기 축과 직교하는 면을 상기 축을 중심으로 등분하는 각도로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끼움홈들(22)이 형성되며 상기 축과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12)의 일측을 종단하도록 상기 제1 끼움홈부(11)와 합체되는 제2 끼움홈부(21)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10);
적어도 네 개의 모서리(33)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 부재(10)의 끼움홈(12, 22)에 상기 모서리(33)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수납 공간을 위한 상하좌우의 벽체를 구현할 수 있는 격벽 부재(30);
문 프레임(42)의 둘레에 적어도 네 개의 문 모서리(43)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문 프레임(42)의 한 변의 양 모서리에서 돌출촉(44)이 돌출된 여닫이문 부재(40); 및
상기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체(51)에 상기 돌출촉(44)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공(52)을 가지는 암톨쩌귀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끼움홈부(11)는 상기 끼움홈들(12)을 정의하는 내벽(13)을 가지는 돌출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체(61)에 상기 여닫이문 부재(40)의 문 모서리(43)와 물리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부착 수단(63)을 결합시킨 문 고정 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 부재(40)는
상기 문 프레임(42)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채우도록 제공되는 평판체(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판체(41)는 가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직물, 합성수지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소재로서, 상기 평판체(41)의 가장자리가 인장된 상태로 상기 문 프레임(42)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정리 선반에 따르면, 조립되는 부품의 종류가 두 가지 정도로 매우 간소하며, 부품 형상이 간결하여 조립 방법이 쉽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정리 선반은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누구나 손만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정리 선반은 완성되었을 때의 외관이 미려하다.
나아가, 본 고안의 조립식 정리 선반은 원하는 방향으로 여닫이문을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와 격벽 부재들, 여닫이문 부재로 조립된 조립식 정리 선반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의 결합 부재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의 격벽 부재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의 여닫이문 부재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암톨쩌귀 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정리 선반의 여닫이문 부재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 부재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문 고정 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와 격벽 부재들, 여닫이문 부재로 조립된 조립식 정리 선반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립식 정리 선반(1)은 좌측, 우측, 후면, 상부 및 하부 벽면을 구성하는 격벽 부재들(30)을 그 꼭지점마다 위치한 다수의 결합 부재들(10)로 결합함으로써 조립되며, 좌측, 우측, 후면, 상부 및 하부의 격벽 부재들(30)로써 형성된 수납 공간의 정면에 암톨쩌귀 부재(50) 및 문 고정 부재(60)를 이용하여 여닫이문 부재(40)를 설치할 수 있다.
결합 부재(10)는 제1 끼움홈부를 포함하며, 추가로 제1 끼움홈부에 직교하면서 합체된 제2 끼움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홈부는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들을 가지고 다수의 끼움홈들은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 떨어져 있다. 결합 부재(10)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금속 등으로 성형될 수 있고, 끼움홈에 격벽 부재(30)의 모서리가 삽입되면, 결합 부재(10)는 소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격벽 부재(30)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끼움홈들 사이의 각에 해당하는 공간은 결합 부재(10)와 동일한 소재로 채워져 있을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이나 무게, 제품의 조립 편의 등을 고려하면, 도 1과 같이, 끼움홈 양편에서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돌출편만 형성하고 나머지 공간은 비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제1 끼움홈부는 다수의 끼움홈들을 형성하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다수 쌍의 돌출편들을 가지며, 각각의 돌출편 쌍들은 서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면서 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끼움홈들 사이의 각도, 즉 결합 각도는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45도, 60도, 90도, 120도, 180도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결합 각도가 90도인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끼움홈부는 십자형으로 형성된 네 개의 끼움홈에 네 개의 격벽 부재(30)가 삽입될 수 있고, 도 1과 같이 통상적인 육면체 모양이면서 정면이 개방된 정리 선반이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결합 각도가 130도이면,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세 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정면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인 정리 선반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부의 끼움홈들은 축에 직교하여 한쪽 면이 막혀 있다. 따라서, 제1 끼움홈부의 끼움홈은 돌출편 쌍의 내벽, 결합 부재(10)의 축 부분, 그리고 막힌 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되며, 그러한 끼움홈의 개방된 방향에서 격벽 부재(30)의 모서리가 삽입된다.
결합 부재(10)는 제2 끼움홈부를 더 포함하는데, 제2 끼움홈부는 결합 부재(10)의 축과 직교하면서 제1 끼움홈부의 일측과 합체된다. 제2 끼움홈부는 축에 직교한 평면을 부채꼴 모양으로 등분하도록 형성된, 제1 끼움홈부와 동일한 수의 끼움홈들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끼움홈부의 끼움홈들 사이 경계는 제1 끼움홈부의 끼움홈들이 제2 끼움홈부에 의해 한정되는 부분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 끼움홈부의 끼움홈들은 각각, 제1 끼움홈부의 끼움홈들 사이의 각에 상응하는 내각을 가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 제2 끼움홈부가 90도의 내각을 갖는 끼움홈들을 가지는데, 제2 끼움홈부의 끼움홈에 격벽 부재(30)를 삽입하면 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정리 선반의 정면 또는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끼움홈부의 결합 각도가 120도라면, 제2 끼움홈부는 120도의 내각을 갖는 끼움홈부들을 가지며, 제2 끼움홈부의 끼움홈에 육각형 형상의 격벽 부재를 삽입하면, 벌집 모양의 정리 선반의 정면 또는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 부재(30)들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상/하/좌/우면 격벽 및 후면 격벽을 구성할 수 있다. 격벽 부재(30)는 실시예에 따라 통상적인 목재 등의 천연소재,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강성(rigidness)이 있는 평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목재나 유리 등으로 구현될 경우, 평판의 모서리 부분은 금속 재질로 보강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격벽 부재(3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존하여 인장된 연성(flexible)의 천연소재, 직물,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레임이 합성 수지로 구현될 경우에도,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은 금속 재질로 보강될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격벽 부재(3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기타 다른 형상의 프레임과, 그러한 프레임에 얹힐 수 있는 천연소재, 직물,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그물 또는 창살을 가진 판형 격벽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격벽 부재(30)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프레임의 꺾인 모서리 부분만 결합 부재(10)의 끼움홈들에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격벽 부재(30)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 부재(10)들을 결합한 다음, 또 다른 격벽 부재(30)를 원하는 방향에서 그 방향에 따른 결합 부재들(10)의 끼움홈들에 삽입시키면 원하는 형태의 수납 공간을 가진 정리 선반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결합 부재(10)는 축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과, 정면 방향을 사분하는 방향으로 각각 끼움홈이 있기 때문에, 한 가지 형태의 결합 부재(10)와 한 가지 형태의 격벽 부재(30) 만으로 정육면체의 수납 공간을 가지고 정면이 개방된 정리 선반이 조립될 수 있다. 나아가, 이미 완성된 정리 선반에서도, 결합 부재(10)의 비어있는 끼움홈에 또 다른 격벽 부재(30)들을 결합시키고 추가된 격벽 부재(30)들을 추가적인 결합 부재(10)로 고정하면, 수납 공간을 계속 확장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수납 공간에 여닫이문 부재(40)를 장착할 수 있다. 여닫이문 부재(40)는 격벽 부재(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닫이문 부재(40)도 실시예에 따라 통상적인 목재 등의 천연소재,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강성이 있는 평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목재나 유리 등으로 구현될 경우, 평판의 모서리 부분은 금속 재질로 보강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여닫이문 부재(4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존하여 인장된 연성의 천연소재, 직물,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레임이 합성 수지로 구현될 경우에도,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은 금속 재질로 보강될 수 있다.
한편, 여닫이문 부재(40)의 네 개의 변 중에 어느 한 변의 양단은 여닫이문 부재(40)가 여닫이 문의 동작을 하기 위한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한 돌출촉을 가지고 있다. 여닫이문 부재(40)의 돌출촉은 암톨쩌귀 부재(50)에 상기 여닫이문 부재(40)의 회전축 방향에 맞춰 소정 깊이만큼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다. 여닫이문 부재(40)는 돌출촉이 암톨쩌귀 부재(50)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암톨쩌귀 부재(50)는 결합 부재(10)의 제2 끼움홈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수납 공간의 정면을 이루는 어느 한 변의 양단에서 두 개의 암톨쩌귀 부재(50)가 여닫이문 부재(40)의 두 돌출촉을 각각 수용한 채로 결합 부재(10)의 제2 끼움홈부의 끼움홈에 삽입되면, 여닫이문 부재(40)가 수납 공간의 정면에서 여닫이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어서, 문 고정 부재(60)는, 결합 부재(10)의 제2 끼움홈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는 몸체를 가지며,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여닫이문 부재(40)가 수납 공간의 정면을 가리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여닫이문 부재(40)의 모서리를 물리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 고정 부재(60)는 영구자석을 장착하고 있어서, 강자성인 또는 상자성체인 금속 재질로 된 여닫이문 부재(40)의 프레임을 문 고정 부재(60)에 부착시킴으로써 여닫이문 부재(4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의 결합 부재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조립식 정리 선반의 결합 부재(10)는 제1 끼움홈부(11)와, 이 제1 끼움홈부(11)에 직교하면서 합체된 제2 끼움홈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홈부(11)는 축(A-A')을 중심으로 등분되게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들(12)을 가지는데, 각각의 끼움홈(12)은 평행하게 형성된 내벽(1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끼움홈들(12)은 서로 소정의 각도, 도 2의 예시에서는 90도의 내각을 이루고 있다.
제1 끼움홈부(11)는 다수의 끼움홈들(12)을 형성하기 위해, 축(A-A')을 중심으로 다수 쌍의 돌출편들(14)을 가지며, 각각의 돌출편 쌍들(14)은 서로 동일한 내각을 이루면서 축(A-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끼움홈부(11)는 십자형으로 형성된 네 개의 끼움홈(12)에 각자 하나씩, 총 네 개의 격벽 부재(30)가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1과 같이 통상적인 육면체 모양이면서 정면이 개방된 정리 선반(1)이 조립될 수 있다.
제1 끼움홈부(11)의 각각의 끼움홈(12)의 표면, 즉 돌출편 쌍(14)의 마주보는 내벽(13)에는 격벽 부재(30)의 모서리가 삽입된 후에 격벽 부재(3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들(15)이 돌설될 수 있다. 걸림 돌기들(15)은, 직각의 모서리가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에 크게 방해되지 않으면서 일단 삽입된 후에는 격벽 부재(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패턴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들(15)은 예를 들어 직선형의 작은 돌기들이 평행하고 형성된 형태, 또는 양변에 각각 평행하도록 직각의 돌기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 작은 원뿔들이 나열된 형태, 격벽 부재(30)의 모서리의 형상에 일치하는 하나의 상대적으로 큰 그루브(groove)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들(12)의 한쪽 면은 축(A-A')과 직교하게 놓인 제2 끼움홈부(21)의 측벽(24)에 의해 종단, 즉 막혀 있다. 따라서,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12)은 돌출편 쌍(14)의 내벽(13), 결합 부재(10)의 축(A-A')의 일 부분, 그리고 이 축(A-A')과 직교하는 제2 끼움홈부(21)의 측벽(2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되며, 끼움홈(12)의 개방되는 방향에서 격벽 부재(30)의 모서리가 삽입된다.
제2 끼움홈부(21)는 측벽(24)이 결합 부재(10)의 축(A-A')과 직교하면서 마치 끼움홈(12)의 한쪽을 막듯이 제1 끼움홈부(11)와 합체된다. 제2 끼움홈부(21)는 축(A-A')에 직교한 평면을 부채꼴 모양으로 등분하도록 형성된, 제1 끼움홈부(11)와 동일한 수의 끼움홈들(2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끼움홈부(21)의 끼움홈들(22) 사이의 경계(26)는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들(12)이 제2 끼움홈부(21)에 의해 한정되는 부분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 끼움홈부(21)의 끼움홈들(22)은 각각,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들(12) 사이의 각에 상응하는 내각을 가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 제2 끼움홈부(21)가 90도의 내각을 갖는 끼움홈들(22)을 가지는데, 제2 끼움홈부(21)의 끼움홈(22)에 격벽 부재(30)를 삽입하면 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정리 선반(1)의 정면 또는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끼움홈부의 결합 각도가 120도라면, 제2 끼움홈부도 120도의 내각을 갖는 끼움홈부들을 가지며, 제2 끼움홈부의 끼움홈에 육각형 형상의 격벽 부재를 삽입하면, 벌집 모양의 정리 선반의 정면 또는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끼움홈부(21)의 각각의 끼움홈(22)의 안쪽 표면, 즉 내벽(23)에는 격벽 부재(30)의 모서리가 삽입된 후에 격벽 부재(3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들(25)이 돌설될 수 있다. 걸림 돌기들(25)은, 직각의 모서리가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에 크게 방해되지 않으면서 일단 삽입된 후에는 격벽 부재(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패턴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들(25)은 예를 들어 직선형의 작은 돌기들이 평행하고 형성된 형태, 또는 양변에 각각 평행하도록 직각의 돌기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 작은 원뿔들이 나열된 형태, 격벽 부재(30)의 모서리의 형상에 일치하는 하나의 상대적으로 큰 그루브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제2 끼움홈부(21)는 측벽(24)을 기준으로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12)에서 멀어지는 쪽에 정면(26)을 가짐으로써, 측벽(24)과 정면(27) 사이에 끼움홈(22)을 갖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끼움홈(22)은 측벽(24)을 기준으로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12)과 끼움홈(12) 사이의 공간에 또다른 돌출편(미도시)을 끼움홈(12)에 직각이 되도록 추가함으로써, 측벽(24)과 추가된 돌출편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의 격벽 부재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격벽 부재(30)는 수납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좌우의 벽, 바닥면과 상면 및 후면을 구성할 수 있다.
격벽 부재(30)는 일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목재 등의 천연소재,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평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목재나 유리 등으로 구현될 경우, 평판의 모서리 부분은 금속 재질로 보강될 수 있다.
도 3의 격벽 부재(30)는 격벽재(31)와 프레임(32)로 구성되며, 모서리(33)가 도 2의 끼움홈(12, 22)에 삽입된다.
격벽 부재(30)의 프레임(32)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뼈대이다. 격벽재(31)는 가죽과 같은 천연소재, 직물,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연하고 인장력있는 소재일 수 있다. 도 3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필름을 프레임(32)보다 약간 크게 준비하고, 합성수지 필름의 가장자리가 프레임(32)을 감싸도록 합성수지 필름을 팽팽하게 인장한 다음, 프레임(32) 안쪽에 합성수지 필름이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가열 및 압착하여 얻어지는 간단한 구조로써 격벽 부재(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적어도 모서리(33)에서 프레임(32)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데, 이는 격벽 부재(30)의 용이한 제작, 미감의 향상 및 끼움홈(12, 22)에 삽입 시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다.
격벽재(31)로써 직물이나 가죽을 이용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직물 또는 가죽의 가장자리가 프레임(32)을 감싸도록 팽팽하게 한 다음, 프레임(32) 안쪽에서 직물 또는 가죽이 겹치는 부분을 접착하거나 재봉하여 격벽 부재(30)를 얻을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격벽재(31)가 프레임(32) 크기보다 작을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수의 실이나 리본, 링, 철사 등의 띠 소재로 격벽재(31)의 가장자리를 프레임(32)에 둘러 묶는 방식으로 격벽 부재(30)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격벽 부재(30)는 그물형 또는 창살형으로 된 격벽재(31)를 포함하여, 그러한 격벽재(31)를 프레임(32)에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리 선반의 여닫이문 부재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닫이문 부재(40)는 조립식 정리 선반(10)의 나머지 부분들과 동질성과 조립의 편리함을 유지하면서 여닫이문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는 격벽 부재(30)와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닫이문 부재(40)는 격벽 부재(30)와 유사한 소재의 평판재(41)의 가장자리에 문 프레임(42)이 둘러 있고, 여닫이문 부재(40)가 열고 닫힐 때에 회전하는 축을 따라 문 프레임(42)의 한 변의 양 모서리에서 돌출촉(44)이 돌출되어 있다.
평판재(41)가 합성수지나 가죽, 직물과 같은 소재일 경우에, 문 프레임(42)을 감싸도록 팽팽하게 인장하고 그 결과로 서로 겹치는 부분을 서로 압착 또는 접착시켜 평평한 여닫이문을 형성할 수 있다.
문 모서리(43) 부분은 문 프레임(42)이 노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문 프레임(42)의 경우에 문 고정 부재(60)의 자석과 서로 작용하여 여닫이문(4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를 들면, 문 모서리(43) 부분과 문 고정 부재(60)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문 모서리(43)에 일정한 크기로 돌출 형상이 있고 문 고정 부재(60)의 상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이러한 돌출 형상과 홈이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여닫이문 부재(40)의 회전축과 먼 쪽의 평판재(41)에는 적절한 위치에 손잡이로 이용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암톨쩌귀 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암톨쩌귀 부재(50)는 결합 부재(10)의 제2 끼움홈부(21)의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납작한 형상의 삽입체(51)와, 여닫이문 부재(40)의 돌출촉(44)이 삽입되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체(51)에 형성된 삽입공(52)을 가진다.
삽입체(51)의 한쪽 모서리는 끼움홈(22)에 삽입되었을 때에 끼움홈(22)보다 더 돌출하지 않도록 절삭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두 개의 암톨쩌귀 부재(50)의 삽입공(52)에 여닫이문 부재(40)의 돌출촉들(44)을 각각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각각 상하에 있는 결합 부재(10)의 끼움홈들(22)에 두 삽입체(51)를 각각 밀어 넣으면, 여닫이문 부재(40)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정리 선반의 여닫이문 부재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 부재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문 고정 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문 고정 부재(60)는 결합 부재(10)의 제2 끼움홈부(21)의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납작한 형상의 삽입체(61)와, 여닫이문 부재(40)의 문 모서리(43)와 물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 수단(63)과, 삽입체(61)에 부착 수단(63)을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 부착 수단(63)은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문 모서리(43) 부분과 문 고정 부재(60)의 문 부착 수단(63)은 벨크로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될 수도 있고, 또는 문 모서리(43)에 일정한 크기로 돌출 형상이 있고 문 고정 부재(60)의 상응하는 위치에 문 부착 수단(63)으로서 홈이 형성되어 이러한 돌출 형상과 홈이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조립식 정리 선반 10 결합 부재
11 제1 끼움홈부 12 끼움홈
13 내벽 14 돌출편
15 걸림 돌기
21 제2 끼움홈부 22 끼움홈
23 내벽 24 측벽
25 걸림 돌기 26 정면
30 격벽 부재 31 격벽재
32 프레임 33 모서리
40 여닫이문 부재 41 평판재
42 문 프레임 43 모서리
44 돌출촉
50 암톨쩌귀 부재 51 삽입체
52 삽입공
60 문 고정 부재 61 삽입체
62 고정체 63 문 부착 수단

Claims (4)

  1. 축을 중심으로 등분되는 각도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끼움홈들(12)이 형성된 제1 끼움홈부(11)와, 상기 축과 직교하는 면을 상기 축을 중심으로 등분하는 각도로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끼움홈들(22)이 형성되며 상기 축과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제1 끼움홈부(11)의 끼움홈(12)의 일측을 종단하도록 상기 제1 끼움홈부(11)와 합체되는 제2 끼움홈부(21)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10);
    적어도 네 개의 모서리(33)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 부재(10)의 끼움홈(12, 22)에 상기 모서리(33)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수납 공간을 위한 상하좌우의 벽체를 구현할 수 있는 격벽 부재(30);
    문 프레임(42)의 둘레에 적어도 네 개의 문 모서리(43)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문 프레임(42)의 한 변의 양 모서리에서 돌출촉(44)이 돌출된 여닫이문 부재(40); 및
    상기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체(51)에 상기 돌출촉(44)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공(52)을 가지는 암톨쩌귀 부재(50)를 포함하는 조립식 정리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홈부(11)는 상기 끼움홈들(12)을 정의하는 내벽(13)을 가지는 돌출편들(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리 선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체(61)에 상기 여닫이문 부재(40)의 문 모서리(43)와 물리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부착 수단(63)을 결합시킨 문 고정 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리 선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 부재(40)는
    상기 문 프레임(42)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채우도록 제공되는 평판체(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판체(41)는 가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직물, 합성수지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소재로서, 상기 평판체(41)의 가장자리가 인장된 상태로 상기 문 프레임(42)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리 선반.
KR2020110000973U 2011-02-01 2011-02-01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KR200467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973U KR200467771Y1 (ko) 2011-02-01 2011-02-01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973U KR200467771Y1 (ko) 2011-02-01 2011-02-01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45U true KR20110001745U (ko) 2011-02-21
KR200467771Y1 KR200467771Y1 (ko) 2013-07-04

Family

ID=4420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973U KR200467771Y1 (ko) 2011-02-01 2011-02-01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70B1 (ko) * 2011-10-28 2013-12-10 주식회사엔젤테크 결합구를 이용한 평판형 진열대
KR20160088742A (ko) * 2015-01-16 2016-07-26 주식회사 펀잇쳐스 조립식 가구 세트
US20220257008A1 (en) * 2021-02-12 2022-08-18 Frank Wei Configurable Storage and Display Fr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55B1 (ko) * 2017-07-10 2019-10-15 이승환 조립식 진열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807U (ja) * 1983-08-30 1985-03-22 バイオシステム株式会社 デイスプレイボツク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70B1 (ko) * 2011-10-28 2013-12-10 주식회사엔젤테크 결합구를 이용한 평판형 진열대
KR20160088742A (ko) * 2015-01-16 2016-07-26 주식회사 펀잇쳐스 조립식 가구 세트
US20220257008A1 (en) * 2021-02-12 2022-08-18 Frank Wei Configurable Storage and Display Frame
US11452372B2 (en) * 2021-02-12 2022-09-27 Frank Wei Configurable storage and display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771Y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63B2 (en) Modular tool-less furniture
KR200467771Y1 (ko) 결합 부재에 여닫이문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정리 선반
JP5485331B2 (ja) 組み立て枠の連接部材構造
US4171150A (en) Mountable storage furniture
US2007028497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101155632B1 (ko) 조립식 수납박스
US20050200250A1 (en) Modular furniture
KR101229705B1 (ko) 조립식 가구
EP0049289A1 (en) Assemblable structures
KR101758110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210057407A (ko) 다양한 형태로 조립가능한 조립식 가구
WO2008102958A1 (en) Rack module and furniture having a rack module
KR200463231Y1 (ko) 결합 부재 및 격벽 부재와 이들로써 조립한 조립식 정리 선반
KR20120091674A (ko) 경량 입체 액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7152039A5 (ko)
CN208262686U (zh) 一种插销基座
KR102619584B1 (ko) 캐비넷 장치
KR101006951B1 (ko) 현장조립식 테이블
JP3062662U (ja) 収納家具
CN216866448U (zh) 铝合金门板结构
JP3225822U (ja) 組立式ケース
KR101339670B1 (ko) 결합구를 이용한 평판형 진열대
TWI698378B (zh) 組合式置物籃結構(一)
KR20230083426A (ko) 다양한 용도로 변형 가능한 조립식 서랍장
KR20140000597U (ko) 조립식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