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483U - 지압용 반지 - Google Patents

지압용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483U
KR20110001483U KR2020090010232U KR20090010232U KR20110001483U KR 20110001483 U KR20110001483 U KR 20110001483U KR 2020090010232 U KR2020090010232 U KR 2020090010232U KR 20090010232 U KR20090010232 U KR 20090010232U KR 20110001483 U KR20110001483 U KR 201100014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acupressure
bolt
finger
typ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기
Original Assignee
송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기 filed Critical 송영기
Priority to KR2020090010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483U/ko
Publication of KR20110001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44C27/003Metallic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용 반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방부에 1-3개의 볼트 결합공을 천공하고, 상기 볼트 결합공들에는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의 머리부에는 보석과 같은 장식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반지의 착용자가 각자의 손가락별 지압에 따른 반응 결과로 얻어지는 통증이나 인체의 장애 정도 경감 등을 감안하여 임의로 지압력을 조절하며 착용할 수 있으므로 반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로 줄여주면서도 최대한의 지압효과를 줄 수 있고, 반지 자체가 지압 등과 같은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으로 널리 착용하는 장신용 반지와 같은 심미적 장신구로서도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무관하게 지압용 반지의 몸체 내경을 변화시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지압, 반지, 반응점(경혈), 몸체,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 장식구

Description

지압용 반지{A cupressure ring}
본 고안은 지압용 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굵기에 무관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되는 형태로 제조되는 반지 몸체의 상방부에 각각의 손가락에 분포되어 있는 반응점(경혈)들에 대한 지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1개 내지 3개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를 설치하되, 각각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의 머리부에는 보석 등을 설치하여 반지의 착용자별 반응 결과로 얻어지는 통증이나 인체의 장애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압 등과 같은 기능성 반지이면서도 일반적인 장신용 반지와 같이 심미적 장신구로서의 착용도 가능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에서 반응점(경혈(經穴))은 인체 내에 기(氣)가 순환하는 길을 말하며, 이러한 경혈 내에서 기(氣)가 원만하게 흐르면 건강하지만, 장부(臟腑)에 이상이 발생하면, 기(氣)의 흐름이 정체(停滯)되는데, 이때 경혈을 자극해 주어 기(氣)가 넘치고 부족한 것을 조절하여, 그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서 몸의 이상이나 병을 치료하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몸이 피로하거나 건강에 이상이 있을 때, 인체의 경혈을 자극해서 피로를 풀어주기 위해서, 수지침이나 각종 마사지 도구 등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손가락에는 많은 경혈점이 있어서, 종래에도 반지의 내면에 홈을 파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영구자석 등을 돌기 형태로 삽입 설치하거거나, 반지 자체에 내면에 돌기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이들 돌기들이 각각의 손가락에 분포되어 있는 반응점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일부 반지에서는 구멍을 내어 압지봉을 삽입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반지를 이용한 손가락의 반응점 지압 기술은 사람마다 심미적 만족과 일정한 반응점(경혈)의 지압 자극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반지 내부에 홈을 파서 영구자석 등을 삽입하거나, 돌기를 일체로 돌출 형성 또는 반지를 관통하도록 구멍을 내어 압지봉을 설치한 구성을 갖는 종래 지압 반지들의 경우, 반지를 착용하는 사람들의 서로 다른 길이 및 굵기를 갖는 손가락들에 대한 장단이나 후박(厚薄)에 일일이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외관상의 모양 역시 미려하지 못하여 일반 장신용 반지와 같은 심미적 만족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압용 반지의 몸체 상방부에 1-3개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를 설치하여 반지의 착용자가 각자의 손가락별 지압에 따른 반응 결과로 얻어지는 통증이나 인체의 장애 정도 경감 등을 감안하여 임의로 지압력을 조절하며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로 줄여주면서 최대한의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압용 반지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의 머리부에 보석 등을 설치하여 반지 자체가 지압 등과 같은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으로 널리 착용하는 장신용 반지와 같은 심미적 장신구로서도 착용할 수 있는 지압용 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는, 링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방부에 볼트 결합공을 천공하고, 상기 볼트 결합공에는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는 1개 이상 3개 이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의 머리부에는 보석과 같은 장식구를 더 설 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의 저부 일부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여 몸체 자체의 내경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에 의하면, 지압용 반지의 몸체 상방부에 1-3개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반지의 착용자가 각자의 손가락별 지압에 따른 반응 결과로 얻어지는 통증이나 인체의 장애 정도 경감 등을 감안하여 임의로 지압력을 조절하며 착용할 수 있으므로 반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로 줄여주면서도 최대한의 지압효과를 줄 수 있고, 또 각각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의 머리부에 보석 등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반지 자체가 지압 등과 같은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으로 널리 착용하는 장신용 반지와 같은 심미적 장신구로서도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지압용 반지의 몸체 저부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무관하게 지압용 반지의 몸체 내경을 변화시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지압용 반지를 손가락에 착용할 때 그 내경이 변화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는, 링 형상을 갖는 몸체(1)의 상방부에 볼트 결합공(12)을 천공하고, 상기 볼트 결합공(12)에는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는 1개 이상 3개 이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의 머리부에는 보석과 같은 장식구(21)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1)의 저부 일부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여 몸체(1) 자체의 내경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11)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링 형상을 갖는 지압용 반지의 몸체(1) 상방부에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하여 반지의 작용자가 임의 로 지압력을 조절하며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즉, 링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지압용 반지의 몸체(1) 상방부에 도 1과 도 4 및 도 5와 같이 1-3개의 볼트 결합공(12)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하고, 이들 볼트 결합공(12)에 볼트 형태로 설형한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지압용 반지의 몸체(1) 및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경도 등이 강하도록 100% 순은으로 성형하지 않고 순은(Ag) 88-92%에 구리(Gu) 8-12%를 혼합하여 성형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 자체는 일반 반지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할 수도 있고, 또 저부에 개구부(11)를 형성시켜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1)의 내경을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여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각각의 손가락 굵기를 감안하여 여러 개의 반지를 준비해야만 특정 부의에 이상이 있을 때 해당 증상에 맞는 손가락에 반지를 착용하고 반응점에 대한 지압을 실시할 수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하나의 반지를 이용하여서도 각각의 손가락 굵기에 무관하게 착용하고 반응점에 대한 지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몸체(1)의 저부에 개구부(11)를 형성시켜 주는 후자의 경우가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몸체(1)의 상방부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에 체결되는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는 지압용 반지를 손가락에 착용하기 전에 일부 풀어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의 단부가 손가락 피부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한 다음, 몸체(1)의 내경을 착용하고자 하는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여 조절한 상태에서 착용을 실시하고, 이 어서 자신의 인체 증상, 장애 정도 및 통증 등을 감안하여 도 3과 같이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적절히 조여주어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의 단부가 반지를 착용한 손가락의 반응점(즉, 경혈)을 원하는 압력으로 가압하며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몸체(1)의 상방부에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는 설치할 때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최상방부에 1개만 설치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최상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2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5와 같이 최상단 중앙과 중앙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기점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2개를 설치 즉, 몸체(1)의 상방부에 3개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를 착용하고자 하는 손가락 및 인체의 증상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면 된다.
이때, 사람의 손가락에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를 착용하고 지압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인체의 각 부위별 증상에 따라 반지를 착용하는 손가락이 서로 다르게 됨은 물론 같은 손가락에 있어서도 증상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점을 지압해 주어야만 원하는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한의학계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엄지"에 반지를 착용하고 귀곡혈을 지압할 경우 기분저하 및 권태감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고, 머리가 무거울 때에는 중상에, 알레르기성 비염 등을 개선하고자 할 때에는 소상에 반지를 끼고 지압해주면 좋으며, 또한 목에 염증이 있을 경우에는 손톱뿌리를 지압하고, 간질 등이 있는 경우에는 양 손톱뿌리(상백)를 지압해 주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검지"의 경우 상양을 지압하게 되면 어깨 결림을 치료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고, 등의 통증/십왕 - 구토감에 효과가 있으며, "중지"의 경우 중충 - 불면증 및 졸음방지효과가 있고, "약지"의 경우 관충 - 귀울림, 기침, 천식의식불명, 두통 등에 좋으며, "소지"의 경우 소충 - 고혈압, 동계, 중풍에 의한 졸도/소택 - 동계, 숨참, 심장병, 백내장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지압용 반지를 착용하고 자신의 인체에서 원하는 부위 및 증상에 대한 지압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지압치료 목적에 따라 몸체(1)의 상방부에 1-3개의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가 설치되어 있는 지압용 반지를 원하는 손가락에 착용한 후 각자의 손가락별 지압에 따른 반응 결과로 얻어지는 통증이나 인체의 장애 정도 등을 감안하여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들을 적절히 조여 원하는 지압력을 해당 손가락에 분포된 반응점(경혈)에 가해주면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반응점(경혈)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종래 지압 반지에서의 돌기들과 달리, 착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체결력 변화를 통한 길이 조절을 통해 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몸체(1)의 상방부에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지압용 반지를 특정 손가락에 착용하거나 그로부터 뺄 때에는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를 풀어 그의 내단부가 사람의 손가락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착용 및 뺄 수 있어 반지를 착용하거나 빼는 동작에 따른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반지의 착용 및 손가락으로부터 뺄 때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로 인한 상처 등을 입을 우려가 전혀 없게 됨음 물론 지압력 자체를 증상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지압효과 를 최대한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 자체를 일반 볼트 형태로 설치할 경우 지압용 반지 자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2)의 머리부에 인조 또는 천연보석 등과 같은 장식구(21)를 더 설치하였다.
따라서, 지압용 반지 자체가 지압 등과 같은 본래의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으로 널리 착용하는 장신용 반지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되어 심미적인 장신구의 기능을 갖게 되어 누구라도 쉽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부담없이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지압용 반지를 손가락에 착용할 때 그 내경이 변화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반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11 : 개구부
12 : 볼트 결합공
2 :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
21 : 장식구

Claims (4)

  1. 링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방부에 볼트 결합공을 천공하고, 상기 볼트 결합공에는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반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는 1개 이상 3개 이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반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트형 지압력 조절구의 머리부에는 장식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반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부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여 몸체 자체의 내경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반지.
KR2020090010232U 2009-08-05 2009-08-05 지압용 반지 KR201100014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2U KR20110001483U (ko) 2009-08-05 2009-08-05 지압용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2U KR20110001483U (ko) 2009-08-05 2009-08-05 지압용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83U true KR20110001483U (ko) 2011-02-11

Family

ID=4420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32U KR20110001483U (ko) 2009-08-05 2009-08-05 지압용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48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91Y1 (ko) * 2011-07-27 2013-03-15 홍성복 손가락 마디가 굵은 사용자를 위한 고정형 반지 세트
KR200476905Y1 (ko) * 2013-03-11 2015-04-15 황두한 장식구 부착용 반지 몸체 구조
CN108542058A (zh) * 2018-07-10 2018-09-18 法斗时尚(深圳)投资有限责任公司 一种孔径可调节戒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91Y1 (ko) * 2011-07-27 2013-03-15 홍성복 손가락 마디가 굵은 사용자를 위한 고정형 반지 세트
KR200476905Y1 (ko) * 2013-03-11 2015-04-15 황두한 장식구 부착용 반지 몸체 구조
CN108542058A (zh) * 2018-07-10 2018-09-18 法斗时尚(深圳)投资有限责任公司 一种孔径可调节戒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3335A1 (en) Acupressure device
KR100973239B1 (ko) 경혈 자극용 귀걸이
KR20110001483U (ko) 지압용 반지
EP1691754B1 (en) Therapeutic facial mask
CN102716018A (zh) 用于刺激生物生化反应以治疗器官和组织的方法、用于实施所述方法的板以及板发射体
KR102022634B1 (ko) 활용성이 개선된 지압 귀걸이
KR20110090370A (ko) 금연 및 다이어트를 위한 손목 경혈 자극 자석 팔찌
KR200401869Y1 (ko) 경락 경혈 지압구
CN101257881B (zh) 用于针灸反射疗法的装置
US20080306508A1 (en) Magnetic therapeutic paired accessories
KR200395356Y1 (ko) 다이어트용 지압반지
WO2001041697A1 (en) Therapeutic ring
KR102567612B1 (ko) 경혈가압밴드
KR20120003485U (ko) 손가락 지압 마사지 기기
KR20110001409U (ko) 성기능 강화용 링
KR200341583Y1 (ko) 자석을 내장한 귀걸이
KR102633130B1 (ko) 이동식 적외선램프와 온열밴드를 구비한 뜸과 교정을 위한 전신온열 장치
KR19990024129A (ko) 밴드 부착식 지압구조
KR20100010472U (ko) 귀부분 경혈 자극용 귀걸이
WO2005055916A2 (en) Acupressure device
KR101126830B1 (ko) 지압용 신발 깔창
KR200175953Y1 (ko) 정력 건강팬티
AU2005100922A4 (en) Chi Comb
KR200333542Y1 (ko) 침봉 및 지압 돌기구를 갖는 지압봉
KR200271022Y1 (ko) 수족착용수단에 탈부착 가능한 경혈지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