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266U - Door knob of furniture - Google Patents

Door knob of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266U
KR20110001266U KR2020090009956U KR20090009956U KR20110001266U KR 20110001266 U KR20110001266 U KR 20110001266U KR 2020090009956 U KR2020090009956 U KR 2020090009956U KR 20090009956 U KR20090009956 U KR 20090009956U KR 20110001266 U KR20110001266 U KR 201100012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handle
ornaments
pres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9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오
Original Assignee
김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오 filed Critical 김영오
Priority to KR2020090009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266U/en
Publication of KR20110001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6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용 손잡이에 각종 장신구들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장신구에 의해 가구의 문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furniture,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various kinds of ornaments on the furniture handle and aim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door of the furniture by the ornament.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각종 가구의 문에 부착되어 문을 여닫는 데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손잡이의 몸체부(10)에 장신구(30)를 부착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rniture handle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s of the various furniture, the circular through-hole 12 for attaching the ornaments 30 to the body portion 10 of the furniture handle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본 고안에 의하면, 가구용 손잡이에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신구에 의해 가구의 문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kinds of ornaments can be easily attached to furniture handles, the decorative beauty of the furnitur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ornaments can prevent scratches on the doors of the furniture.

가구, 손잡이, 장신구, 관통구멍 Furniture, handles, ornaments, through holes

Description

가구용 손잡이{DOOR KNOB OF FURNITURE}Furniture Handles {DOOR KNOB OF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 사무용 등 각종 가구의 문에 구비되어 여러가지 장신구들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handl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 variety of furniture provided in the door of various furniture, such as home, office.

최근 가정용 가구는 단순히 옷이나 침구등을 수납하는 기능외에 장식적인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롱 등과 같은 가정용 가구의 손잡이에 매듭 등을 걸어 가구를 장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장신구는 단조로운 가구의 아름다움을 더해 주어 가구를 장식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Recently, home furnishings are emphasizing decorative functions in addition to simply storing clothes or bedding. Accordingly, the furniture may be decorated by making a knot or the like on a handle of a household furniture such as a cabinet. These ornaments add to the beauty of the monotonous furniture and serve to decorate the furniture.

최근에는 고급스런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가구의 손잡이에 스톤, 유리, 진주, 각종 보석 등으로 제작된 장신구를 부착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ornaments made of stone, glass, pearls, jewelry, etc. are attached to the handles of furniture to create a luxurious image.

도 1은 이러한 장신구를 가구의 손잡이에 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state in which such ornaments are fastened to the handle of the furniture.

일반적으로 가구용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가 가구(20)의 문에 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된다.In general, the furniture handle, as shown in Figure 1, the body portion 10 is fastened to the door of the furniture 20 by a fastening mechanism.

가구용 손잡이는 통상 중간 부분이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5)에 장신구(30)를 걸어 가구를 장식하게 된다.The handle for furniture is usually recessed in the middle, and the ornaments 30 are hung on the recess 15 to decorate the furnitur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는 각종 장신구들을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 does not have a separate structure for attaching various ornaments.

따라서,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는 끈 형태로 되어 있는 장신구를 손잡이 몸체부(10)의 오목부(15)에 걸어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양한 구조의 장신구들을 부착하기가 어렵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 has a problem that can be used to hang ornaments in the form of a string to the recessed portion 15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 That is, it is difficult to attach ornaments of various structures.

또한,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에 금속재질로 된 장신구를 걸어 사용할 경우, 가구(20)와 장신구(30) 사이의 거리(d)가 가깝기 때문에 문을 여닫을 경우 가구의 표면에 흡집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In addition, when the metal ornaments are used on the furniture handles of the related art, the distance d between the furniture 20 and the ornaments 30 is close, so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he absorption on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또한, 고가의 보석 장신구들을 단순히 손잡이 부분에 걸어 놓을 경우, 고가의 보석 장신구가 소실 및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xpensive jewelry ornaments can be lost and damaged when simply hanging expensive jewelry ornaments on the handle portion.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구용 손잡이에 각종 장신구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부분에 부착된 장신구에 의해 가구의 장식미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forming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 variety of ornaments on the handle for furniture, to improve the decoration of the furniture by the ornament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구의 손잡이 부분에 다양한 구조의 장신구들을 손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attach ornaments of various structures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furnitur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구의 문을 여닫을 때에 장신구에 의해 가구의 표면에 흡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bsorption on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by the ornamen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furnitur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가의 보석 장신구가 손잡이 부분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보석 장신구의 소실을 방지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expensive jewelry ornaments from being firmly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jewelry ornament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구용 손잡이에 의하면, 각종 가구의 문에 부착되어 문을 여닫는 데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손잡이의 몸체부에 장신구를 부착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furnitur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furniture handle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arious furniture, the circular through hole for attaching ornaments to the body portion of the furniture hand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또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환상의 돌출부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nnular projection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관통구멍은,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rotrus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옆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또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are or semi-circular whe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본 고안은 각종 가구의 문에 부착되어 문을 여는 데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손잡이의 몸체부에 끈이 달린 장신구를 걸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for furniture used to open the door is attached to the door of the various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for hanging the ornaments with the strap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furniture handle.

본 고안에 의하면, 가구용 손잡이에 여러가지 형태의 장신구들을 손쉽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rnaments of various types can be easily attached to furniture handles,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decoration of the furniture.

또한, 가구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할 수 있는 장신구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가구 장식기능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ornament that can be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furniture can be variou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furniture decoration function.

또한, 가구의 문과 장신구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문을 여닫을 때 장신구에 의해 가구의 표면에 흡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and the ornaments of the furniture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by the ornamen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furniture.

또한, 고가의 보석 장신구들을 손잡이 부분에 견고히 부착할 수 있으므로 보석 장신구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xpensive jewelry ornaments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jewelry jewelry is los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구용 손잡이 몸체부(10)의 일단이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20)에 몸체부(10)에 부착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one end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 for furniture is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10 to the furniture 20 by a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부에 환상의 돌출부(11)를 형성하고, 이 환상의 돌출부(11) 하부에 관통구멍(12)을 형성한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ular projection 11 is formed in a part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nnular projection 11.

상기 환상의 돌출부(11)는 손잡이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가구(20)로부터 가급적 먼 거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nular protrusion 1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body 10, it is preferable to form as far as possible from the furniture (20).

이렇게 돌출부(11)를 가구(2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면, 장신구(30)와 가구(10)의 문까지의 거리(D)가 증가되어, 문을 여닫을 때에 장신구(30)에 의해 가구(20)가 손상되는 현상을 줄일 수가 있다.When the protrusion 11 is form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furniture 20, the distance D between the ornament 30 and the door of the furniture 10 is increased, and the furniture 30 is opened by the ornament 30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phenomenon that 20 is damaged can be reduced.

또한, 도 2에는 장신구(30)가 끈에 의해 매달려 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끈이 아닌 고리 형태의 장신구도 상기 관통구멍(1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ornament 30 is shown in the form of hanging by a string in FIG. 2, a ring-shaped ornament, not a string, may be easi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12.

또한, 보석류와 같은 고가 장신구의 경우에는, 가구의 제작시에 손잡이 관통구멍(12)에 장신구(30)를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장신구(30)를 손잡이 몸체부(10)에 고정시켜 제작하게 되면, 고가의 보석 장신구가 소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pensive jewelry such as jewelry, the jewelry 3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handle through-hole 12 during fabrication of furniture. When the jewelry 30 is fixed to the handle body 10 to be manufactured, expensive jewelry jewelr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손잡이의 몸체부(10)의 일면을 원판상으로 형성하고, 이 원판상 몸체부(10)의 하부에 돌출부(13)를 형성한 다음, 이 돌출부(13)에 관통구멍(12)을 형성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handle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a protrusion 1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 shaped body portion 10, and then the protrusion 13 is formed.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in this.

상기 돌출부(13)는 옆에서 보았을 때 그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protrusion 13 is formed in a square or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달리 몸체부(10)에 의해 장신구가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jewelry is covered by the body portion 10.

따라서, 끈이 없는 장신구를 부착하기에 편리하고, 장신구가 바로 노출이 되므로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attach jewelry without a string, and since the ornament is directly exposed, the decorative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Other detail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4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손잡이부에 좁은 홈(60)을 형성하여 이 좁은 홈(60)에 장신구를 걸도록 한 것이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arrow groove 60 in the handle portion without forming a separate through hole to hang ornaments on the narrow groove 60. It is to be.

도 4에는 몸체가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를 결합함으로써 홈(60)이 형성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몸체 홈(60)을 구비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body is formed of an upper body 40 and a lower body 50, and a groove 60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body 40 and the lower body 50, but the body groove is shown. It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60.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에 끈으로 된 장신구를 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30)의 끈이 유동하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문을 여닫을 때에 장신구가 많이 흔들리게 된다. In the case of hanging ornaments made of straps on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s, as shown in FIG. 1, since the straps of the ornaments 30 are in a flowing state, the ornaments are shaken a lot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따라서, 문을 여닫을 시에 장신구에 의해 가구의 문 표면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Therefore,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door surface of the furniture is damaged by the ornamen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그러나, 본 고안의 제3실시예와 같이, 좁은 홈(60)에 장신구를 걸게 되면 문을 여닫을 시에 장신구(30)가 흔들리는 범위를 제한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장신구(30)에 의해 가구의 표면에 흡집이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However,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nament is hung in the narrow groove 60, the range of the ornament 30 is shake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that absorp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by the jewelry 30.

또한, 상기 홈(60)이 손잡이의 바깥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장신구(30)와 가구(20)의 문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게 되므로, 문을 여닫을 시에 가구 표면의 손상 염려가 적다.In addition, the groove 60 is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handl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rnament 30 and the door of the furniture 20 is also far away, there is less fear of damage to the furniture surfac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본 고안은 가구의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에 다양한 구조 및 재질, 특히 보석류와 같은 고가의 장신구를 손잡이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ttach expensive ornaments, such as jewelry and various structures and materials to the handle portion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decoration of the furniture.

이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has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가구용 손잡이에 다양한 구조의 장신구들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가구 제조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f ornaments of various structures to furniture handles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furniture manufacturing.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urniture handle.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로서, (a)는 분해 조립도(b)는 그 단면도. Figure 4 is a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ploded view (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부 11: 돌출부10: body portion 11: protrusion

12: 관통구멍 15 : 오목부12: through hole 15: recessed portion

20: 가구 문 30: 장신구 20: furniture door 30: ornaments

40: 상부몸체 50 : 하부몸체 40: upper body 50: lower body

60: 홈60: home

Claims (7)

각종 가구의 문에 부착되어 문을 여닫는 데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In the furniture handles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s of various furniture, 상기 가구용 손잡이의 몸체부(10)에 장신구(30)를 부착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through-hole 12 for attaching the ornament 30 to the body portion 10 of the furniture hand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통구멍(12)은, 상기 몸체부(10)에 구비된 환상의 돌출부(11)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The through hole 12 is a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nnular protrusion (11)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통구멍(12)은, 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The through hole 12 is a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rotrusion 12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돌출부(12)의 단면은 옆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12 is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are when viewed from the sid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돌출부(12)의 단면은 옆에서 보았을 때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12 is a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micircular when viewed from the side. 각종 가구의 문에 부착되어 문을 여닫는 데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In the furniture handles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s of various furniture,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구용 손잡이의 몸체에 끈이 달린 장신구(30)를 걸기 위한 홈(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60) for hanging ornaments (30) with a string formed on the body of the furniture handle integrally form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몸체는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The body is a furnitur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40 and the lower body 50 is assembled.
KR2020090009956U 2009-07-29 2009-07-29 Door knob of furniture KR2011000126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56U KR20110001266U (en) 2009-07-29 2009-07-29 Door knob of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56U KR20110001266U (en) 2009-07-29 2009-07-29 Door knob of furni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66U true KR20110001266U (en) 2011-02-09

Family

ID=4420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956U KR20110001266U (en) 2009-07-29 2009-07-29 Door knob of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266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00B1 (en) * 2013-12-30 2015-05-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Running cutter for sheet roll form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00B1 (en) * 2013-12-30 2015-05-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Running cutter for sheet roll form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2696S1 (en) Earring
USD515450S1 (en) Jewelry bracelet
US8871324B2 (en) Ventilated shelf cover
KR20110001266U (en) Door knob of furniture
CN209769250U (en) Integrative hasp formula jewelry accessory
WO2006059303A3 (en) A cooking appliance
WO2007061261A1 (en) Button cover
CN203462879U (en) Furniture protecting hinge
USD488048S1 (en) Lock box
KR200387934Y1 (en) structure for the ring type doorknob for personal box
KR200385158Y1 (en) Easy opening compact
KR200392546Y1 (en) door for kitchen furniture
USD462455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a door window
KR200254695Y1 (en) An accessory for a curtain rail rod
KR200333804Y1 (en) Multifunction necklace
CN208602202U (en) A kind of novel decorative screen window
CN209875663U (en) Structure for hiding mounting screw
KR20060128181A (en) Door lock
KR200230028Y1 (en) Door of furniture
KR101287240B1 (en) The locking device integrated ring earring
JP3215936U (en) Decorative hardware
KR200386159Y1 (en) Pendent with magnet
CN207700854U (en) A kind of simple combination handle
USD502835S1 (en) Prayer pillow with matching carrying case
KR200188098Y1 (en) A structure of door without difficult adhesion of trinketry for burea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