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057U - 이중 밀봉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밀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057U
KR20110001057U KR2020090009683U KR20090009683U KR20110001057U KR 20110001057 U KR20110001057 U KR 20110001057U KR 2020090009683 U KR2020090009683 U KR 2020090009683U KR 20090009683 U KR20090009683 U KR 20090009683U KR 20110001057 U KR20110001057 U KR 201100010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inner lid
opening
li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김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진 filed Critical 김세진
Priority to KR2020090009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057U/ko
Publication of KR20110001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0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밀봉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구비한 용기의 내부에 속 뚜껑을 형성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밀봉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밀봉 용기 {Double Seal Vessel}
본 고안은 이중 밀봉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겉뚜껑으로 봉인된 용기의 내부에 속 뚜껑을 형성하여 이중으로 밀봉을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밀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캔(can)은 금속 재질로 이루지며,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의 상부에 제거 가능한 작은 뚜껑과 상기 뚜껑에 부설된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음료를 마실 때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뚜껑을 제거하고 바로 저장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캔은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사용자가 개구부에 입을 대야 하는데, 상기 캔의 개구부의 주변에 사용자의 입이 닿는 부분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나, 세균 및 오염물질이 묻을 수 있기 때문에 위생상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캔의 경우에는 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작게 형성 하고, 이를 봉하고 있는 뚜껑을 제거하고 음료를 마시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뚜껑은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뚜껑을 제거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캔에 부설된 뚜껑 손잡이는 매우 작기 때문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뚜껑을 제거하는 도중 다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뚜껑을 제거하더라도, 금속으로 이루어진 뚜껑을 제거한 개구부는 그 자체로 날카로운 절단면을 형성하게 되며, 이 절단면은 사용자의 입술이 직접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안전상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캔의 뚜껑을 개봉하고, 내용물을 별도의 컵에 따라 마시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 저장 용기 중에서 뚜껑의 내부에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에 대응되는 나선을 외면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하여 뚜껑을 돌려서 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병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ET병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뚜껑을 개봉할 때 날카로운 절단면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사용상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PET병은 사용자의 입이 닿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생상 안전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PET병은 그 소재 자체가 휘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입구를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크게 만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ET병은 그 입구가 작기 때문에, 음료를 마실 경우 많은 량을 한번에 마시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PET병은 병의 입구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자의 입에서 느껴지는 촉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개구부의 입구를 봉인하는 겉뚜껑을 구비한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속 뚜껑을 형성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이중 밀봉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중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개구부를 봉인하며, 상기 용기부의 상부의 외면을 감싸는 겉뚜껑부, 상기 용기부의 말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구간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내부를 봉인하는 속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속뚜껑부는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겉뚜껑부와 속뚜껑부 사이에 배치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위생용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외면에 걸림부 및 상기 겉뚜껑부의 내면에 2차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와 상기 2차 걸림부는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상기 겉뚜껑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겉뚜껑부의 높이는 1cm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부의 외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용기의 개구부를 뚜껑으로 감싸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이 닿는 부분을 위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뚜껑 내부에 별도의 속뚜껑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시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속뚜껑을 용기의 개구부면에서 소정구간 아래에 부설함으로써, 뚜껑과 속뚜껑 사이의 공간에 별도의 위생용품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속뚜껑에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속뚜껑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개구부의 테두리에 어떠한 잔여물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음료를 마실때 사용자의 입에서 느껴지는 촉감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며, 도 2 및 도 3은 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이중 밀봉 용기는 용기부(110), 겉뚜껑부(120), 속뚜껑부(130)를 포함한다.
용기부(110)는 음료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상기 용기부(11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부(110)는 필요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컵(cup)의 모양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부(110)는 통상적으로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PET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유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후술할 겉뚜껑부(120)로 봉인되는데, 이때, 상기 겉뚜껑부(120)에 의하여 상기 용기부(110)가 봉인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부에 별도의 걸림부(미도시)가 부설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는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겉뚜껑부(120)의 내부측면에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제2걸림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기부(110)의 걸림부와 상기 겉뚜껑부(120)의 제2걸림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겉뚜껑부(120)가 상기 용기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부(110)에 형성된 걸림부는 예를 들어, 그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용기부(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봉인된 상기 겉뚜껑부(120)를 돌려서 상기 용기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선 모양의 굴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겉뚜껑부(120)는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부를 봉인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110)의 상면을 감싸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겉뚜껑부(120)는 도 4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부를 덮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그 저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겉뚜껑부(120)의 높이는 본 고안의 이중 밀봉 용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입이 닿는 위치, 즉,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용기부(110)에 입을 대는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이중 밀봉 용기를 사용할 때,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부에 닿는 사용자의 입술 위치가 상기 용기부(110)의 개구부의 말단으로부터 2센티미터 정도의 범위로 판단이 되면, 상기 겉뚜껑부(120)가 해당 위치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겉뚜껑부(120)의 높이를 2센티미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겉뚜껑부(120)는 상기 용기부(110)에 형성된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내부의 측면에 제2걸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용기부(110)의 상면에 상기 겉뚜껑부(12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용기부(110)를 계속 봉인할 수 있다.
속뚜껑부(130)는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속뚜껑부(130) 는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1차적인 봉인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의 말단에서부터 소정구간 이격되어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뚜껑부(130)를 상기 용기부(110)의 말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유는 상기 용기부(110)의 말단은 사용자의 입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속뚜껑을 개봉하고 난 다음의 잔여물, 예를 들어, 상기 속뚜껑부(130)를 상기 용기부(110)에 부착하여 밀봉시키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상기 속뚜껑부(130)의 조각에 의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속뚜껑부(130)는 통상적으로 용기를 밀봉할때 사용되는 밀봉재(seal)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속뚜껑부(130)는 예를 들어, 비닐(vinyl) 화합물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합성수지가 코팅된 금속박(foil),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만으로 이루어진 금속박 등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 속뚜껑부(130)는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과 같은 통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속뚜껑부(130)는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통상의 용기 밀봉에 사용되는 접착수단 이용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이중 밀봉 용기는 용기부(210), 겉뚜껑부(220), 속뚜껑부(230) 및 손잡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210), 겉뚜껑부(220) 및 속뚜껑부(23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용기부(110), 겉뚜껑부(120) 및 속뚜껑부(130)와 동일한 소재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 속뚜껑부(2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속뚜껑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210)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속뚜껑부(230)를 제거하기 위하여 속뚜껑부(230)를 잡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속뚜껑부(230)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속뚜껑부(230)의 일측 가장자리에 손잡이부(2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속뚜껑부(230)의 일단에 연결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곡선, 반원형 등 다른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상기 속뚜껑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210)의 내부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40)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용기부(21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속뚜껑부(23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6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는 용기부(310), 겉뚜껑부(320), 속뚜껑부(330) 및 위생용품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310), 겉뚜껑부(320) 및 속뚜껑부(33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용기부(110), 겉뚜껑부(120) 및 속뚜껑부(130)와 동일한 구성 및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생용품부(350)는 상기 용기부(310)의 내부에 내장되며, 오염물질을 닦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위생용품부(350)는 예를 들어, 물수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이중 밀봉 용기에 내장되기 전에 1차적으로 포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생용품부(350)는 상기 겉뚜껑부(320)와 상기 속뚜껑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생용품부(350)는 상기 용기부(310)의 말단에서 소정구간 이격되도록 배치된 속뚜껑부(330)와, 상기 용기부(310)의 개구부를 감싸고 있는 상기 겉뚜껑부(32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상기 겉뚜껑부(320)를 제거하면 상기 위생용품부(350)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상기 속뚜껑부(330)를 제거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부(310) 내에 저장된 내용물은 상기 속뚜껑부(330)를 통하여 봉인되었으므로, 상기 위생용품부(350)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이중 밀봉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봉 용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0: 1 실시예의 용기부 120: 1 실시예의 겉뚜껑부
130: 1 실시예의 속뚜껑부 210: 2 실시예의 용기부
220: 2 실시예의 겉뚜껑부 230: 2 실시예의 속뚜껑부
240: 2 실시예의 손잡이부 310: 3 실시예의 용기부
320: 3 실시예의 겉뚜껑부 330: 3 실시예의 속뚜껑부
350: 3 실시예의 위생용품부

Claims (5)

  1. 이중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개구부를 봉인하며, 상기 용기부의 상부의 외면을 감싸는 겉뚜껑부;
    상기 용기부의 말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구간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내부를 봉인하는 속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중 밀봉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부는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밀봉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겉뚜껑부와 속뚜껑부 사이에 배치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위생용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밀봉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면에 걸림부; 및
    상기 겉뚜껑부의 내면에 2차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와 상기 2차 걸림부는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상기 겉뚜껑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밀봉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겉뚜껑부의 높이는 1cm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부의 외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밀봉 용기.
KR2020090009683U 2009-07-23 2009-07-23 이중 밀봉 용기 KR201100010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683U KR20110001057U (ko) 2009-07-23 2009-07-23 이중 밀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683U KR20110001057U (ko) 2009-07-23 2009-07-23 이중 밀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057U true KR20110001057U (ko) 2011-01-31

Family

ID=4420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683U KR20110001057U (ko) 2009-07-23 2009-07-23 이중 밀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0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512B2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US4651890A (en) Beverage can wipe stored in pouch affixed to can
US8474665B2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CA2715156C (en) Protective cover for beverage cans
EA021976B1 (ru) Защит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JP5308823B2 (ja) 即席食品用の二重容器
US20140110409A1 (en) Can Cover
JP2008189349A (ja) プルトップを備えたプルタブ付容器
JP6120773B2 (ja) 特に飲料用の容器
KR20110001057U (ko) 이중 밀봉 용기
KR200413218Y1 (ko) 컵 용도의 마개를 구비한 포장용 병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326459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101078950B1 (ko) 개선된 마개구조를 갖는 음료용기
GB2455855A (en) A lid for a container
RO201600032U2 (ro) Dispozitiv de băut
KR200426120Y1 (ko) 음료용기용 위생마개
AU2004218203A1 (en) Interior safety capsules
KR101652296B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캡
KR20000074906A (ko) 위생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
JP2008189368A (ja) ストロー兼備容器
WO2014128516A2 (en) Protective cover, especially for the hygienic sealing of containers containing drinks
KR200182130Y1 (ko) 빨대가 구비된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