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021A - 복합 열반사 단열재 - Google Patents

복합 열반사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021A
KR20110001021A KR1020090058400A KR20090058400A KR20110001021A KR 20110001021 A KR20110001021 A KR 20110001021A KR 1020090058400 A KR1020090058400 A KR 1020090058400A KR 20090058400 A KR20090058400 A KR 20090058400A KR 20110001021 A KR20110001021 A KR 2011000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flection
insulating material
layer
surface layer
aluminum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116B1 (ko
Inventor
이무진
Original Assignee
이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진 filed Critical 이무진
Priority to KR102009005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1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91Heat reflecting layer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관계없이 극대화될 수 있고 열반사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운반 또는 시공 등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경량구조로 형성되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연재 또는 난연재의 적용을 통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방습효과가 우수한 복합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는,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과, 상기 제 1 표면층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이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알루미늄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와,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 상에 적층되며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표면층에 면접하는 알루미늄박판들은 비접촉면만 광택처리되고, 나머지 알루미늄박판들은 양면이 광택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리재는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되고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열반사 단열재, 표면층, 다층열반사구조체, 알루미늄박판, 격리재

Description

복합 열반사 단열재{COMPLEX REFLECTIVE HEAT INSULATOR}
본 발명은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열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복사열도 최소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단열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반사 단열재는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마감되는 장식용 석재 또는 철재의 내부에 시공되어 하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높을 때에는 외부의 열기(복사열)가 건축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실내온도유지를 위한 냉,난방을 수행할 때 실내의 냉기 및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열반사 단열재는 건축물의 외벽면에 간단하게 시공될 수 있고 외부 열기의 차단과 내부 냉,온기의 유출을 차단하는 단열효과가 뛰어나 최근 대부분의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100)는 폴리스티렌발포재, 폴리에틸렌 발포재, 폴리프로필렌 발포재, 폴리우레탄 발포재, 고무 발포재 등과 같은 각종 유기물의 발포재 단열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유기섬유계의 부직포형태나 펠트형태의 단열재, 또는 글라스울, 락울, 유리장섬유 등과 같은 무기섬유계의 부직포 또는 펠트형태의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재베이스(110)의 양측면에 열반사를 위한 은박지(120)가 부착되어 제조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100)의 경우에는 단열재베이스(110)의 두께의 한계로 인해 단열성능이 떨어지고 단열재베이스(110)의 양측 표면에 열반사를 위한 은박지(120)가 부착됨에 따라 먼지 등의 오염으로 인해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반, 시공시에 단열재베이스(110)의 양측 표면의 은박지(120)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 외벽공사시 구조벽체의 일면에 열반사 단열재(100)의 일면이 접함에 따라 하절기에는 복사단열효과가 있으나 동절기에는 복사단열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단열재베이스(110)가 암면 또는 글라스울로 형성될 경우에는 암면 또는 글라스울 자체가 흡습율이 높아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100)의 경우에는, 단열재베이스(110)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비교적 무거워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유해가스가 방출됨에 따라 큰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관계없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복합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반사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운반 또는 시공 등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어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복합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구조로 형성되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연재 또는 난연재의 적용을 통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방습효과가 우수한 복합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과, 상기 제 1 표면층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이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알루미늄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와,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 상에 적층되며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과, 상기 제 1 표면층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이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 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알루미늄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와,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 상에 적층되며 발포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불연재가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불연재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구조체와, 상기 다층구조체 내의 불연재와 격리재에 도금되어 열반사효과를 제공하는 알루미늄도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에 의하면, 공기층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 또는 공기층의 개재하에 불연재들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구조체에 의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다중복합적으로 발생될 수 있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에 의하면, 공기층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가 제 1 및 제 2 표면층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다층열반사구조체가 먼지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운반 및 시공 중에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에 의하면, 다층열반사구조체 또는 다층구조체로 인해 그 내부 대부분이 공기층으로 형성됨에 따라 경량화로 인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에 의하면, 표면층, 격리재 또는 다층구조체에 불연재 또는 난연재를 사용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에 의하면, 흡습율이 매우낮은 방습재질이 사용됨에 따라 흡습에 따른 단열성능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는,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구조로 형성되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불연재 또는 난연재의 적용을 통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 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10)과, 제 1 표면층(10)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격리재(2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20)와, 다층열반사구조체(20) 상에 적층되며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표면층(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일측 표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일측 표면을 커버하는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불연보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표면층(10)을 형성하는 불연보드는 유연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드보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표면층(10) 상에는 다층열반사구조체(20)가 적층되는데, 이 다층열반사구조체(20)는 하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높을 때에는 외부의 열기(복사열)가 건축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실내온도유지를 위한 냉,난방을 수행할 때 실내의 냉기 및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다중복합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격리재(2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은 5 mm 내지 15 mm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리재(23)는 100 mm 내지 150 mm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극대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중 제 1 또는 제 2 표면층(10 및 30)에 면접하는 알루미늄박판들(21a, 21d)은 비접촉면만 광택처리(방사율0.01~0.05)되고 나머지 알루미늄박판들(21b 및 21c)은 양면이 광택처리(방사율0.01~0.05)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격리재(23)는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되고 100 mm 내지 150 mm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사이에 공기층(A)은 단열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특히 방음 또는 흡음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한다.
다층열반사구조체(20)는 4층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의 층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층, 5층, 6층, 7층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다층열반사구조체(20) 상에는 제 2 표면층(30)이 적층되는데, 제 2 표면층(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타측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불연보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표면층(30)을 형성하는 불연보드는 유연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드보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 1 표면층(10), 다층열반사구조체(20) 및 제 2 표면층(30)의 적층과 알루 미늄박판들(21a 내지 21d)과 격리재(23)의 적층은 접착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를 사용하면, 공기층(A)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20)에 의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다중복합적으로 발생될 수 있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공기층(A)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20)가 제 1 및 제 2 표면층(10 및 3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다층열반사구조체(20)가 먼지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운반 및 시공 중에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다층열반사구조체(20)에 의해 그 내부 대부분이 공기층(A)으로 형성됨에 따라 경량화로 인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표면층(10 및 30)이 불연재로 형성되고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된 격리재(23)가 사용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흡습율이 매우 낮은 방습재질이 사용됨에 따라 흡습으로 인한 단열성능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는 공기층(A)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20')에 의해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구 조로 형성되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포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10')과, 제 1 표면층(10')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격리재(2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20')와, 다층열반사구조체(20') 상에 적층되며 발포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표면층(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일측 표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일측 표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폴리스티렌발포재, 폴리에틸렌 발포재, 폴리프로필렌 발포재, 폴리우레탄 발포재, 고무 발포재 등과 같은 발포재로 제조된다.
전술한 제 1 표면층(10') 상에는 다층열반사구조체(20')가 적층되는데, 이 다층열반사구조체(20')는 하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높을 때에는 외부의 열기(복사열)가 건축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실내온도유지를 위한 냉,난방을 수행할 때 실내의 냉기 및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다중복합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격리재(2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은 5 mm 내지 15 mm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리재(23')는 100 mm 내지 150 mm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극대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중 제 1 또는 제 2 표면층(10' 및 30')에 면접하는 알루미늄박판들(21a', 21d')은 비접촉면만 광택처리(방사율0.01~0.05)되고 나머지 알루미늄박판들(21b' 및 21c')은 양면이 광택처리(방사율0.01~0.05)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재(23')는 발포재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100 mm 내지 150 mm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 사이에 공기층(A)은 단열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특히 방음 또는 흡음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한다.
다층열반사구조체(20')는 4층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의 층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층, 5층, 6층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다층열반사구조체(20') 상에는 제 2 표면층(30')이 적층되는데, 제 2 표면층(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타측 표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층열반사구조체(20')의 일측 표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폴리스티렌발포재, 폴리에틸렌 발포재, 폴리프로필렌 발포재, 폴리우레탄 발포재, 고무 발포재 등과 같은 발포재로 제조된다.
제 1 표면층(10'), 다층열반사구조체(20') 및 제 2 표면층(30')의 적층과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과 격리재(23')의 적층은 접착 등과 같은 다양한 방 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를 사용하면, 공기층(A)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20')에 의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다중복합적으로 발생될 수 있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공기층(A)의 개재하에 알루미늄박판들(21a' 내지 21d')이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열반사구조체(20')가 제 1 및 제 2 표면층(10' 및 3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다층열반사구조체(20')가 먼지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운반 및 시공 중에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다층열반사구조체(20')에 의해 그 내부 대부분이 공기층(A)으로 형성됨에 따라 경량화로 인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흡습율이 매우 낮은 방습재질이 사용됨에 따라 흡습으로 인한 단열성능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는, 공기층(A)의 개재하에 불연재(11a" 내지 11d")가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구조체(20")에 의해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구조로 형성되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불연재 또는 난연재의 적용을 통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불연재(11a" 내지 11d")가 격리재(1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불연재들(11a" 내지 11d")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는 다층구조체(10")와, 다층구조체(10") 내의 불연재(11a" 내지 11d")와 격리재(13")에 도금되어 열반사효과를 제공하는 알루미늄도금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층구조체(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본체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의 불연재(11a" 내지 11d")가 격리재(1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불연재들(11a" 내지 11d")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한다.
다층구조체(10")의 불연재(11a" 내지 11d")은 각각 유연성 불연보드 또는 하드 불연보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5 mm 내지 15 mm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재(13")는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 제조되며 100 mm 내지 150 mm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연재들(11a" 내지 11d") 사이에 공기층(A)은 단열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특히 방음 또는 흡음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한다.
다층구조체(10")는 4층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불연재(11a" 내지 11d")의 층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층, 5층, 6층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불연재들(11a" 내지 11d")과 격리재(13")의 적층은 접착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다층구조체(10") 내의 불연재(11a" 내지 11d")와 격리재(13")에는 알루미늄도금층(20")이 도금되는데, 이 알루미늄도금층(20")은 전술한 다층구조체(10")로 하여금 열반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열 및 복사열 차단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불연재(11a" 내지 11d") 중 표면을 형성하는 불연재(11a", 11d")의 경우에는 내측면에만 알루미늄도금층(20")이 광택도금처리(방사율0.01~0.05)되고 나머지 불연재(11b" 및 11c")의 경우에는 양면이 모두 광택도금처리(방사율0.01~0.05)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1")를 사용하면, 공기층(A)의 개재하에 불연재(11a" 내지 11d")가 다층으로 이격배열된 다층구조체(10")에 알루미늄도금층(20")이 형성됨에 따라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다중복합적으로 발생될 수 있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열반사를 가능하게 하는 알루미늄도금층(20")이 다층구조체(10")의 표면 이외의 내부에만 형성됨에 따라 알루미늄도금층(20")이 먼지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운반 및 시공 중에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어 단열효과 및 복사열차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다층구조체(10")에 의해 그 내부 대부분이 공기층(A)으로 형성됨에 따라 경량화로 인해 시공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다층구조체(10")가 불연재로 형성되고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 제조된 격리재(13")가 사용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흡습율이 매우 낮은 방습재질이 사용됨에 따라 흡습으로 인한 단열성능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반사단열재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1" :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열반사 단열재
10, 10' : 제 1 표면층
10" : 다층구조체
11a" 내지 11d" : 불연재
13" : 격리재
20, 20' : 다층열반사구조체
20" : 알루미늄도금층
21a 내지 21d, 21a' 내지 21d' : 알루미늄박판
23, 23' : 격리재
30, 30' : 제 2 표면층
100 : 종래기술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

Claims (7)

  1.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
    상기 제 1 표면층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이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알루미늄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 및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 상에 적층되며 불연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의 알루미늄박판들 중 상기 제 1 또는 제 2 표면층에 면접하는 알루미늄박판들은 비접촉면만 광택처리되고, 나머지 알루미늄박판들은 양면이 광택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의 격리재는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되고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4. 발포재로 제조되는 제 1 표면층;
    상기 제 1 표면층 상에 적층되며 다수의 알루미늄박판들이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알루미늄박판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열반사구조체; 및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 상에 적층되며 발포재로 제조되는 제 2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층열반사구조체의 격리재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6. 다수의 불연재가 격리재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불연재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다층구조체; 및
    상기 다층구조체 내의 불연재와 격리재에 도금되어 열반사효과를 제공하는 알루미늄도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체의 격리재는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되고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반사 단열재.
KR1020090058400A 2009-06-29 2009-06-29 복합 열반사 단열재 KR10114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400A KR101141116B1 (ko) 2009-06-29 2009-06-29 복합 열반사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400A KR101141116B1 (ko) 2009-06-29 2009-06-29 복합 열반사 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021A true KR20110001021A (ko) 2011-01-06
KR101141116B1 KR101141116B1 (ko) 2012-05-02

Family

ID=4360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400A KR101141116B1 (ko) 2009-06-29 2009-06-29 복합 열반사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2363A (zh) * 2011-01-19 2011-05-25 湖北贵族真空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单真空复合隔热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198A (zh) * 2015-12-25 2016-05-11 天津武铄科技有限公司 一种热反射复合保温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5574A (ja) 1983-05-19 1984-12-05 株式会社東芝 断熱多層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48196Y1 (ko) 2004-01-07 2004-04-28 조규연 열반사가 가능한 건축용 단열재
KR20050090628A (ko) * 2004-03-09 2005-09-14 이수억 건축용 불연 단열보드
KR100741951B1 (ko) 2006-04-06 2007-07-24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2363A (zh) * 2011-01-19 2011-05-25 湖北贵族真空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单真空复合隔热管
CN102072363B (zh) * 2011-01-19 2013-06-19 湖北贵族真空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单真空复合隔热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116B1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KR101404239B1 (ko) 다층 박막 진공단열재
WO2007082559A1 (en) Insulation material compri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buildings
KR101521474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단열재
KR102093562B1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JPH0436555B2 (ko)
KR20180033675A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WO2007082558A1 (en) Insulation material comprising reflection material for buildings
KR101852731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4393A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열반사형 단열재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US20190344528A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1141116B1 (ko) 복합 열반사 단열재
KR20110103225A (ko) 고기밀성 단열문의 단열패널
KR101485542B1 (ko) 열 방출 기능을 갖는 건축물 벽면 설치용 단열시트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KR20150106013A (ko) 3층 샌드위치 복합패널
KR20170032992A (ko) 축열 전달 방지형 파라펫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090087612A1 (en) Reflective Insulating Barriers In Floor Coverings
KR20180000916U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1184848B1 (ko) 고무발포층을 가지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9060A (ko) 단열성이 향상된 반사형 단열재
US10632708B2 (en) Insulating film
KR101983497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3215222U (ja) 金属屋根用遮熱断熱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