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047A -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047A
KR20110000047A KR1020090057390A KR20090057390A KR20110000047A KR 20110000047 A KR20110000047 A KR 20110000047A KR 1020090057390 A KR1020090057390 A KR 1020090057390A KR 20090057390 A KR20090057390 A KR 20090057390A KR 20110000047 A KR20110000047 A KR 20110000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casing
flange
mounting groove
flui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390B1 (ko
Inventor
송한림
Original Assignee
안산공과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산공과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산공과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3/00Rotary fluid couplings or clutches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D33/06Rotary fluid couplings or clutches of the hydrokinetic type controlled by changing the amount of liquid in the working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종래와는 달리 터어빈은 터어빈과 연결되고 임펠러는 임펠러와 연결되도록 하여, 동력전달용량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 유체커플링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외측에는 냉각핀(101a)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플랜지(101b)가 형성되며, 심부 외측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형성된 플랜지 장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02)의 심부에는 통공(102b)이 형성되는 터어빈(101); 상기 터어빈(101)의 내측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터어빈의 토크가 전달되는 임펠러(104); 단부에 플랜지(105a)가 형성되어 상기 터어빈의 플랜지(101b)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측에는 냉각핀(105b)이 형성되는 케이싱(105);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오일씰(113)이 개재되어 상기 통공(102b)에 일측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고 심부로는 소정깊이의 결합홈(111c)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씰(113)의 타측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 리브(111b)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10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환형 리브(111b)의 타측으로 소정거리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축(111)과, 상기 연결축(1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5)을 관통하여 소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111c)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연장축(112)으로 구성되는 종동축(110); 일측은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02c)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111)의 외 주면에 형성된 스토퍼(111a)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터어빈측 베어링(120);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120)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볼트홀(101c)과 일치하는 볼트홈(130a)이 형성되는 터어빈측 베어링커버(130); 상기 연장축(112)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05)이 상기 종동축(11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121); 및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121)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케이싱(105)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싱(105)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커버(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은 종래의 유체커플링과 달리 요구되는 동력전달 용량에 맞추어 직렬로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유체 커플링, 동력전달, 임펠러, 터어빈, 구동축, 냉각핀, 케이싱, 베어링, 종동축, 베어링 커버

Description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Hydrodynamic Coupling to be able to expand Power Transmission Capacity}
본 발명은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종래와는 달리 터어빈은 터어빈과 연결되고 임펠러는 임펠러와 연결되도록 하여, 동력전달용량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 유체커플링에 관한 발명이다.
유체커플링은 유체를 매개로 하여 입력축의 회전력을 출력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이다. 즉, 유체커플링은 유체를 매매로 하는 동력전달 방식의 특성 때문에 충격과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고 과부하 시 슬립(slip)을 일으켜 원활한 동력전달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다. 유체커플링은 정상운전조건 시 입력축 회전 속도 대비 출력축 회전속도의 제어가능 여부에 따라 고정속도비 유체커플링(표준형)과 변속형 유체커플링으로 나누어진다. 고정속도비 유체커플링(표준형)은 보통 일반적인 유체커플링을 일컫는 것으로, 유체커플링의 입력축 회전속도가 일정할 때 출력축은 부하의 양에 따라 슬립의 양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보통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커플링을 말한다. 즉, 표준형 유체커플링은 유체커플링 내부에 있는 오일이 유체커플링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에 의한 유동력으로 터어빈에서 임펠러로 토크를 전달하는 방식이며, 종동측의 회전속도는 정상상태운전 시 정속운전상태가 된다. 변속형 유체커플링은 유체커플링 내부의 유체의 양을 외부에서 조절하여 출력축 회전속도를 입력축 회전속도와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유체커플링을 말한다. 변속형 유체커플링은 스쿠프 튜브(scoop tube) 또는 이와 연결된 펌프에 의해 터어빈 내부의 오일을 외부로 빼내거나, 오일순환 펌프에 의해 유체커플링의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여 터어빈 내부의 오일량을 조절하며, 이렇게 변화된 오일량에 의해 동력전달 크기가 결정되어 구동축과 피동축 사이의 속도 변화를 능동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유체커플링의 동력전달 용량을 확대하기 위해 터어빈의 회전반경을 크게 하거나, 다수의 유체커플링을 병렬로 연동시켜 사용하여 왔다. 터어빈의 회전반경을 크게 한 유체커플링은 유체커플링의 회전관성과 유체커플링 내부의 오일 원심력이 함께 증가하게 되어 회전속도를 일반적으로 저속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다수의 유체커플링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기어, 벨트와 같은 추가적인 동렬전달 요소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유체커플링 내부에 터어빈이 2개 이상인 유체커플링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어서 문제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할 때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축(1)과 연결되는 제1 터어빈(2)과, 제1 터어빈(2)의 토크를 받아 회전하는 제1 임펠러(3)와, 제1 임펠러(3)와 연결되는 제1종동축(4)과, 상기 제1종동축(4)과 연결되는 제2 터어빈(5)과, 제2 터어빈(5)의 토크를 받아 회전하는 제2 임펠러(6)와, 상기 임펠러(6)의 회전을 받아 부하를 회전시키는 제2 종동축(7)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첫 번째 유체커플링의 터어빈은 두 번째 유체커플링의 임펠러와 연결되는 구조가 되어 동력 전달 용량 증가의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이 요구하는 동력전달 용량에 맞추어 유체커플링을 한 개 또는 다수로 직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체커플링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각각 유체커플링의 임펠러는 임펠러끼리, 유체커플링의 터어빈은 터어빈끼리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유체커플링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측에는 냉각핀(101a)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플랜지(101b)가 형성되며, 심부 외측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형성된 플랜지 장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02)의 심부에는 통공(102b)이 형성되는 터어빈(101); 상기 터어빈(101)의 내측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터어빈의 토크가 전달되는 임펠러(104); 단부에 플랜지(105a)가 형성되어 상기 터어빈의 플랜지(101b)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측에는 냉각핀(105b)이 형성되는 케이싱(105);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오일씰(113)이 개재되어 상기 통공(102b)에 일측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고 심부로는 소정깊이의 결합홈(111c)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씰(113)의 타측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 리브(111b)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10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환형 리브(111b)의 타측으로 소정거리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축(111)과, 상기 연결축(1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5)을 관통하여 소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111c)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연장축(112)으로 구성되는 종동축(110); 일측은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02c)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111a)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터어빈측 베어링(120);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120)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볼트홀(101c)과 일치하는 볼트홈(130a)이 형성되는 터어빈측 베어링커버(130); 상기 연장축(112)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05)이 상기 종동축(11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121); 및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121)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케이싱(105)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싱(105)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커버(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을 제공한다.
상기 유체커플링에는 일측은 모터축이 장착되는 장착홈(1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플랜지(152)가 형성되는 구동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에는 상기 구동축(150)이 장착되어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130)와 고정결합되어 터어빈측 베어링(120)을 고정하게 된다. 구동축은 구동모터와 연결하기 위해서 장착되며, 구동축은 하나만 장착되면 된다.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131)는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직경 및 볼트홀(102a)의 수와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유체커플링을 다수로 연결할 경우 베어링 커버가 타측 유체커플링의 플랜지 장착홈에 안착되고, 볼트를 이용하여 일측 유체커플링의 케이싱과 베어링 커버 및 타측 유체커플링의 터어빈이 고정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은 종래의 유체커플링과 달리 요구되는 동력전달 용량에 맞추어 직렬로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유체커플링을 조합하여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 시 유체커플링의 최대 회전 반경의 크기는 변화가 없으므로 유체커플링의 최대 회전속도 또한 단독 연결 사용의 경우와 같은 속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유체커플링을 다수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병렬 연결 방식을 적용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기어열이나 벨트 구동창지 등이 요구되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은 간편히 직렬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시간, 설치공간 및 비용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유체커플링이 직렬 연결된 개략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설치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직렬 연결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직렬 연결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직렬 연결 설치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하나의 유체커플링(100)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두 개의 유체커플링(100)이 직렬로 연결된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유체커플링(100)은 터어빈은 터어빈과 연결되고, 임펠러는 임펠러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도 상기의 구조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100)은 외측에는 냉각핀(101a)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플랜지(101b)가 형성되며, 심부 외측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형성된 플랜지 장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02)의 심부에는 통공(102b)이 형성되는 터 어빈(101); 상기 터어빈(101)의 내측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터어빈의 토크가 전달되는 임펠러(104); 단부에 플랜지(105a)가 형성되어 상기 터어빈의 플랜지(101b)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측에는 냉각핀(105b)이 형성되는 케이싱(105);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오일씰(113)이 개재되어 상기 통공(102b)에 일측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고 심부로는 소정깊이의 결합홈(111c)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씰(113)의 타측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 리브(111b)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10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환형 리브(111b)의 타측으로 소정거리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축(111)과, 상기 연결축(1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5)을 관통하여 소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111c)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연장축(112)으로 구성되는 종동축(110); 일측은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02c)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111a)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터어빈측 베어링(120);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120)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볼트홀(101c)과 일치하는 볼트홈(130a)이 형성되는 터어빈측 베어링커버(130); 상기 연장축(112)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05)이 상기 종동축(11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121); 및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121)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케이싱(105)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싱(105)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커버(131);로 구성된다.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131)를 장착하면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씰(114)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모터축이 장착되는 장착홈(1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플랜지(152)가 형성되는 구동축(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축은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얻기 위한 것이므로, 작동을 위해서는 구동축은 반드시 필요하며, 다수의 유체커플링(100)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하나의 구동축만 있으면 된다. 플랜지 장착홈(102)에는 상기 구동축(150)이 장착되어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130)와 고정결합되는데, 플랜지 장착홈(102)에 형성된 볼트홀(102a)과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의 볼트홈(103a)에 볼트가 삽입고정되어 구동축(150)의 회전력이 터어빈(101)으로 전달된다. 다수의 유체커플링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131)는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직경 및 볼트홀(102a)의 수와 위치가 일치하도록 한다. 플랜지 장착홈(102)에 타측의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131)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b는 하나의 유체커플링(100)을 구동원인 모터와 부하에 연결한 연결 상태도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은 하나로도 사용가능하며, 다수의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하여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5a와 도 5b는 두 개의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한 경우의 도면이며, 두 개의 유체커플링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도 5a에서는 첫 번째 유체커플링(100a)에는 구동축(150)이 터어빈(101)에 고정 장착된다. 구동축(150)의 플랜지(152)가 유체커플링의 플랜지 장착홈(102)에 안착되고, 안착된 구동축의 플랜지(152)와 터어빈(101)을 볼트(107)로 체결하여 구동축과 터어빈을 서로 고정연결한다. 또한 상기 볼트(107)는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130)에 형성된 볼트홈(130a)에도 삽입고정되 어 상기 베어링 커버(130)도 터어빈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타측의 케이싱(105)에 장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131)는 두 번째 유체커플링(100b)의 플랜지 장착홈(102)에 안착된 후 볼트를 이용하여 첫 번째 유체커플링의 케이싱 및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와 두 번째 유체커플링의 플랜지 장착홈의 볼트홀을 통해 두 번째 유체커플링의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를 함께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터어빈과 두 번째 터어빈이 서로 연결되고, 구동축의 회전력이 첫 번째 터어빈과 두 번째 터어빈에 동일하게 전달된다. 또한, 첫 번째 유체커플링의 종동축의 연장축은 두 번째 유체커플링의 종동축의 연결축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된 후 키이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커플링의 임펠러는 두 번째 커플링의 임펠러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6은 세 개의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한 경우의 설치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은 종래의 표준형 유체커플링과 구조가 거의 유사하나 유체커플링을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터어빈은 터어빈과 연결되고, 임펠러는 임펠러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세 개의 유체커플링을 연결하는 경우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면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인 직렬 연결시의 유체커플링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커플링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유체커플링이 직렬 연결된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설치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직렬 연결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직렬 연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유체커플링의 직렬 연결 설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체커플링 101 : 터어빈
101a : 냉각핀 101b : 플랜지
101c : 볼트홀 102 : 플랜지 장착홈
102a : 볼트홀 102b : 통공
102c : 단턱 103 : 장착홈 테두리
104 : 임펠러 105 : 케이싱
105a : 플랜지 105b : 냉각핀
106, 107, 108, 109 : 볼트
110 : 종동축 111 : 연결축
111a : 스토퍼 111b : 환형 리브
111c : 결합홈 111d : 키이홈
112 : 연장축 113 : 오일씰
114 : 오일씰
120 : 터어빈측 베어링 121 : 케이싱측 베어링
130 :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 130a : 볼트홈
131 :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 131a : 볼트홀
150 : 구동축 151 : 모터 장착홈
152 : 플랜지 153 : 볼트홀
L : 부하 M : 구동모터

Claims (3)

  1. 외측에는 냉각핀(101a)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플랜지(101b)가 형성되며, 심부 외측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형성된 플랜지 장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02)의 심부에는 통공(102b)이 형성되는 터어빈(101);
    상기 터어빈(101)의 내측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터어빈의 토크가 전달되는 임펠러(104);
    단부에 플랜지(105a)가 형성되어 상기 터어빈의 플랜지(101b)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측에는 냉각핀(105b)이 형성되는 케이싱(105);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오일씰(113)이 개재되어 상기 통공(102b)에 일측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고 심부로는 소정깊이의 결합홈(111c)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씰(113)의 타측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환형 리브(111b)가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10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환형 리브(111b)의 타측으로 소정거리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축(111)과, 상기 연결축(1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5)을 관통하여 소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111c)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연장축(112)으로 구성되는 종동축(110);
    일측은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02c)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111a)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터어빈측 베어링(120);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120)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볼트홀(101c)과 일치하는 볼트홈(130a)이 형성되는 터어빈측 베어링커버(130);
    상기 연장축(112)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05)이 상기 종동축(11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121); 및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121)을 고정 커버하고, 상기 케이싱(105)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싱(105)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싱측 베어링커버(13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모터축이 장착되는 장착홈(1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플랜지(152)가 형성되는 구동축(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에는 상기 구동축(150)이 장착되어 상기 터어빈측 베어링 커버(130)와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측 베어링 커버(131)는 상기 플랜지 장착홈(102)의 직경 및 볼트 홀(102a)의 수와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KR1020090057390A 2009-06-26 2009-06-26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KR101057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90A KR101057390B1 (ko) 2009-06-26 2009-06-26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90A KR101057390B1 (ko) 2009-06-26 2009-06-26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47A true KR20110000047A (ko) 2011-01-03
KR101057390B1 KR101057390B1 (ko) 2011-08-17

Family

ID=4360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390A KR101057390B1 (ko) 2009-06-26 2009-06-26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44B1 (ko) * 2013-05-21 2013-09-09 광신기계공업 주식회사 고압 천연가스 압축기용 커플링
KR20190055486A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드레인 타입 변속 유체커플링
KR20190055494A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폭발방지 기능이 구비된 유체커플링
KR20200125781A (ko) 2019-04-25 2020-11-05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임펠러의 오일 순환구조를 개선한 변속 유체커플링
US10920829B2 (en) 2017-06-21 2021-02-16 Hyundai Electric & Energy Systems Co., Ltd. Thrust bearing cooling device
KR20230102292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감속기어가 내장된 변속 유체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17B1 (ko) 2012-05-07 2012-07-12 주식회사 서울산업 유체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328A (en) 1981-01-26 1984-05-01 Indian Head Incorporated Variable fill fluid coupling with charging liquid collector
DE19815445C1 (de) 1998-04-07 1999-07-15 Bochumer Eisen Heintzmann Antriebsaggregat für Arbeitsmaschinen, insbesondere für untertägige Gewinnungsmaschinen und Förderanlagen
JP2005188618A (ja) 2003-12-25 2005-07-14 Isuzu Motors Ltd 流体継手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44B1 (ko) * 2013-05-21 2013-09-09 광신기계공업 주식회사 고압 천연가스 압축기용 커플링
US10920829B2 (en) 2017-06-21 2021-02-16 Hyundai Electric & Energy Systems Co., Ltd. Thrust bearing cooling device
KR20190055486A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드레인 타입 변속 유체커플링
KR20190055494A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폭발방지 기능이 구비된 유체커플링
KR20200125781A (ko) 2019-04-25 2020-11-05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임펠러의 오일 순환구조를 개선한 변속 유체커플링
KR20230102292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감속기어가 내장된 변속 유체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390B1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390B1 (ko) 동력전달용량 확장이 용이한 유체커플링
US8857586B2 (en) 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US20120088589A1 (en) Damper for coupling rotation of motor vehicle driving shafts
US20080029359A1 (en) Torque Converter
JP4498385B2 (ja) オイルポンプ駆動機構
KR20110000040A (ko) 변속형 유체커플링
EP0731285A2 (en) Assembly of a one-way clutch and a bearing
US4934495A (en) Lock-up clutch for four element torque converter
JP4796740B2 (ja) 流体式連結装置
JP2001032904A (ja) 一方向クラッチと軸受との組立体
KR102036564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RU2294469C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дл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KR20220005308A (ko) 하이브리드 변속기의 조립구조
CN114080496A (zh) 用于在涡轮机中保持齿轮系的组合件
KR200174846Y1 (ko) 자동변속기용 토오크 컨버터
KR200174847Y1 (ko) 자동변속기용 토오크 컨버터
KR100736784B1 (ko) 토크컨버터의 순환유량 확대구조
US11293535B2 (en) Hydrodynamic launch device having an active dynamic damper
KR19980060205A (ko) 자동 변속기용 토오크 컨버터
KR20090030596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090030601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0820382B1 (ko) 자동변속기용 토크 컨버터와 입력축 연결구조
KR200185466Y1 (ko) 토크 컨버터의 오일 펌프 드라이브 허브구조
KR20230037257A (ko) 토크 컨버터 및 이에 구비된 리엑터 제조 방법
EP2776739B1 (en) A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