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784A - Push-up device - Google Patents
Push-up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8784A KR20100138784A KR1020100058656A KR20100058656A KR20100138784A KR 20100138784 A KR20100138784 A KR 20100138784A KR 1020100058656 A KR1020100058656 A KR 1020100058656A KR 20100058656 A KR20100058656 A KR 20100058656A KR 20100138784 A KR20100138784 A KR 201001387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push rod
- protruding
- cam surface
- pu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푸시로드를 인입위치와 돌출위치로 전환하는 푸시·푸시기구를 구비한 압상장치(押上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에 형성되는 퓨얼 리드의 개방동작을 하는데 매우 적합한 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ing device having a push / push mechanism for switching a push rod into a retracted position and a protruding posi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ing device which is very suitable for opening a fuel lid formed on a vehicle body. .
자동차에는 급유구를 보호하는 덮개로서, 보디 셸의 개구부에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퓨얼 리드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퓨얼 리드의 개방동작을 실행하는 장치로서, 푸시·푸시기구를 구비하며, 로크상태가 해제된 퓨얼 리드를 푸시로드에 의해서 개방측으로 구동하는 압상장치가 개발되어 있다.As a cover for protecting an oil supply port, a fuel lid is attached to an opening of a body shell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rough a hinge portion. As a device for perform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is kind of fuel lid, there has been developed a push-up device having a push / push mechanism and driving the fuel lid whose unlocked state is released to the opening side by a push rod.
예를 들면 푸시·푸시기구로서, 푸시로드가 그 주위에 고정측의 복수의 가이드부에 순차적으로 걸림/걸림해제되는 캠부를 가지며, 퓨얼 리드를 폐색상태에서 차체측으로 누르면, 인입위치에 있는 푸시로드가 그 회전에 의해서 가이드부 및 캠부에 의한 유지가 해제된 후,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돌출되어 상기 퓨얼 리드를 밀어내는 돌출위치로 이동하는 회전캠식을 채용한 압상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For example, as a push-pushing mechanism, a push rod has a cam portion that is sequentially engaged / released by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on a fixed side around the push rod, and the push rod in a retracted position when the fuel lid is pressed toward the vehicle body in a closed state. After the holding by the guide portion and the cam portion is released by the rotation thereof, there is known a rolling apparatus employing a rotary cam type that protrudes by the spring force and moves to the protruding position to push out the fuel lid (Patent Document 1). Reference).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압상장치에서는 푸시로드의 위치변환시에 클릭음이나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기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는 조작을 적절하게 했다는 실감을 얻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압상장치에서는 푸시로드를 돌출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의 탄지력이 비교적 작은 접촉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푸시로드의 원활한 회전동작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mechanism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or a click feeling at the time of the position change of the push rod is not formed in the pusher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operato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feeling that the operation is appropriate.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pressing apparatus, since the holding force of the spring which presses a push rod toward the protrusion side acts on a comparatively small contact surface, the smooth rotation operation | movement of a push rod may be impair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자가 푸시로드를 조작하였을 때에 클릭감을 발생시킴에 의해서 조작감을 향상시킨 압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ressure raising device that improves the operation feeling by generating a click feeling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push ro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제 1 발명은, 푸시로드(2)를 인입위치와 돌출위치로 전환하는 푸시·푸시기구를 구비한 압상장치(1)로서, 상기 푸시로드(2)에 형성된 캠 폴로워(18)와, 상기 푸시로드(2)의 돌출위치측에 있어서 상기 캠 폴로워(18)를 구동하는 환형상의 제 1 캠면(21)을 가지는 돌출측 캠(22)과, 상기 제 1 캠면(21)에 대향하여 배치된 환형상의 제 2 캠면(23)을 가지며, 상기 푸시로드(2)의 인입위치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캠면(23)이 상기 캠 폴로워(18)를 구동하는 인입측 캠(24)을 구비하며, 상기 푸시로드(2)는 그 이동시에 상기 캠 폴로워(18)가 상기 제 1 캠면(21)과 상기 제 2 캠면(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간극(G)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측 캠(22) 및 상기 인입측 캠(24)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간극(G)에는 상기 캠 폴로워(18)가 통과할 수 있는 폭보다도 작은 협소부(N1,N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측 캠(22)과 상기 인입측 캠(24)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캠 폴로워(18)가 상기 가이드 간극(G)의 협소부(N1,N2)를 통과할 때에 상기 협소부(N1,N2)가 벌어지도록 변위되는 구성으로 한다.The first inventio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cam follower provided with a push-push mechanism for switching the
또 제 2 발명으로서, 상기 푸시로드(2)를 상기 돌출위치측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12)과, 상기 돌출측 캠(22)과 상기 인입측 캠(24) 중 어느 일측을 타측으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34)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탄지수단(34)은 상기 제 1 탄지수단(12)보다도 작은 탄지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first holding means 12 for holding the
또 제 3 발명으로서, 상기 돌출측 캠(22)과 상기 인입측 캠(24)은 상기 푸시로드(2)가 상기 돌출위치와 상기 인입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회전동작을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as a third invention, the protruding
상기 제 1 발명에 의하면, 캠 폴로워가 가이드 간극의 협소부를 통과할 때에 상기 협소부를 벌리도록 돌출측 캠과 인입측 캠 중 적어도 일측이 변위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자가 푸시로드를 조작하였을 때에 클릭감을 발생시킴에 의해서 조작감이 향상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when the cam follower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side cam and the inlet side cam is displaced so as to open the narrow por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narrow portion of the guide gap, the operator operates the push ro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by generating a click feeling.
또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돌출측 캠과 상기 인입측 캠 중 어느 일측을 타측으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을 형성하고, 또한 제 2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푸시로드를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의 탄지력보다도 작게 하였기 때문에, 조작자가 푸시로드를 조작하였을 때에, 돌출측 캠 및 인입측 캠에 대한 푸시로드의 원활한 상대 회전이 저해되는 일 없이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holding means for holding one of the protruding side cams and the retracting side cam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second holding means holds the push rod. Since it is smaller than the holding force of the means,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push ro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eeling of click without disturbing smooth relative rotation of the push rod relative to the protruding side cam and the retracting side cam.
또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푸시로드에 필요한 압상력(押上力)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자가 푸시로드를 조작하였을 때에 돌출측 캠 및 인입측 캠의 회전동작이 저해되는 일 없이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the pressing force necessary for the push rod, and to preven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rotruding side cam and the retracting side cam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push rod. It can generate a click feeling wit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일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ate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E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상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압상장치 및 그 구성요소는 도 2 및 도 3에서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상측” 및 “하측”으로 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 rais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apparatus and its components are described as "upper side" and "lower side" along the up-down direction in FIGS. 2 and 3.
압상장치(1)는 압상체로서의 푸시로드(2)를 인입위치(도 2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와 돌출위치(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다)로 전환하는 푸시·푸시기구를 구비하며, 자동차의 퓨얼 리드(R)(도 2 참조)를 개방측으로 구동하는 장치로서 사용된다. 압상장치(1)는 그 본체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제의 보디(3)를 가지며, 상기 보디(3)에 수용된 푸시로드(2)의 상단측이 상기 보디(3)의 머리부(4)의 단면에 형성된 관통구멍(4a)에서 돌출된다. 보디(3)에는 그 외주면에서 1쌍의 고정편(5,5)이 상단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편(5,5)은 차체의 판형상 부재(6)에 대한 압상장치(1)의 부착에 이용된다.The pressing device 1 is provided with a push / push mechanism for switching the
판형상 부재(6)에 대한 압상장치(1)의 부착은 상기 압상장치(1)의 하단측을 부착구멍(6a)에 삽입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때, 고정편(5,5)은 부착구멍(6a)을 통과할 때에 보디(3)의 중심측으로 접혀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부착구멍(6a)을 통과한 후에 탄성 복귀되어 머리부(4)의 하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판형상 부재(6)를 협지(挾持)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상장치(1)가 판형상 부재(6)에 대해서 강고하게 고정된다.Attachment of the pressing apparatus 1 to the plate-
보디(3)의 머리부(4)의 외측에는 캡형상의 고무제의 보디커버(7)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보디커버(7)의 단면에는 관통구멍(4a)과 같은 형상으로 된 관통구멍(7a)(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보디(3)의 하단측의 개구에는 이것을 폐색하는 폐색부재(8)가 삽입되어 있다. 폐색부재(8)는 그 복수의 걸림돌조(9)가 보디(3)의 걸림구멍(10)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보디(3)에 대해서 고정된다. 또, 폐색부재(8)의 상단측에는 스프링 고정 로드(1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고정 로드(11)를 압축 스프링으로 된 메인 스프링(12)에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 스프링(12)의 하단측을 고정한다.A cap-shaped
푸시로드(2)는 합성수지재에 의해서 형성되며, 캡형상의 고무제의 로드커버(15)가 부착된 머리부(16)와, 통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7)를 가진다. 본체부(17)의 하단에는 캠 폴로워로서의 3개의 걸림편(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편(18)은 사각형의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7)의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또한 본체부(17)의 지름방향을 따라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걸림편(18)의 외주면측은 본체부(17)의 외주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의 걸어맞춤부로서 기능한다. 본체부(17)의 외주형상 및 이것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관통구멍(4a)은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복수의 요철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보디(3)에 대한 푸시로드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또, 푸시로드(2)는 그 본체부(17)에 하단측에서 삽입되는 메인 스프링(12)에 의해서 돌출위치측으로 탄지된다.The
또, 보디(3)에는 푸시로드(2)의 돌출위치측에 있어서 걸림편(18)을 구동하는 환형상의 제 1 캠면(21)이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 캠(22)과, 푸시로드(2)의 인입위치측에 있어서 걸림편(18)을 구동하는 환형상의 제 2 캠면(23)이 상단에 형성된 하부 캠(24)이 수용되어 있다.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은 걸림편(18)을 구동함으로써 푸시로드(2)를 인입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한다.Moreover, the
상부 캠(22)은 푸시로드(2)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 상부 캠(22)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단차로서 형성된 세로 홈(31) 및 2개의 삼각형상의 돌기부(32,33)(도 4 및 도 5 참조)에 의해서 제 1 캠면(21)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캠(2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로드(2)를 둘러싼 상태에서 보디(3)의 머리부(4)에 수용된 서브 스프링(34)에 의해서 슬리브(35)를 통해서 하측{하부 캠(24)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슬리브(35)의 중앙에는 관통구멍(4a)과 같은 형상으로 된 관통구멍(35a)(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The
하부 캠(24)은 스프링 고정 로드(11) 및 메인 스프링(12)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 하부 캠(24)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41,42) 및 2개의 세로 홈(43,44)(도 4 및 도 5 참조)에 의해서 제 2 캠면(23)이 구성되어 있다. 하부 캠(24)은 그 제 2 캠면(23)이 상부 캠(22)의 제 1 캠면(21)에 대향하도록 상부 캠(22)의 하측에 배치되며, 폐색부재(8)의 플랜지부(45)상에 지지된다. 또, 하부 캠(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규제편(46)은 상부 캠(22)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절결부(47)에 각각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부 캠(22)과 하부 캠(24)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The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압상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4a∼도 4e, 도 5a∼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E and 5A to 5D.
도 4a∼도 4e, 도 5a∼도 5d는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의 전개도로서 특히 제 1 캠면(21) 및 제 2 캠면(23)의 일부를 가상적인 평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도 4e는 푸시로드(2)가 돌출위치에서 인입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도 5a∼도 5d는 푸시로드(2)가 인입위치에서 돌출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a∼도 4e, 도 5a∼도 5d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푸시로드(2)의 걸림편(18)이 제 1 캠면(21) 및 제 2 캠면(23)에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로는 걸림편(18){푸시로드(2)}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제 1 캠면(21) 및 제 2 캠면(23)이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회전이동(도 4, 도 5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4A to 4E and 5A to 5D are exploded views of the
제 1 캠면(21)은 그 구성단위가 되는 세로 홈(31) 및 2개의 삼각형상 돌기부(32,33)를 복수개 늘어놓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2)는 2개의 경사면(32a,32b)을 가지고 있고, 또 돌기부(33)는 2개의 경사면(33a,33b)을 가지고 있다. 제 2 캠면(23)은 그 구성단위가 되는 2개의 볼록부(41,42) 및 2개의 세로 홈(43,44)을 복수개 늘어놓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캠면(21)과 제 2 캠면(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간극(G)에는 푸시로드(2)의 걸림편(18)이 유지되어 있다.The
도 4a는 푸시로드(2)가 돌출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걸림편(18)이 상부 캠(22)의 세로 홈(31)의 상부(바닥면)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세로 홈(31)은 축방향(도 4a에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볼록부(41)의 정상부에 형성된 경사면(41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서브 스프링(34)(도 3 참조)의 탄지력은 메인 스프링(12)의 탄지력에 비해서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캠(22)은 걸림편(18){즉, 메인 스프링(12)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되어 상한(上限)위치로 이동한다.4A shows a case where the
푸시로드(2)를 도 4a의 돌출위치에서 인입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우선 조작자는 메인 스프링(1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푸시로드(2)를 눌러 내린다. 이것에 의해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18)이 세로 홈(31) 내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하단이 볼록부(41)의 경사면(41a)에 맞닿게 된다. 그 후, 걸림편(18)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41a)을 따라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상부 캠(22)이 메인 스프링(12)에 의한 탄지가 해제됨으로써 서브 스프링(34)에 의해서 하측으로 탄지되어 하한(下限)위치로 이동한다.When the
여기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간극(G)에 있어서, 돌기부(32)의 정상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볼록부(41)의 경사면(41a)의 사이의 부위는 걸림편(18)이 통과할 수 있는 폭보다도 작은 협소부(N1)를 구성한다. 따라서, 걸림편(18)이 협소부(N1)를 통과할 때에는, 이 협소부(N1)가 벌어지도록 서브 스프링(3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부 캠(22)을 상측으로 일단 이동시킨다. 걸림편(18)이 협소부(N1)를 통과한 후에는 상부 캠(22)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하한위치로 이동한다.Here, in the guide gap G, as shown in FIG. 4B, the part between the top part of the
이와 같이 걸림편(18)이 협소부(N1)를 통과할 때에는 달칵하는 클릭음이 발생함과 아울러, 조작자가 푸시로드(2)측으로부터 받는 반력(反力)의 변화{즉, 걸림편(18)이 협소부(N1)를 통과하는 전후에 있어서의 반력의 증감}에 의해서 클릭감이 생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gaging
그 후, 걸림편(18)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캠(24)의 세로 홈(43)에 수용된다. 이어서, 조작자가 푸시로드(2)의 누름을 해제하면, 걸림편(18)이 상승하여 돌기부(32)의 경사면(32b)에 맞닿게 되며, 그 후 이 경사면(32b)을 따라서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는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18)이 상부 캠(22)의 돌기부(32,33)의 경계에 유지되게 되며, 푸시로드(2)의 인입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 때, 상부 캠(22)은 걸림편(18)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되어 상한위치로 이동한다.Then, the engaging
한편, 푸시로드(2)를 도 4e의 인입위치에서 돌출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조작자는 메인 스프링(1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푸시로드(2)를 다시 눌러 내린다. 이것에 의해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18)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하단이 볼록부(42)의 경사면(42a)에 맞닿게 된다. 그 후, 걸림편(18)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42a)을 따라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여기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간극(G)에 있어서, 돌기부(33)의 정상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볼록부(42)의 경사면(42a)의 사이의 부위는 걸림편(18)이 통과할 수 있는 폭보다도 작은 협소부(N2)를 구성한다. 따라서, 걸림편(18)이 협소부(N2)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한 협소부(N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협소부(N2)가 벌어지도록 상부 캠(22)을 상측으로 일단 이동시킨다. 걸림편(18)이 협소부(N2)를 통과한 후에는 상부 캠(22)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하한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걸림편(18)이 협소부(N2)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한 협소부(N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릭음 및 클릭감이 생긴다.Here, in the guide gap G, as shown to FIG. 5A, the part between the top part of the
그 후, 걸림편(18)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캠(24)의 세로 홈(44)에 수용된다. 이어서, 조작자가 푸시로드(2)의 누름을 해제하면, 걸림편(18)이 상승하여 돌기부(33)의 경사면(33b)에 맞닿게 되며, 그 후 이 경사면(33b)을 따라서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는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18)이 상부 캠(22)의 세로 홈(31)에 유지되게 되며, 푸시로드(2)의 돌출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다.Thereafter, the locking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압상장치(1)의 이동동작에 의해서 퓨얼 리드(R)의 폐색동작 및 개방동작이 실행된다. 즉, 상기 도 4a∼도 4d에서는 조작자가 개방상태에 있는 퓨얼 리드(R)(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다)를 통해서 푸시로드(2)를 눌러 내린다. 이것에 의해서 도 2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퓨얼 리드(R)가 폐색상태로 된다. 또, 상기 도 5a∼도 5d에서는 조작자가 폐색상태에 있는 퓨얼 리드(R)를 통해서 푸시로드(2)를 눌러 내린다. 이것에 의해서 퓨얼 리드(R)가 다시 개방상태로 된다.In addition, the closing operation and opening operation of the fuel lid R are executed by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iezoelectric apparatus 1. That is, in Figs. 4A to 4D, the operator pushes down the
상기 구성의 압상장치(1)에서는 걸림편(18)이 가이드 간극(G)의 협소부(N1,N2)를 통과할 때에 상부 캠(22)이 서브 스프링(3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협소부(N1,N2)가 벌어지도록 상측으로 변위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자가 푸시로드(2)를 조작하였을 때에 클림음 및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어 조작감이 향상된다.In the piezoelectric devic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locking
또, 상기 압상장치(1)에서는 상부 캠(22)을 하측으로 탄지하는 서브 스프링(34)의 탄지력을 푸시로드(2)를 상측으로 탄지하는 메인 스프링(12)의 탄지력보다도 작게 하였기 때문에, 조작자가 푸시로드(2)를 조작하였을 때에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의 원활한 회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lding force of the
또한, 상기 압상장치(1)에서는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메인 스프링(12)의 탄지력을 증대시키더라도 상부 캠(22) 및 하부 캠(24)의 원활한 회전이 저해되는 일 없이 필요한 구동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압상장치는 퓨얼 리드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대상을 구동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걸림편이 협소부를 통과할 때에 상기 협소부를 벌리는 동작은 상술한 상부 캠의 이동에 한하지 않고, 하부 캠의 이동이나 상부 캠 또는 하부 캠 자체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the specific embodiment, the said embodiment is only an illustration to the last, an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aid embodiment. For example, the 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rive any object, not just a fuel lid.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narrow portion when the engaging piece passes the narrow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ovement of the upper cam, but can also be realized by the movement of the lower cam o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upper cam or the lower cam itself.
1 - 압상장치 2 - 푸시로드
3 - 보디 6 - 판형상 부재
6a - 부착구멍 8 - 폐색부재
12 - 메인 스프링(제 1 탄지수단) 18 - 걸림편(캠 폴로워)
21 - 제 1 캠면 22 - 상부 캠(돌출측 캠)
23 - 제 2 캠면 24 - 하부 캠(인입측 캠)
31 - 세로 홈 32,33 - 돌기부
34 - 서브 스프링(제 2 탄지수단) 41,42 - 볼록부
43,44 - 세로 홈 G - 가이드 간극
N1,N2 - 협소부 R - 퓨얼 리드1-Pusher 2-Push Rod
3-body 6-plate member
6a-mounting hole 8-closing member
12-Main spring (first fingering means) 18-Hanging piece (cam follower)
21-First cam face 22-Upper cam (projection side cam)
23-2nd cam face 24-Lower cam (retraction side cam)
31-
34-subspring (second fingering) 41,42-convex
43,44-Groove G-Guide Clearance
N1, N2-Narrow R-Fuel Lead
Claims (3)
상기 푸시로드(2)에 형성된 캠 폴로워(18)와,
상기 푸시로드(2)의 돌출위치측에 있어서 상기 캠 폴로워(18)를 구동하는 환형상의 제 1 캠면(21)을 가지는 돌출측 캠(22)과,
상기 제 1 캠면(21)에 대향하여 배치된 환형상의 제 2 캠면(23)을 가지며, 상기 푸시로드(2)의 인입위치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캠면(23)이 상기 캠 폴로워(18)를 구동하는 인입측 캠(24)을 구비하며,
상기 푸시로드(2)는 그 이동시에 상기 캠 폴로워(18)가 상기 제 1 캠면(21)과 상기 제 2 캠면(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간극(G)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측 캠(22) 및 상기 인입측 캠(24)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간극(G)에는 상기 캠 폴로워(18)가 통과할 수 있는 폭보다도 작은 협소부(N1,N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측 캠(22)과 상기 인입측 캠(24)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캠 폴로워(18)가 상기 가이드 간극(G)의 협소부(N1,N2)를 통과할 때에 상기 협소부(N1,N2)가 벌어지도록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As a pressing device (1) having a push-push mechanism for switching the push rod (2) to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protruding position,
A cam follower 18 formed on the push rod 2,
A protruding side cam 22 having an annular first cam surface 21 for driving the cam follower 18 on the protruding position side of the push rod 2;
An annular second cam surface 23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am surface 21, and the second cam surface 23 is the cam follower 18 on the inlet position side of the push rod 2; An inlet side cam 24 for driving the
The push rod 2 protrudes in the state where the cam follower 18 is held in the guide gap G formed between the first cam surface 21 and the second cam surface 23 at the time of its movement. It is possi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side cam 22 and the inlet side cam 24,
The guide gap G is formed with narrow portions N1 and N2 smaller than a width through which the cam follower 18 can pass, 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side cam 22 and the inlet side cam 24. On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follower is displaced so that the narrow portion (N1, N2) is opened when passing through the narrow portion (N1, N2) of the guide gap (G).
상기 푸시로드(2)를 상기 돌출위치측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12)과,
상기 돌출측 캠(22)과 상기 인입측 캠(24) 중 어느 일측을 타측으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34)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탄지수단(34)은 상기 제 1 탄지수단(12)보다도 작은 탄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gripping means 12 for gripping the push rod 2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holding means 34 for holding one side of the protruding side cam 22 and the inlet side cam 24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gripping means (34) have a smaller gripping force than the first gripping means (12).
상기 돌출측 캠(22)과 상기 인입측 캠(24)은 상기 푸시로드(2)가 상기 돌출위치와 상기 인입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회전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protruding side cam (22) and the retracting side cam (24) rotate when the push rod (2) moves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retracting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151301A JP2011005951A (en) | 2009-06-25 | 2009-06-25 | Pushing up device |
JPJP-P-2009-151301 | 2009-06-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8784A true KR20100138784A (en) | 2010-12-31 |
KR101103965B1 KR101103965B1 (en) | 2012-01-06 |
Family
ID=4351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8656A KR101103965B1 (en) | 2009-06-25 | 2010-06-21 | Push-up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11005951A (en) |
KR (1) | KR1011039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6571A (en) * | 2016-05-04 | 2016-09-21 | 杰必机电配件(上海)有限公司 | Cover board control device and automob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90175B2 (en) * | 2011-03-02 | 2015-03-25 | 株式会社ニフコ | Pushing device |
JP6346444B2 (en) * | 2014-01-10 | 2018-06-20 | 株式会社ニフコ | Pushing device |
KR101644134B1 (en) * | 2015-12-29 | 2016-08-01 | 주식회사 신진화학 | a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uel door |
JPWO2017204068A1 (en) * | 2016-05-27 | 2019-03-14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Gas spring device |
US9856681B1 (en) * | 2016-06-17 | 2018-01-02 | Nifco America Corp. | Push lifter |
JP7466180B2 (en) * | 2019-10-31 | 2024-04-12 | 株式会社日乃本錠前 | Rotary and reciprocating actuator, stopper operating device, stopper, and door with stopp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57720A (en) * | 1987-04-15 | 1988-10-25 | Kuraray Co Ltd | Oxygen permeable hard contact lens |
JPH08303092A (en) * | 1995-05-10 | 1996-11-19 | Futaba Kinzoku Kogyo Kk | Magnet catcher |
DE19650594C2 (en) * | 1996-12-06 | 1998-09-17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Arrangement of a fuel filler flap on a motor vehicle |
US6396616B1 (en) | 2000-10-10 | 2002-05-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Direct laser imaging system |
JP5004268B2 (en) * | 2006-04-25 | 2012-08-22 | 株式会社ニフコ | Pushing device |
-
2009
- 2009-06-25 JP JP2009151301A patent/JP2011005951A/en active Pending
-
2010
- 2010-06-21 KR KR1020100058656A patent/KR10110396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6571A (en) * | 2016-05-04 | 2016-09-21 | 杰必机电配件(上海)有限公司 | Cover board control device and automobile |
DE112017002318B4 (en) | 2016-05-04 | 2022-08-25 | Cebi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Shanghai) Co., Ltd. | Fuel filler cap actuator and motor vehicle having a fuel filler cap actu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3965B1 (en) | 2012-01-06 |
JP2011005951A (en) | 2011-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3965B1 (en) | Push-up device | |
JP5690175B2 (en) | Pushing device | |
KR101851088B1 (en) | Latch device | |
CN109642442B (en) | Rotary telescopic device | |
US7234735B2 (en) | Locking device | |
JP5118102B2 (en) | Pushing device | |
WO2015105192A1 (en) | Push-up device | |
WO2011152232A1 (en) | Movement assist device | |
CN109421558B (en) | Sliding device | |
JP5294714B2 (en) | Sliding assist mechanism | |
JP2009024875A (en) | Piston cylinder unit | |
CN113574238B (en) |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 |
US11964631B2 (en) | Damper device | |
JP2009235849A (en) | Door handle of vehicle | |
JP2016211205A (en) | Fuel lid structure | |
JP5606798B2 (en) | Sliding door assist device and sliding door with nose | |
JP2014105730A (en) | Cushion clip | |
WO2020080338A1 (en) | Cable assembly | |
JP2008231829A (en) | Door lock with latch | |
JP4553786B2 (en) | Lid opening / closing device | |
KR102273995B1 (en) | Locking Structure Of Arm Rest | |
JP7536176B2 (en) | Vibration control device | |
JP4420936B2 (en) | Locking device | |
JP2019190624A (en) | Cushion clip | |
JP2019137080A (en) | Console box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