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756A -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756A
KR20100137756A KR1020090055960A KR20090055960A KR20100137756A KR 20100137756 A KR20100137756 A KR 20100137756A KR 1020090055960 A KR1020090055960 A KR 1020090055960A KR 20090055960 A KR20090055960 A KR 20090055960A KR 20100137756 A KR20100137756 A KR 2010013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mobile communication
group address
communication termi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936B1 (ko
Inventor
박수왕
Original Assignee
(주)아이러브 캠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러브 캠퍼스 filed Critical (주)아이러브 캠퍼스
Priority to KR102009005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93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회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주소록 서버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그룹명, 회원명, 이동통신번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원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동통신단말로의 특정 단체 주소록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가된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다운로드 허가된 단말이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단체 구성원들의 데이터가 포함된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로 일괄적으로 전송하여, 새로운 단체에 가입하게 된 특정 개인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그 단체의 구성원들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입력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단체 주소록, 그룹명, 다운로드 암호, 주소록 서버, 주소록 DB

Description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address book service in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로 주소록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창회, 계모임 등의 특정 단체의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공학, 통신 공학, 단말기 기술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이 출시되고 있다. 즉, 무선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더불어,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연락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에 주소록 저장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수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와 이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인명(또는 상호 명이나 기타 사용자의 인식명)을 이동통신단말에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여 타인과 연락한다. 더불어, 사용자들은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새롭게 알게 된 타인의 성명, 이동통신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특정 집단에 속하게 된 경우에, 그 집단 구성원들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입력해야 된다. 즉, 사용자가 특정 집단에 귀속된 경우, 그 집단 구성원들의 성명, 전화번호 등을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입력해야 된다. 하지만 집단 구성원이 많은 경우, 수작업을 통하여 집단 구성원들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등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정 집단 구성원들의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갱신된 특정 집단의 주소록을 그 구성원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주소록에 반영하는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복수의 회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주소록 서버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그룹명, 회원명,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회원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동통신단말로의 특정 단체 주소록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다 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가된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e) 상기 인증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다운로드 허가된 단말이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출된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복수의 회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소록 장치는, 다수의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그룹명, 회원명,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는 회원정보 획득부; 상기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소록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동통신단말로의 특정 단체 주소록 전송을 요청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가된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다운로드 허가된 단말이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주소록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단체 구성원들의 데이터가 포함된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로 일괄적으로 전송하여, 새로운 단체에 가입하게 된 특정 개인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그 단체의 구성원들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입력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로 제공된 단체 주소록에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단체 주소록의 변동사항을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최신의 단체 주소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주소록 용량에 따라 단체 주소록을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주소록 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게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의 블로그, 동창회 사이트, 커뮤니티, 특정 회사의 사이트 등과 연동하여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고 그 단체 주소록을 회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모임, 단체의 정보를 편리하게 공유하고 배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주소록은 특정 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주소록에는 특정 개인의 이름,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주소, 생일, 스케줄, 메모, 동영상, 사진, 오디오, 통화 연결 음원 정보, 게임 등이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단체 주소록은 특정 조직(예컨대, 회사, 계모임 등)에 속하는 구성원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단체 주소록에는 특정 조직에 속하는 구성원들의 주소록이 취합되어 저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에게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체 주소록 서비스 시스템은 주소록 서버(500)와 주소록 DB(6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체 주소록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100), 범용 컴퓨터(200) 및 웹 서버(300-N)와 서로 연결된다. 상기 네트워크(400)는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지의 관용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단말(100)은 주소록 서버(500)에 접속하여, 특정 단체의 주소록을 다운로드할 수 있거나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런 이동통신단말(100)은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폰, Wibro폰, Wifi폰 등을 포함한다.
범용 컴퓨터(200)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이동중 컴퓨터(예컨대, Wibro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주소록 서버(500)에 접속하여 특정 단체의 주소록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다.
웹 서버(300-N)는 주소록 서버(500)로 자신의 회원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웹 서버(300-N)는 상기 주소록 서버(500)로 제공한 회원정보에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그 변동된 회원정보를 주소록 서버(500)로 전송하다. 바람직하게, 웹 서버(300-N)는 상기 주소록 서버(500)와 회원정보 공유에 대한 협약을 맺고, 더불어 주소록 공유에 대해 동의한 회원정보를 상기 주소록 서버(500)로 제공한다. 예컨대, 웹 서버(300-N)는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정보 중에 본 발명의 주소록 서비스에 등록하기로 동의한 회원정보만을 주소록 서버(500)로 제공한다.
주소록 DB(600)는 각 단체의 주소록 및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저장한다. 예컨대, 주소록 DB(600)는 특정 학교, 동호회, 기업 집단 등의 특정 단체의 주소록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주소록 DB(600)는 ID, 패스워드,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100)의 모델명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100)로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다운로드 요청된 단체의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별로 다운로드된 시기와 다운로드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 단체 주소록에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그 변경된 단체 주소록 정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주소록 서버(500)는 인터넷의 웹 서버(300-N)와 연동하여 특정 동호회 회원정보, 인터넷 카페 회원정보, 기업 사원정보, 동문회 회원정보 등을 수신하여, 상기 회원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주소록 서버(500)는 특정 학교의 웹 서버(300-N)와 연동하여 그 학교의 동문정보를 수신하고, 그 동문정보를 학번 및 학과별로 분류하여 다수의 단체 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주소록 서버(500)는 특정 기업의 웹 서버(300-N)와 연동하여 그 기업의 사원정보를 수신하고, 그 사원정보를 부서별로 분류하여 다수의 단체 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0)로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인터넷 웹 서버로부터 회원정보를 획득하여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소록 서버(500)는 회원정보 공유에 대한 협약을 맺은 인터넷의 웹 서버(300-N)로부터 다수의 회원정보를 수신한다(S201). 즉, 주소록 서버(500)는 인터넷 웹 서버(300-N)로부터 가입자 성명, 닉네임, 가입자 ID, 성별, 생년월일, 거주지 주소, 가입된 카페 또는 블로그 정보, 회사와 부서명,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동영상, 사진, 스케줄, 메모, 게임 등의 회원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웹 서버(300-N)로부터 수신한 회원정보 데이터 중에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S20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웹 서버의 회원정보에서 추출한 주소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웹 서버(300-N)로부터 수신한 회원정보에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가입자 성명(310), 이동통신 전화번호(320), 집 전화번호(330), 사무실 전화번호(340), 이메일 주소(350), 홈페이지 주소(360), 생일(370), 회사와 부서명(380) 및 가입된 커뮤니티명(390)을 추출한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웹 서버(300-N)로부터 수신한 회원정보 데이터 중에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는데 불필요한 회원정보 데이터(예컨대, 가입자 ID, 닉네임)는 제외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회사 및 부서명(380) 및 커뮤니티명(390)을 토대로 추출한 회원정보 데이터를 그룹별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그룹별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한다(S205).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생성한 단체 주소록 각각에 식별가능한 그룹명(즉, 단체 주소록 ID)을 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DB에 저장된 단체 주소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서버(500)는 도 3의 회원 데이터의 회사 및 부서명(380) 및 커뮤니티명(390)을 토대로 각각의 회원 데이터를 그룹으로 분류하여 단체 주소록을 생성한다.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 ID인 그룹명(410)으로 회사 및 부서명(380, S사 인사부 등) 또는 커뮤니티명(390, 네이버 영어마을, 엠파스 국어사랑 등)을 부여한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그룹명(410)이 부여된 각각의 단체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S207).
한편, 주소록 서버(500)로 회원정보를 제공한 웹 서버(300-N)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회원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09).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상 기 갱신된 회원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주소록 서버(500)로 전송한다(S211).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웹 서버(300-N)로부터 수신한 변경된 회원정보를 주소록 DB(600)에 반영한다(S213). 즉, 주소록 서버(500)는 변경된 회원정보가 귀속되는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을 갱신함으로써, 상기 변경된 회원정보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반영되게 한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 데이터로서 메모, 스케줄, 게임, 동영상, 사진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웹 서버(300-N)로부터 수신한 회원정보에서 가입자 성명(310), 이동통신 전화번호(320), 집 전화번호(330), 사무실 전화번호(340), 이메일 주소(350), 홈페이지 주소(360), 생일(370), 회사와 부서명(380) 및 가입된 커뮤니티명(390) 이외에, 각 회원의 동영상, 사진, 음악, 게임, 스케줄, 메모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체 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소록 서버(500)에 의해 생성된 단체 주소록에는 각 개인의 성명(310), 이동통신 전화번호(320), 집 전화번호(330), 사무실 전화번호(340), 이메일 주소(350), 홈페이지 주소(360), 생일(370), 동영상, 사진, 음악, 게임, 스케줄, 메모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주소록 서버(500)는 특정 개인에 의해 생성된 단체 주소록을 보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특정 개인에 의해 생성된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개인은 범용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주소록 서버(500)로 접속하여 단체 주소록 생성을 요청한다(S501).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범용 컴퓨터(200)로부터 업로드되는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 선택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그룹명 정보를 수신한다(S503, S505).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수신한 그룹명을 가지는 단체 주소록이 주소록 DB(6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07), 상기 수신한 그룹명과 동일한 이름을 가지는 단체 주소록이 있으면 범용 컴퓨터(200)로 새로운 그룹명의 선택을 요청한다.
반면에,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수신한 그룹명과 중복되는 단체 주소록이 주소록 DB(600)에 존재하지 않으면, 범용 컴퓨터(200)로 단체 주소록 생성을 승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509).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범용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단체의 회원정보가 포함된 단체 주소록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한다(S511). 상기 단체 주소록 정보에는 해당 단체에 소속되는 각 개인의 성명(310), 이동통신 전화번호(320), 집 전화번호(330), 사무실 전화번호(340), 이메일 주소(350), 홈페이지 주소(360), 생일(370), 동영상, 사진, 음악, 게임, 스케줄, 메모, 통화 연결 음원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범용 컴퓨터(2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S513, S515).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는 상기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 요청한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이용한 단체 주소록 다운로드 방법은 아래에 설명된다.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한 단체 주소록과 그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S517).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웹 서버(300-N)로부터 수신한 회원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고, 각각의 단체 주소록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 설정을 요청하는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 그룹이 커뮤니티인 경우에 커뮤니티 관리자에게 다운로드 암호 설정을 요청하고, 특정 기업의 부서인 경우 부서장에게 다운로드 암호 설정을 요청하여, 이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아울러 주소록 서버(500)에 접속하여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설정한 커뮤니티 관리자 또는 부서장은 해당 단체의 구성원들에게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배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이동통신단말로 단체 주소록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100)은 주소록 서버(500)로 접속하고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주소록 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 절차를 진행한다(S601). 이때, 사용자는 「주소록 서비스 접속코드(예컨대, **10000) + 무선 인터넷 접속」을 이동통신단말(100)에 입력함으로써, 주소록 서버(500)에 바로 접속하여 로그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로그인에 성공한 이동통신단말(100)은 주소록 서버(500)로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요청한다(S603).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즉, 단체 주소록 ID) 선택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S605, S607).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수신한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귀속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1차 인증한다(S609). 구체적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귀속되는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 리스트를 주소록 DB(600)에서 확인하고, 그 확인된 그룹명 리스트 내에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그룹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1차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귀속되는 단체 주소록의 그룹 리스트 내에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인증 실패에 따른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불가를 통보한다. 반면에, 1차 인증에 성공하면, 이동통신단말(100)로 해당하는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요청하고,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의 잉여 용량이 포함된 다운로드 암호 정보를 수신한다(S611, S613).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수신한 다운로드 암호 정보 내의 다운로드 암호와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2차 인증한다(S615).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다운로드 인증에 실패하면, 이동통신단말(100)로 다운로드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617). 반면에, 주소록 서버(500)는 이 동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다운로드 암호와 주소록 DB(6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운로드 암호가 일치하면, 해당하는 단체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한다(S619).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기종을 주소록 DB(600)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추출한 단체 주소록의 포맷을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S621). 예컨대,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에 홈페이지 주소를 기록하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한 단체 주소록에서 홈페이지 주소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S613 단계에서 수신한 이동통신단말(100) 내부 주소록의 잉여 용량을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623).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단체 주소록을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으면, 상기 변환한 단체 주소록 전부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625).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개인별 오디오, 동영상, 사진 등의 파일을 상기 단체 주소록에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단체 주소록에 첨부된 파일을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100)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에,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단체 주소록을 전부 수용할 수 없으면,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포함된 개별 주소록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pop-up) 창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627).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개별 주소록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그 선택된 개별 주소록을 토대로 상기 단체 주소록의 일부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629, S631).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선택된 개별 주소록에 포함된 오디오, 동영상, 사진 등의 파일을 첨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은 전송한다. 또한,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정보 및 다운로드 일시를 저장한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타 사용자에게 단체 주소록을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콜백 URL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로 단체 주소록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소록 서버(500)는 특정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타인의 이동통신단말(100)로의 단체 주소록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S701). 이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과 전송되는 목적지인 착신측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수신한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을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귀속되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703, S705). 상기 문자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송하고자 하는 단체 주소록 정보가 포함되며, 문자 메시지의 일례로는 "xxx 고객님께서 xxx 단체의 주소록을 전송하였습니다. 단체 주소록 다운로드를 원하시면 통화 버튼을 입력하여 주십시오."와 같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주소록 잉여 용량이 포함된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707).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다운로드 요청된 단체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서 추출한다(S709). 이어서,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기종을 주소록 DB(600)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추출한 단체 주소록의 포맷을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S711).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S707 단계에서 수신한 이동통신단말(100)의 주소록 잉여 용량을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713).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단체 주소록을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으면, 상기 변환한 단체 주소록 전부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715). 그리고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정보, 다운로드 일시가 포함된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반면에,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단체 주소록을 전부 수용할 수 없으면,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 용량 부족으로 인하여 단체 주소록을 전송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 다(S717). 또는, 주소록 서버(500)는 도 6의 S627 단계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포함된 개별 주소록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pop-up) 창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 선택된 개별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콜백 URL을 통해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 요청한 이동통신단말(100)로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도 6의 S611 단계 내지 S615 단계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단체 주소록을 추출하여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변경된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반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소록 서버(500)는 단체 주소록을 등록한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상기 단체 주소록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거나, 웹 서버(300-N)로부터 변경된 회원정보를 수신한다(S801).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변경된 정보를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에 반영한다(S803). 즉, 주소록 서버(500)는 사용자의 의해 등록된 단체 주소록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변경되면, 그 변경된 정보를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에 반영한다. 또는, 주소록 서버(500)는 웹 서버(300-N)로부터 변경된 회원정보를 수신하면, 그 변경된 회원정보가 귀속되는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을 갱신하여 상기 변경된 회원정보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반영되게 한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이 변경되었음을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단체 주소록에 소속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그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00)로 단체 주소록의 갱신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805). 즉, 주소록 서버(500)는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각각의 단체 주소록의 변동 사항을 모니터링하여, 특정 단체 주소록에 변경 사항이 감지되면, 상기 변동 사항 발생한 단체 주소록의 구성원 정보를 추출하여, 그 구성원들의 이동통신단말(100)로 상기 단체 주소록의 갱신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문자 메시지에는 단체 주소록 갱신을 위한 콜백 URL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그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00)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 즉,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단체 주소록에 귀속되지만 그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00)로 다운로드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문자 메시지가 포함된 콜백 URL을 통해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한다(S807). 그러면,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단말 모델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에서 적용되는 포맷으로 상기 갱신된 단체 주소록을 변환한다(S809). 이어서, 주소록 서버(500)는 갱신된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에 저장된 단체 주소록과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을 일치시킨다(S811). 바람직하게, 주소록 서버(500)는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전송하지 않고, 변경된 주소록 정보만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을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단체의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특정 개인이 새로운 단체에 가입하게 된 경우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그 단체의 구성원들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이동통신단말(100)에 입력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의 잉여 용량을 확인하고, 그 잉여 용량에 따라 단체 주소록 전부를 전송하거나 일부를 전송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내부 주소록의 용량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특정 주소록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의 블로그, 동창회 사이트, 커뮤니티, 특정 회사의 사이트 등과 연동하여,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고 그 단체 주소록을 회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모임, 단체의 정보를 손쉽게 공유하고 배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와 연동하여 단체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주소록 서버(500)는 개인별 주소록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예컨대, S사의 Tworld 서버, K사의 magicn 서버, L사의 ezi 서버)와 연동하고, 그 사업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소록 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단체 주소록을 갱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소록 서버(500)는 각각의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500)는 회원정보 획득부(510), 주소록 생성부(520), 인증부(530), 주소록 제공부(540), 변환부(550) 및 주소록 감시부(560)를 포함한다.
회원정보 획득부(510)는 회원정보 공유에 대한 협약을 맺은 인터넷의 웹 서버(300-N)로부터 다수의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그 회원정보에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그룹별로 분류한다. 즉, 회원정보 획득부(510)는 인터넷 웹 서버(300-N)로부터 가입자 성명, 가입자 ID, 닉네임, 가입된 카페 또는 블로그 정보, 회사와 부서명, 이동통신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생일, 동영상, 사진, 오디오, 스케줄, 메모, 게임 등의 회원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중에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아울러, 회원정보 획득부(510)는 추출한 다수의 회원정보 데이터를 회사와 부서명 또는 커뮤니티명을 토대로 그룹별로 분류한다.
주소록 생성부(520)는 상기 회원정보 획득부(510)에서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한 회원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이때, 주소록 생성부(520)는 상기 생성된 단체 주소록별로 식별 가능한 그룹명(즉, 단체 주소록 ID)을 부여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주소록 생성부(520)는 그룹으로 분류시킨 기준이 되는 부서명 정보 또는 커뮤니티명 정보를 토대로 식별 가능한 그룹명(즉, 단체 주소록 ID)을 부여한다.
또한, 주소록 생성부(520)는 특정 개인으로부터 단체 주소록을 등록받아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주소록 생성부(520)는 특정 개인의 범용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단체 주소록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개인의 범용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단말(100)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여, 이에 따라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주소록 DB(600)에 저장한다. 이때, 주소록 생성부(520)는 상기 개인의 범용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 단체 주소록 데이터 및 다운로드 암호가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토대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주소록 생성부(520)는 상기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 선택을 상기 개인에게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되는 경우에 상기 개인에게 단체 주소록을 그룹명의 재선택을 요청한다.
한편, 주소록 생성부(520)는 단체 주소록을 등록한 사용자의 범용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상기 단체 주소록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거나, 웹 서버(300-N)로부터 변경된 회원정보를 수신하면, 변경된 정보에 해당하는 단체 주소록의 정보를 주소록 DB(600)에 반영한다.
인증부(530)는 주소록 제공부(5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100)의 인증을 요청받으면, 그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될 단체 주소록의 그룹명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를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귀속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1차 인증한다. 아울러, 인증부(530)는 1차 인증에 성공하면, 이동통신단말(100)로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주소록 DB(600)를 통해 확인된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와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다운로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2차 인증한다. 인증부(530)는 이동통신단말(100)이 1차 인증 및 2차 인증 중 어느 하나에 실패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인증 실패에 따른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불가를 통보한다. 반면에, 인증부(530)는 이동통신단말(100)이 1차 인증과 2차 인증에 모두 성공하면, 그 인증 성공 사실을 주소록 제공부(540)로 알린다.
주소록 제공부(54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100)로의 단체 주소록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인증부(530)로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요청된 단체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에 추출하여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주소록 제공부(540)는 변환부(550)로 상기 단체 주소록의 포맷 변환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특히, 주소록 제공부(540)는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 잉여 용량을 획득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이 상기 포맷 변환된 단체 주소록 전부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소록 제공부(54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 잉여 용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이동통신단말(100)로 개별 주소록 선택을 요청하여, 이에 따라 선택된 개별 주소록만을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소록 제공부(540)는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단체 주소록 갱신을 요청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에 저장된 단체 주소록을 주소록 DB(600)의 단 체 주소록으로 업데이트하여, 이동통신단말(100)의 내부 주소록에 저장된 단체 주소록과 주소록 DB(600)의 단체 주소록을 일치시킨다.
변환부(550)는 주소록 제공부(540)로부터 단체 주소록의 포맷 변환을 요청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100)의 기종을 주소록 DB(600)를 통해 확인하여 그 이동통신단말(100)에서 사용되는 내부 주소록으로 상기 추출된 단체 주소록의 포맷을 변환한다.
주소록 감시부(560)는 주소록 DB(600)에 저장된 각각의 단체 주소록의 변동 사항을 모니터링하여, 특정 단체 주소록에 변경 사항이 감지되면 상기 변동 사항 발생한 단체 주소록에 소속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아울러, 주소록 감시부(560)는 추출한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체 주소록이 변경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100)로 단체 주소록의 갱신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문자 메시지에는 단체 주소록 갱신을 위한 콜백 URL이 포함된다.
한편, 주소록 서버(500)에서 의해 생성된 단체 주소록은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메신저 서버, 이메일 서버,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범용 컴퓨터 등으로 전송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체 주소록은 메신저 서버로 전송되어 특정 사용자의 버디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으며, 아웃룩 익스프레스 등의 이메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범용 컴퓨터로 전송되어 상기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주소록에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체 주소록은 웹 메일을 제공하는 이메일 서버에 전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일 서버의 가입자는 상기 단체 주소록을 이용하여 해당 단체의 구 성원들에게 편리하게 이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에게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인터넷 웹 서버로부터 회원정보를 획득하여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웹 서버의 회원정보에서 추출한 주소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DB에 저장된 단체 주소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특정 개인에 의해 생성된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이동통신단말로 단체 주소록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콜백 URL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로 단체 주소록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에서 변경된 단체 주소록을 이동통신단말의 주소록에 반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단말 200 : 범용 컴퓨터
300 : 웹 서버 500 : 주소록 서버
510 : 회원정보 획득부 520 : 주소록 생성부
530 : 인증부 540 : 주소록 제공부
550 : 변환부(550) 560 : 주소록 감시부
600 : 주소록 DB

Claims (12)

  1. 복수의 회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주소록 서버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그룹명, 회원명,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회원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동통신단말로의 특정 단체 주소록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가된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e) 상기 인증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다운로드 허가된 단말이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출된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한 회원정보에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 계;
    상기 추출된 회원정보 데이터를 회사명 또는 커뮤니티명을 토대로 그룹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각각의 단체 주소록에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그 단체 주소록의 식별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속하는지 여부를 1차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대해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한 다운로드 암호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운로드 암호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주소록 잉여 용량을 획득하고, 그 잉여 용량을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수용할 수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주소록 정보의 선택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개별 주소록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모델명에 근거하여, 상기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적용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상기 단체 주소록의 변경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결과 상기 단체 주소록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7. 복수의 회원들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 여 사용자에게 단체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소록 장치로서,
    다수의 단체 주소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그룹명, 회원명,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그룹별로 분류하는 회원정보 획득부;
    상기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소록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동통신단말로의 특정 단체 주소록 전송을 요청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허가된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다운로드 허가된 단말이면,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주소록 제공부;를 포함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정보 획득부는, 상기 수신한 회원정보에서 단체 주소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렇게 추출한 회원정보 데이터를 회사명 또는 커뮤니티명을 토대로 그룹별로 분류하고,
    주소록 생성부는, 상기 분류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단체 주소록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단체 주소록에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단체 주소록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그 단체 주소록의 식별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단체 주소록에 속하는지 여부를 1차 인증하고, 상기 1차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대해 상기 단체 주소록의 다운로드 암호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다운로드 암호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운로드 암호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2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제공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주소록 잉여 용량을 획득하고, 그 잉여 용량을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체 주소록 전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수용할 수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주소록 정보의 선택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개별 주소록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모델명에 근거하여, 상기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적용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체 주소록의 변동 여부를 감시하여 변동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상기 단체 주소록의 변동 사항을 통보하는 주소록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록 제공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단체 주소록의 업데이트를 요청받아 상기 변동된 단체 주소록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90055960A 2009-06-23 2009-06-23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1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60A KR101113936B1 (ko) 2009-06-23 2009-06-23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60A KR101113936B1 (ko) 2009-06-23 2009-06-23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56A true KR20100137756A (ko) 2010-12-31
KR101113936B1 KR101113936B1 (ko) 2012-03-05

Family

ID=4351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60A KR101113936B1 (ko) 2009-06-23 2009-06-23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9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388A (ko) * 2012-07-05 2014-01-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조직정보에 기반한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그 조직정보관리서버, 디렉토리관리서버, 통신서비스서버 및 그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US9420435B2 (en) 2011-09-01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managing groups in address book
KR20170014761A (ko) * 2015-07-31 2017-02-08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보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32B1 (en) * 2002-05-21 2003-10-08 Neowiz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online address book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100689545B1 (ko) 2004-06-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변경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와 방법
KR100838993B1 (ko) 2006-07-24 2008-06-17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번호부 온라인 공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0435B2 (en) 2011-09-01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managing groups in address book
KR20140006388A (ko) * 2012-07-05 2014-01-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조직정보에 기반한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그 조직정보관리서버, 디렉토리관리서버, 통신서비스서버 및 그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014761A (ko) * 2015-07-31 2017-02-08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보 제어방법
KR101880341B1 (ko) * 2015-07-31 2018-07-19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보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936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416B1 (ko) 검색 동작을 위한 방법, 장치, 제조물 및 무선 노드
US7774409B2 (en) Providing common contact discovery and management to electronic mail users
AU2008237538B2 (en) Open platform for managing an agent network
CN1705946B (zh) 用于同步身份信息的方法和系统
US11159664B2 (en) Method of identifying contacts for initiating a commun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US200401815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teraction
US201400894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data among multiple end user devices
SG185479A1 (en) Communication device,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istribution data processing program
KR20110021995A (ko) 사회적 관계 정보 활용에 의한 컨텐츠 이용 할당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1888648B1 (ko) 주소록에서 자동으로 그룹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1617308A (zh) 用于共享媒体对象的方法和设备
CN101374148A (zh) 博客好友权限管理方法及系统
WO2017214212A1 (en) Dynamic outgoing message modification
KR101116534B1 (ko) 원거리 데이타 베이스에서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하는 방법
KR101113936B1 (ko) 통신망에서 단체 주소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387663B2 (en)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mitting an electronic file
KR101695325B1 (ko) 효율적인 모임 진행을 위한 일정 공유 및 알림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10000822A (ko)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101198A (ko) 전자명함 송수신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124668A (ko) 웹 상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070065274A (ko) 웹사이트를 통한 파일의 초간편 전송과 공유및 저장방법
JP2020166544A (ja) 電子メールチェックシステム、チェック装置及び電子メールチェック方法
KR20170072620A (ko) 추상화 정보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EP2741477B1 (en) Method Of Identifying Contacts For Initiating A Commun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JP2004080541A (ja) 電子メール転送システム、中継サーバ、該中継サーバの転送方法、登録プログラム、変換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