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748A -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 Google Patents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748A
KR20100137748A KR1020090055950A KR20090055950A KR20100137748A KR 20100137748 A KR20100137748 A KR 20100137748A KR 1020090055950 A KR1020090055950 A KR 1020090055950A KR 20090055950 A KR20090055950 A KR 20090055950A KR 20100137748 A KR20100137748 A KR 2010013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bl
nrf
disease
hepatitis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152B1 (ko
Inventor
고종희
연승우
박은경
유정수
백남인
강재훈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5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 4-dihydroxybenzalacetone (이하 DBL로 명칭)의 항산화 단백질 Nrf-2의 활성 증진 및 간염 억제 활성에 대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발명에 따른 DBL은 항산화 단백질 Nrf-2의 활성을 증대시켜, 활성산소에 의한 각종 질병과 노화 방지 및 면역력을 높여 이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간염 억제 활성으로 간염 치료제, 예방제 및 간 보호제로 사용할 수 있다.
3, 4-dihydroxybenzalacetone (DBL), 항산화 단백질, Nrf-2, 간염치료제, 간 보호제, GOT, GPT

Description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3, 4-dihydroxybenzalacetone for the activation of antioxidant protein Nrf-2,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patitis or liver protection}
본 발명은 Nrf-2의 활성을 생체 내에서 증진시키고, 간염활성 억제 효과가 있는 DBL를 제공하는 것이다.
NF-E2 related factor 2 (Nrf-2)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생체 이물 (xenobiotic)의 해독 역할을 하는 phase II 효소라 불리는 일련의 단백질을 조절하는 주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Phase II 효소에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NAD(P)DH:quinine oxidoreductase 1 (NQO1), glutamyl-cysteinyl ligase (GCL), heme oxygenase (HO1)과 thioredoxin reductase 1 (TXNRD1)가 알려져 있다. Anti-oxidant responsive element (ARE)라고 불리는 공통적인 염기 서열이 이들 phase II 효소의 각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있으며 이들 발현이 전사인자인 Nrf-2에 의해 조절된다. Nrf-2는 Keap1과 결합한 형태로 세포질에 존재하며 프로테아좀 단백질 분해 기작 (proteasomal degradation)에 의해 분해되 지만 (Chem. Res. Toxicol., 2005, 18, 1779-1791), 활성 산소, 15-deoxy-delta 12, 14-prostaglandin J2, dithiolethiones 및 triterpenoids 등에 노출되면 Keap1과 분리되어 핵 내로 이동하여 다른 전사 인자와 함께 위에서 언급된 여러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J. Biol. Chem. 2003, 278, 8135-8145; Proc. Natl. Acad. Sci. USA. 2004, 101, 6379-6384; Arch. Biochem. Biophys. 2006, 454, 7-15).
이와 같이 Nrf-2의 활성 증진을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대한 보호는 활성 산소에 의한 노화와 관련된 만성 질환의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중추 신경계질환, 피부 질환, 눈 질환, 천식과 암) 발병을 예방하거나 늦추는데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Biomed. Pharmacother. 2003, 57, 251-260), 실제로 브로콜리를 비롯한 여러 채소에 포함되어 있는 sulforaphane는 Nrf-2의 활성 증진 물질로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Nrf-2의 활성 증진을 통해 고혈압 (Proc. Natl. Acad. Sci. USA., 2004, 101, 7094-7099), 염증 (Proc. Natl. Acad. Sci. USA., 2004, 101, 7094-7099), 노화 관련 시력 감퇴 (Proc. Natl. Acad. Sci. USA., 1994, 89, 10446-10451), 암 (Proc. Natl. Acad. Sci. USA., 1994, 89, 2399-2403; Carcinogenesis. 2000, 21, 2287-2291)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늦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ulforaphane이 Nrf2 활성을 증진하여 외상 후 뇌 손상에 의한 지적 이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Neurocsci. Lett., 2009, 460, 103-107; J. Neurotrauma, 2009, Epub ahead of print), 이외에도 Nrf-2의 활성 증가가 신경 세포를 보호하여 파킨슨병과 헌팅턴병과 같은 뇌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보고(PLoS one, 2009, 4, e5757)와 cisplatin에 의한 신장 독성 (Biochem. Pharmacol., 2008, 76, 597-607), acetaminophen에 의한 간 손상 (Toxicol. Appl. Pharmacol., 2009, 236, 109-114)과 급성 염증성 간 손상도 보호한다고 보고되었다. 간의 염증성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정상 실질 세포 (parenchymal cell)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파괴가 간염과 만성 간염 질환으로 급성 염증성 간 손상을 유도하는데 Nrf-2에 의해 조절되는 적응반응 (adaptive response)은 염증성 산화적 손상과 염증성 산화환원 신호전달계 (proinflammatory redox-sensitive signaling)을 보호함으로써 염증을 약화시킨다. 실제로, Nrf-2의 활성을 증가시킨 쥐에 급성 염증성 간 손상을 유발시켰을 때 그 손상 정도를 줄여 염증으로 인한 간세포 괴사를 막아 급성 염증성 간 손상을 보호 한다고 보고되었다 (Toxicol. Sci. 2008, 104, 218-227).
간은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들어온 독성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고 생체 외 물질의 대사 등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간은 영양소 외에도 많은 독성 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크고 다른 장기보다 손상 받을 가능성이 크다.
간 질환연구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간 질환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 및 D-갈라토스아민 (D-Galactosamine; 이하 D-Gal로 약칭함)과 지질다당체 (Lipopolysaccharide; 이하 LPS로 약칭함)로 유도된 급성간염모델이 개발되어 간 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D-gal/LPS로 유도된 간 손상 모델은 실제 대부분의 간 질환 발병 기전과 유사하게 면 역 반응의 활성화를 통해 간 손상을 유발하므로 간 질환 치료 및 예방제 개발에 적합한 동물모델이다 (Hepatology, 1999, 30, 151-159). D-gal/LPS로 유도된 급성 간염모델에서 D-gal은 간세포에서 RNA와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LPS에 의한 간 독성을 극대화시키며, LPS는 간의 마크로파이지인 쿠퍼 (Kupffer) 세포의 사이토카인 (cytokine), 일산화질소 (NO), 활성산소의 분비 및 합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과량 생성된 일산화질소 (NO)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괴사인자 알파 (TNF-α)가 패혈증 또는 급성간염을 일으키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실제로 TNF-α가 생체 내 (in vivo) 및 시험관 내 (in vitro) 간세포 사멸을 일으킨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Am. J. Physiol. Regulatory Integrative comp Physiol., 2000, 278, R1196-R1201). 이와 같이 D-gal/LPS로 유도된 급성 간 손상은 혈중에 간조직에서 유리된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를 증가시키므로 이들 지표를 감소시키는 약물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간 기능을 보호하여 간염 발생을 예방하거나 간염을 치료할 수 있는 약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Boiirg. Med. Chem., 1997, 7, 2193-2198; Eur. J. Pharmacol., 1999, 368, 245-250).
DBL은 차가 버섯(Inonotus obliquus (persoon) Pilat : 러시아에서는 chaga라 불림) 추출물의 성분으로 항산화 요소 중 하나로 보고되었지만 (Chem. Pharm. Bull. 2007, 55, 1222-1226), 아직 그 역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최근 일부 발혀진 DBL의 작용 기전으로는IκBα kin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nuclear factor-κB를 억제해 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세포 증식과 전이를 억제한다 는 것 (Mol. Cancer Ther. 2008, 7, 191-201)과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에서 [3H]estradiol이 결합하는 nuclear type II site에 경쟁적으로 결합함으로써 c-Myc와 cyclin D1의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저해하여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 (Steroids 2006, 71, 865-87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 내에서 Nrf-2 활성을 증진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 중 DBL이 세포 내에서 Nrf-2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Nrf-2의 하위 단백질인 HO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D-gal/LPS로 유도된 간염 모델에서 혈중 GOT와 GPT를 대조군에 비해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Nrf-2 활성을 증진을 통하여 각종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고 우수한 간염활성 억제 효과를 보이는 DBL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BL의 Nrf-2의 활성 증진, 간염의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 기능을 밝혀내고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DBL이 Nrf-2의 전사 인자로서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을 in vitro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Nrf-2의 조절을 받는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존재하는 ARE 염기 서열에 결합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HepG2 세포에서 DBL이 Nrf-2의 하위 단백질 중 하나인 HO1 발현을 농도별로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DBL이 Nrf-2가 ARE 염기 서열에 결합하는 활성을 증가시켜 하위 단백질 HO1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한다. DBL이 Nrf-2가 Keap1과의 분리되어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을 촉진함을 확인하기 위해 DBL 처리 후 핵 내 Nrf-2 단백질을 측정한다.
In vivo에서도 DBL이 Nrf-2 활성을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쥐에 DBL을 경구 투여하고 3 시간 뒤에 간에서 HO1 발현을 관찰한다. 증가한 HO1 발현에 의해 D-gal/LPS로 유발된 간 손상 보호 여부를 GPT 및 GOP를 측정함으로써 관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BL은 IκBα kin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nuclear factor-κB를 억제해 세포 사멸을 증가시키고, 세포 증식과 전이를 억제한다는 것 (Mol. Cancer Ther. 2008, 7, 191-201)과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에서 [3H]estradiol이 결합하는 nuclear type II site에 DBL이 경쟁적으로 결합함으로써 c-Myc와 cyclin D1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저해하여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DBL이 Nrf-2의 활성를 증가시키는 것과 간염 치료 및 예방과간 보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어느 문헌에도 보고되거나 제안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DBL이 Nrf-2의 활성을 증진 및 간염 치료, 예방과 간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DBL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DBL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가 추가된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 모든 형태의 식품에 대한 조성물을 포함하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정제, 산제, 캡슐 및 음료 등의 형태로 제공 될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 또는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투여될 수 있고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DBL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5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DBL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DBL를 Nrf-2 증진제 또는 간염 치료, 예방 및 보호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BL은 Nrf-2의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D-gal/LPS로 유도된 급성 간염모델에서의 치료 효능이 탁월하므로, Nrf-2의 활성 증가를 통해 치료, 예방 될 수 있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과 간염의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은 Nrf-2의 활성 증진자이자,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 보호제 로 사용될 수 있는 DBL (도1)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Reporter assay system을 이용한 Nrf-2 활성 측정
Nrf-2가 결합하는 ARE가 포함된 reporter vector인 pLenti-bsd/ARE-bla CellSensorTM vector (Invitrogen, CA, USA)로 Nrf-2 활성을 측정했다. 활성 측정을 위해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를 Nrf-2가 결합하여 하위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는 promter 염기서열 중 일부인 ARE 서열을 포함하고 이 서열에 Nrf-2가 결합 후 발현이 유도되는 β-lactamase 유전자가 이어서 결합된 pLenti-bsd/ARE-bla CellSensorTM vector로 형질전환 시킨 ARE-bla-HepG2 세포주를 만들었다. Black-well/ clear-bottom/ 96-well plate에 ARE-bla-HepG2 세포를 3X105 개 씩 분주하고 5 시간 후, DB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BL에 의해 Nrf-2가 활성화로 발현이 유도된 β-lactamase의 활성을 Live- BLAzerTM-FRET B/G loading kit (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질인 CCF4-AM과 Solution B와 Solution C를 섞어 6X loading solution을 만들어 각 well에 1X가 되 도록 넣어주고 2 시간 동안 암 상태에서 방치 후 409 nm에서 excitation을 주고 기질 emission 파장인 530 nm와 생산물 emission 파장인 460 nm에서 각각 측정한 후 blank 값을 빼주어 생성된 기질의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BL의 Nrf-2 활성 증진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값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530 nm에서 측정한 값으로 460 nm에서 측정한 값을 나눠준 후 처리군에 나온 값과 무처리군에서 나온 값의 비를 구하였다 (n=3, 평균 ± 표준편차). 결과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DBL 2.5 μM 이상 처리 시 무처리군에 비해 Nrf-2 활성이 2 배 이상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 예 2. DBL이 세포 내 HO1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효과 측정
HepG2 세포를 6-well plate에 1X106/well로 분주한 후, 37 ℃, 5 % CO2 배양기에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DBL을 2 ml 배지에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20 ㎕씩 처리하였다. 16 시간 동안 37 ℃, 5 % CO2 배양기에 배양 후 세포를 회수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Na3VO4와 protease inhibitor가 첨가된 TEN buffer (50 mM Tris-HCl, pH7.6, 150 mM NaCl, 2 mM EDTA, 1% Triton X-100)로 단백질을 추출한 후 BCA 정량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HO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100 ㎍ 단백질을 12 % SDS-PAGE gel에서 분리한 후 PVDF membrane으로 transfer하고 5 % skim milk로 10 분간 blocking하여 anti-HO1 antibody (Stressgen, MI, USA)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6.2 μM DBL 이상에서 HO1 단백질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3).
실시 예 3. DBL이 HepG2 세포에서 Nrf-2의 핵으로 이동에 미치는 효과 측정
HepG2 세포를 100 mm dish에 well마다 4X106 개씩 분주한 후 하루 동안 37 ℃, 5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100 % 메탄올에 녹인 DBL과 Nrf-2의 대표적인 활성 물질인 tBHQ를 각각 50 μM, 100 μM로 처리하고 한 시간 뒤에 Nuclear extraction kit (Active motif, CA, USA)을 사용하여 핵 단백질과 세포질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각 분리된 단백질 25 ㎍을 SDS-PAGE gel에서 분리한 후 PVDF membrane으로 transfer하고 5 % skim milk로 10 분간 blocking하고 anti-Nrf-2 antibody (Santa Cruz, CA, USA)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anti-Lamin A antibody(Cell signaling technology, MA, USA)를 이용하여 핵 단백질이 동량임을 확인하였으며,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여 전체 Nrf-2 단백질량에는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BL을 50 μM 이상 처리 시 핵 내의 Nrf-2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4).
실시 예 4. DBL이 in vivo에서 HO1 mRNA와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효과 측정
DBL의 in vivo 활성을 관찰하고자 8 주령 C57/BL6인 수컷 쥐를 오리엔탈바이 오 (Gyongki,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사육실 온도가 23±1 ℃, 습도는 50±10 %가 되도록 유지하였고, 명암은 12 시간으로 (day light 08:00~ 20:00)을 주기로 하여 2 주일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착수하였다. 실험군은 50 % PEG400 투여군, 대조 시약인 sulforaphane 투여군, 약물인 DBL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흡수를 돕기 위해 절식한 쥐에 50% PEG400에 녹인 sulforaphane는 90 mg/kg, DBL은 90, 180 mg/kg가 되도록 각 4 마리에 경구투여하고 부형제 투여군 역시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투여 3 시간 후, 쥐를 희생시키고 간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은 바로 액체 질소에 냉동시킨 후, -70 ℃에서 사용시까지 보관하였다. 적출한 간 조직은 Na3VO4와 protease inhibitor가 첨가된 TEN buffer (50 mM Tris-HCl, pH7.6, 150 mM NaCl, 2 mM EDTA, 1% Triton X-100)로 단백질을 추출한 후 BCA 정량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HO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100 ㎍ 단백질을 12 % SDS-PAGE gel에서 분리한 후 PVDF membrane으로 transfer하고 5 % skim milk로 10 분간 blocking하여 HO1 (Stressgen, MA, USA)과 β-actin antibody(Cell signaling technology, CA, USA)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적출한 간의 일부는 One-step RNA reagent (바이오세상, Gyongki, Korea)를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고 M-MLV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WI, USA)를 이용하여 cDNA를 만든 후 HO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PCR을 시행하였다. Normalization을 위해 GAPDH의 발현량도 함께 관찰하였다. HO1 mRNA 발현 확인 시험은 25 cycles, predenaturation은 94℃에서 3 분, denaturation은 94℃에서 40 초, annealing은 60 ℃에서 40 초, elongation은 72 ℃에서 50 초, post-elongation은 72 ℃에서 5 분간 시행하였으며 HO1 primer로는 5'-CCCACCAAGTTCAAACAGCTC-3' (sense)와 5'-AGGAAGGCGGTCTTAGCCTC-3' (anti-sense)를 사용하였다. PCR product는 1.5 %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180 mg/kg로 DBL를 경구 투여한 군의 간에서 3 시간 내에 HO1 mRNA 발현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도5), HO1 단백질 발현은 90 mg/kg에서 동량의 sulforaphane과 유사하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6).
실시예 5. D-Gal/LPS로 유도된 급성 간 손상 모델 시험
8 주령된 실험용 쥐 C57/BL6를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키고,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실험군은 부형제군과 약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n=3). 실험군의 약물 농도는 180 mg/kg 용량을 D-gal/LPS 투여 48, 24와 2 시간 전에 경구 투여한 다음 D-gal (700 mg/kg) 및 LPS (10 ㎍/kg)를 차례로 복강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부형제군은 약물 대신 동량의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였다. 투여 6 시간 경과 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3,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취하여 영하 20 ℃에서 보관하였다가 혈중 GOT 및 GPT를 측정하기 위하여 키트 (Cromatest, Spain)를 이용하여, 자동건조 화학 분석기 (A25 analyzer, Biosystems, Spain)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물질인 DBL은 D-gal/LPS로 유발된 간염 쥐에서 GOT 및 GPT 수치를 40 % 이상 감소시켜 간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p < 0.05)(도7).
본 발명에 따라서, DBL은 in vitroin vivo 모두에서 Nrf-2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으며, 또한 D-gal/LPS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 및 독성을 보호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DBL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DBL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 조한다.
<제제예 3> 주사제의 제조
DBL 1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93 ㎎
Na2HPO4·12H2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4> 건강 식품의 제조
DBL 5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건강 음료의 제조
DBL 100㎎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DBL의 구조식을 보여준 것이다.
도 2는 DBL에 의해 Nrf-2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측정한 것이다 (n=3, 평균±표준편차).
도 3은 DBL에 의해 HepG2 세포에서 HO1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측정한 것이다.
도 4는 DBL에 의해 HepG2 세포에서 Nrf-2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측정한 것이다.
도 5는 DBL을 경구 투여했을 때, 실험쥐의 간에서 HO1 mRNA가 증가하는 것을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DBL을 경구 투여했을 때, 실험쥐의 간에서 HO1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을 측정한 것이다.
도 7은 D-gal/LPS로 유도된 간염모델에서 DBL에 대한 GPT 및 GOT를 측정한 것이다.

Claims (4)

  1. Nrf-2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치료,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는 질병 또는 상태의 치료,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DBL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Nrf-2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치료,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는 질병 또는 상태가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중추 신경계질환, 피부 질환, 눈 질환, 천식, 암, 염증, 시력감퇴, 간 손상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DBL을 함유하는 간염의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BL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산제, 정제, 주사제, 건강 식품캡슐 또는 건강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투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20090055950A 2009-06-23 2009-06-23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KR10118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50A KR101184152B1 (ko) 2009-06-23 2009-06-23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50A KR101184152B1 (ko) 2009-06-23 2009-06-23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48A true KR20100137748A (ko) 2010-12-31
KR101184152B1 KR101184152B1 (ko) 2012-09-18

Family

ID=4351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50A KR101184152B1 (ko) 2009-06-23 2009-06-23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19B1 (ko) * 2012-10-19 2015-06-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rf2 활성화능을 갖는 신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19B1 (ko) * 2012-10-19 2015-06-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rf2 활성화능을 갖는 신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152B1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Nigris et al. The influence of pomegranate fruit extract in comparison to regular pomegranate juice and seed oil on nitric oxide and arterial function in obese Zucker rats
US8029830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internal health and external appearance
M de Figueiredo et al.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isothiocyanates: a review
Park et al. Dehydrocostuslactone inhibits LPS-induced inflammation by p38MAPK-dependent induction of hemeoxygenase-1 in vitro and improves survival of mice in CLP-induced sepsis in vivo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101131675B1 (ko)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5848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519455A (ja) 脂質および/または骨密度の調節ならびにそのための組成物
CN112584830A (zh) 包含结合到金属离子中的离子化合物的肿瘤治疗用药学组合物
KR20110007978A (ko) 콜포신 다로페이트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4152B1 (ko) 항산화 단백질 엔알에프-2의 활성 증진, 간염 치료 및 예방 또는 간 보호에 유용한 3, 4-디히드록시벤잘아세톤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RU2763021C2 (ru) Лекарственные экстракты растений амброзии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985292B2 (ja) Trpv4活性抑制剤
KR101848171B1 (ko)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청미래덩굴 뿌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230931A2 (ko)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5519B1 (ko) 삼릉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0359A (ko) 네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2097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328282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образования метастазов и повыш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сенсибилизации) опухолей к хим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м препаратам
RU2780016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содержащая ион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меющее связь с ионом металла
KR101320974B1 (ko) 신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4264B1 (ko) 익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327811A1 (en) Anticancer composition inducing cell senescence and cell d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