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732A -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732A
KR20100137732A KR1020090055929A KR20090055929A KR20100137732A KR 20100137732 A KR20100137732 A KR 20100137732A KR 1020090055929 A KR1020090055929 A KR 1020090055929A KR 20090055929 A KR20090055929 A KR 20090055929A KR 20100137732 A KR20100137732 A KR 20100137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transparent sheet
pattern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진
Original Assignee
이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진 filed Critical 이규진
Priority to KR102009005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732A/ko
Publication of KR2010013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는, 제 1 문자패턴을 갖는 제 1 투명시트; 상기 제 1 투명시트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문자패턴에 대응하는 제 1 광투과 패턴을 갖는 제 1 광차단시트; 상기 제 1 광차단시트 위에 적층되고 제 2 문자패턴을 갖는 제 2 투명시트; 및 상기 제 2 투명시트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광투과패턴과 상기 제 2 문자패턴에 대응하는 제 2 광투과패턴을 갖는 제 2 광차단시트를 포함하며, 스위칭에 의해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투명시트에 광이 공급되거나, 다른 측면으로부터 제 2 투명시트에 광이 공급된다.
키패드, LED, 발광, 휴대폰

Description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Keypad Assembly for Touchpad}
본 발명은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스위칭에 의해 서로 다른 자판 배열을 제공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개인단말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도 소형화되고 있다.
키패드는 숫자, 영문자, 국문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을 한꺼번에 나타내려면 키패드의 사이즈가 증가하기 때문에 스위칭에 의해 어느 한 종류의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키패드를 다수의 분리된 접촉부로 구성하고, 각 접촉부마다 대응하는 숫자, 영문자 및 국문자를 할당하여 표시하였다.
그러나, 문자와 숫자가 백라이트에 의해 표시되는 터치패드의 경우,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문자와 숫자가 한꺼번에 표시되어 시인성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숫자를 선택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다수의 문자와 숫자를 구비하면서도 시인성이 우수하고 문자나 숫자의 선택이 용이한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제 1 문자패턴을 갖는 제 1 투명시트; 상기 제 1 투명시트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문자패턴에 대응하는 제 1 광투과 패턴을 갖는 제 1 광차단시트; 상기 제 1 광차단시트 위에 적층되고 제 2 문자패턴을 갖는 제 2 투명시트; 및 상기 제 2 투명시트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광투과패턴과 상기 제 2 문자패턴에 대응하는 제 2 광투과패턴을 갖는 제 2 광차단시트를 포함하며, 스위칭에 의해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투명시트에 광이 공급되거나, 다른 측면으로부터 제 2 투명시트에 광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의 측면과 다른 측면은 상호 반대로 대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문자패턴 중 일부는 상기 제 1 문자패턴과 중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시트에 공급되는 광은 LED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키패드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다수의 문자와 숫자를 구비하면서도 시인성이 우수하며,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를 용이하게 선 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키패드 어셈블리(1)는 투명시트(10), 광차단시트(20), 투명시트(30), 및 광차단시트(40)가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어셈블리의 대향하는 양단에 각각 LED와 같은 백라이트(101, 102)가 위치한다.
투명시트(10, 30)와 광차단시트(20, 40)는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로 만들어지며, 대략 0.1t 내지 1t의 두께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시트(10)는 시트 본체(11)와 일측에 부착된 차단편(12)으로 구성되며, 시트 본체(11)에는 문자패턴(13, 14)이 증착된다. 이 실시 예에서 문자패턴(13, 14)은, 가령 아라비아 숫자와 특수기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문자패턴(13, 14)은 스모그 인쇄로 형성할 수 있다.
광차단시트(20)는 광투과패턴(22, 23)을 제외하고 모두 광차단 도료가 도포된 시트 본체(2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광투과패턴(22, 23)은 각각 투명시트(10)의 문자패턴(13, 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투명시트(30)는 시트 본체(31)와 일측에 부착된 차단편(32)으로 구성되며, 시트 본체(31)에는 문자패턴(33, 34)이 증착된다. 이 실시 예에서 문자패턴 (33, 34)은, 가령 영문자와 기능기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문자패턴(33, 34)은 스모그 인쇄로 형성할 수 있다.
광차단시트(40)는 광투과패턴(42, 43)을 제외하고 모두 광차단 도료가 도포된 시트 본체(4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광투과패턴(42, 43)은 각각 투명시트(10)의 문자패턴(13)과 투명시트(30)의 문자패턴(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광차단시트(40)에는 투명시트(10, 30)에 형성된 문자패턴 모두에 대응하는 광투과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의 조립과 동작에 대해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판(100) 위에 구동모듈(110)이 실장되고, 그 위에 도 1에 나타낸 적층 구조의 키패드 어셈블리(1)가 장착된다. 투명시트(10)의 일측에 부착된 차단편(12)은 투명시트(10)의 본체(11) 측면을 차단하여 광이 입사하지 못하게 하고, 투명시트(30)의 타측에 부착된 차단편(32)은 투명시트(30)의 본체(31) 측면을 차단하여 광이 입사하지 못하게 한다.
키패드 어셈블리(1)의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기판(100) 위에 LED(101, 102)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하드웨어적인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되는 스위칭에 의해 LED(101, 102) 중 어느 하나가 점등한다. 가령, LED(102)가 점등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LED(102)가 점등하면, LED(102)로부터 방출된 광은 투명시트(10)의 측면을 따라 입사하며 투명시트(10) 자체가 도광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입사된 광은 전면으로 균일하게 방출된다.
이때, 광차단시트(20)에는 광투과패턴(22, 23)을 제외하고 광차단 도료가 도포되어 있고, 광차단시트(40)에는 광투과패턴(42, 43)을 제외하고 광차단 도료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투명시트(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광투과패턴(42)을 통하여 방출된다. 따라서, 광차단시트(40)의 광투과패턴(42)을 통하여 투명시트(10)에 형성된 문자패턴(13, 14)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광차단시트(40)의 광투과패턴(43)은 광차단시트(20)의 시트 본체(21)에 의해 가려지므로 광이 방출되지 않는다.
결국, 투명시트(10)에 형성된 문자패턴(13, 14) 만이 외부에 표시된다.
같은 방식으로, LED(101)이 점등하는 경우에는 투명시트(30)에 형성된 문자패턴(33, 34) 만이 외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다양한 문자패턴(13, 14, 33, 34)를 구비하고 있지만, 해당하는 문자패턴만을 외부에 나타내기 때문에 시인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선택이 용이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숫자와 영문자 및 특수기호를 예로 들었지만, 국문자 등과 같은 다른 문자와 병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각 투명시트의 문자패턴을 중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령, 투명시트(10)의 숫자패턴(13)과 동일한 위치에서 투명시트(30)에 중복하여 형성하는 경우, 숫자패턴(13)은 LED(101, 102) 중 어느 것을 점등하여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 측면도이다.

Claims (4)

  1. 제 1 문자패턴을 갖는 제 1 투명시트;
    상기 제 1 투명시트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문자패턴에 대응하는 제 1 광투과 패턴을 갖는 제 1 광차단시트;
    상기 제 1 광차단시트 위에 적층되고 제 2 문자패턴을 갖는 제 2 투명시트; 및
    상기 제 2 투명시트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광투과패턴과 상기 제 2 문자패턴에 대응하는 제 2 광투과패턴을 갖는 제 2 광차단시트를 포함하며,
    스위칭에 의해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투명시트에 광이 공급되거나, 다른 측면으로부터 제 2 투명시트에 광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측면과 다른 측면은 상호 반대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문자패턴 중 일부는 상기 제 1 문자패턴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시트에 공급되는 광은 LED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KR1020090055929A 2009-06-23 2009-06-23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KR20100137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29A KR20100137732A (ko) 2009-06-23 2009-06-23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29A KR20100137732A (ko) 2009-06-23 2009-06-23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32A true KR20100137732A (ko) 2010-12-31

Family

ID=4351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29A KR20100137732A (ko) 2009-06-23 2009-06-23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266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터치 입력식 락 금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266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터치 입력식 락 금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301B2 (en) Luminous keyboard device
US9653231B2 (en) Luminous keyboard
US8890014B1 (en) Luminous keyboard and light guide plate module thereof
US9040856B2 (en) Luminous keyboard device
US9531381B2 (en) Luminous keyboard
US20120286976A1 (en) Illuminated keyboard
US11048336B2 (en) Luminous keyboard
KR20080024012A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TW201926392A (zh) 發光鍵盤
US20060044279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20090134002A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a Mobile Device
US8025434B2 (en) Two-sided illumination device
US20140138233A1 (en) Luminous keyboard
US8960931B2 (en) Luminous keyboard device
KR20110135345A (ko) 용량성 센싱 그리드를 포함한 광 가이드 및 관련 방법
US20140138231A1 (en) Luminous keyboard
US8536476B2 (en) Illuminated keyboard
KR20100137732A (ko) 터치패드용 키패드 어셈블리
CN107949147B (zh) 一种柔性电路板和触控设备
US9502191B1 (en) Luminous keyboard
US20110279377A1 (en) Illumination keyboard
US201201117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User Input El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JP2010086743A (ja) シート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10091880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US11861079B1 (en) Luminous touch pad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