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492A -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492A
KR20100135492A KR1020090053896A KR20090053896A KR20100135492A KR 20100135492 A KR20100135492 A KR 20100135492A KR 1020090053896 A KR1020090053896 A KR 1020090053896A KR 20090053896 A KR20090053896 A KR 20090053896A KR 20100135492 A KR20100135492 A KR 20100135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ft
sensing
image
electrophoretic display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498B1 (ko
Inventor
김태환
박수형
이대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498B1/ko
Priority to US13/379,234 priority patent/US20120098741A1/en
Priority to PCT/KR2010/003899 priority patent/WO2010147398A2/ko
Publication of KR2010013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7Microcaps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02F1/16766Electrodes for active matr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광센서 방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는 영상 게이트배선과 영상 신호배선이 교차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영상 게이트배선과 영상 신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스위칭 TFT를 구비한다. 그리고 적외선을 감지하여 적외선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싱 TFT와 센싱 TFT와 연결되어 적외선 감지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스위칭 TFT를 구비한다. 그리고 센싱 TFT가 덮이도록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 절연층과 적외선 필터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영상스위칭 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구비한다. 그리고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며 양성 및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미소 캡슐들을 구비하는 전자영동필름과 전자영동필름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having internal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전자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전자영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음극선관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자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이 있다.
음극선관 표시장치는 내부에 진공관을 구비하고, 전자총에서 전자빔을 출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음극선관 표시장치는 전자빔이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확보해야하므로, 두께가 두껍고, 무거운 단점이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음극선관 표시장치에 비해 얇고, 가볍다. 그러나 액정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해야하므로, 박형화 및 경량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전자영동 표시장치는 상/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서 대전된 안료 입자들이 이동하는 현상, 즉, 전자영동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전자영동 표시장치는 외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표시장치이므로, 별도의 광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영동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가질 뿐 표시장치 상에 부착되어 손가락이나 펜과 접촉되는 터치지점에서 전기적인 특성이 변하여 그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은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외선 광센서 방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는 영상 게이트배선과 영상 신호배선이 교차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영상 게이트배선과 영상 신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스위칭 TFT;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을 감지하여 적외선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싱 TFT;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 TFT와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감지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스위칭 TFT; 상기 센싱 TFT가 덮이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 절연층; 상기 적외선 필터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영상스위칭 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며, 양성 및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미소 캡슐들을 구비하는 전자영동필름; 및 상기 전자영동필름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패널을 전자영동 표시장치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으로 인한 무게증가가 없고, 터치스크린이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이 가시광선 영역의 자연광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장소가 어둡거나 그림자가 있는 경우 인식률이 저하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적외선을 감지하므로 사용장소나 주변 밝기에 제한되지 않아 인식률이 우수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100)는 기판(110), 영상스위칭 TFT(120), 센싱 TFT(130), 출력스위칭 TFT(140),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 화소전극(160), 접착제(165), 전자영동필름(170), 공통전극(180) 및 상부 플레이트(190)를 구비한다.
기판(110)은 절연성을 가지고 녹는점이 높은 물질이나, 유연성 및 절연성을 가진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절연성을 가지고 녹는점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은 유리(glass), 사파이어(sapphire), 쿼쯔(quartz) 등이 이용가능하며, 절연막이 형성된 금속판, 절연막이 형성된 Si, GaAs, InP 등도 이용가능하다. 유연성 및 절연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은 PET, PC, AryLite 등과 같은 플라스틱이나 절연막이 형성된 아주 얇은 Si, GaAs, InP, 금속 호일 등이 이용가능하다. 기판(110)에는 영상 게이트배선(미도시)과 영상 신호배선(미도시)이 교차되어 형성되어 있다. 영상 게이트배선과 영상 신호배선이 교차형성됨에 의해 셀영역이 정의된다.
영상스위칭 TFT(120)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영상스위칭 게이트 전극(121), 영상스위칭 게이트 절연막(122), 영상스위칭 채널 영역(123), 영상스위칭 소스 영역(124) 및 영상스위칭 드레인 영역(125)을 구비한다. 영상스위칭 게이트 전극(121)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영상 게이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영상스위칭 게이트 절연막(123)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영상스위칭 게이트 전극(121)이 덮이도록 형성된다. 영상스위칭 채널 영역(123)은 영상스위칭 게이트 절연막(123) 상에 형성되며,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영상스위칭 소스 영역(124)과 영상스위칭 드레인 영역(125)은 각각 영상스위칭 채널 영역(123)의 일부분이 덮이도록 형성되며, 영상스위칭 게이트 전극(121)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영상스위칭 소스 영역(124)은 영상 신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스위칭 드레인 영역(125)은 화소전극(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소전극(160)에 영상신호전압을 스위칭한다.
센싱 TFT(130)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을 감지하여 적외선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센싱 TFT(130)는 센싱 게이트 전극(131), 센싱 게이트 절연막(132), 센싱 채널 영역(133), 센싱 소스 영역(134) 및 센싱 드레인 영역(135)을 구비한다. 센싱 게이트 전극(131)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오프전압 배선(미도 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싱 게이트 절연막(132)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센싱 게이트 전극(131)이 덮이도록 형성된다. 센싱 채널 영역(133)은 센싱 게이트 절연막(132)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 파장의 광흡수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센싱 채널 영역(133)은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InSb, Ge, InAs, InGaAs, CdTe, CdSe, GaAs, GaInP, InP, AlGaA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 소스 영역(134)과 센싱 드레인 영역(135)은 각각 센싱 채널 영역(133)의 일부분이 덮이도록 형성되며, 센싱 게이트 전극(131)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센싱 소스 영역(134)은 전원배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센싱 드레인 영역(135)은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센싱 TFT(130)의 채널 영역(133)이 적외선을 흡수하는 경우, 이로 인해 증가된 누설전류의 전하들을 충전하게 된다.
출력스위칭 TFT(140)는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출력스위칭 게이트 전극(141), 출력스위칭 게이트 절연막(142), 출력스위칭 채널 영역(143), 출력스위칭 소스 영역(144) 및 출력스위칭 드레인 영역(145)을 구비한다. 출력스위칭 게이트 전극(141)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센싱 게이트배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출력스위칭 게이트 절연막(142)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출력스위칭 게이트 전극(141)이 덮이도록 형성된다. 출력스위칭 채널 영역(143)은 출력스위칭 게이트 절연막(142) 상에 형성되며,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출력스위칭 소스 영역(144)과 출력스위칭 드레인 영역(145)은 각각 출력스위칭 채 널 영역(143)의 일부분이 덮이도록 형성되며, 출력스위칭 게이트 전극(141)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출력스위칭 소스 영역(144)은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스위칭 드레인 영역(145)은 출력배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출력스위칭 TFT(140)는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통해 센싱 TFT(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 TFT(130)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감지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출력한다.
영상스위칭 TFT(120), 센싱 TFT(130) 및 출력스위칭 TFT(140)에 각각 구비된 게이트 절연막(122, 132, 14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스위칭 TFT(120), 센싱 TFT(130) 및 출력스위칭 TFT(140)에 각각 구비된 채널 영역(123, 133, 143)은 모두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한 후, 센싱 TFT(130)의 채널 영역(133)만을 다결정 실리콘을 결정화할 수 있다. 센싱 TFT(130)의 채널 영역(133)의 결정화할 때, 기판(110)이 유리 기판일 경우에는 저온 다결정 실리콘(LTPS) 공정을 이용하고, 기판(110)이 고온공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고온 다결정 실리콘(HTPS)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LTPS와 HTPS는 주지의 공정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은 적외선만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이외의 파장을 갖는 광은 투과시키지 않는 것으로,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영상스위칭 TFT(120), 센싱 TFT(130) 및 출력스위칭 TFT(140)가 함께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100)는 반사형 구조를 가지므로,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은 기존의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투명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은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큰 제1절연막과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절연막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다층박막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절연막은 TiO2, Ta2O5, ZrO2, Z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절연막은 SiO2, MgF2, Na3Al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전극(160)은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 상에 단위 화소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에는 영상스위칭 TFT(120)의 드레인 영역(12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전극(160)은 콘택홀로 연장되어 영상스위칭 TFT(120)의 드레인 영역(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영상스위칭 TFT(120)는 화소전극(160)에 화소전압을 스위칭한다. 화소전극(160)은 영상스위칭 TFT(120)와 출력스위칭 TFT(140)에 대해 광차단막 역할을 하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화소전극(160)에는 센싱 TFT(130)에 적외선이 입사되도록 화소전극(160)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6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홀(163)은 센싱 TFT(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 플레이트(190)는 화소전극(160)을 마주보도록 기판(110)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상부 플레이트(190)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쉽게 구부러지는 베이스 필름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T가 이용된다.
공통전극(180)은 상부플레이트(19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공통전극(180)은 ITO(indium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IZO(indium zinc oxide), 탄소나노튜브, 그라핀(graph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영동필름(170)은 공통전극(18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다수의 미소 캡슐(171)들을 구비한다. 미소 캡슐(171)은 수백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갖는 볼(ball) 형상일 수 있으며, 양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2)들과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3)들을 구비한다. 양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2)들과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3)들은 투명한 유체(174)에 섞여 있다. 각각의 안료 입자(172)들은 공통전극(190)과 화소전극(160)의 전기장 방향에 따라 분리되며, 이 안료입자(172)들은 쌍안정성(bistability) 특성을 나타내므로 전기장이 사라져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양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2)들과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3)들은 흑백을 나타내거나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양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2)들과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3)들이 흑백을 나타내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3)를 블랙 안료 입자로, 양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172)를 화이트 안료 입자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블랙 안료 입자(173)가 공통전극(190)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공통전극(190)을 통해 입사된 외부광이 전자영동필름(170)에 반사되어 흑색이 구현되고, 백색 안료 입자(172)가 공통전극(190)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백색이 구현된다.
전자영동필름(170)의 양측면에는 미소 캡슐(171)의 유동을 차단하고 미소 캡슐(171)을 보호하는 보호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165)는 전자영동필름(170)의 하면에 부착되어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화소전극(160)과 전자영동필름(170)을 합착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의 영상표시과정과 센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100)의 영상표시과정을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영상표시는 화소가 선택되는 시간에 영상 게이트배선에 영상스위칭 TFT(120)의 채널 영역(123)이 열리는 전압이 인가되어, 영상스위칭 TFT(120)의 채널 영역(123)이 열리면서, 동시에 영상 신호배선에 영상 신호전압이 인가되어 화소전극(160)에 전달된다. 화소가 비선택되는 시간에는 영상 게이트 배선에 영상 게이트배선에 영상스위칭 TFT(120)의 채널 영역(123)이 닫히는 전압이 인가되어, 영상스위칭 TFT(120)의 채널 영역(123)이 닫히면서 화소전극(160)에 전달되던 영상 신호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화소의 영상정보 간섭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화소전극(160)에 전압이 스위칭되어 외부광이 반사되는 방식으로 영상이 표시된다.
참조번호 220으로 표시된 커패시터는 화소전극(160)과 공통전극(190)에 의해 생성된 커패시터에 해당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230으로 표시된 커패시터는 화소전하 스토리지 커패시터로 화소가 비선택되는 시간 동안 영상스위칭 TFT(120)의 누설전류에 의해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패시터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100)의 센싱과정을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우선, 적외선 펜(195) 등을 통해 전자영동 표시장치(100)와 비접촉하면서 표시장치(100)의 특정 영역에 적외선을 입사한다. 이와 같이 입사된 적외선은 센싱 TFT(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63)을 통해 센싱 TFT(130)에 입사된다. 관통홀(163)과 센싱 TFT(130)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 절연층(1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외선 이외의 파장의 광이 센싱 TFT(130)에 입사되지 않으므로, 센싱 TFT(130)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싱 TFT(130)에 적외선이 입사되면,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센싱 TFT(130)의 채널 영역(133)을 통해 적외선을 흡수하게 된다. 센싱 TFT(130)의 게이트 전극(131)은 채널 영역(133)이 열리지 않는 오프 전압배선과 연결되어 있어 적외선이 흡수되지 않으면, 항상 채널 영역(133)이 닫혀 있다. 그러나 센싱 TFT(130)의 채널 영역(133)이 적외선을 흡수하면, 채널 영역(133)이 일부 열려 센싱 TFT(130)의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센싱 TFT(130)의 누설전류가 증가하면, 참조번호 210으로 표시된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전하들이 충전된다.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210)의 충전은 한 프레임 시간 전체동안 일어난다.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210)에 전하가 충전되는 동안에는 출력스위칭 TFT(140)의 게이트 전극(1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센싱 게이트배선에는 출력스위칭 TFT(140)의 채널 영역(143)이 열리지 않는 오프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선택시간이 되어 센싱 게이트 배선에 출력스위칭 TFT(140)의 채널 영역(143)이 열리는 온 전압이 인가되어 출력스위칭 TFT(140)을 스위칭되어 적외선 감지신호 저장용 스토리지 커패시터(2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가 출력배선을 따라 흐르게 되어, 위치감지부(미도시)에서 전하량을 판독하여 적외선이 입사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동 표시장치의 영상표시과정과 센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Claims (10)

  1. 영상 게이트배선과 영상 신호배선이 교차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영상 게이트배선 및 영상 신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스위칭 TFT;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을 감지하여 적외선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싱 TFT;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 TFT와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감지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스위칭 TFT;
    상기 센싱 TFT가 덮이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 절연층;
    상기 적외선 필터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영상스위칭 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며, 양성 및 음성으로 대전된 안료 입자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미소 캡슐들을 구비하는 전자영동필름; 및
    상기 전자영동필름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에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센싱 TFT에 적외선이 입사되도록 상기 센싱 TFT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영상스위칭 TFT와 출력스위칭 TFT에 대해 광차단막 역할을 하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 절연층은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큰 제1절연막과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절연막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막은 TiO2, Ta2O5, ZrO2 및 ZnS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절연막은 SiO2, MgF2 및 Na3AlFe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광을 투과시키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IZO(indium zinc oxide), 탄소나노튜브 및 그라핀(graphene)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TFT의 채널 영역은 적외선 파장의 광흡수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TFT의 채널 영역은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InSb, Ge, InAs, InGaAs, CdTe, CdSe, GaAs, GaInP, InP 및 AlGaA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스위칭 TFT와 출력스위칭 TFT의 채널 영역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 TFT의 채널 영역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자영동 표시장치.
KR1020090053896A 2009-06-17 2009-06-17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KR10103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896A KR101036498B1 (ko) 2009-06-17 2009-06-17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US13/379,234 US20120098741A1 (en) 2009-06-17 2010-06-17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CT/KR2010/003899 WO2010147398A2 (ko) 2009-06-17 2010-06-17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896A KR101036498B1 (ko) 2009-06-17 2009-06-17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492A true KR20100135492A (ko) 2010-12-27
KR101036498B1 KR101036498B1 (ko) 2011-05-24

Family

ID=4350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896A KR101036498B1 (ko) 2009-06-17 2009-06-17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6036A1 (en) * 2012-12-27 2014-07-03 Gt Crystal Systems, Llc A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apphire cover plate having a low level of inclusions
KR20150072492A (ko) * 2013-12-19 201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856B1 (ko) 2014-06-11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384B1 (ko) * 1997-03-14 1999-07-01 구자홍 적외선 센서 및 그의 온도 보상방법
KR20050112878A (ko) * 2004-05-2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20090004282A (ko) * 2007-07-06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KR100942293B1 (ko) * 2007-07-12 2010-02-16 주식회사 토비스 광을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패널 장치와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6036A1 (en) * 2012-12-27 2014-07-03 Gt Crystal Systems, Llc A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apphire cover plate having a low level of inclusions
US9407746B2 (en) 2012-12-27 2016-08-02 Gtat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apphire cover plate having a low level of inclusions
KR20150072492A (ko) * 2013-12-19 201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498B1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8741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84512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30109621A1 (en) Display device
US9287425B2 (en) Photodetec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emitting device
US7872693B2 (en) Touch substrate and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having touch control function
KR101677669B1 (ko) 전계 구동 표시 장치
TW201346330A (zh) 雙模式顯示裝置
US20230121668A1 (en) Display substrat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20190229146A1 (en) Active matrix image sensing device
TW201435430A (zh) 液晶顯示裝置及電子裝置
US8014060B2 (en)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036499B1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US2008027843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36498B1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전자영동 표시장치
WO2010146736A1 (ja) 表示パネル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284921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8933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304519A (ja) 液晶表示装置
KR20100009213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어레이 기판
KR101088113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영동 표시장치
CN108897180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TWI478354B (zh) 薄膜電晶體基板及具備薄膜電晶體基板之顯示裝置
CN112652648B (zh)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US2020020109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8004177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