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116A - 타올매트 - Google Patents

타올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116A
KR20100135116A KR1020090053588A KR20090053588A KR20100135116A KR 20100135116 A KR20100135116 A KR 20100135116A KR 1020090053588 A KR1020090053588 A KR 1020090053588A KR 20090053588 A KR20090053588 A KR 20090053588A KR 20100135116 A KR20100135116 A KR 2010013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mat
seating
seating port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김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진 filed Critical 김세진
Priority to KR102009005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116A/ko
Publication of KR2010013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5Modular r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 Carpets (AREA)

Abstract

타올매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타올매트는: 타올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가장자리로 연장 형성되고, 안착부보다 상부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안착부에 안착된 타올은 테두리부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올매트, 안착부, 테두리부, 위생

Description

타올매트{DEVICE FOR MAT WITH TOWEL}
본 발명은 타올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착부에 안착된 타올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여 세탁 및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타올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올매트는 집안의 주방 싱크대 앞바닥이나 욕실 문 앞바닥에 깔아놓고 주부들이 설거지할 때 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및 완충시키는 작용과 함께 싱크대에서 튀는 물이 바닥에 떨어져 미끄럽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사용되거나, 욕실에서 나올 때 발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타올매트는 물기의 흡수력이 우수한 면을 이용하여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완충용 스폰지 등을 삽입시켜 제품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다수개의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요철이 형성된 고무판을 부착하여 제품화함으로써,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종래에 따르면 매트가 더러워졌을 때 매트가 너무 두껍고 부드럽지 못하기 때문에 세탁기에 넣고 세탁하기 곤란하며, 세탁이 이루어지더라도 건조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매트의 쿠션을 높이기 위하여 매트의 바닥 일부에 PVC 또는 PE발포폼으로 성형된 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탁하기 더욱 어려워 청결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실의 돌출된 길이차이에 의해 함몰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에 안착된 타올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여 세탁 및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타올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올매트는: 타올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가장자리로 연장 형성되고, 안착부보다 상부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안착부에 안착된 타올은 테두리부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부 또는 테두리부의 적어도 어느 하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끄럼방지층은 PVC 또는 PE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부와 테두리부는 실로 이루어지고, 안착부의 실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두리부의 가장자리에는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부와 타올은 착탈부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탈부는 안착부와 타올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밸크로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탈부는 안착부에 형성되는 단추 및 단추에 대응되도록 타올에 형성된 단추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올매트는 종래 발명과 달리 타올이 안착부 위에 올려놓고 쓰여짐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여 세탁 및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안착부보다 안착부보다 상부로 돌출된 테두리부로 이루어져 안착부에 타올이 안착되어 타올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안착부의 실이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지니므로, 적당한 볼륨감에 의해 밟을 때의 감촉이 푹신하고 부드러운 효과를 지닌다.
또한, 테두리부의 가장자리에 보강부를 형성하여 세탁 후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올매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올매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올매트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올매트(100)는 크게, 안착부(110)와 테두리부(120)로 이루어진다.
우선, 안착부(110)와 테두리부(120)의 형성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에 실이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체에 의해 형상을 유지한다.
본체의 형상에 따라 타올매트(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며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하다.
그리고, 안착부(110)와 테두리부(120)를 이루는 실은 발의 물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110)는 타올(150)과 같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타올(150)이 안착된다.
타올(150)은 통상 가정에서 사용되는 타올로서, 수분흡수력이 우수한 면직물이나 일부 합성섬유가 혼합된 기타 천제품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테두리부(120)는 안착부(110)의 가장자리로 연장 형성되고, 안착부(110)보다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즉, 테두리부(120)의 실은 안착부(110)의 실보다 더 긴 길이를 지니므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안착부(110)와 테두리부(120)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110)와 테두리부(120)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안착부(110)에 안착된 타올(150)은 테두리부(120)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안착부(110) 또는 테두리부(12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면에는 바닥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층(130)이 형성된다.
미끄럼방지층(130)은 PCV 또는 PE발포폼으로 이루어져 바닥면과 마찰력을 향상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110)의 실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안착부(110)에 놓인 타올(150)을 사용자가 밟을 때 적당한 볼륨에 의해 사용자는 폭신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게 된다.
테두리부(120)의 가장자리에는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보강부(140)가 더 구비된다.
보강부(140)는 잦은 세탁과 건조에 의해 타올매트(100)가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바이어스 또는 오바로크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 또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올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인용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올매트(100)는 안착부(110)와 타올(150)이 착탈부(160,170)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탈부(16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10)와 타올(150)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밸크로 파스너로 이루어져 안착부(110)에 놓인 타올(150)을 고정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17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10)에 형성되는 단추(172) 및 단추(172)에 대응되도록 타올(150)에 형성된 단추홀(174)로 이루어져 탈부착 가능하다.
이때, 착탈부(160,170)인 밸크로파스너 또는 단추(172)와 단추홀(174)은 안착부(110), 타올(1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올매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안착부(110)에 타올(150)을 안착시키면 안착부(110)가 테두리부(120)보다 내 측으로 함몰되어 있어 안착부(110)와 테두리부(120)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안착부(110)에 안착된 타올(150)은 안착부(110)에 안착된 채로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욕실에서 나온 사용자가 발에 묻은 물기를 발등까지 타올(150)을 이용하여 닦아내면 된다.
이때, 안착부(110)의 실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지니므로 사용자는 안착부(110)의 적당한 볼륨에 의해 밟을 때 푹신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타올(150)에 물기가 많아지거나 더러워졌을 때에는 사용한 타올(150)만을 세탁하고, 또 다른 타올(150)로 교체하여 안착부(110)에 안착시키면 된다.
따라서, 타올(150)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발의 위생에 좋고 다음 사람이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 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올(150)과 안착부(110)가 벨크로파스너 또는 단추(172)와 단추홀(174)로 이루어진 착탈부(160,170)에 의해 안착부(110)에서 타올(150)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타올(150)을 교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올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올매트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 또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올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타올매트 110 : 안착부
120 : 테두리부 130 : 미끄럼방지층
140 : 보강부 150 : 타올
160, 170 : 착탈부 172 : 단추
174 : 단추홀

Claims (8)

  1. 타올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보다 상부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타올은 테두리부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어느 하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층은 PVC 또는 PE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테두리부는 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의 실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가장자리에는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타올은 착탈부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타올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밸크로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단추; 및
    상기 단추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올에 형성된 단추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올매트.
KR1020090053588A 2009-06-16 2009-06-16 타올매트 KR20100135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88A KR20100135116A (ko) 2009-06-16 2009-06-16 타올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88A KR20100135116A (ko) 2009-06-16 2009-06-16 타올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16A true KR20100135116A (ko) 2010-12-24

Family

ID=4350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88A KR20100135116A (ko) 2009-06-16 2009-06-16 타올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1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4060A (zh) * 2017-06-29 2017-09-22 浙江中泰绝热材料有限公司 一种橡塑发泡板尿不湿防摔垫
KR102281402B1 (ko) * 2020-08-18 2021-07-27 주식회사 인성재단 하이브리드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4060A (zh) * 2017-06-29 2017-09-22 浙江中泰绝热材料有限公司 一种橡塑发泡板尿不湿防摔垫
KR102281402B1 (ko) * 2020-08-18 2021-07-27 주식회사 인성재단 하이브리드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4805A1 (en) Absorbent pad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and washing method therefor
US20100247841A1 (en) Mat configuration
KR200494366Y1 (ko) 슬리퍼용 걸레
KR20100135116A (ko) 타올매트
KR100643872B1 (ko) 입욕용 타올, 때밀이 수건 및 청소 도구
CN202477306U (zh) 多功能可拆洗垫子
JP5945059B1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KR200324618Y1 (ko) 목욕의자에 탈착되는 빨래판
CN202775713U (zh) 多功能可拆洗垫子
KR20110005036U (ko) 유아용 매트
TWI482707B (zh) 浴缸用墊體
CN202010012U (zh) 舒适垫
KR101399676B1 (ko) 싱크대 물튐 방지용 부재
KR200221080Y1 (ko) 매트
CN110960123A (zh) 一种可脱卸清洗贴合式防滑踏脚通用浴用垫
JP3205386U (ja) 珪藻土マットのカバー
CN212574774U (zh) 一种一次性马桶垫
JP3184087U (ja) 生地を有するフロアマット
CN220644462U (zh) 航空铝肤感纳米双一体盆
CN211559846U (zh) 一种可脱卸清洗贴合式防滑踏脚通用浴用垫
KR100900927B1 (ko) 의자겸용 변기커버
JP3123155U (ja) エプロン
CN219835546U (zh) 一种分体式马桶垫
KR200465190Y1 (ko) 발 세척용 매트
CN215271925U (zh) 一种全包式可拆浴室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