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436A -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436A
KR20100134436A KR1020090053057A KR20090053057A KR20100134436A KR 20100134436 A KR20100134436 A KR 20100134436A KR 1020090053057 A KR1020090053057 A KR 1020090053057A KR 20090053057 A KR20090053057 A KR 20090053057A KR 20100134436 A KR20100134436 A KR 2010013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atellit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웅
유완옥
김용범
Original Assignee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4436A/ko
Publication of KR2010013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7Transmission equipment in earth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령(指令)이 입력되어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위성 측으로 보내면, 위성을 거쳐 내려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을 이용한 단방향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에 비해 인프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성 시스템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이동 중에도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단방향, 위성통신, 식별코드, 신호 선별, 송신

Description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SATELLITE COMMUNICATION OF ONE-WAY AND SYSTEM OF THE SAME}
본 발명은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위성(Telecommunication satellite)은 지구 상공의 일정한 궤도에서 지구 주위를 회전하면서 지상 통신국으로부터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증폭 변환한 후 다시 상대 지구국에 재송신하는 우주 전파중계소의 역할을 하는 인공위성이다.
이렇게 통신위성을 이용한 통신을 위성통신(Satellite communication)이라 하며, 위성통신은 인공위성이 중계소의 역할을 하는 장거리 통신 방법으로 대기권 밖의 상공에 쏘아 올린 인공위성으로 하여금 통신을 중계하게 하는 통신 방법이다.
이러한 위성통신은 마이크로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 대용량 통신이 가능하고, 넓은 지역을 통신권역으로 할 수 있다. 또 지형에 관계없이 고른 통신이 가능하고 재해가 발생해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전파의 왕복시간이 걸려 음성통신을 할 때 전파가 지연되고, 정보의 보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위성통신에는 양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특수한 경우에 한해 송신 모뎀을 구비한 송신 단말에서는 송신만 수행하고, 수신 모뎀을 구비한 수신 단말에서는 수신만 수행하는 일방향 통신이 수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방향성을 가진 위성통신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16398호(일방향성을 가진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통신 방법)에서는 송신 단말에서 송신 단말 모뎀을 초기화하는 과정,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과정, 송신 단말 모뎀의 동기 시작 명령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 송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송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로 데이터 전송 완료 보고를 수행하는 과정 등을 포함하는 기술이 소개되어져 있다.
이처럼 위성을 이용한 단방향 통신은 위성을 이용한 양방향 통신에서 인프라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구성 시스템 또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위성을 이용한 양방향 통신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하며, 발전된 기술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단방향 통신에 관한 기술은 미비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성을 이용한 양방향 통신에서 인프라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구성 시스템 또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은 지령(指令)이 입력되어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 수신하고자 하는 각각의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되는 식별코드 생성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위성 측으로 보내는 위성송신단계; 상기 위성송신단계에서 위성을 거쳐 내려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 전달 가능하도록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코드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 출력하도록 선별하는 신호 선별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과,
상기 입력단계에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가 조합되는 신호 조합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은 지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 수신하고자 하는 각각의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된 신호를 위성 측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위성을 거친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식별코드에 위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을 출력하는 수신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식별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 출력하도록 선별하는 신호 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과,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는 신호 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단방향 위성통신을 위한 송신수단은 지령이 입력되어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는 수신하고자 하는 각각의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되는 식별코드 생성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위성 측으로 보내는 위성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는 신호 조합부;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단방향 위성통신을 위한 수신수단은 위성을 거쳐 내려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수신하고자 하는 지역에 전달 가능하도록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수신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을 선별하는 신호 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을 이용한 단방향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에 비해 인프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성 시스템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이동 중에도 통신이 가능하고, 위성을 이용하므로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100)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수단(110)과 수신수단(120) 및 인공위성(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수단(110)은 지령(指令)을 인공위성(200) 측으로 송신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입력부(111), 식별코드 생성부(113), 신호 조합부(115), 변조부(117) 및 위성송신부(119)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1)는 지령이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통신을 위한 신호로 변환되며, 각 지역에서 전달되는 지령들을 입력받아 통신을 위한 신호로 변환한 뒤 변환된 신호를 후술되는 식별코드 생성부(113)로 보낸다.
식별코드 생성부(113)는 입력부(111)를 통해 각 지역에서 전달되는 지령에 대하여 지령이 수신되는 지역에 대한 각각의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각각의 지령은 전달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되며, 인공위성(200)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지령에 대한 신호는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된 지역에 대한 지령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조합부(115)는 식별코드 생성부(113)에서 식별코드가 생성된 각각의 신호를 조합하며, 이렇게 조합된 신호가 인공위성(200)을 거쳐 각 지역에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변조부(117)는 신호 조합부(115)에서 조합된 신호를 인공위성(200)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규격에 부합한 신호로 변조하여 위성송신부(119)로 보낸다. 즉, 조합된 신호를 인공위성(200)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는 것으 로, 조합된 신호가 인공위성(200) 측으로 송신되도록 구성된다.
위성송신부(119)는 변조부(117)를 거쳐 위성통신에 적합하게 변조된 신호를 인공위성(200)으로 송신하며, 여기서 송신된 신호는 다시 증폭, 변환되어 후술되는 수신수단(120)으로 수신되도록 구성된다.
수신수단(120)은 송신수단(110)에서 인공위성(200)을 통해 보내오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러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수신부(121), 복조부(123), 신호 선별부(125) 및 출력부(127) 등을 포함한다.
수신부(121)는 송신수단(110)의 위성송신부(119)에서 인공위성(200)을 거쳐 보내오는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부(123)는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신호가 위성통신을 위한 규격으로 변조된 신호이므로 이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신호 선별부(125)로 보낸다.
신호 선별부(125)는 송신수단(110)에서 식별코드가 생성되어 조합된 각 지역으로 보내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가지고, 신호가 수신된 지역과 일치하는 식별코드를 가진 신호만을 선별한다. 이는 필요한 신호만 선별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출력부(127)는 신호 선별부(125)를 거쳐 선별된 신호를 출력하며, 일반적으로 양방향 통신에서 구축되는 텍스트나 그래픽 형태의 지령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출력부(127)를 거침으로써 수신되는 지역에 맞는 지령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에 대하여 도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되,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며,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입력단계<S301>
지령(指令)이 입력되어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로, 굳이 양방향의 통신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지령 전달만을 목적으로 할 때, 그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입력에 대하여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2. 식별코드 생성단계<S302>
단계 S301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신호에 수신하려는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되는 단계로, a, b, c, d 등의 여러 가지 입력된 지령에 대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각각의 신호에 생성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지령이 제1지역으로, b라는 지령이 제2지역으로 전달되고자 하는 신호라면, a라는 지령에는 제1지역에 대한 식별코드인 XXX001, b라는 지령에는 제2지역에 대한 식별코드인 XXX002와 같은 식별코드가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3. 신호 조합단계<S303>
단계 S302에서 식별코드가 생성된 각각의 신호들이 조합되는 단계로, 입력되 는 여러 가지의 지령인 a, b, c, d의 신호를 조합하여 조합된 A라는 신호로 후술되는 변조단계에서 변조되도록 구성된다.
4. 변조단계<S304>
단계 S303에서 조합된 신호들을 인공위성(200)으로 송신하기 위한 규격에 부합하도록 변조하는 단계로, 지령인 a, b, c, d의 신호가 조합된 A라는 신호는 위성통신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되어 후술되는 위성송신단계를 거치게 된다.
5. 위성송신단계<S305>
단계 S303, 단계 S304에서 조합되어 변조된 신호들을 인공위성(200)으로 송신하는 단계로, 인공위성(200)은 이렇게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증폭, 변환한 후 다시 신호를 수신하고자하는 제1지역 및 제2지역 등의 수신수단(120)으로 재송신한다.
6. 수신단계<S306>
단계 S305에서 인공위성(200)을 거쳐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 식별코드가 생성되어 조합,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며, 후술되는 여러 단계를 거쳐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7. 복조단계<S307>
단계 S303에서 인공위성(200)으로 송신하기 위한 규격으로 변조된 신호들을 복조하는 단계로, 지령인 a, b, c, d 등의 조합된 A라는 신호가 인공위성(200)을 이용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변조된 것을 다시 출력에 적합한 신호로 복조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된다.
8. 신호선별단계<S308>
단계 S303에서 조합된 신호들 중에서 수신된 위치에 해당하는 식별코드에 대한 신호만을 선별하는 단계로, a, b, c, d 등으로 구성된 A의 신호에서 a라는 지령에는 제1지역에 대한 식별코드인 XXX001, b라는 지령에는 제2지역에 대한 식별코드인 XXX002가 생성된 것을 이용하여, 제1지역에 수신된 A의 신호 중 제1지역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가진 a의 신호만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9. 출력단계<S309>
단계 S308에서 선별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러한 출력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양방향 통신에서 구축되는 텍스트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의 지령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 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110 : 송신수단
111 : 입력부 113 : 식별코드 생성부
115 : 신호 조합부 117 : 변조부
119 : 위성송신부
120: 수신수단
121 : 수신부 123 : 복조부
125 : 신호 선별부 127 : 출력부
200 : 인공위성

Claims (10)

  1. 지령(指令)이 입력되어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 수신하고자 하는 각각의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되는 식별코드 생성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위성 측으로 보내는 위성송신단계;
    상기 위성송신단계에서 위성을 거쳐 내려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 전달 가능하도록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 출력하도록 선별하는 신호 선별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에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가 조합되는 신호 조합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4. 지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 수신하고자 하는 각각의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된 신호를 위성 측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위성을 거친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식별코드에 위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을 출력하는 수신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식별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코드에 의해 수신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 출력하도록 선별하는 신호 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는 신호 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 시스템.
  7. 지령이 입력되어 위성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에는 수신하고자 하는 각각의 지역에 대한 식별코드가 생성되는 식별코드 생성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위성 측으로 보내는 위성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을 위한 송신수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어 변환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는 신호 조합부;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을 위한 송신수단.
  9. 위성을 거쳐 내려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수신하고자 하는 지역에 전달 가능하도록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을 위한 수신수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수신되는 지역에 대한 신호만을 선별하는 신호 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위성통신을 위한 수신수단.
KR1020090053057A 2009-06-15 2009-06-15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34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057A KR20100134436A (ko) 2009-06-15 2009-06-15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057A KR20100134436A (ko) 2009-06-15 2009-06-15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436A true KR20100134436A (ko) 2010-12-23

Family

ID=4350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057A KR20100134436A (ko) 2009-06-15 2009-06-15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44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798A (ko)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 위성 IoT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단방향 데이터 송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798A (ko)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 위성 IoT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단방향 데이터 송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6787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ing satellite-linked remote terminal interface subsystems
JP2008507862A5 (ko)
US7539516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KR970004464A (ko) 2-시스템 프로토콜 변환 송수신 중계장치
NO343170B1 (no) Kommunikasjonssystem, -apparater og -metoder
JP2018515956A5 (ko)
CN112118150B (zh) 一种基于卫星互联网的在轨测试方法和系统
KR20100134436A (ko) 단방향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147128A (zh) 适用于全球范围内的卫星业务数据实时下传系统
WO2010095267A1 (ja) 衛星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2014068216A (ja) 通信システム
KR100394815B1 (ko) 멀티채널 중계기
RU2605226C2 (ru) Устройство цифровой поездной радиосвяз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е (варианты)
CN110518954B (zh) 一种短波/超短波电台远距离中继通信系统和方法
KR100953566B1 (ko) 방송 신호 수신 및 통신 신호 중계를 위한 양방향 갭필러장치 및 그 신호 전송 방법
JPH0620188B2 (ja) 無線中継装置
US11799501B2 (en) Coverage extension antenna system
JP6526838B2 (ja) 中継/通信局装置
CN108494708A (zh) 提高无线通信系统数据传输速率的新方法
CN216356730U (zh) 一种通信系统
JP2904261B2 (ja) ディジタル無線中継方式
CN212278216U (zh) 中频备份通信系统
Zheng et al. Symbol error rate of multi-relay decode-and-forward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s under Nakagami-m fading
JP2867937B2 (ja) 移動体衛星通信装置
KR101133747B1 (ko) 위성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