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59A - 손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손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359A
KR20100134359A KR1020090052952A KR20090052952A KR20100134359A KR 20100134359 A KR20100134359 A KR 20100134359A KR 1020090052952 A KR1020090052952 A KR 1020090052952A KR 20090052952 A KR20090052952 A KR 20090052952A KR 20100134359 A KR20100134359 A KR 20100134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air tube
band
glov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943B1 (ko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riority to KR102009005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94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착용시, 일단이 아래 팔까지 연장되는 장갑, 상기 장갑의 배면에 설치되는 바형 부재로 구성되어, 내측 공기압을 조절하여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공기 튜브, 그리고 상기 장갑의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장갑의 배면을 두르면서 상기 바닥면의 타측으로 부착되고, 연결시 상기 공기 튜브의 공기압에 따라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밴드를 포함하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손목의 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손목 터널을 넓혀줄 수 있도록 리프팅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바, 필요시 선택적으로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손목 보호대 {A CARPAL GUAR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본 발명은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를 돕기 위한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손목터널이란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를 의미한다. 이 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 방향으로 지나간다. 이때, 손목 터널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이 곳을 지나는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손상되면서 이 신경의 지배 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손목 터널 증후군이라고 한다.
이런 손목 터널 증후군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로서 손목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이전에는 깁스나 부목 등을 이용하여 손목의 사용을 제한하였으나, 최근에는 손목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손목 보호대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손목 보호대의 경우 손목 고정 기능이 좋을수록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것이 곤란하고, 착용이 용이하면 손목의 고정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 었다. 또한, 손의 크기와 모양이 사람마다 다양하여 손목을 고정하는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장갑의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성이 좋으면서도, 손목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손의 크기 또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 손목 운동의 제한 정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 일단이 아래 팔까지 연장되는 장갑, 상기 장갑의 배면에 설치되는 바형 부재로 구성되어, 내측 공기압을 조절하여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공기 튜브, 그리고 상기 장갑의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장갑의 배면을 두르면서 상기 바닥면의 타측에 부착되고, 연결시 상기 공기 튜브의 공기압에 따라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밴드를 포함하는 손목 보호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튜브의 공기압을 높이면, 상기 공기 튜브가 팽창하면서 자체의 휨 강도가 증가하면서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팽창에 의해 복수개의 밴드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하면서 손목 터널이 넓어지도록 상기 장갑 바닥면의 양측을 리프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밴드는 상기 공기 튜브를 손목 및 손등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튜브의 외측을 두르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의 일단은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면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밴드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자체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서 상기 밴드의 단부는 벨크로(velcro)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는 상기 바닥면의 요골 측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면의 척골 측에 구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손목의 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손목 터널을 넓혀줄 수 있도록 리프팅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바, 필요시 선택적으로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바닥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목 보호대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보호대(100)는 장갑(110), 장갑(110)의 배면(110b)에 구비되는 공기 튜브(120) 및 상기 장갑(110) 및 공기 튜브(120)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는 복수개의 밴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갑(1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보호대(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종래의 손목 보호대는 원통형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시 위치 고정이 곤란한 문제가 있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손목 보호대(100)의 몸체를 장갑(110) 형태로 구성하여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의해 위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100)의 장갑(110) 후단에는 손이 입수되는 입수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시 입수부(111)가 아래팔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단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손목 터널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부분을 폭넓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장갑(110)의 전단은 손가락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의 형상에 따라 개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목 보호대(100)를 착용한 상태로 일상의 단조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공기 튜브(120)는 장갑의 배면(110b), 즉 손등 방향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바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튜브(120)는 팔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손목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손목 관절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튜브(120)는 손등의 소정 위치로부터 손목을 거쳐 아래팔의 팔등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 튜브(120)는 손목이 운동하는 축과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자체의 휨 강성을 이용하여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공기 튜브(120)는 소정의 내측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내측에 수용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 튜브(120)는 공기가 수용되는 양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손목 보호대(100)는 내측의 강성이 높은 재질을 포함하여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였으나, 항상 일정한 강성으로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바 사용자의 호전 상태 또는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의 공기압(空壓)에 따라 자체의 휨 강성이 조절할 수 있는 공기튜브(120)를 이용하여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바, 사용성이 개선된 손목 보호대(100)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튜브(120) 내측에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면, 내측 공기압이 증가하면서 공기 튜브(120)가 팽창하고, 이에 의해 공기 튜브(120)가 손목의 꺾임에 저항하는 자체의 휨 강성이 증가하여 손목의 운동을 더욱 견고하게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공기 튜브(120) 내측에 소정 량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 되어 적은 양의 공기만이 수용되는 경우, 내측 공기압이 감소하면서 공기 튜브가 수축하고, 이에 의해 공기 튜브가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손목의 운동을 일정 정도 허용할 수 있다.
공기 튜브(120) 내측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구성은 도 1 또는 도 2에 구체적 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의 공기 펌프와 연결시켜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튜브 자체에 외부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펌핑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장갑(110)의 바닥면(110a), 즉 손바닥 방향의 면에는 복수개의 밴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밴드(130)는 일단이 장갑(110)의 바닥면(110a)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밴드는, 장갑의 둘레를 소정 길이만큼 두른 후 장갑의 타 부위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의 바닥면(110a) 중 요골 방향에 해당하는 일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밴드(130)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면(110a) 중 척골 방향에 해당하는 일측에는 상기 밴드의 단부(131)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밴드(130)는 바닥면(110a)의 고정부(113)로부터 요골 방향 외측을 따라 장갑의 배면(110b)을 두른 후 바닥면(110a)의 척골 방향에 구비된 결합부(114)에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밴드(130)는 결합부(114)에 결합되는 단부(131)의 위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손목 보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결합부(114)에 결합되는 밴드 단부(131)의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자가 손목 보호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밴드(130)를 결합부(114)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따라 밴드(130)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가 상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밴드 단부(131)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다소 조이거나 혹은 다소 느슨하게 착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130)의 단부가 결합부(114)에 연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밴드의 단부(131) 및 결합부(114)를 벨크로(velcro) 등의 접착 가능한 직물을 이용하여,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버클 등의 다양한 구성을 이용하여 각각의 밴드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130)를 결합부(114)에 연결하는 경우, 각각의 밴드(130)는 장갑의 배면(110b)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배면(110b)에 설치되는 공기 튜브(120)의 외측을 두르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장력을 가하면서 밴드(130)를 결합부(114)에 부착하는 경우, 공기 튜브(120)를 손목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공기압을 갖는 공기 튜브(120)를 이용하여 손목의 운동을 더욱 제한시키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나아가, 밴드(130)를 부착한 상태에서 공기 튜브(12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경우, 각 밴드의 양 단에서는 장갑의 배면(110b) 방향으로 장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튜브(120)를 손목에 더욱 밀착시킴으로서 손목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밴드의 양 단에 해당하는 장갑의 고정부(113) 및 결합부(114)에서 손바닥 또는 손목을 외측 방향으로 리프팅 시켜 통증 완화 및 치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손목 보호대를 착용한 경우 손목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 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130)를 부착한 상태에서 공기 튜브(1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손목 보호대(100)에 의해 손목이 리프팅 되는 효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튜브(120)가 팽창하면서 밴드(130)의 양단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손목의 바닥면 양측에서는 손등 외측 방향으로 리프팅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손목 인대(A)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손목 터널(B)이 넓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손목 터널을 통과하는 정중신경(C)는 압박이 완화될 수 있는 바, 통증을 줄임과 통시에 치료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손목 보호대(100)는 장갑(110) 및 밴드(130)를 이용하여 착용성 및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밴드(130)의 결합 위치 및 공기 튜브(120)의 압력을 조절하여, 손목을 고정시키는 정도를 자율적으로 제어하는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밴드(130) 및 공기 튜브(120)를 이용하여 손목 고정의 효과를 개선함과 동시에, 손바닥 및 손목을 양측으로 리프팅하면서 통증을 완화시키고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손목 보호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손목 보호대를 착용한 경우 손목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7)

  1. 착용시, 일단이 아래 팔까지 연장되는 장갑;
    상기 장갑의 배면에 설치되는 바형 부재로 구성되어, 내측 공기압을 조절하여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는 공기 튜브; 그리고,
    상기 장갑의 바닥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갑의 배면을 두르면서 상기 바닥면의 타측에 부착되고, 부착시 상기 공기 튜브의 공기압에 따라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밴드를 포함하는 손목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튜브의 공기압을 높이면, 상기 공기 튜브가 팽창하면서 자체의 강성이 증가하면서 손목의 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팽창에 의해 복수개의 밴드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하면서 손목 터널이 넓어지도록 상기 장갑 바닥면의 양측을 리프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밴드는 상기 공기 튜브를 손목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튜브의 외측을 두르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단부는 상기 바닥면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결합부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자체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타단은 벨크로(velcro)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바닥면의 요골 측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면의 척골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KR1020090052952A 2009-06-15 2009-06-15 손목 보호대 KR10112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52A KR101125943B1 (ko) 2009-06-15 2009-06-15 손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52A KR101125943B1 (ko) 2009-06-15 2009-06-15 손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59A true KR20100134359A (ko) 2010-12-23
KR101125943B1 KR101125943B1 (ko) 2012-03-21

Family

ID=4350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52A KR101125943B1 (ko) 2009-06-15 2009-06-15 손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9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678A1 (ko) * 2016-02-12 2017-08-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프로브 파지용 기능성 장갑
KR20190079052A (ko) * 2017-12-27 2019-07-05 장기용 손목 보호대
CN110891530A (zh) * 2017-06-22 2020-03-17 伦尼迈德有限公司 用于治疗腕管综合征的可穿戴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2B1 (ko) 2015-05-12 2016-07-2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해부학 자료를 반영한 손목 의료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711A (en) * 1982-09-20 1984-04-10 Dubar Kenneth W Wrist and ring finger support for bowler
US5376066A (en) * 1993-06-02 1994-12-27 Phillips; Timothy W. Glove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US6986779B2 (en) * 2003-06-16 2006-01-17 Karen Begley, legal representative Pain relieving pressure maintenance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678A1 (ko) * 2016-02-12 2017-08-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프로브 파지용 기능성 장갑
CN110891530A (zh) * 2017-06-22 2020-03-17 伦尼迈德有限公司 用于治疗腕管综合征的可穿戴设备
KR20190079052A (ko) * 2017-12-27 2019-07-05 장기용 손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943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0286B1 (en) Preformed member having raised contact feature and wrist brace using same
US6146347A (en) Appliance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US5746707A (en) Carpel tunnel syndrome external brace
US4899763A (en) Therapeutic appliance for the wrist
KR101125943B1 (ko) 손목 보호대
US11044957B2 (en) Wrist guard
KR101068738B1 (ko) 목 보호대
JP6830886B2 (ja) ロープロファイルのニーブレース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US11213433B2 (en) Carpal tunnel wrist brace
US8512268B2 (en) Orthopedic auxiliary aid comprising an introduceable functional element
KR20130002499U (ko) 관절교정 보호대
US8568345B2 (en) Digit pad for treating trigger finger and trigger thumb
JP5941090B2 (ja) 手指関節用サポーター
KR102085862B1 (ko) 테니스 엘보 환자를 위한 치료용 보조기
KR200296825Y1 (ko) 유방암 수술 후 수술부위에 착용하는 회복대 구조
FI3876878T3 (en) Flexible orthosis for wrist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US20230363933A1 (en) Wrist brace
KR200494421Y1 (ko) 의료용 부목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CN216628845U (zh) 一种腕部护具及关节保护装置
KR102443133B1 (ko) 손목 보호대
KR20230079835A (ko) 팔꿈치 보호 패치
KR20220011495A (ko) 장갑 형태의 손목 보호대
KR20230110534A (ko) 신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사람을 위한 손 및 손목 보조 장치
JPH10225471A (ja) 指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