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07A -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 Google Patents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307A
KR20100134307A KR1020090052861A KR20090052861A KR20100134307A KR 20100134307 A KR20100134307 A KR 20100134307A KR 1020090052861 A KR1020090052861 A KR 1020090052861A KR 20090052861 A KR20090052861 A KR 20090052861A KR 20100134307 A KR20100134307 A KR 2010013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hair loss
chain gear
plat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현
하정희
Original Assignee
하경현
하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경현, 하정희 filed Critical 하경현
Priority to KR102009005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4307A/ko
Publication of KR2010013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6Helmets for head-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14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모터(12)의 양측으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0);
모터(12)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10)을 수용하고 머리가 안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디귿자형 하우징(20)
하우징(20)내의 동력전달수단(10)의 양 단부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31)을 가지며, 각 편심축(31)이 회전 위상차를 두도록 구성한 편심수단(30);
편심수단(30)의 각 편심축(31)을 따라 정지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판(40);
각 고정판(40)에 일단이 결합된 고정끈(50);
각 고정끈(50)의 다른 단에 결합되며 고정끈(50)의 운동에 연동하여 머리 상부 두피를 누르면서 좌우 이동하여 두피운동을 시켜주는 좌우이동판(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Figure P1020090052861
탈모방지,발모촉진

Description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A Reciprocating mo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hair}
본 발명은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에 관한 것으로, 머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의 양단에서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편심수단을 구동시키고, 편심수단에는 편심수단의 편심축에 연동하는 고정판을 유착시키고, 고정판에는 유착핀으로 연결된 고정끈을 두어 고정끈으로 두피를 좌우로 반복운동하도록 구성하여, 두피의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도록 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나이가 들어 인체의 모든 활동이 둔화되면서 일어나는 현상 중의 하나가 탈모현상이다. 또한, 탈모는 나이에 상관없이 스트레스 등으로도 빠지는 것이 현실이다.
대머리의 특징은 어릴 때부터 성장기까지는 그 증세가 나타나지 않다가 30대를 지나면서 신체의 성장이 멈추면서 서서히 진행된다. 사람에 따라서 20대나 30대 부터 대머리가 진행되나 대부분 40대를 넘으면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현재 알려진 대머리의 원인은 유전적인 것이며, 이러한 유전적인 증세는 두피에 혈액순환이 잘되지않고, 이에 따라 모근을 통한 영양 공급이 부족하여 모발의 성장이 저하되고, 동시에 두피는 피질이 발생하여 모공을 막아 각질이 생기고 각질이 두피에서 떨어지면서 동시에 모발이 빠지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하면서 대머리가 진행된다.
그런데 대머리라 할지라도 머리 뒷부분과 귀 부근의 탈모자는 없는 것이 현실인바, 이러한 원인은 사람이 식사나 말을 할 때마다 일상 생활을 통해서 아래턱 관절이 움직이고, 이러한 움직임은 인접한 귀 주변의 두피를 자극하여 자연스럽게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머리 뒷부분은 머리를 좌우나 앞뒤로 움직이면서 역시 자연스럽게 두피를 자극하기에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이는 결국 해당부위의 모발에 영양공급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에 탈모가 방지된다.
반면에 머리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하는 부분은 두피에서 가장 운동이 되지 않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중력을 받아서 인체의 혈액순환 압력도 가장 낮은 부분이어서, 혈액순환이 용이하지 않고, 이는 결국 모발의 영양공급을 저해시켜 탈모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혈액순환 저하로 인하여 두피의 지속 시간이 줄어들고, 이는 결국 비듬과 각질의 발생 요인이 된다.
일부 운동기구로 받침대 위에 서서 본체에는 진동으로 회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회전수단에는 끈을 루프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허리에 대고 허리를 자극하는 운동 및 허리살 빼는 기구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는 허리의 운동 및 자극을 극대화하도록 개발된 것이어서 이를 그대로 두피에 접촉하도록 하면 지속적으로 두피에 접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그럼에도 이를 두피에 적용한다면, 과도한 힘과 마찰력으로 두피의 모발이 상하여 탈모를 촉진하는 부작용이 생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가 두개골 표면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토록 하여, 두피의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두피의 모발이 탈모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발모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을 목이 받쳐지도록 하는 디귿자형 하우징으로 하여 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두피를 운동시키도록 하여 균일하고도 지속적인 두피 운동을 가능토록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을 모터가 있는 본체와 그 양 옆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하우징 연장부를 두고 연장부의 단부에서 편심운동하는 고정판에 고정끈이 왕복운동되도록 하고 고정끈이나 고정끈에 고정된 좌우이동판에 두피가 닿아 고정끈에 두피가 연동함으로써 왕복운동되도록 하고, 하우징에는 의자나 침대나 벽이나 안마기나 마사지기 등에 결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에 별도의 높낮이 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별명은 모터의 양측으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을 수용하고 머리가 안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디귿자형 하우징;
하우징 내의 동력전달수단의 양 단부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을 가지며, 각 편심축이 회전 위상차를 두도록 구성한 편심수단;
편심수단의 각 편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판;
각 고정판에 일단이 결합된 고정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 고정끈의 중간에 결합되며 고정끈의 운동에 연동하여 머리 상부 두피를 누르면서 좌우 이동하여 두피운동을 시켜주는 좌우이동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본체 양단에서 머리가 안치되는 폭으로 전방으로 연장된 하우징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두피가 두개골 표면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토록 하여, 두피의 혈액 순환을 증진시켜 두피의 모발이 탈모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발모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목이 받쳐지도록 하는 디귿자형 하우징으로 하여 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두피를 운동시키도록 하여 균일하고도 지속적인 두피 운동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모터가 있는 본체와 그 양 옆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하우징 연장부를 두고 연장부의 단부에서 편심운동하는 고정판에 고정끈이 왕복운동되도록 하고 고정끈이나 고정끈에 고정된 좌우이동판에 두피가 닿아 고정끈에 두피가 연동함으로써 왕복운동되도록 하고, 하우징에는 의자나 침대나 벽이나 안마기나 마사지기 등에 결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별도의 높낮이 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 3 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판과 유착핀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로, 모터(12)의 양측으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0);
모터(12)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10)을 수용하고 머리가 안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디귿자형 하우징(20);
하우징(20)내의 동력전달수단(10)의 양 단부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편심 축(31)을 가지며, 각 편심축(31)이 회전 위상차를 두도록 구성한 편심수단(30);
편심수단(30)의 각 편심축(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판(40);
각 고정판(40)에 일단이 결합된 고정끈(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 고정끈(50)의 중간에 결합되며 고정끈(50)의 운동에 연동하여 머리 상부 두피를 누르면서 좌우 이동하여 두피운동을 시켜주는 좌우이동판(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모터(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22)와, 하우징본체(22) 양단에서 머리가 안치되는 폭으로 전방으로 연장된 하우징 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디귿자형 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22)의 내측면에는 머리나 목을 지지하는 목받이(26)를 부가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0)은 모터(12)의 양단 회전축(11)에 각각 부가하고 하우징(20) 내부에 설치한 체인기어(13)와,
체인기어(13)를 통한 동력을 착용자의 귀 부분의 하우징연장부(24) 단부 부위에 유착시킨 제 2 체인기어(14)에 전달하는 기어벨트(15)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다.
상기, 제2체인기어(14)의 제2체인기어축(16)에는 편심수단(30)을 결합하며, 편심수단(30)은 제 2체인기어(14)의 제 2체인기어축(16)에 편심 연결된 편심판(32)과,
편심판(32)에 고정된 편심축(31)과,
편심축(31)에 유착되어 고정 상태로 편심축(31)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판(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40)에는 고정판(40)의 회전에 고정끈(50)을 왕복운동 하도록 고정판(40)에 유착핀(52)이 유착되게 구성한다.
상기, 좌우이동판(60)의 저면에는 두피와 접촉하여 두피가 두개골 면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토록 하는 누름판(70)을 부가한다.
상기, 누름판(70)에는 두피를 눌러주는 누름돌기(72)를 다수 형성하며, 그 갯수나 직경등은 재질이나 사용자의 탈모 상태에 따라 달라라는 것이어서 단순히 다수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상기, 누름판(70)에는 저주파,중주파,고주판 중의 일종을 전달하는 전도판(72)을 부가하며, 이러한 전도판의 제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주파수 발생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자체는 통상의 기술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누름판(70)과 좌우이동판(60) 사이는 냉각수단(80)을 부가한다.
상기, 냉각수단(80)은 냉각팬,냉매층,PTC소자 중의 일종을 들 수 있고, 각 소자에 따라 냉각을 전달하는 재질이나 두께 등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목받이부(26)에는 목이나 어깨 마사지 기능을 하는 진동 모터를 내장하면,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60)에는 원적외선이나 레이저 발생용 엘이디(62)를 내장하 고,
대응 누름판(70)에는 빛이 통하는 통공(74)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끈(50)에는 사용자의 두상 길이에 따라 조절하도록 바클이나 고정후크나 고리 등과 같은 길이조절수단을 결합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하우징(20)의 하우징본체(22)의 안쪽에 설치한 목받이부(26)에 목이 오도록 하고, 하우징(20)은 별도의 지지구나 방바닥이나,벽면 천정, 침대, 의자, 책상 등에 놓거나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하우징(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격에 맞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두상에 고정끈(50)이 오도록 하며, 고정끈(50)에는 필요시 좌우이동수단(60) 단독이나 별도의 누름판(70)을 겸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두상의 표면 부위에 예를 들어 도 1 및 도의 상태일 경우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턴 온시켜 모터(12)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12)가 회전하면서 회전축(11)으로 동력전달수단(10)을 구동한다.
동력전달수단(10)은 회전축(11)에 연동하는 체인기어(13)와 기어벨트(15)가 동력을 제 2 체인기어(14)로 전달하고, 제2체인기어(14)는 제2체인기어축(16)을 구동하고, 제 2 체인기어축(16)은 편심수단(30)을 구동한다. 편심수단(30)의 편심된 편심판(32)에 설치한 편심축(31)이 고정판(40)과 도 4 와 같이 고정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판(40)을 회전시킨다.
고정판(40)에는 유착된 유착판(52)이 있고, 유착핀(52)의 외측 단부에는 고 정끈(5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편심판(32)에 연동하여 고정판(40)이 회전하면서 고정끈(50)도 함께 회전시키려하나, 유착핀(52)이 자전상태로 회전을 풀어버리므로 유착핀(52)의 높낮이에 따라서 고정끈(50)은 도 1 및 도 2 와 같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왕복운동은 좌우동판(60)과 누름판(70)이 함께 두피를 눌러주면서 일정 거리를 왕복 운동하는 기능을 하고, 이 경우 두개골은 그대로 있고 두피만 움직이는 작용을 하므로, 두피를 자극하여 두피에 혈액이 자연스럽게 이리저리 흐르도록 작용하고, 결국 두피의 모발에 영양공급을 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고정끈(50)의 왕복운동은 도 4 와 같이 유착핀(52)에 고정된 고정끈(50)은 유착핀(52)과 함께 움직이고, 유착핀(52)은 고정판(40)의 움직임에 연동하므로 도 4의 위치(A)에서 위치(B)(C)를 지나 위치(D)를 거치는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고정끈(50)이 결국 왕복운동을 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좌우이동수단(60)에 냉각수단(80)의 일종인 예를 들어 냉각팬(81)을 설치하면, 분배관(82)을 따라서 외기가 이동하여 통공(74)을 통하여 두피에 전달되므로 두피는 누름판(70)으로 덮여 있어도 외기를 받아서 과열되는 것을 막아주어 모근과 두피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냉각수단은 알려진 다른 기술(ptc소자, 냉매층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누름판(70)에는 누름돌기(76)를 두어 두피와의 마찰 면적을 줄이면서 좌우 이동을 가능토록 하며, 통기성도 좋게 하면서 두피의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본 발명에서 누름판(70)과 좌우이동수단(60)은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으로 분 리하여 사용자마다 각자의 누름판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개개인의 누름판(70)과 좌우이동수단(60)이 결합된 것을 사용하여 모듈식으로 각각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해 조립하는 구성은 후크나 매직테이프, 고리 자석 등 알려진 기술의 일종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누름판(70)에는 전도판(72)을 설치할 경우 주파수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한 발생 주파수를 두피에 전달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 가능하다. 또한, 엘이디(62)를 통한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두피를 활성화시키면 두피의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5 와 같이, 동력전달수단(10)은 모터(12)의 양단 회전축(11)에 각각 부가하고 하우징(20) 내부에 설치한 체인기어(13)와,
체인기어(13)를 통한 동력을 착용자의 귀 부분의 하우징연장부(24) 단부 부위에 유착시킨 제 2 체인기어(14)와,
체인기어(13)와 제 2체인기어(14) 의 하우징연장부(24)에 유착시킨 제 3 체인기어(17)와,
체인기어(13)와, 제3체인기어(17)와, 제 2체인기어(14)에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벨트(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3체인기어(17)의 제3체인기어축(18)에는 편심수단(30)을 결합하며, 편심수단(30)은 제 3체인기어(17)의 제 3체인기어축(18)에 편심 연결된 편심판(32)과,
편심판(32)에 고정된 편심축(31)과,
편심축(31)에 유착되어 고정 상태로 편심축(31)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판(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40)에는 고정판(40)의 회전에 고정끈(50)을 왕복운동 하도록 고정판(40)에 유착핀(52)이 유착되게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책상, 의자, 벽, 천정, 안마기, 마사지기, 침대 중의 한 곳에 지지하도록 기능 하는 지지대를 부가하면 좋다.
아울러, 지지대에는 후크나 자바라, 관체결합을 중첩되게 결합하는 등의 높낮이 조절수단을 부가하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은 기본적인 운동원리는 동일하므로 작동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고정끈(50)을 일조로 구성하여 동시에 두피의 두 곳에서 왕복운동(수평운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왕복운동 방향이 서로 반대를 이루도록 하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편심판(32)의 편심축(31)과 고정판(40)은 도 4 와 같은 고정결합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 과 같이 유착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는바, 도 6 은 제 2 체인기어(14)의 제 2체인기어축(16)에 편심 연결된 편심판(32)에 고정된 편심축(31)과,
편심축(31)에 유착되어 편심축(31)의 회전에 따라 회전치 않고 위치 이동하는 고정판(40)과,
고정판(40)에 핀(52')으로 고정된 고정끈(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 편심판(32)만 회전하고 고정판(40)은 편심축(31)의 위치에 따라 도 6a 와 도 6b 와 같이 이동하면서 고정끈(50)의 위치를 이동시켜 왕복운동하고, 이러한 왕복운동은 두피를 두개골 표면을 따라 왕복운동토록 하면서 두피의 혈액순환을 증진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 3 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판과 유착핀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편심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동력전달수단 11;회전축 12;모터 13;체인기어 14;제2체인기어 15;기어벨트 16;제2체인기어축 17;제3체인기어 18;제3체인기어축 20;하우징 22;하우징 본체 24;하우징 연장부 26;목받이부 30;편심수단 31;편심축 32;편심판 40;고정판 50;고정끈 52;유착핀 60;좌우이동수단 62;엘이디 70;누름판 72;전도판 74;통공 80;냉각수단

Claims (20)

  1. 모터(12)의 양측으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0);
    모터(12)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10)을 수용하고 머리가 안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디귿자형 하우징(20)
    하우징(20)내의 동력전달수단(10)의 양 단부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31)을 가지며, 각 편심축(31)이 회전 위상차를 두도록 구성한 편심수단(30);
    편심수단(30)의 각 편심축(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판(40);
    각 고정판(40)에 일단이 결합된 고정끈(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각 고정끈(50)의 중간에 결합되며 고정끈(50)의 운동에 연동하여 머리 상부 두피를 누르면서 좌우 이동하여 두피운동을 시켜주는 좌우이동판(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하우징(20)은 모터(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22)와, 하우징본체(22) 양단에서 머리가 안치되는 폭으로 전방으로 연장된 하우징 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4. 제 3항에 있어서, 디귿자형 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22)의 내측면에는 머리나 목을 지지하는 목받이(26)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10)은 모터(12)의 양단 회전축(11)에 각각 부가하고 하우징(20) 내부에 설치한 체인기어(13)와,
    체인기어(13)를 통한 동력을 착용자의 귀 부분의 하우징연장부(24) 단부 부위에 유착시킨 제 2 체인기어(14)에 전달하는 기어벨트(15)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제2체인기어(14)의 제2체인기어축(16)에는 편심수단(30)을 결합하며, 편심수단(30)은 제 2체인기어(14)의 제 2체인기어축(16)에 편심 연결된 편심판(32)과,
    편심판(32)에 고정된 편심축(31)과,
    편심축(31)에 유착되어 고정 상태로 편심축(31)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판(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7. 제 5항에 있어서, 고정판(40)에는 고정판(40)의 회전에 고정끈(50)을 왕복운동 하도록 고정판(40)에 유착핀(52)이 유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좌우이동판(60)의 저면에는 두피와 접촉하여 두피가 두개골 면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토록 하는 누름판(70)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9. 제 8항에 있어서, 누름판(70)에는 두피를 눌러주는 누름돌기(72)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0. 제 9항에 있어서, 누름판(70)에는 저주파,중주파,고주판 중의 일종을 전달하는 전도판(72)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1. 제 8항에 있어서, 누름판(70)과 좌우이동판(60) 사이는 냉각수단(80)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냉각수단(80)은 냉각팬,냉매층,PTC소자 중의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3. 제 4항에 있어서, 목받이부(26)에는 목이나 어깨 마사지 기능을 하는 진동 모터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좌우이동판(60)에는 원적외선이나 레이저 발생용 엘이디(62)를 내장하고,
    대응 누름판(70)에는 빛이 통하는 통공(7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고정끈에는 사용자의 두상 길이에 따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10)은 모터(12)의 양단 회전축(11)에 각각 부가하고 하우징(20) 내부에 설치한 체인기어(13)와,
    체인기어(13)를 통한 동력을 착용자의 귀 부분의 하우징연장부(24) 단부 부위에 유착시킨 제 2 체인기어(14)와,
    체인기어(13)와 제 2체인기어(14) 의 하우징연장부(24)에 유착시킨 제 3 체인기어(17)와,
    체인기어(13)와, 제3체인기어(17)와, 제 2체인기어(14)에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벨트(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제3체인기어(17)의 제3체인기어축(18)에는 편심수단(30) 을 결합하며, 편심수단(30)은 제 3체인기어(17)의 제 3체인기어축(18)에 편심 연결된 편심판(32)과,
    편심판(32)에 고정된 편심축(31)과,
    편심축(31)에 유착되어 고정 상태로 편심축(31)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판(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고정판(40)에는 고정판(40)의 회전에 고정끈(50)을 왕복운동 하도록 고정판(40)에 유착핀(52)이 유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1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하우징(20)에는 책상, 의자, 벽, 천정, 안마기, 마사지기, 침대 중의 한 곳에 지지하도록 기능 하는 지지대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지지대에는 높낮이조절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KR1020090052861A 2009-06-15 2009-06-15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KR20100134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61A KR20100134307A (ko) 2009-06-15 2009-06-15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61A KR20100134307A (ko) 2009-06-15 2009-06-15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07A true KR20100134307A (ko) 2010-12-23

Family

ID=4350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61A KR20100134307A (ko) 2009-06-15 2009-06-15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43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58A (ko) * 2014-12-05 2016-06-16 장재범 레이저 탈모 치료기
CN109464274A (zh) * 2019-01-05 2019-03-15 孙敬蕾 一种多功能脑部按摩装置
KR102314612B1 (ko) 2021-05-24 2021-10-19 (주)이지템 에어커프가 구비된 두피케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58A (ko) * 2014-12-05 2016-06-16 장재범 레이저 탈모 치료기
CN109464274A (zh) * 2019-01-05 2019-03-15 孙敬蕾 一种多功能脑部按摩装置
KR102314612B1 (ko) 2021-05-24 2021-10-19 (주)이지템 에어커프가 구비된 두피케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7785B2 (ja) 二相超音波振動発生器およびled素子を備えた携帯用成長板刺激型発育促進装置
CN102026609B (zh) 治疗性微振设备
US8932196B2 (en) Thermally assisted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JP7069044B2 (ja) 刺激装置
JP6208758B2 (ja) 家庭用美容トリートメント装置
JP2018518247A (ja) 筋肉回復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094210B2 (en) Method of wave biomechanotherapy
US20190274914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manipulating tissue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160228325A1 (en) Motorized Muscle Relaxing Therapy System
CN105965497A (zh) 一种手部按摩智能机器人驱动装置
KR20170034010A (ko) 안마 및 소염 기능을 갖는 요대
KR200417519Y1 (ko) 개인용 체형 관리기
KR20100134307A (ko) 두피 좌우 운동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US10589116B1 (en) Wearable pai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EP4069177A1 (en) Vibration device
KR101006764B1 (ko) 공압을 이용한 척추 마사지기
KR102370845B1 (ko) 다기능 피부 미용 기기
KR101552507B1 (ko) 인체 롤링 타입 마사지기
KR100558877B1 (ko) 휴대용 마사지 치료기기
KR20020055558A (ko) 조끼식 안마기
KR101205959B1 (ko) 스페로이드 파장을 이용한 피부 마사지기
CN217697256U (zh) 按摩装置
KR102201458B1 (ko) 머리착용형 자기장 발산장치
CN213607250U (zh) 一种带有步行提示功能的腹带
CN115836966A (zh) 一种基于臧氏振腹法理论的振腹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