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189A -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189A
KR20100134189A KR1020090052681A KR20090052681A KR20100134189A KR 20100134189 A KR20100134189 A KR 20100134189A KR 1020090052681 A KR1020090052681 A KR 1020090052681A KR 20090052681 A KR20090052681 A KR 20090052681A KR 20100134189 A KR20100134189 A KR 20100134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number
international
current location
di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568B1 (ko
Inventor
서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5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5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 로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정보에 따라 국제 전화 접속번호의 체계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다이얼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가입자가 현지의 국제 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맞추어서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망 방식에 대한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에 대한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이면 해당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가 아니면 현재 위치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따라 접속번호를 변환하여 다이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Controlling Auto Dialing for International Call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Therefore}
본 발명은 해외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지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국내 통화는 물론, 해외 전화 가입자와의 국제 통화 기능도 이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방식은 미국, 한국 등을 중심으로 하는 CDMA() 방식과,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으로 나누어지는 바, 각 CDMA 방식과 GSM 방식에서는 서로 국제 전화를 걸기 위한 접속번호의 입력체계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CDMA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에서 해외 로밍시 국제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제접속번호(IDD)를 입력하고, 상대방의 국가번호, 지역번호, 전화번호를 입 력(예컨대 00-82-10-8080-1234)해야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GSM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해외 로밍시 국제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 국제접속 코드(International Dialing Code)로서 "+" 코드를 입력하고, 상대방의 국가번호, 지역번호, 전화번호를 입력(예컨대 +1765234234)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입장에서는 CDMA 방식을 사용하는 지역과 CDMA 방식을 사용하는 지역에서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입력 체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CDMA/GSM의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국제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단말기 사용 지역의 국제전화 발신 체계를 미리 습득한 상태에서 접속번호를 해당 지역의 체계에 맞게 입력해야만 정확한 국제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해외 로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정보에 따라 국제 전화 접속번호의 체계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다이얼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가입자가 현지의 국제 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맞추어서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망 방식 에 대한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에 대한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이면 해당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가 아니면 현재 위치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따라 접속번호를 변환하여 다이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망 방식에 대한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통신망 방식의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현재 위치한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과 통신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현재 위치 지역 통신망과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인지를 판단하여,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가 아니면 상기 메모리의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 지역의 국 제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따라 접속번호를 변환하여 다이얼링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GSM/CDMA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통신망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한 지역 통신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로 입력되었는지를 판정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 통신망의 접속번호 체계가 아니면 이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GSM 통신망 지역 또는 CDMA 통신망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를 모르고 있더라도 국제로밍 전화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은, 제1 및 제2이동통신 단말기(10,14)와, CDMA 지역 통신망, GSM 지역 통신망, 공중전화망(PSTN), 제1 및 제2유선전화 단말기(12,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동통신 단말기(10)는 GSM/CDMA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CDMA 지역 통신망을 사용하는 CDMA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현재 위치하고 있는 CDMA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한 CDMA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를 갖도록 접속번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통신 단말기(10)는 현재 CDMA 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GSM 지역 통신망에서 운영되는 통신망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서 GSM/CDMA 듀얼 로밍 기능에 따라 GSM 모드에서 CDMA 모드로 로밍되어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제1유선전화 단말기(12)는 CDMA 통신 지역의 CDMA 지역 통신망과 연결된 공중 전화망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CDMA 지역에 위치한 상기 제1이동통신 단말기(10) 또는 GSM 지역의 제2이동통신 단말기(14)와 음성 통화를 진행한다.
상기 제2이동통신 단말기(14)는 GSM/CDMA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GSM 지역 통신망을 사용하는 GSM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현재 위치하고 있는 GSM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한 GSM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를 갖도록 접속번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이동통신 단말기(14)는 현재 GSM 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CDMA 지역 통신망에서 운영되는 통신망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서 GSM/CDMA 듀얼 로밍 기능에 따라 CDMA 모드에서 GSM 모드로 로밍되어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유선전화 단말기(16)는 GSM 통신 지역의 GSM 지역 통신망과 연결된 공중 전화망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GSM 지역에 위치한 상기 제2이동통신 단말기(14) 또는 CDMA 지역에 위치한 상기 제1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음성 통화를 진행한다.
그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통신 단말기(10,14)가 모두 해당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이동통신 단말기(10,14)는, 키입력부(30)와, 표시부(32), 프로그램 메모리(34), 데이터 메모리(36), 마이크로 프로세서(40), 무선 통신부(42), 음성 처리부(44), 송화부(46), 수화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30)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GSM 지역 통신망 방식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또는 CDMA 지역 통신망 방식의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임의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32)는 상기 키입력부(30)에 의해 입력되는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화면 표시하고, 그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통한 상대방과의 통화접속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화면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34)는 현재 위치하는 통신망 방식에 맞게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36)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단말 기 관련 주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해당 데이터 메모리(36)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망 상에서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PRL(Preferred Roamming List)(38)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PRL(38)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밍 리스트 타입(Roaming List Type)과 PRL ID를 갖추고 있고, 획득 레코드(Acquisition Records)와 시스템 레코드(System Records)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획득 레코드에는 획득 타입(Acquisition Type) 필드와, 주파수 채널(Frequency Channe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레코드에는 시스템 타입(System Type) 필드와, Neg/Pref 필드, 지오그래피(Geography) 필드, 우선순위(Priority) 필드, 시스템 식별자(SID) 필드, 네트워크 식별자(NID)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PRL(38)에서는 획득 레코드의 획득 타입 필드와, 주파수 채널 필드, 상기 시스템 레코드의 시스템 식별자(SID) 필드와, 네트워크 식별자(NID) 필드를 통해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무선 통신부(42)를 통해 CDMA 지역 통신망 또는 GSM 지역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36)의 PRL(38)을 사용하여 판단함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34)로부터의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를 갖는 지를 판정하 여, 해당 위치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가 아니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접속번호를 현재 위치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로 자동 변환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42)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음성 처리부(44)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원래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44)는 음성 통화 동작에 따라 송화부(4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신호 처리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42)에 출력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42)로부터의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가청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수화부(48)에 출력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CDMA 지역 통신망에 속해 있는 통신망 사업자에게 가입되어 있지만, 현재 GSM 지역에 위치하는 제2이동통신 단말기(14)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GSM 지역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제2이동통신 단말기(14)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0)에서는, 무선 통신부(42)를 통해 해당 GSM 지역 통신망으로부터의 무선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통신신호에 포함된 통신망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0).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데이터 메모리(36)의 PRL(38)을 통해서 상기 통신망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 방식이 GSM 지역 통신망 방식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단계 S11).
한편, 사용자가 키입력부(30)를 통해 특정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입력하게 되면(단계 S13),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키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하는 GSM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키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하는 GSM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라고 판단되면, 사요자가 입력한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그대로 적용하게 된다(단계 S14).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GSM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국제접속코드(International Dialing Code)인 "+"를 사용하고, 국가코드인 "82", 지역코드인 "10"을 사용하여 "+82-10-8080-1234"와 같은 접속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접속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단계 S1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한 GSM 지역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프로그램 메모리(34)의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킴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여타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를 GSM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로 자동 변환하게 된다(단계 S15).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CDMA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국제접속번호(IDD)인 "00"을 사용하고, 국가번호인 "82", 지역번호인 "10"을 사용하여 "00-82-10-8080-123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에서 국제접속번호인 "00"을 제거하고 GSM 통신 방식에 따른 국제접속코드인 "+"를 삽입하여 "+82-10-8080-1234"와 같이 접속번호를 GSM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로서 자동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변환된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적용하여 국제전화의 다이얼링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6).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밍 리스트(PRL)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4:이동통신 단말기, 12,16:유선 전화 단말기,
30:키입력부, 32:표시부,
34:프로그램 메모리, 36:데이터 메모리,
38:로밍 리스트, 40:마이크로 프로세서,
42:무선 통신부, 44:음성 처리부,
46:송화부, 48:수화부.

Claims (4)

  1. 복수의 통신망 방식에 대한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통신망에 대한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이면 해당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가 아니면 현재 위치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따라 접속번호를 변환하여 다이얼링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하는 지역 통신망과 통신을 진행하여 해당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망 정보를 PRL(Preferred Roaming List) 정보를 통해 분석하여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제어 방법.
  3. 복수의 통신망 방식에 대한 듀얼 로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통신망 방식의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현재 위치한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과 통신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현재 위치 지역 통신망과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국제전화 접속번호가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 체계인지를 판단하여,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에 따른 접속번호가 아니면 상기 메모리의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 지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 체계에 따라 접속번호를 변환하여 다이얼링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통신망 상의 시스템 획득을 위한 PRL(Preferred Roamming List)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현재 위치하는 지역 통신망으로부터 해당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망 정보를 상기 PRL 정보에 의해 분석하여 현재 위치 지역의 통신망 방식을 인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90052681A 2009-06-15 2009-06-15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5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681A KR101065568B1 (ko) 2009-06-15 2009-06-15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681A KR101065568B1 (ko) 2009-06-15 2009-06-15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189A true KR20100134189A (ko) 2010-12-23
KR101065568B1 KR101065568B1 (ko) 2011-09-19

Family

ID=435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681A KR101065568B1 (ko) 2009-06-15 2009-06-15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54A1 (ko) * 2016-10-28 2018-05-03 (주) 비미오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가별 전화번호 체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전화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120B1 (ko) * 2006-05-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54A1 (ko) * 2016-10-28 2018-05-03 (주) 비미오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가별 전화번호 체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전화 연결 방법
US10819845B2 (en) 2016-10-28 2020-10-27 Vimio Co. Ltd Country-specific telephone number system analysis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elephone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568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381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060160538A1 (en) Method for automatic frequency band selection in multi-band supported mobile station
JP2008523770A (ja) 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いて機能強化された国際ダイアリング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467914B2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for dual mode terminal and dual mode terminal thereof
US2005004893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359872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CN101299846A (zh) 一种自动ip拨号的方法
CA2035306C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101003642B1 (ko)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JP2002135848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US9241303B2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KR101065568B1 (ko)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377524B2 (ja) 無線電話の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アクセス番号自動プログラミング方法
KR20080066044A (ko) Cdma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한 국제 다이얼링을 위한방법 및 시스템
KR1008391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CN105101329A (zh) 移动通信装置及其通信管理方法
CN103051800A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网络应用处理方法
KR20090104287A (ko) 이동 단말기의 로밍 설정 방법 및 로밍 자동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9000545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셀 선택 방법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60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전화번호 자동설정방법
KR1004244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로밍 서비스 표시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CA2498584A1 (en) Phone number replace code system and method
KR20100093717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서비스 방법
KR100238537B1 (ko) 무선 호출기 부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다수의 이동국 무선 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