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551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551A
KR20100133551A KR1020090052149A KR20090052149A KR20100133551A KR 20100133551 A KR20100133551 A KR 20100133551A KR 1020090052149 A KR1020090052149 A KR 1020090052149A KR 20090052149 A KR20090052149 A KR 20090052149A KR 20100133551 A KR20100133551 A KR 2010013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thbrush
tongue
protrusion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일
김중구
Original Assignee
김해일
김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일, 김중구 filed Critical 김해일
Priority to KR102009005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3551A/ko
Publication of KR2010013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6Brushes with heads on opposite sides or ends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속 청결을 위해 사용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칫솔은, 세정부가 좌, 우 양쪽에 위치되어 있는 세정몸체와; 세정부가 삽입되는 세정부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정몸체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어느 한쪽의 세정부는 세정부삽입공간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세정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칫솔은 분리, 결합이 가능한 세정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정몸체의 좌, 우 양쪽에 세정부가 위치되어 있고, 사용을 위해 하나의 세정부가 외부에 노출되면 다른 하나의 세정부는 사용에 불편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세정몸체 구비로 인해 칫솔의 수명이 길뿐 아니라 하나의 칫솔에 다양한 기능(설태나 백태의 제거를 위한 구성이나 구강 내 마사지를 위한 구성 등)을 구비하는 것도 용이하다
설태, 백태, 돌기, 다기능, 칫솔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입속 청결을 위해 사용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구조는 상호 교합되는 상, 하부 치열로 이루어져 있고, 이 상, 하부 치열은 모두 좌우로 나란한 배열을 이루는 여러 개의 치아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활동을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고, 섭취된 음식물은 구강내에서 씹는 과정을 통해 침과 혼합되어 소환기관으로 이송된다.
입안으로 들어온 음식물은 턱의 상하운동에 따라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치열이 서로 맞닿아 잘게 분쇄된다.
이러한 과정 중 필연적으로 음식물 조각은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에 끼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틈새에 끼인 음식물의 제거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강내의 세균에 의해 분해되며 부패가 이루어지고 각종 구강질환, 풍취 또는 구취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치아를 닦는 칫솔이 안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칫솔은 일면에 치아 세정을 위한 다수의 칫솔모(1a)가 고정되어 있는 세정부(1)와 상기 세정부(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파지를 가능하게 되어 있는 손잡이(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칫솔의 사용은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구강 내의 치열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시켜 틈새의 음식물을 제거하고 치아를 닦는 형태가 된다.
그런데 종래의 칫솔은 하나의 세정부 만을 갖는 것이고 세정부에는 칫솔모만이 구비된 것이어서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다양한 기능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칫솔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음식물 제거 및 치아의 끝부분 세정에는 효과적이나 치아와 잇몸 사이에 위치된 음식물의 제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고, 음식물의 제거를 위해 강하게 칫솔질을 하는 경우 잇몸이 상하며, 출혈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설태(舌苔)나 백태(白苔)를 제거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은 것이었다.
즉, 음식물의 지속적인 섭취 및 열병(熱病), 소화기병(消化器病), 또는 다른 심각한 병으로 말미암아 혀에는 설태(舌苔)나 백태(白苔)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설태나 백태를 방치할 경우 구취가 발생된다.
이러한 설태나 백태의 제거를 위해 칫솔모를 혀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왕복시키면 설태나 백태를 다소 제거할 수 있으나 상당히 오랫동안 칫솔질을 해야 하는 것이고, 혀 안쪽의 설태 또는 백태 제거를 위해 칫솔을 깊이 삽입하는 경우 세정부로 인해 구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세정부를 구비하여 수명이 길고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칫솔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설태나 백태의 제거 및 구강 내 마사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세정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칫솔이 되도록 하되 세정몸체의 좌, 우 양쪽에 세정부가 위치되어 있도록 하고, 사용을 위해 하나의 세정부가 외부에 노출되면 다른 하나의 세정부는 사용에 불편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세정몸체 구비로 인해 칫솔의 수명이 길고, 하나의 칫솔에 다양한 기능(설태나 백태의 제거를 위한 구성이나 구강 내 마사지를 위한 구성 등)을 구비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칫솔은, 세정부가 좌, 우 양쪽에 위치되어 있는 세정몸체를 갖는다.
또, 세정부가 삽입되는 세정부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정몸체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어느 한쪽의 세정부는 세정부삽입공간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세정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칫솔은 분리, 결합이 가능한 세정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정몸체의 좌, 우 양쪽에 세정부가 위치되어 있고, 사용을 위해 하나의 세정부가 외부에 노출되면 다른 하나의 세정부는 사용에 불편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세정몸체 구비로 인해 칫솔의 수명이 길뿐 아니라 하나의 칫솔에 다양한 기능(설태나 백태의 제거를 위한 구성이나 구강 내 마사지를 위한 구성 등)을 구비하는 것도 용이하다
특히, 세정부가 제1세척벽을 갖는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의 골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하여 치아의 풍치 및 잇몸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 세정부 저면 및 측면에 돌기가 구비된 경우 구강의 내측면 및 잇몸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입천장에 돌기를 밀착시켜 왕복시킴으로서 세척효과 및 마사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돌기의 외측에 제2세척벽이 구비된 경우 돌기에 의해 혀 표면에서 이탈된 찌꺼기를 구강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혀 표면의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는 설태제거부를 갖는 경우 설태 및 백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설태제거부의 끝단이 연질의 수지재로 되어 있는 경우 보다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도 첨부된 도면의 형태로 한정한 기재가 아니다.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칫솔은 입속을 세정할 수 있는 세정부(11)와, 이러한 세정부(11)가 구강 내에서 움직이도록 세정부(11)에서 연장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20)를 갖는다.
그런데 본 발명은 수명이 길거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칫솔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개 이상의 세정부(11)를 구비한다.
2개 이상의 세정부(11)를 구비하면 1개의 세정부(11)를 갖는 경우보다 수명이 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개의 세정부(11)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다른 1개의 세정부(11)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2개 이상의 세정부(11)를 구비하면 칫솔에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어느 1개의 세정부(11)는 종래와 같이 치아를 세정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고, 다른 1개의 세정부(11)는 설태나 백태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2개의 세정부(11)를 갖는 구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2개 이상의 세정부(11)를 구비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느 하나의 세정부(11)를 사용중일 때 다른 하나의 세정부(11)가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세정부(11)가 좌, 우 양쪽에 위치되어 있는 세정몸체(10)와 이러한 세정몸체(10)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20)를 갖되 상기 손잡이(20)에는 세정부(11)가 삽입되는 세정부삽입공간(2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즉, 세정몸체(10)와 손잡이(20)가 결합됨에 있어 어느 한쪽의 세정부(11)는 세정부삽입공간(21)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세정부(11)는 외부에 노출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20)는 세정몸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세정부(11)가 상부를 향해 세워지도록 평면에 세울 수 있는 바닥을 갖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사용 후 보관하는 등의 조건에서 세정부(11)가 물체에 접촉되면 세정부(11)의 청결상태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평면에 세울 수 있는 손잡이(20)의 바닥 구조는 평면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지점이 평면에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손잡이(2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이 수직이거나 수직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20) 바닥부에는 배수구(22)를 천공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세정부삽입공간(21)에 물이 고여있으면 세균이 증식하는 등의 이유로 세정부삽입공간(21)에 위치된 세정부(11)의 청결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손잡이(20)와 세정부(11)는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처리 기술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정몸체(10) 중 세정부(11)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세정부(11)가 마모되는 등의 이유로 그 수명을 다한 경우 세정몸체(10) 전체를 바꾸거나 칫솔 자체를 버리는 것은 자원의 낭비로 연결되므로 세정부(11)가 마모되는 등의 이유로 세정부(11)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세정몸체(10)의 다른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세정부(11)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잡이(20)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질의 그립부(23)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아의 세척 시 치약이 손잡이(20)를 타고 흘러내려 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흐름방지턱(30)을 손잡이(20)의 상부나 세정몸체(10)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각각의 세정부(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기술의 세정부(11)와 같이 칫솔모(12)만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상면에 칫솔모(12)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면(측면이나 저면)에는 세정시 구부러지고 외력을 받지 않으면 원상태로 펴지는 다수 개의 돌기(13a, 13b, 13c, 13d)가 위치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약한 탄성력을 갖는 돌기(13a, 13b, 13c, 13d)인 것이다.
이러한 다수 개의 돌기(13a, 13b, 13c, 13d)는 칫솔 사용시 구강 마사지 및 설태나 백태의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볼의 내측면, 잇몸과 볼 내측면의 경계 사이의 골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마사지 효과로 인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구강건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3a, 13b, 13c, 13d)가 상부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구강 내의 입천장에 돌기(13a, 13b, 13c, 13d)가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도록 손잡이(20)를 움직여주면 세척효과 및 마사지효과를 발휘하여 혈액순환이 촉진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수 개의 돌기는 원기동 형상으로서 세정부(11)의 저면 및 측면에 다수 개 형성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세정부(11)의 저면 및 측면에 다수 개 배열되며, 돌기의 밀집도 및 강도는 칫솔의 사용 연령층에 따라 달리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돌기의 끝단은 라운드형으로 구현하여 구강 내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사지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도 5의 도면부호 13a 참조)
또한 상기 돌기의 끝단을 구형으로 형성하여 구강 내의 마사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도 5의 도면부호 13b 참조)
도 6은 돌기의 제2 실시예로서, 돌기(13c)가 연속되는 파형(波形)을 형성하면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돌기(13c)는 칫솔질을 할때 마시지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구강 내 점막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에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파형의 돌기(13c)가 세정부(11)의 저면 및 측면 모두에 형성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저면에는 파형의 돌기(13c)를 형성하고, 측면에는 다수의 돌기(13a, 13b, 13d)를 형성하여 이물질 제거효과 및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다수의 돌기(13a) 사이에 미세 칫솔모(12)가 함께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다수의 돌기(13a)로 인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미세한 직경의 미세 칫솔모(12)로 인해 우수한 세척효과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미세 칫솔모(12)는 치아보다 약한 구강 내 점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세척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돌기(13a, 13b, 13c, 13d)와 미세 칫솔모(12)의 형성 비율은 사용자의 연령, 사용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돌기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이면서 돌기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경우이다.(도 8의 도면부호 13d 참조)
상기와 같은 구조는 돌기(13d)로 인한 마사지 효과뿐 아니라 돌기(13d)가 대략 사분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돌기(13d)의 강성이 증가하여 구강 내 점막의 세척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원기둥 형상의 돌기(13a)와 제4실시예의 돌기(13d)가 혼합되어 형성된 경우이다.
제4 실시예에 나타난 돌기(13d)만을 형성하는 경우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구강 내 점막이 약한 사람은 점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다수의 원기둥 형상의 돌기(13a)와 원통 형상의 돌기(13d)를 함께 위치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구강 내 점막의 세척시 원통 형상의 돌기(13d)로 인한 이물감을 감소시키고 보다 향상된 사용감을 느끼게 해주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돌기(13a, 13b, 13c, 13d)를 통해서 설태나 백태를 제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혀에 접촉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는 형상의 설태제거부(14)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설태제거부(14)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그 끝부분에 손잡이(2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돌출되는 설태제거벽(14a)이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설태제거벽(14a)은 혀의 표면에 생성되는 설태 또는 백태를 구강 외부로 원활히 긁어낼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0)를 향해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설태나 백태가 안쪽으로 모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설태제거부(14)는 상, 하 또는 좌, 우 양쪽에 동일한 설태제거벽(14a)을 형성하여 한 쪽의 설태제거벽(14a)을 사용한 후 다른 쪽의 설태제거벽(14a)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태제거벽(14a)은 단단한 수지재로 형성해도 되나 유아의 경우 설태의 제거동작 중 혀의 표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설태제거벽의 끝단을 연질의 수지재로 형성하여 혀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부(11)는 칫솔모(12)의 둘레를 따라 제1세척벽(15)이 형성된 형태로 구현하여 칫솔질을 통한 치아의 세척시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낀 음식물의 제거가 원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세척벽(15)은 용도에 따라 세정부(11)의 상면 둘레 전체에 형성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형성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세척벽(15)은 칫솔모(12)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끝부분이 다수 개로 분할된 것인데 작은 크기로 인해 치아와 잇몸 사이의 공간에 보다 잘 삽입되어 음식물 찌꺼기의 제거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세척벽(15)이 잇몸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므로 잇몸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풍치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세척벽(15)으로 인해 칫솔모(12)가 치아의 뿌리나 잇몸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치아의 뿌리가 손상되거나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세척벽(15)은 연질의 수지재로 형성하여 과도한 탄성으로 인해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돌기(13a, 13b, 13c, 13d)를 갖는 구조에서 돌기(13a, 13b, 13c, 13d)가 세정부(11)의 저면에 형성된 경우 이 저면의 돌기(13a, 13b, 13c, 13d) 둘레에 제2세척벽(16)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세척벽(16)은 끝부분이 상기 돌기(13a, 13b, 13c, 13d)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끝부분이 복수 개로 분한된 것인데 제2세척벽(16) 자체의 강성이 저하되어 구강내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제2세척벽(16)은 돌기(13a, 13b, 13c, 13d)가 구강내 점막과 접촉하여 긁어낸 이물질을 구강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세척벽(16)은 연질의 수지재로 형성하여 과도한 탄성으로 인해 구강내 점막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도 10은 도 4의 C-C' 단면도로서 상기 제1세척벽(15)이 상기 칫솔모(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세정부(11) 측면의 돌기(13a, 13b, 13c, 13d)가 상기 세정부(11) 상면의 칫솔모(12) 방향으로 다소 세워진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제1세척벽(15)이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칫솔모(12)의 길이 방향과 멀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칫솔모(12)를 치아에 강하게 압착시키지 않아도 제1세척벽(15)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골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기(13a, 13b, 13c, 13d)가 잇몸과 보다 용이하게 접촉되어 잇몸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11은 도 4의 B-B' 단면도로서 다수 개의 돌기(13a, 13b, 13c, 13d)가 형 성됨에 있어 세정부(1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구강 내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입천장의 경우 그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돌기(13a, 13b, 13c, 13d)가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구강 내 점막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13a, 13b, 13c, 13d)로 인한 마사지효과 및 이물질 제거효과가 향상되며, 보다 나은 사용감을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서는 세정부(11) 측면에 다수의 돌기(13a)가 동일선상에 일렬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마사지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기(13a, 13b, 13c, 13d)를 두 줄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정몸체(10)의 좌측에 위치된 세정부(11)와 우측에 위치된 세정부(11)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각각 다른 형상을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세정몸체(10)에 구비된 세정부(11)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11)는 상면에 칫솔모(12)가 고정되고 다른 면에 세정시 구부러지고 외력을 받지 않으면 원상태로 펴지는 다수 개의 돌기(13a, 13b, 13c, 13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11)는 혀에 접촉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는 설태제거부(14)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세정몸체(10)에 구비된 세정부(11)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11)는 상면에 칫솔모(12)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11)는 혀에 접촉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는 설태제거부와 세정시 구부러지고 외력을 받지 않으면 원상태로 펴지는 다수 개의 돌기(13a, 13b, 13c, 13d)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a는 어느 하나의 세정부는 돌기와 제2세척벽을 갖고 다른 하나의 세정부는 설태제거부를 갖는 본 발명의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b는 양쪽의 세정부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칫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정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A : 세정부의 저면에 칫솔모가 위치된 형태
B : 세정부의 저면에 돌기가 위치된 형태
도 5는 세정부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세정부에 구비된 돌기가 파형을 형성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세정부에 구비된 다수 개의 돌기 사이에 미세 칫솔모가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세정부의 저면에는 원통형 돌기와 위치되고 측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위치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세정부의 저면에 원통형 돌기와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함께 위치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제1세척벽이 칫솔모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됨에 있어 세정부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정부 1a. 칫솔모
2. 손잡이
10. 세정몸체 11. 세정부
12. 칫솔모 13a, 13b, 13c, 13d. 돌기
14. 설태제거부 14a. 설태제거벽
15. 제1세척벽 16. 제2세척벽
20. 손잡이 30. 흐름방지턱

Claims (8)

  1. 입속을 세정할 수 있는 세정부를 갖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가 좌, 우 양쪽에 위치되어 있는 세정몸체와;
    상기 세정부가 삽입되는 세정부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정몸체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어느 한쪽의 세정부는 세정부삽입공간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세정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세정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세정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세울 수 있도록 된,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세정부는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바닥부에는 배수구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몸체 중 세정부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몸체의 세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세정부는 상면에 칫솔모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세정시 구부러지고 외력을 받지 않으면 원상태로 펴지는 다수 개의 돌기가 고정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몸체에 구비된 세정부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는 상면에 칫솔모가 고정되고 다른 면에 세정시 구부러지고 외력을 받지 않으면 원상태로 펴지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는 혀에 접촉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는 설태제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칫솔.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몸체에 구비된 세정부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는 상면에 칫솔모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한쪽에 위치된 세정부는 혀에 접촉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는 설태제거부와, 세정시 구부러지고 외력을 받지 않으면 원상태로 펴지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90052149A 2009-06-12 2009-06-12 칫솔 KR2010013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49A KR20100133551A (ko) 2009-06-12 2009-06-12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49A KR20100133551A (ko) 2009-06-12 2009-06-12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51A true KR20100133551A (ko) 2010-12-22

Family

ID=4350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49A KR20100133551A (ko) 2009-06-12 2009-06-12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35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829B1 (ko) 다용도 칫솔
TWI583361B (zh) 一種多功能口腔護理工具的刷頭裝置
JP2007130117A (ja) 噛む歯ブラシ
JP3149503U (ja) 噛む歯ブラシ
KR20100133551A (ko) 칫솔
JP6648380B2 (ja) 口腔ケア装置
CN204654149U (zh) 一种多功能口腔护理工具的反冲板
CN201870757U (zh) 洁牙指套
US9510666B1 (en) Training toothbrush
US20140259488A1 (en) Optibrush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TW201515602A (zh) 牙刷刷毛快速清潔器
CN102462558A (zh) 洁牙指套
RU28613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массажа и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языка
KR20070018664A (ko) 치아와 잇몸을 닦을 수 있는 칫망
KR200246706Y1 (ko) 혀 청소구
KR200472624Y1 (ko) 잇몸마사지 겸용 칫솔
KR200171271Y1 (ko) 칫솔용 본체
KR200368175Y1 (ko) 쌍벌 구조 칫솔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RU93237U1 (ru) Одноразовое изделие "ежик"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0404387Y1 (ko) 치아와 잇몸을 닦을 수 있는 칫망
JP2020179101A (ja) 口腔をマッサージ、刺激して唾液を増やし、出やすくする口腔マッサージブラシ
KR200354565Y1 (ko) 칫솔
TR2024003027U5 (tr) Di̇l temi̇zleme ara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