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791A -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791A
KR20100132791A KR1020090051565A KR20090051565A KR20100132791A KR 20100132791 A KR20100132791 A KR 20100132791A KR 1020090051565 A KR1020090051565 A KR 1020090051565A KR 20090051565 A KR20090051565 A KR 20090051565A KR 20100132791 A KR20100132791 A KR 2010013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charging
payment
termina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791A/ko
Publication of KR2010013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전자화폐 충전 환경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전자화폐, 충전

Description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MONE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화폐 충전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에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가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Banking)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화폐는 발행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발행자로부터 제공받는 일정한 화폐가치를 갖는 가상의 화폐로서,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안전하며, 소액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3세대 이동통신방식인 WCDMA의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범용 사용자식별카드(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전자화폐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자식별카드의 보안성을 활용한 전자화폐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이에, 사용자들은 자신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실제 화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 내부에 전자화폐를 탑재하기 위해 적용되 는 다양한 충전방식과는 차별화된, 사용자식별카드를 탑재한 이동단말기에서의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새로운 충전방식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가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Banking) 기능과의 연동을 통해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요청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며, 해당 결제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통보하는 은행서버; 및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은행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대한 전자 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단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가 제공되며: 이 카드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요구되는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는 요청분석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단말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지원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해당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전자화폐 충전 및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지원부; 및 사용자가 보유하는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화폐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지원부는,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 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지원부는,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요청될 경우,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 2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지원부는, 상기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화폐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지원부는,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의 형태로 구동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지원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전자화폐충전요청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은행서버의 결제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 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충전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상태정보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전자화폐충전요청단계;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와 연동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결제요청수신단계; 상기 사용자식별카드를 구동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수행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완료 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충전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전자화폐충전요청단계;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결제요청수신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에 따라 제 2 단말 지원모듈의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수행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충전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사용자단말기 및 사용자식별카드에 의하면, 다채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적용하여 사용자식별카드가 지원하는 전자화폐 충전 기능 및 충전에 따른 결제 기능을 이용함에 따라 용이한 전자화폐 충전 환경을 제공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은행서버(200), 및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400)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포 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내장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한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은행서버(200)에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고 결제가 완료되었을 경우,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은행서버(200)는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내장된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을 처리하며, 해당 결제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 및 사용자단말기(300)에 통보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처리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와 사용자단말기(300)에 대한 실 계좌간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 결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결제 방안이 적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충전 요청시 상기 은행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400)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제공하는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300)는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에 의해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제공하는 결제처리를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여 은행서버(200)와의 결제를 수행한다. 한 편, 사용자단말기(300)는 상기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재차 호출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사용자식별카드(400)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00)는 사용자식별카드(4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310); 및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를 충전하는 단말구동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310)는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400)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및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처리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구동부(320)는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식별카드(400)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식별카드(400)는 사용자단말기(300)와의 연 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410);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연동 요구되는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는 요청분석부(420);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단말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지원모듈을 구비하는 단말지원부(430); 및 사용자가 보유하는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화폐저장부(4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지원부(430)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지원모듈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의 형태로 구동되어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연동 요구되는 단말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41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채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단말기(300)와의 연동환경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인터페이스부(410)는 다채널 인터페이스 예컨대 둘 이상의 채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단말기(300)와의 연동환경을 마련한다.
상기 요청분석부(420)는 단말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연동 요구되는 단말지원 기능 즉,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 및 전자화폐 충전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한다. 참고로, 상기 요청분석부(420)는 사용자식별카드(400) 제작시 정의된 보안 도메인(ISD, Issuer Security Domain)을 기반으로 구동된다.
상기 단말지원부(430)는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단말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지원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상기 요청분석부(420)의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해당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전자화폐 충전 및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 적으로, 단말지원부(430)는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이때, 단말지원부(430)는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요청될 경우, 요청분석부(420)의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에 대한 결제처리하는 제 2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은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 아울러, 단말지원부(430)는 상기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을 통해 상기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요청분석부(420)의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화폐저장부(430)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지원하는 전자화폐 충전 기능 및 충전에 따른 결제 기능을 연동함으로써, 전자화폐 충전과 아울러 충전에 따른 결제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의 구 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단말기(300)가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제공하는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은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요청한다(S130-S15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200)에 결제를 요청을 수신하고, 이후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제공하는 결제처리를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여 은행서버(200)에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은행서버(2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상기 결제 요청을 처리한다(S160-S170). 바람직하게는, 은행서버(200)는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내장된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을 처리하며, 해당 결제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 및 사용자단말기(300)에 통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은행서버(200)의 결제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카드(400)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S180-S19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재차 호출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사용자식별카드(400)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
이와 동시에,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S200-S21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내장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한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은행서버(200)에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고 결제가 완료되었을 경우,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사용자단말기(3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S310-S350). 바람직하게는, 단말구동부(320)가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제공하는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함으로써, 이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결제 요청을 수신한다(S360). 바람직하게는, 단말구동부(320)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사용자 로부터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결제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를 구동을 통해 은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S370-S420). 바람직하게는, 단말구동부(320)가 카드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제공하는 결제처리를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여 은행서버(200)와의 결제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완료 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S430-S480). 바람직하게는, 단말구동부(320)가 상기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카드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단말지원 기능을 재차 호출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사용자식별카드(400)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위한 사용자식별카드(4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S510-S560). 바람직하게는, 단말지원부(430)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요청분석부(420)의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을 수신한다(S570-S580). 바람직하게는, 단말지원부(430)가 상기 제 1 단말지원 모듈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에 따라 은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S590-S670). 바람직하게는, 단말지원부(430)가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에 따른 요청분석부(420)의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에 대한 결제처리하는 제 2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은행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
이후,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S680-S700). 바람직하게는, 단말지원부(430)가 상기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을 통해 상기 은행서버(200)와 연동한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요청분석부(420)의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전자화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화폐저장부(430)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식별카드(400)가 지원하는 전자화폐 충전 기능 및 충전에 따른 결제 기능을 연동함으로써, 전자화폐 충전과 아울러 충전에 따른 결제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식별카드가 지원하는 전자화폐 충전 기능 및 충전에 따른 결제 기능을 연동함으로써, 전자화폐 충전 시 충전에 따른 결제 처리를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식별카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컨텐츠제공서버
200: 은행서버
300: 사용자단말기
310: 카드인터페이스부 320: 단말구동부
400: 사용자식별카드
410: 단말인터페이스부 420: 요청분석부
430: 단말지원부 440: 화폐저장부

Claims (13)

  1.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요청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며, 해당 결제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통보하는 은행서버; 및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은행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대한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3.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와의 연 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단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4. 사용자단말기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연동 요구되는 단말지원 기능을 호출하는 요청분석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단말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지원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해당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전자화폐 충전 및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지원부; 및
    사용자가 보유하는 전자화폐를 저장하는 화폐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식별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지원부는,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식별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지원부는,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요청될 경우,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제 2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식별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지원부는,
    상기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단말지원 기능 호출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화폐저장부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식별카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지원부는,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의 형태로 구동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지원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식별카드.
  9. 사용자단말기가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전자화폐충전요청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은행서버의 결제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충전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충전에 따른 결제 상태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상태정보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 방법.
  11.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동을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전자화폐충전요청단계;
    상기 전자화폐 충전 요청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은행서버와 연동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결제요청수신단계;
    상기 사용자식별카드를 구동을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수행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완료 시 상기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충전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 방법.
  12.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 요청에 따라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자화폐 충전을 요청하는 전자화폐충전요청단계;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결제요청수신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 요청에 따라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은행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충전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수행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지원모듈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전자화폐 충전에 따른 결제가 완료될 경우, 상기 제 1 단말지원모듈을 구동하여 내장된 전자화폐의 보유상태를 변경하는 충전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90051565A 2009-06-10 2009-06-10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2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565A KR20100132791A (ko) 2009-06-10 2009-06-10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565A KR20100132791A (ko) 2009-06-10 2009-06-10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791A true KR20100132791A (ko) 2010-12-20

Family

ID=4350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565A KR20100132791A (ko) 2009-06-10 2009-06-10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279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765A (ko) * 2006-10-27 2008-05-02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을 통한 스마트 카드의 통합 충전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90002288A (ko) * 2007-06-26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지급수단 충전 시스템, 방법 및 충전서버
KR20090028296A (ko) * 2007-09-14 2009-03-18 (주)세림아이엔씨 전자화폐 충전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50437A (ko) *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커런트네트웍스 와이브로 기반의 복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765A (ko) * 2006-10-27 2008-05-02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을 통한 스마트 카드의 통합 충전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90002288A (ko) * 2007-06-26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지급수단 충전 시스템, 방법 및 충전서버
KR20090028296A (ko) * 2007-09-14 2009-03-18 (주)세림아이엔씨 전자화폐 충전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50437A (ko) *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커런트네트웍스 와이브로 기반의 복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4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able applets
US9866989B2 (en) Payment application download to mobile phone and phone personalization
US10185950B2 (en) NFC transaction server
EP282060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a mobile cloud account to a payment account
US9111272B2 (en) Mobile payments
US20140330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ccount sequence identifier
US20080189209A1 (en) Real-Time Funds Transfer
CN1904923A (zh) 用于实现空中圈存的方法及其设备
JP2015527656A (ja) 非接触支払い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102542697B (zh) 基于具有网络访问功能的电子设备的pos终端
WO2016088087A1 (en) Third party access to a financial account
KR20130141242A (ko)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177360A (zh) 一种基于统一个人信息的支付系统和方法
KR20100132791A (ko)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3036A (ko) 결제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결제 방법
KR20120007434A (ko) 결제처리서버 및 그 구동 방법
CN103402141A (zh) 一种基于Ukey的电视支付安全方法
CN110390530A (zh) 芯片银行卡的安全支付方法及相关装置
US20230376945A1 (en) Virtualized transaction instruments using processing aliases
KR20100135020A (ko)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92391A (ko) 닉네임을 이용한 비대면 채널 유저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60093196A (ko) 모바일 환전신청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모바일 환전처리 서버 및 무선단말기와 기록매체
KR20110095845A (ko) 결제방식 전환 방법
KR20100059756A (ko) 모바일 환전처리 방법
CN110533425A (zh) 基于车牌图形的电子支付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1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26

Effective date: 2018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