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678A -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 Google Patents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678A
KR20100130678A KR1020090049318A KR20090049318A KR20100130678A KR 20100130678 A KR20100130678 A KR 20100130678A KR 1020090049318 A KR1020090049318 A KR 1020090049318A KR 20090049318 A KR20090049318 A KR 20090049318A KR 20100130678 A KR20100130678 A KR 20100130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water supply
electromagnet devic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회
Original Assignee
구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회 filed Critical 구진회
Priority to KR102009004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678A/ko
Publication of KR2010013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시 배수할 수 있는 화분대와 자동으로 화분에 급수할 수 있는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는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상기 상판 하부에 삽입/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연결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며, 급수를 위한 수도 연결호스;와 화분에 급수할 수 있는 화분 급수호스; 및 상기 수도 연결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차단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공급되는 물을 다수의 화분 급수호스와 개별로 연결시켜 주는 전자석 장치; 및 상기 전자석 장치와 화분 급수호스의 연결을 밀폐시키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와 상기 전자석 장치를 이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전자석 장치의 이동으로 인한 호스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 화초, 분재, 화분, 화분대, 자동, 급수, 급수기, 배수, 물, 물공급, 물주입기

Description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the flowerpot stand to have the draining function and the automatic water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시 배수할 수 있는 화분대와 자동으로 화분에 급수할 수 있는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관상 화초, 분재 등이 식재된 화분이 개인적 주거, 사무공간이나 상업적인 공간에 배치되어 관상, 공기정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분에 대해서는 식재된 화초 등에 적합한 급수, 배수 등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나, 과도하게 급수하거나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화초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 관리자들이 수작업에 의해 화분에 수분을 급수를 하고 있으나 과도하게 급수된 수분은 화분받침대에 고이게 되어 이를 관리자들이 처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개인적 주거공간의 경우에는 바쁜 일상생활에서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고, 더욱이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화초에 물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관리자에게 부탁을 해야된다.
그러므로, 화분에 식재된 화초 등의 식물에 수분을 정기적으로 공급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급수된 화분에서 나오는 물을 상시 배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화분대와 설정된 유량을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화분에 급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자동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상기 상판 하부에 삽입/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연결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며,
급수를 위한 수도 연결호스;와
화분에 급수할 수 있는 화분 급수호스; 및
상기 수도 연결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차단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공급되는 물을 다수의 화분 급수호스와 개별로 연결시켜 주는 전자석 장치; 및
상기 전자석 장치와 화분 급수호스의 연결을 밀폐시키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와
상기 전자석 장치를 이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전자석 장치의 이동으로 인한 호스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호스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화분 급수호스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급수호스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는 자체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수단과 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배수와 급수를 관리하지 않아도 상시 배수와 급수가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수의 화분을 관리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급수기는 하나의 장치로 화분마다 개별적으로 급수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는 화분이 증가하더라도 자동 급수기의 생산 비용 변화가 적은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100)는 상판(110), 다리(120), 급수호스 통로(130), 물받이(140), 배수 호스(150)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 급수기(200)는 화분 급수호스(210)와 수도 연결호스(220)를 포함한다.
상판(110)은 망사형 구조 또는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상판에 올려지는 화분을 지지하고 급수된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투과시키며, 그 크기 및 형태,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리(120)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고, 다리 내부에 다수의 화분 급수호스(2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배수 호스(150)와 수도 연결호스(220)도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여러 개의 화분 급수호스로 인한 번잡한 형태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분 급수호스(210)는 자동 급수기(200)에서 화분까지 연결되어 급수를 원활하게 해 주는 것으로서, 통상의 호스와 동일하며, 화분 급수호스의 끝 부분에 고정집게(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분 급수호스는 자동 급수기와 연결/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시에는 급수호스 통로(130)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 급수호스와 분리하고 별도의 공간에 놔둔 화분에 개별적인 화분 급수호스를 사용하여 급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집게(211)는 급수할 때 물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집게와 동일하며, 이는 화분에 고정하거나 식물, 분재 등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급수호스 통로(130)는 상기 다리(120)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호수 통로 내부에 다수의 화분 급수호스(210)가 설치되고, 화분 급수호스가 화분에 급수할 수 있도록 화분 급수호스의 끝 부분이 급수호스 통로 외부로 나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다리(12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화분 급수호스로 인한 번잡한 형태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수 호스(150)는 화분대(100)의 층마다 구비되는 물받이(140)와 연결되어 급수된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시 외부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서, 통상의 호스와 동일하다.
물받이(140)는 상판(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호스(150)와 연결되며, 급수된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 호스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에 구비된 물받이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물받이(140)는 상판(110) 하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배수 호스(150)와 연결/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서, 이는 장시간 화분의 배출물로 인해 지저분해진 물받이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도 연결호스(220)는 급수를 위해 통상의 수도와 자동 급수기(200)를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서, 통상의 호스와 동일하다. 또한, 수도 연결호스는 자동 급수기와 연결/분리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기 내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 급수기(200)는 화분 급수호스(210)와 수도 연결호스(220), 모터(230), 솔레노이드 밸브(240), 회전 호스(250), 전자석 장치(260),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를 포함한다.
모터(230)는 펄스를 이용하여 회전을 통제할 수 있는 기기로서, 통상의 스테핑 모터와 동일하다. 모터(230)의 회전축에는 기어(231)가 구비되어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232)에 힘을 전달한다.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232)는 전자석 장치(260)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230)로 인한 회전을 통하여 전자석 장치의 위치가 조절된다.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는 상기 모터(230)의 회전을 전달받아 전자석 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로서, 기어의 형태를 따르지 않더라도 상기의 구조가 가능하다면 그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석 장치(260)는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232)의 중심에서 벗어난 한쪽에 장착되며,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전자석 장치와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의 측면도와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전자석 장치와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전자석 장치(260)는 전자석(261), 고무출구(262)를 포함하며, 도 6의 A는 전자석(261)에 전류가 차단되어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도 6의 B는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전자석(261)은 호스를 감싼 둥근 금속류에 코일을 휘감아 만든 것으로, 통상의 전자석과 동일하다.
고무출구(262)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와 접촉할 때 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서, 돌출된 형태로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전자석(261) 내부에 있는 호스의 끝 부분에 부착된다. 돌출된 고무출구는 도 6의 B와 같이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232)에 장착되어 유동할 수 있는 전자석 장치(260)의 전자석(261)과 고정장착되어 있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와의 인력 작용으로 인해 모터(230)를 통한 동작 위치의 미세한 오류를 보정해 주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하는 전자석 장치(260)가 고정되어 있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에 돌출된 고무출구(262)로 인하여 조각을 맞추는 것처럼 미세하게 어긋난 것을 전자석 장치(260)가 이동됨으로써, 모터(230)의 미세한 오류를 보정해 준다.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는 철제입구(271), 스프링(272)을 포함하며,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전자석(261)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철제입구(271)와의 인력작용으로 인하여 늘어나고, 도 6의 A와 같이 전류가 차단되면 스프링(272)으로 인해 원상복귀된다. 또한, 철제입구(271)와의 인력작용으로 인하여 늘어난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의 이동 거리는 자동 급수기 내부호스(211)에 여유분의 길이를 둠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철제입구(271)는 자력이 발생하는 전자석(261)과의 인력작용을 위해 상기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61)의 끝 부분에 부착되고,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서, 자력과 반응할 수 있는 철제 성질을 띈 도넛 모양의 형태를 가진다.
스프링(272)은 자력이 발생하는 전자석(271)으로 늘어난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를 전자석에 전류가 차단되어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원상복귀시키는 것으로서, 통상의 스프링과 동일하다.
솔레노이드 밸브(240)는 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공급/차단할 수 있는 기기로서,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동일하다.
회전 호스(250)는 회전하는 전자석 위치 조절기어(232)에 장착된 전자석 장치(260)에 호스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뒤틀리는 호스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이 새지 않고 회전 호스의 앞/뒤에 연결된 호스들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상기 화분대(100)는 다층형 또는 계단형 등 그 형태가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자동 급수기(200)는 입력장치로 각각의 물공급 호스에 작동시간, 유량 등을 지정할 수 있고, 출력장치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서,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자동 급수기에 연결되는 화분 급수호스(210)와의 연결부위의 개수는 급수호스 통로(130)에 설치되는 화분 급수호스의 개수 이상의 연결부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공간에 놔둔 화분에 개별적인 화분 급수호스를 사용하여 급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자동 급수기(200)의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저장시킨 자료를 토대로 설정된 시간이 되면 해당되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의 정 면으로 전자석 장치(260)를 이동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석 장치(260)가 a의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 정면에 위치되어 있을 때, 설정된 시간에 c의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 정면으로 이동되기 위해서 모터(230)의 힘을 이용하여 c의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 정면으로 옮겨지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석 장치(260)가 해당되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 정면에 위치하게 되면 전자석 장치(260)의 전자석(261)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력으로 인해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의 철제 입구(271)와의 인력작용으로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270)가 늘어나면서 전자석(261)과 달라붙게 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240)가 열림으로써 수도의 수압을 이용한 급수가 시작되는데 순서대로, 수도 연결호스(220)을 지나 솔레노이드 밸브(240), 회전호스(250), 전자석 장치(260), 자력변환 급수호스 입구(270), 화분 급수호스(210)를 통하여 화분에 급수된다.
다음으로, 설정된 유량의 급수가 끝나면 솔레노이드 밸브(240)에서 급수를 차단되고, 전자석 장치(260)의 전류도 차단된다. 그리고 설정된 다음 급수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작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에 구비된 물받이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자동 급수기 내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전자석 장치와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전자석 장치와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Claims (2)

  1.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상기 상판 하부에 삽입/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연결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며,
    급수를 위한 수도 연결호스;와
    화분에 급수할 수 있는 화분 급수호스; 및
    상기 수도 연결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차단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공급되는 물을 다수의 화분 급수호스와 개별로 연결시켜 주는 전자석 장치; 및
    상기 전자석 장치와 화분 급수호스의 연결을 밀폐시키는 자력변환 급수호스입구;와
    상기 전자석 장치를 이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전자석 장치의 이동으로 인한 호스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호스를 포함하는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급수호스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급수호스 통로를 포함하는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KR1020090049318A 2009-06-04 2009-06-04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KR20100130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318A KR20100130678A (ko) 2009-06-04 2009-06-04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318A KR20100130678A (ko) 2009-06-04 2009-06-04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678A true KR20100130678A (ko) 2010-12-14

Family

ID=4350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318A KR20100130678A (ko) 2009-06-04 2009-06-04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6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5714A (zh) * 2015-08-26 2015-11-25 邹民勇 一种电子种花系统
US10076085B2 (en) 2015-01-26 2018-09-18 Plantlogic LLC Stackable pots for pla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6085B2 (en) 2015-01-26 2018-09-18 Plantlogic LLC Stackable pots for plants
CN105075714A (zh) * 2015-08-26 2015-11-25 邹民勇 一种电子种花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0678A (ko) 배수 기능을 가진 화분대와 자동 급수기
JP4036606B2 (ja) 水耕装置
JP2007259816A (ja) 水耕栽培装置
CN214709110U (zh) 一种多功能花卉育苗箱
CN209806556U (zh) 虹吸式自动浇水花盆
KR20090020887A (ko) 다단식 식물재배기
KR200414682Y1 (ko) 자동관수장치
KR200411248Y1 (ko) 화분의 물 자동 공급장치
CN210610462U (zh) 一种分体式育苗盆支架
JPH05137471A (ja) 吊下げ植木鉢用給水システム
KR10099790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KR101868233B1 (ko) 심지관수를 이용한 가습겸용 화분
CN221011243U (zh) 一种植物全自动浇灌装置
KR200435608Y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910005439Y1 (ko) 콩나물 재배장치
CN220292636U (zh) 一种绿化养护排水装置
CN213153324U (zh) 一种自动喷灌浇水装置
CN204014689U (zh) 一种具有暗房功能的培植系统
CN2733888Y (zh) 自动浇花器
KR200279507Y1 (ko) 화분 물공급 장치
KR20050079201A (ko) 자동 급수/배수제어방식의 농작물재배장치
CN208509689U (zh) 一种新型陶瓷花盆
EP234396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uniform fluid dispensing system
KR101691796B1 (ko) 화분의 물 자동 공급장치
JP3052331U (ja) 自動水遣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