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958A -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958A
KR20100129958A KR1020090048582A KR20090048582A KR20100129958A KR 20100129958 A KR20100129958 A KR 20100129958A KR 1020090048582 A KR1020090048582 A KR 1020090048582A KR 20090048582 A KR20090048582 A KR 20090048582A KR 20100129958 A KR20100129958 A KR 2010012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patch system
flexible substrate
microneedle patch
suppor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514B1 (ko
Inventor
이승섭
설부준
한만희
Original Assignee
(주)마이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마이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4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514B1/ko
Priority to PCT/KR2010/001862 priority patent/WO2010140760A2/en
Publication of KR2010012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경화성 수지 재질의 미세바늘이 배열된 미세바늘 어레이(11); 상기 미세바늘 어레이(11)가 일면에 고정·형성되는 연성기판(12);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상기 기판의 반대면에 기판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성 지지필름(1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미세바늘 어레이(11) 성형틀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수지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순차적으로, 또는 미리 합지되어 있는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지지필름(13) 상부를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D) 성형틀로부터 성형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바늘, 패치, 미세바늘 지지부, 연성기판, 지지필름

Description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Flexible Patch System with Micro-need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에 유연성이 부여되어 굴곡이 심한 얼굴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개선된 형태의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피부를 통해 약물을 흡수시키는 방법 또는 주사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 즉 경구투여는 두통, 현기증, 신경과민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과 구토, 소화불량, 설사, 소화성 궤양, 위장관 출혈, 천공 등 위장계 관련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단기요법으로만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피부를 통해 약물을 흡수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액제, 크림제, 겔제 등의 형태로 된 약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약물을 포함하는 패치(마스크 팩 등)를 피부에 단순 부착하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피부 최외각의 10~60㎛ 두께의 각질층이 체내 물질의 외부 유출 및 외부 물질의 체내 침투를 막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흡수율이 매우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주사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은 피부를 통해 바늘을 삽입하여 체내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므로 피부 조직 내로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피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통점을 자극하여 사용 시 대상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전문적인 피부 관리기관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사바늘의 삽입 주위에만 집중적으로 약물이 주입되므로 광범위한 피부에의 약물 공급이 요구될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경이 수십~수백㎛, 길이가 수십~수천㎛ 크기의 미세바늘(microneedle)이 개발되었다. 미세바늘은 기존의 바늘에 비해 직경이 작고 길이가 짧아서 자극하는 통점의 수를 줄여주기 때문에 대상자가 느끼는 고통이 적고 일반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미세바늘은 주로 복수 개가 종횡으로 배열된 형태의 미세바늘 어레이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미세바늘 어레이의 형태적 특성에 기인하여 상기 주사를 이용한 약물 주입과는 달리 보다 광범위한 피부에도 약물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상기 미세바늘 어레이에 대한 연구, 특 히 미세바늘 어레이와 상기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패치가 결합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6451240호에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미세바늘 몰드에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하여 미세바늘 어레이를 제작하는 방법이, 미국공개특허 제20070191761호에는 미세바늘 음각몰드를 이용한 사출 성형공정으로 미세바늘 어레이를 제작하는 방법이, 한국특허 846195호에서는 공정이 짧아 대량생산이 용이한 미세 돌기를 갖는 패치 및 그 제작방법이 개진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미세바늘 어레이와 기판부가 일체로 제작되며 또는 미세바늘 어레이가 매우 두껍게 제작된다. 미세바늘은 피부 최외각의 10~60㎛ 두께의 각질층을 뚫고 체내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는데, 상기의 방법들에서와 같이 기판과 미세바늘 어레이를 일체로 제작하게 되면 상기 기판에는 유연성이 부여되지 않아 굴곡이 없거나 완만한 피부 부위에만 적용될 뿐 얼굴과 같이 굴곡이 심한 부분에는 적용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유연성이 부여되어 굴곡이 심한 얼굴 면에도 밀착이 가능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지 재질의 미세바늘이 배열된 미세바늘 어레이(11); 상기 미세바늘 어레이(11)가 일면에 고정·형성되는 연성기판(12);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상기 기판의 반대면에 기판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성 지지필름(1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이다.
이때 상기 미세바늘은 연성기판(12)과의 접착면이 확장된 형태의 미세바늘 지지부(11a)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성기판(12)은 탄성계수가 1KPa~1GPa, 두께가 0.01~0.2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폴리우레탄,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필름(13)은 탄성계수가 1GPa~10GPa, 두께가 0.05~0.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은 금속, 세라믹 또는 피부 친화성 고분자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B)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제작방법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미세바늘 어레이(11) 성형틀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수지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순차적으로, 또는 미리 합지되어 있는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지지필름(13) 상부를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D) 성형틀로부터 성형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 단계와 (B) 단계의 사이 또는 (B) 단계와 (C) 단계의 사이에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성질인 것이 좋다.
상기 단계 (D) 이후에 미세바늘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2차 경화 공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C) 약물전달 시스템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과 미세바늘 어레이(11)가 고정 형성된 연성기판(12) 면에 도포된 체내 전달 물질(22), 그리고 상기 체내 전달 물질(22)의 탈리와 미세바늘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21)으로 구성된 약물전달 시스템(20)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유연성이 부여됨으로서 굴곡이 심한 얼굴 면에도 밀착이 가능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은 지지필름(13)을 구비함으로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 또는 취급 과정에서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이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20)을 제공하여 피부를 통한 약물전달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2는 미세바늘이 배열된 미세바늘 어레이(11)와 상기 미세바늘 어레이(11) 가 일면에 고정 형성되는 연성기판(12), 그리고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상기 기판의 반대면에 기판과 지지필름(13)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종래의 미세바늘 어레이가 형성된 패치 시스템은 미세바늘 어레이부와 기판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미세바늘 어레이부가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부가 피부의 굴곡 면을 따라 휘어질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은 미세바늘 어레이가 기판부와 별도로 형성되는 한편, 매우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미세바늘 어레이(11)를 형성하는 각 미세바늘의 구체적 형상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으나 다만, 그 길이는 피부 각질층에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체내 전달물질(22)이 각질층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50㎛ 이상인 것이 좋다.
미세바늘 어레이(11)는 광경화성 수지 재질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광경화성 수지로서 3,4-에폭시 씨클로헥실 메틸-3,4에폭시 씨클로헥센 카르복실레이트(3,4-epoxy cyclohexyl methyl-3,4 epoxy cyclohexene carboxylate)와 1 mol% 의 트리아릴설포늄(triarylsulfonium) 염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에는 경화속도의 증진과 점도조절을 위해 여러 가지 첨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은 도 3과 같이 연성기판(12)과 접착되는 미세바늘 면이 확장된 형태인 미세바늘 지지부(11a)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미세바늘 지지부(11a)는 미세바늘과 연성기판(12)의 접착면적을 넓게 하여 미세바늘이 연성기판(12)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사용 시 자칫 발생할 수 있는 미세바늘 어레이와 기판의 분리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미세바늘 지지부(11a)는 도 3의 A와 같이 각각의 미세바늘 지지부(11a)가 서로 이웃한 미세바늘 지지부(11a)와 독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성기판(12)과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도 3의 B와 같이 2 이상의 서로 이웃한 미세바늘 지지부(11a)끼리 연결된 형태인 것도 좋다. 미세바늘 지지부(11a)는 0.01~0.05mm의 두께인 것이 좋은데, 이 경우 너무 많은 미세바늘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미세바늘 지지부(11a)에 의해 연결되면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미세바늘 지지부(11a)의 두께를 0.01~0.05mm로 할 경우 미세바늘 지지부(11a)에 의해 연결되는 미세바늘은 전체 미세바늘의 2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미세바늘 어레이(11)와 연성기판(12)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미세바늘 어레이의 미세바늘은 상기 미세바늘 지지부(11a)에 의해 모두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미세바늘 지지부(11a)는 0.01mm이하의 두께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미세바늘판이 0.01mm보다 두껍게 되면 미세바늘 어레이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유 연하게 휘어지지 않게 된다. '두께'라 함은 대상 물질의 두꺼운 정도를 나타내므로 당연히 0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바늘판 두께의 하한은 의미가 없다.
상기와 같은 미세바늘 어레이(11)가 일면에 고정 형성되는 연성기판(12)은 굴곡이 심한 얼굴 면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1KPa~1GPa의 탄성계수와 0.01~0.2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이상의 탄성계수가 되면 연성기판(12)이 너무 뻣뻣해지기 때문에 얼굴의 굴곡 면을 따라 밀착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반대로 상기 범위 이하의 탄성계수가 되면 이용 시에 시트가 쉽게 접히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우며, 공정 시에는 성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에서 연성기판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연성기판(12)이 상기 범위 이상의 두께가 되면 너무 두꺼워 역시 얼굴의 굴곡 면을 따라 밀착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상기 범위 이하의 두께가 되면 너무 얇아서 쉽게 찢어질 수 있어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연성기판(12)의 재질은 후술할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제작과정 중 자외선이 미세바늘 어레이(11)의 재질인 광경화성 수지로 전달되어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과정이 촉진될 수 있도록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성질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으나,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미세바늘 어레이(11)와 연성기판(12)만으로 구성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예를 나타낸다.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이 이와 같이 연성기판(12)과 미세바늘 어레이(11)만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면 연성기판(12)이 쉽게 휘어지거나 접혀지게 되어 이러한 연성기판(12)을 갖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업자 또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을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20) 사용자는 이의 취급에 있어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연성기판(12)의 반대면에 상기 연성기판(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성 재질의 지지필름(13)을 형성하여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 및 사용과정에서 연성기판(12)이 휘어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필름(13)은 1GPa~10GPa의 탄성계수와, 0.05~0.5mm의 두께인 것이 좋다. 지지필름(13)이 상기 범위 이하의 탄성계수와 두께를 갖게 되면 연성기판(12)의 휘어짐이나 접힘을 방지해 주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지지필름(13)의 재질은 상기의 연성기판(12)과 마찬가지로 후술할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제작과정 중 자외선이 미세바늘 어레이(11)의 재질인 광경화성 수지로 전달되어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과정이 촉진될 수 있도록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성질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탈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필름(13)은 연성기판(12)에서 분리되어 제거 가능하도록 하여 하기에서 후술할 약물전달 시스템(20)을 피부에 부착할 때 약물전달 시스템(20)의 유연한 연성기판(12)이 피부의 굴곡 면을 따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은 미세바늘과 피부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고 체내로 전달될 약물의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금과 같은 금속,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TiO2)나 타이타늄나이트라이드(TiN) 등의 세라믹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EVOH)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나 파릴렌(Parylene)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피부 친화성 고분자 등으로 코팅되는 것도 좋다. 이때 코팅되는 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것을 선택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한 미세바늘 시스템은 (A) 미세바늘 어레이(11) 성형틀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수지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연성 기판(12)과 지지필름(13)을 순차적으로, 또는 미리 합지되어 있는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지지필름(13) 상부를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D) 성형틀로부터 성형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도 4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공정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핫엠보싱(hot embossing) 공정은 미세 패턴이 각인된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고분자 소재를 가압하여 금형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성형 기술이다. 이러한 핫엠보싱 공정은 여러 개의 미세 패턴이나 구조물을 한번의 가압 과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미세바늘 어레이(11)와 연성기판(12)의 재질이 서로 달라 일반적인 핫엠보싱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연성기판(12)의 재질인 고분자 필름이 녹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제작방법은 UV 엠보싱 공정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성형틀은 미세바늘의 형상이 음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성형틀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다만,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UV가 광경화성 수지로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성형틀은 UV를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미세바늘 어레이(11) 성형틀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수지 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였으나, 도포방 법은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성형틀을 진공챔버에 넣은 후 진공펌프(P)를 이용하여 수지 내부에 포함된 기포 즉, 공기를 제거한다.
수지 내부의 기포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틀 표면의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한다. 이 때 미세바늘 형상의 음각몰드를 제외한 성형틀 표면의 광경화성 수지를 모두 제거하거나 또는 성형틀 표면의 광경화성 수지가 0.01mm 이하의 두께가 되도록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하는 방법은 닥터블레이드 방식, 가압롤러 등 당업자가 편의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하는 공정은 편의에 따라 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을 먼저 안착시킨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닥터블레이드 방식은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닦아 내는 형태로서 상기 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을 안착시키기 전에 수지 제거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수지 제거 효과가 우수하지만 필름을 안착시킨 후 진행하여도 무관하다. 가압롤러는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밀어내는 형태로서 필름을 안착시킨 후 수지 제거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수지 제거 효과가 우수하나 필름을 안착시키기 전에 진행하여도 무관한 것이다.
잉여 광경화성 수지가 제거되지 않으면 각 미세바늘이 모두 연결되거나 또는 미세바늘 어레이 자체가 매우 두껍게 되어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전체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한 후 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의 재질인 고분자를 안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의 편의성과 공정 단축을 위해 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의 재질인 고분자 필름이 미리 합지된 합지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합지필름은 일정 크기 즉, 상기 성형틀과 유사한 크기로 절단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연속적인 공정을 위해서 롤 형태로 사용하여 상기 합지필름이 성형틀에 안착된 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후 UV를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 때 일반적인 UV 경화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고분자 필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광경화성 수지와 고분자 필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0 ~ 1000 KPa의 가압조건에서 UV 경화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이 10KPa 이하이면 광경화성 수지와 고분자 필름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적으며, 반대로 압력이 1000KPa 이상이면 더 이상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없어 효율성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UV 램프로서 15mW 수은램프를 사용하여 300초 동안 UV를 조사하였으나, UV 조사 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광경화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때 UV가 성형틀 및 고분자 필름(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의 재질)을 통해 광경화성 수지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틀이나 고분자필름(연성기판(12)과 지지필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UV를 투과시키는 재질인 것이 좋다.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면 성형틀로부터 성형물 즉,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을 분리한다. 이후 미세바늘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2차 경화 공정이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물 전달 시스템(20)은 상기와 같은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과,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연성기판(12) 면에 도포된 체내 전달물질(22), 그리고 상기 체내 전달물질(22)의 탈리와 미세바늘 끝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내 전달물질(22)은 사용목적에 따라 호르몬 제재, 비타민 제재 등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점착성분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보호필름(21)은 고무 또는 스펀지 등의 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한데, 보호필름(21)을 딱딱하고 뻣뻣한 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미세바늘 끝이 오히려 보호필름(21)에 의해 무뎌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물 전달 시스템(20)의 사용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내 전달 물질(22)이 연성기판(12)에 도포되어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20)에서 보호필름(21)을 제거한 후 상기 약물 전달 시스템(20)을 적용할 피부에 부착한다. 지지필름(13)을 제거하고 약물 전달 시스템(20)을 피부의 굴곡 면을 따라 완전히 밀착시켜 약물 전달 시스템(20)에 도포된 체내 전달 물질(22)이 미세바늘에 의해 형성된 피부의 미세구멍을 통하여 각질층 내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약물전달 시스템(20)을 피부에 부착한 후 지지필름(13)을 제거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필름(13)은 약물전달 시스템(20)을 피부에 부착하기 직전에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은 미세바늘 어레이와 기판만으로 구성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미세바늘 지지부가 구비된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의 제작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사용과정을 나타낸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11 : 미세바늘 어레이 11a : 미세바늘 지지부
12 : 연성기판 13 : 지지필름
20 : 약물 전달 시스템
21 : 보호필름 22 : 체내전달물질

Claims (12)

  1. (a) 광경화성 수지 재질의 미세바늘이 배열된 미세바늘 어레이(11);
    (b) 상기 미세바늘 어레이(11)가 일면에 고정·형성되는 연성기판(12);
    (c)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상기 기판의 반대면에 기판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성 지지필름(1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은 연성 기판과의 접착면이 확장된 형태의 미세바늘 지지부(1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판은 탄성계수가 1KPa~1GPa 이며, 두께가 0.01~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은 탄성계수가 1GPa~10GPa이며, 두께가 0.05~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판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미세바늘 어레이(11) 또는 연성 기판의 표면에는 금속, 세라믹 또는 고분자 중 어느 하나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8. (A) 미세바늘 어레이(11) 성형틀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수지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B) 단계 이후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순차적으로, 또는 미리 합지되어 있는 연성 기판과 지지필름(13)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지지필름(13) 상부를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D) 성형틀로부터 성형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의 사이 또는 (B) 단계와 (C) 단계의 사이에 잉여 광경화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연성 기판, 지지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외선 투과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단계 (D) 이후에 2차 경화공정이 추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의 제작 방법.
  12.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10);
    (b) 미세바늘 어레이(11)가 형성된 기판 면에 도포된 체내 전달 물질(22);
    (c) 상기 체내 전달 물질(22)의 탈리와 미세바늘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21);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 시스템(20).
KR1020090048582A 2009-06-02 2009-06-02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10103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582A KR101033514B1 (ko) 2009-06-02 2009-06-02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PCT/KR2010/001862 WO2010140760A2 (en) 2009-06-02 2010-03-26 Flexible microneedle patch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582A KR101033514B1 (ko) 2009-06-02 2009-06-02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958A true KR20100129958A (ko) 2010-12-10
KR101033514B1 KR101033514B1 (ko) 2011-05-09

Family

ID=4329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582A KR101033514B1 (ko) 2009-06-02 2009-06-02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3514B1 (ko)
WO (1) WO2010140760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430A (ko) * 2011-03-03 2014-01-24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79862A (ko) * 2011-10-28 2014-06-2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중공 바늘 형상체의 제조 방법 및 중공 바늘 형상체
CN104140075A (zh) * 2014-07-15 2014-11-12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在柔性衬底表面制作硬质微针阵列的方法
KR20160066924A (ko) * 2014-12-03 2016-06-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풍선도관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69107A (ko) * 2017-12-11 2019-06-19 랩앤피플주식회사 고밀도 마이크로 니들
US10850083B2 (en) 2016-02-11 2020-12-01 Jieun KWON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needle by using biocompatible poly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8160A1 (en) * 2011-01-18 2012-07-26 Imec Disposable protection for micro-engineered devices
EP2793869B1 (en) 2011-12-21 2015-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dermal adhesive patch assembly with removable microneedle array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484161B1 (ko) * 2012-06-27 2015-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팅을 통한 고분자 기반의 나노 또는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조방법
EP2918307B1 (en) * 2012-11-09 2018-05-23 Toppan Printing Co., Ltd. Needle-lik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111634B2 (ja) * 2012-12-10 2017-04-12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構造体の製造装置
EP2945687A4 (en) * 2013-01-18 2016-09-14 Univ North Carolina HIGH EFFICIENCY FABRICATION OF MICRO NEEDLES
CN103263727B (zh) * 2013-05-22 2015-09-30 清华大学 金属微针阵列、经皮给药贴片、微针滚轮及微针电极阵列
EP3006078B1 (en) * 2013-06-03 2020-10-07 Toppan Printing Co., Ltd. Needle body manufacturing method
EP3097943A4 (en) * 2014-01-24 2017-09-13 Toppan Printing Co., Ltd. Microneedle unit
CA3163792A1 (en) * 2014-04-24 2015-10-2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104069585B (zh) * 2014-07-03 2017-12-12 台州薇凯生物科技有限公司 可分离式微针系统及其制造方法
GB201420946D0 (en) * 2014-11-25 2015-01-07 Kirby Andrew J And Xobaderm Ltd Flexible device incorporating microperforators
US10279533B1 (en) 2014-12-22 2019-05-07 10X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bent microneedles for use as micro-sutures in a wound closure device
JP6806056B2 (ja) 2015-06-23 2021-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の製造方法
KR101628342B1 (ko) * 2015-06-30 2016-06-08 이승욱 약물 투여량 및 투여 깊이 조절이 가능한 미세바늘 구조체 및 제조방법
KR101688739B1 (ko) 2015-07-30 2016-1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습형 생체소자 제조방법 및 그 생체소자
EP3422958A1 (en) 2016-03-01 2019-01-09 Kitotech Medical, Inc. Microstructure-bas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wound closure
KR101694314B1 (ko) * 2016-05-24 2017-01-10 하태석 복층 마이크로 니들 제조방법
CN109310854B (zh) * 2016-06-07 2021-09-07 富士胶片株式会社 微针阵列
KR101884072B1 (ko) * 2016-09-13 2018-08-01 하태석 보강섬유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니들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312B1 (ko) 2018-10-08 2020-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구조체
KR102253917B1 (ko) 2018-12-20 2021-05-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09771812B (zh) * 2019-01-21 2021-03-26 北京化工大学 可溶性纤维为芯材的紫外固化工艺制备空心微针的方法
EP4031228A4 (en) * 2019-09-20 2023-11-15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 METHOD FOR PRODUCING MICRONEEDLES
WO2021066755A2 (en) * 2019-09-30 2021-04-08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 density microneedles
EP4106638A4 (en) * 2020-02-19 2024-03-27 Kitotech Medical Inc WOUND CLOSURE DEVICE FOR WIDE TREATMENT AREAS
US11986613B2 (en) 2020-02-19 2024-05-21 Kitotech Medical, Inc. Microstructure systems and methods for pain treatment
DE102020122557A1 (de) * 2020-08-28 2022-03-0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Mucosa-Perforierung
KR102425556B1 (ko) 2021-12-07 2022-07-29 주식회사 대웅테라퓨틱스 마이크로니들 조립체
US11957346B2 (en) 2022-02-18 2024-04-16 Kitotech Medical, Inc. Force modulating deep skin staples and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8453B2 (en) * 2002-01-15 2005-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80108958A1 (en) * 2004-12-10 2008-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dical Device
KR100728061B1 (ko) * 2005-08-10 2007-06-14 강승주 미세 바늘 어레이를 가지는 경피 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006178A (ja) * 2006-06-30 2008-01-17 Fujifilm Corp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8142183A (ja) * 2006-12-07 2008-06-26 Fujifilm Corp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7037B2 (en) 2007-08-03 2020-12-08 Neodyne Biosciences, Inc. Controlled strain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40010430A (ko) * 2011-03-03 2014-01-24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10572A (ko) * 2011-03-03 2020-01-30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701262B2 (en) 2011-03-03 2023-07-18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kin tightening
KR20140079862A (ko) * 2011-10-28 2014-06-2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중공 바늘 형상체의 제조 방법 및 중공 바늘 형상체
CN104140075A (zh) * 2014-07-15 2014-11-12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在柔性衬底表面制作硬质微针阵列的方法
CN104140075B (zh) * 2014-07-15 2016-01-27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在柔性衬底表面制作硬质微针阵列的方法
KR20160066924A (ko) * 2014-12-03 2016-06-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풍선도관 및 그 제작방법
US11602623B2 (en) 2014-12-03 2023-03-14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Balloon catheter having micro needl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0850083B2 (en) 2016-02-11 2020-12-01 Jieun KWON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needle by using biocompatible polymer
KR20190069107A (ko) * 2017-12-11 2019-06-19 랩앤피플주식회사 고밀도 마이크로 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0760A2 (en) 2010-12-09
WO2010140760A3 (en) 2011-03-03
KR101033514B1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514B1 (ko) 유연한 미세바늘 패치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US9919141B2 (en) Needle-shap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eedle-shaped body
KR101747099B1 (ko)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US11633580B2 (en) Applicator for water-soluble sheet-shaped preparation
US10646702B2 (en) Microneedle, mould for produc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KR100728061B1 (ko) 미세 바늘 어레이를 가지는 경피 패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8101578A1 (ko)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롤러형 피부 미용기기
WO2017130793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
US10300261B2 (en) Needle-shap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needle-shaped body
KR20170061042A (ko) 미세니들,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53866A (ja) 経皮吸収シート及び経皮吸収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508611A (ja) 生物学的障壁を通した薬剤送達用の無針装置
US20170239458A1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ransdermal administration devices
CN106853271B (zh) 微结构体的制造方法
CN107223064B (zh) 用于穿透生物屏障的微穿透器设备
JP6255759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
US20180200495A1 (en) Administration device
CN113082500A (zh) 经皮输送装置及制备方法
KR102447000B1 (ko) 마이크로 니들 패치
CN117159901A (zh) 一种微针贴片的制备方法及成型模具、对位贴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