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748A - 흡입 장치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장치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748A
KR20100129748A KR1020107021402A KR20107021402A KR20100129748A KR 20100129748 A KR20100129748 A KR 20100129748A KR 1020107021402 A KR1020107021402 A KR 1020107021402A KR 20107021402 A KR20107021402 A KR 20107021402A KR 20100129748 A KR20100129748 A KR 2010012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resonance frequency
piezoelectric transducer
piezoelectric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606B1 (ko
Inventor
안난드 브이. 검메이스테
존 보월스
더글러스 웨이트?f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도스 테라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도스 테라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도스 테라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ultras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69Excitation frequ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23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 B06B1/0269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 B06B1/0276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with simultaneous generation, e.g. with modulation, harmonic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02Circuitry or processes for opera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rive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평평한 바닥의 용기 내 약제가 진동기 압전 변환기에 의해 분무화되는 흡입기가 개시된다. 변환기는 복잡한 패턴의 진동을 생성하는 다중 조화 주파수를 여기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변환기에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 개시된다.

Description

흡입 장치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TRANSDUCER OF AN INHALAT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입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의 서스펜션 입자를 흡입된 가스 스트림(예, 흡입된 공기의)으로 촉진시키는 진동을 이용하는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파우더 약제의 전달과 연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비록 다른 장치, 특히 액체 방울의 전달도 고려하지만, 상기 용도와 연결하여 설명될 것이다.
호흡기관의 어떤 질병은 치료제의 직접 적용에 의해 치료에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재들은 대부분 건조 파우더 형태로 이용가능하므로, 그 적용은 코 또는 입을 통해 파우더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파우더 형태는 약을 원하는 위치에 그리고 그 작용이 요구되는 곳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점에서 치료의 더 양호한 이용을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미세한 양의 약은 다른 수단에 의해 관리되는 더 많은 양만큼의 효과를 종종 동등하게 이루며,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과 치료 경비의 발생을 지속적으로 현저히 감소시킨다. 대체적으로 상기 형태의 약은 호흡기 시스템의 다른 것보다 질병의 치료에 더 잘 사용될 수 있다. 약이 허파의 매우 큰 표면 영역 상에 위치할 때, 혈관 시스템에 매우 빠르게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용 방법은 주사, 알약, 또는 다른 편리한 수단에 의해 관리를 대체할 수 있다.
약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은 호흡기관에 전달되는 약 입자가 1 내지 5 마이크론(micron) 크기일 때 최적이라는 것이 의약 산업계의 의견이다. 약 입자가 상기 크기 범위 내일 필요가 있을 때, 건조 파우더 전달 시스템은 다수의 문제를 처리할 필요가 있다.
(1) 작은 크기의 입자들은 제조 및 저장 중 그 자체에 정전 전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입자들을 응집(agglomerate) 또는 집합(aggregate)시키고, 5 마이크론보다 큰 효과적 크기를 가지는 입자의 클러스터(cluster)를 만든다. 상기 큰 클러스터가 그것을 더 깊은 허파로 가게 하는 확률은 감소한다. 이는 교대로 환자에게 흡수가 가능한 패키지 약의 낮은 백분율을 낳는다.
(2) 환자에게 전달될 필요가 있는 활성 약의 양은 마이크로그램의 10s 오더(ord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식에 사용되는 약인 알부테롤(albuterol)의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25 내지 50 마이크로그램이다. 현재 제조 설비는 수용가능한 정확성으로 밀리그램 분량 정도로 약수(aliquot)의 약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표준 실행은 젖당(lactose)과 같은 충전제(filler) 또는 팽창제(bulking agent)와 활성 약(active drug)을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또한 약을 "흐르기 쉽게(easy to flow)" 만든다. 약 입자가 또한 정전 또는 화학적 결합을 통해 상기 입자에 부착되므로 상기 충전제는 또한 캐리어로 불린다. 상기 캐리어 입자는 크기에 있어 약 입자보다 훨씬 더 크다. 약을 캐리어로부터 분리시키는 건조 파우더 흡입기의 능력은 디자인의 효율성에 있어 중요한 성능 변수가 된다.
(3) 5마이크론보다 더 큰 크기의 활성 약 입자는 입 또는 목에 위치될 것이다. 이는 상기 위치에서의 약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과 흡수가 허파와 상이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의 다른 레벨을 도입한다. 건조 파우더 흡입기는 상기 약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과 연관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에 놓인 약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의 DPIs(Dry Powder Inhaler)는 일반적으로 약(활성 약 더하기 캐리어)을 고속 공기 스트림(stream)으로 도입하는 수단을 가진다. 고속 공기 스트림은 마이크로화된 입자의 클러스터를 분쇄하거나 약 입자를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제1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된다. 약제의 상기 파우더 형태를 조제하는데 유용한 여러 흡입 장치가 선행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Nos. 3,507,277; 3,518,992; 3,635,219; 3,795,244; 및 3,807,400 에 있어, 흡입 장치들은 파우더 약제을 함유하는 캡슐을 관통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개시되고, 이는 흡입시 관통된 캡슐 밖으로 나와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간다. 상기 여러 특허는 플로펠러(propeller) 수단을 개시하고, 이는 흡입시 캡슐 밖으로 파우더를 배출하는 것을 도와, 캡슐로부터 파우더를 흡입하기 위해 들숨(inhaled air)에만 의존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No.2,517,482에서, 장치는 흡입 전 더 낮은 챔버에 위치하는 파우더 함유 캡슐을 가지는 것을 개시하고, 여기서 그것은 사용자에 의한 관통 핀의 수동 압력에 의해 관통된다. 관통 후, 흡입이 시작되고 캡슐은 장치의 상부 챔버로 끌어올려져, 그것은 모든 방향으로 움직여 관통된 구멍을 통해 파우더를 배출하여 둘숨 스트림에 들어가게 한다. 미국 특허 No.3,831,606 은 외부 수동 조작에 의해 프로펠러를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의 관통 핀, 프로펠러 수단 및 자기 함유 파우더 소스를 가지는 흡입 장치를 개시하며, 따라서 흡입시 프로펠러 수단은 들숨의 스트림에 파우더를 배출하는 것을 돕는다. 미국 특허 No.5,458,135 를 참조한다.
상기 선행기술 장치는 본 발명의 흡입 장치에 의해 치료될 여러 문제와 여러 단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선행기술 장치는 사용자에게 관통된 캡슐로부터 파우더의 배출 또는 흡입에 영향을 주어 들숨 스트림으로 흡입하게 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가하도록 요구한다. 상기 선행기술 장치에 있어 흡입에 의해 초래되는 캡슐 내 관통된 구멍을 통한 파우더의 흡입은 일반적으로 캡술 밖으로 모든 또는 심지어 대부분을 끌어내는 것은 아니므로, 약제의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장치는 미세하게 분산되는 파우더의 제어된 양의 일정 흡입 보다는 사용자의 입에 흡입되는 파우더 물질의 비제어된 양 또는 클럼프(clump)를 만든다.
선행기술에 대한 상기 토론은 대부분 미국 특허 Wilket et al의 No.3,948,264 로부터 나오는데, 그는 제1 및 제2 공기 유입 채널 및 유출 채널을 가지는 인체 부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치료의 흡입을 촉진화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제2 유입 채널은 파우더 약제를 함유하는 캡슐을 위한 인클로저(enclosure)를 제공하고, 유출 채널은 인체로부터 돌출된 마우스피스(mouthpiece)처럼 형성된다. 캡슐 관통 구조가 제공되고, 이는 회전시 캡슐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두어 전기역학적 진동자에 의한 캡슐의 진동시 파우더 약이 캡슐로부터 방출되게 한다. Wilke et al 에 개시된 관통 수단은 세 개의 방사상으로 장착된, 트로코이드(trochoidal) 챔버에 마련된 스프링 바이어스된 관통 바늘을 포함한다. 챔버의 수동 회전 시, 바늘의 동시의 내부를 향한 방사상 운동이 캡슐을 관통한다. 챔버의 다른 회전은 캡슐로부터 바늘을 뽑도록 원 위치로 그 스프링 장착에 의해 바늘이 후퇴하는 것을 허용한다.
전기역학적 진동자는, 그 내부최끝 단부에, 유입 채널과 유출 채널의 교차점까지 돌출되는 진동 플런저(plunger) 막대를 포함한다. 플런저 막대에 연결된 것은 막대를 진동시키도록 에너지를 주는 역학적 솔레노이드 버저(mechanical solenoid buzzer)이다. 버저는 고 에너지 전기 셀에 의해 전력이 주어지고, 외부 버튼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된다. Wilket et al.에 따르면, 흡입시 외부 채널과 전기역학적 진동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의 동시 누름에 의해, 공기가 유입 채널을 통해 흡입되고, 제2 유입 채널을 통한 공기 스트림은 진동 플런저 막대까지 캡슐을 올린다. 캡슐은 따라서, 유동화되어(fluidize) 그 관통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우더와 함께 빠르게 진동한다(상기 기술은 호퍼(hopper)를 통해 파우더를 배출하는 제조공정에 보통 사용되고 여기서 호퍼는 파우더를 진동시켜 유동화하고, 그것을 호퍼 유출을 통해 움직인다. 캡슐의 관통 호울은 호퍼 유출을 나타낸다.) Wilke et al. 에 따르면, 유입 채널을 통한 공기 스트림은 캡슐로부터의 파우더 배출을 돕고, 상기 파우더를 유출 채널을 통과해 사용자의 입으로 옮긴다(Wilke et al. 컬럼 3, 라인 45-55). Wilke et al 은 또한 전기역학적 진동 수단이 유입 챔버에 대한 오른 각도에 위치할 수 있고 진동의 진폭과 주파수가 흡입기의 배출 특성을 조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상술한 선행기술 장치는 허파에 건조 파우더를 전달하는데 바람직하지 않게 만드는 많은 단점을 가진다. 상기 단점의 일부는 다음을 포함한다:
● 선행기술 흡입기의 성능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유동율(flow rate)에 의존한다. 더 낮은 유동율은 완전히 분산되는 파우더의 결과를 만들지 않으므로 환자에 약을 전달하는데 역 영향을 준다.
● 분산 프로세스에 있어 일관성(consistency) 부재로 인한 용량 대 용량(dose-to-dose)로부터 약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에 있어 불일치.
● 휴대 사용을 위해 부적절하게,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전기역학적 기반 흡입기의 구동을 위해 큰 에너지 요구.
● 개방되거나 닫힌 캡슐로부터 약제의 유실.
● 산소 또는 수증기에 대한 노출로 인해 개방 또는 닫힌 캡슐 내 약제의 악화(deterioration).
여기서 참조로 통합되고 공통 양수인 MicroDose Technologies, Inc.에 양수된 선행 미국 특허 Nos.7,318,434 와 7,334,577 에서, 서스펜션 파우더를 흡입 가스 스트림으로 촉진시키도록 진동을 이용하고,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또는 유사한 것으로부터 약 파우더를 분무화시키도록 종합 제트(synthetic jet)를 이용하는 선행 흡입기에 대한 개량발명을 제공한다. 상술한 미국 특허 Nos.7,318,434 와 7,334,577 에서 가르쳐진대로, 건조 파우더를 수용하기 위한 블리스터 팩 또는 다른 용기와 같은 제1챔버 및, 분무화된 건조 파우더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제1챔버로부터 건조 파우더를 분무 형태로 수용하는 통로를 경유하여 제1챔버에 연결되는 제2챔버를 가지는 건조 파우더 흡입기가 제공된다. 진동자는 제1챔버에서 건조 파우더에 결합된다. 진동자는 에너지가 주어지고 제1챔버에 결합되며, 파우더를 종합 제팅에 의해 챔버로부터 끌어낸다.
건조 파우더 흡입기의 약제는 보통 블리스터 팩, 또는 압전 변환기 또는 진동기의 면과 접촉하게 위치하는 다른 평평한 바닥의 용기에 포함되고, 여기서 변환기의 진동 에너지가 약제 입자에 전송된다. 하지만, 블리스터 팩 또는 다른 용기의 결합 면과 변환기의 면 사이의 마찰 손실은 변환기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고 장치의 전체적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블리스터 팩 또는 다른 평평한 바닥 용기 내 함유되는 약제를 분무화하기 위해 압전 변환기를 가지는 흡입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선행 기술 장치에 대한 개량을 제공하고, 여기서 변환기 구동 신호는 압전 변환기의 제1 및 제2 공명 주파수를 여기시키는 파형을 가진다. 변환기의 바람직한 구동 신호는 변환기의 제1 공명 주파수(primary resonance frequency)에 상당하는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와 부가하여 기본 조화 주파수에서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는 파형을 포함한다.
변환기의 제2 공명 주파수는 변환기 면의 더 복잡한 운동을 낳는 구동 신호의 조화에 의해 여기된다. 변환기는 드럼의 진동면과 유사하게 운동한다. 이는 상당한 수의 진동 모드를 포함한다. 변환기 면의 더 복잡한 운동은 블리스터 팩 또는 다른 평형한 바닥의 용기의 결합면과 변환기 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차례로 두 면 사이의 마찰도 또한 감소된다. 이는 주로 블리스터 또는 용기 바닥이 변환기 면의 굴절(deflection) 패턴의 마루(peak)를 타고, 복잡한 운동으로 인해 그 변형의 복잡성을 따르지 않는 경향으로 인해 일어난 것이다. 블리스터 또는 용기 바닥 및 변환기 면 사이의 상대적 운동 부분은 방사상 방향이고, 변환기 면이 면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할 때 변환기 면의 방사상 치수(dimension)을 변화시킴으로써 필요해진다. 상기 상대적 운동은 진동 중 변환기 면에 접촉하여 순응하거나 단단히 고정되도록 용기 또는 블리스터 팩의 바닥면을 이루는 물질을 주기적으로 신장하는 것과 연관된 중요한 에너지 손실을 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블리스터 팩 또는 유사한 것에 함유된 약제을 분산시키고 분무화하는 압전 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흡입기로부터 환자의 폐까지 약제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압전 변환기는 변환기를 제1 공명 주파수 및 제1 조화 공명 주파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주파수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진동하도록 여기하는 구동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
즉, 구동 신호는 변환기 면의 복잡한 변형 패턴을 만드는 압전 변환기의 제2 공명 주파수를 여기하도록 선택된다. 이론에 의한 구속 없이, 우리의 관찰로부터 변환기 면의 복잡한 운동은 변환기 면에 접촉하는 블리스터 바닥의 평평한 면 사이에 접촉하는 표면 영역이 감소하도록 하고, 그런 감소에 의해 두 면 사이의 마찰은 대응하여 감소한다. 이는 블리스터 바닥이 변환기 면의 굴절(deflection) 패턴의 마루(peak)를 타고, 복잡한 운동으로 인해 그 변형의 복잡성을 따르지 않는 경향으로 인한 것이다. 이는 방사상 방향으로 블리스터 바닥과 변환기 면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변환기 면을 이루는 물질의 탄성, 예를 들어 변환기의 진동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으로 인해 진동할 때, 변환기 면의 변화하는 방사상 치수로 인해 필요한 것이다. 이론에 의해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는 반면, 우리의 관찰은 진동 중 변환기 면에 접촉하여 순응하거나 단단히 고정되도록 블리스터 바닥의 바닥면을 이루는 폴리메릭(polymeric) 물질을 주기적으로 신장시키는 것과 연관된 중요한 에너지 손실을 필하기 위해 상기 상대적 운동이 필요하다는 가정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는, 상대적 운동으로 인해 진동 중 변환기 면에 접촉하여 순응하거나 단단히 고정되도록 용기 또는 블리스터 팩의 바닥면을 이루는 물질을 주기적으로 신장하는 것과 연관된 중요한 에너지 손실을 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actuator)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변환기의 구동 신호의 파형을 보이는 그래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형에 의해 생성된 압전 변환기의 조화 에너지를 보이는 그래프;
도 4는 다양한 조화 주파수에서 압전 변환기의 어드미턴스(admittance)를 보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변환기를 위한 구동 회로의 개략도.
다음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도면을 참고하고, 본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변환기는 도 2에 도시된 파형을 가지는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파형은 양수인 회사에 의해 건조 파우더 흡입기에 사용되는 압전 변환기에 상술한 운동을 구동하는데 선호된다. 압전 변환기(도 1)는 12.24 mm 길이 그리고 13.32 mm 의 o.d. 을 가지고 압축 맞춤되는 캡(24)의 평평한 표면에 부착되어 실린더(20)를 닫는 0.25mm 두께의 압전 디스크(22)를 가지는 일단에서 닫히는 알루미늄 실린더(20)를 포함하는 목적으로 디자인된 변환기이다. 양극 리드 와이어(positive lead wire)(26)가 압전 디스크(22)의 내면에 솔더링되고(solder), 긴장 완화(strain relief)를 제공하도록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캡(24)의 내벽면에 부착된다. 음극 리드 와이어(28)는 알루미늄 실린더(20)에 부착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형의 조화 에너지 플롯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화 파형에 의해 생성된 조화 에너지의 상당한 양이 있다.
도 4는 건조 파우더 흡입기에 사용된 압전 변환기의 전기 어드미턴스를 보인다. 어드미턴스 반응의 마루(peak)는 변환기에 있어 역학적 공명 주파수를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명 주파수 35kHz에 더해 중요한 역학적 공명의 여러 포인트가 있다. 상이한 압전 변환기는 하지만 상이한 공명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우리의 관찰에서, 상술한 압전 변환기는 285kHz 에서 크게 여기되었고, 이는 구동 파형의 8번째 조화에 대응한다. 다른 변환기는 하지만, 구동 파형의 다른 조화(2번째, 4번째, 6번째 등)에서 강하게 공명할 수 있어, 예시 변환기에서 발견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중요하게 우리의 실험은 일관되게 다량의 조화 에너지를 가지는 구동신호가, 조사된 모든 변환기 형태와 평평한 바닥 블리스터 형태의 조합에 대해 강한 종합 제트를 신뢰성있게 생성하는데 필요하다.
도 5는 도 2의 바람직한 파형을 생성할 수 있는 구동 회로의 예이다. 변환기(5)는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필드 효과 트랜지스터(22, 23)는 변환기의 제1 공명 주파수에서 열리거나 닫히는 전자 스위치를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구동 회로는 단일 트랜지스터로 설계될 수 있다. 인덕터(12)는 전자 스위치가 닫히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전자 스위치가 개방될 때, 인덕터(12)의 모든 에너지는 압전 변환기(5)에 전송된다. 다이오드(15)는, 인덕터의 에너지가 변환기로 전송되고 난 후, 인덕터를 변환기로부터 효과적으로 단절하여, 사이클 중 최대 에너지 전송을 보장한다.
다른 파형도 사용될 수 있다. 제1조건은 구동 파형이 충분한 에너지를 생성하여 압전 변환기의 제2공명 주파수가 여기되도록 함으로써 제2 공명에서 역학적 진동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변환기의 제1 및 제2 공명 주파수에 대응하는 두 상이한 주파수에서 두 사인파 신호(sinusoidal signal)를 포함하는 파형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환기의 충분한 역학적 운동이 두 주파수에서 생성되도록 제1 및 제2 공명 주파수에서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는 신호는 변환기 면과 블리스터 바닥 사이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대 효과를 가지는 압전 변환기 면의 운동을 생성한다.
본 장치 및 방법의 상술한 실시예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지 가능한 구현예이고 본 발명의 원리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설명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의 많은 상이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계 및/또는 제작될 수 있다. 모든 상기 변형예와 다른 변형예 및 수정예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다음 청구항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7)

  1. 진동자로서 압전 변환기를 사용하는 흡입기에서,
    진동을 생성하도록 변환기에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변환기의 제1 공명 주파수와 상기 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공명 주파수를 여기시키는 변환기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공명 주파수 및 상기 제2 공명 주파수에 대응하는 두 주파수에서 두 사인(sine) 신호를 포함하는 파형인 변환기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에 함유된 약제를 분무화하는데 사용되는 변환기 구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으로 인한 상기 블리스터 팩과 상기 변환기 사이에 마찰이 최소화되는 변환기 구동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건조 파우더인 변환기 구동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액체인 변환기 구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n 번째 조화 제1 공명 주파수에서 공명하고, 여기서 n 은 2, 4, 6 및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인 변환기 구동 방법.
  8. 변환기의 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평평한 바닥의 약제 용기를 사용하는 흡입기에 있어 압전 변환기를 구동하는 회로로서,
    전원, 다이오드, 인덕터 및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원, 다이오드, 인덕터 및 전자 스위치는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변환기는 상기 스위치를 가로질러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압전 변환기의 최저 공명 주파수에서 열리고 닫히는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스위치는 상기 압전 변환기의 제1 공명 주파수에서 열리고 닫히는 두 필드 효과로 이루어지는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스위치가 열릴 때 상기 변환기로 모든 에너지를 실질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크기가 부여되는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변환기의 조화 최저 공명 주파수와 상기 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공명 주파수에서 실질적 에너지를 전달하는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
  13. 약제의 서스펜션을 흡입된 가스 스트림으로 촉진하기 위한 압전 변환기를 포함하는 흡입기에서, 청구항 9항에 따른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흡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건조 파우더인 압전 변환기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흡입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액체인 흡입기.
  16. 제1 공명 주파수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공명 주파수에 대응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에서 변환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변환기 면과 그 접촉하는 소자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n 번째 조화 제1 공명 주파수에서 구동되고, n 은 2, 4, 6 및 8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정수인,
    진동 변환기 면과 그 접촉하는 소자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107021402A 2008-02-29 2009-02-26 흡입 장치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59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88308P 2008-02-29 2008-02-29
US61/032,883 2008-02-29
US12/392,686 2009-02-25
US12/392,686 US8371294B2 (en) 2008-02-29 2009-02-25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transducer of an inhal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748A true KR20100129748A (ko) 2010-12-09
KR101559606B1 KR101559606B1 (ko) 2015-10-12

Family

ID=4101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402A KR101559606B1 (ko) 2008-02-29 2009-02-26 흡입 장치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8371294B2 (ko)
EP (1) EP2249970B1 (ko)
JP (1) JP5458024B2 (ko)
KR (1) KR101559606B1 (ko)
CN (1) CN101959616B (ko)
AR (1) AR070741A1 (ko)
AU (1) AU2009222226B2 (ko)
BR (1) BRPI0908399A2 (ko)
CA (1) CA2716600C (ko)
CL (1) CL2009000462A1 (ko)
ES (1) ES2673293T3 (ko)
HK (1) HK1153425A1 (ko)
IL (2) IL207636A (ko)
MX (2) MX2010009439A (ko)
NZ (1) NZ587432A (ko)
PE (1) PE20100224A1 (ko)
RU (1) RU2521733C2 (ko)
TW (1) TWI532509B (ko)
WO (1) WO2009111267A1 (ko)
ZA (1) ZA2010061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9670A1 (en) * 2009-03-20 2010-09-30 Cutera, Inc. High-power multiple-harmonic ultrasound transducer
US8991390B2 (en) 2010-01-05 2015-03-31 Microdose Therapeutx, Inc.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MX2017000287A (es) 2014-07-07 2017-04-27 Microdose Therapeutx Inc Dispositivo para inhalacion.
WO2018071434A1 (en) * 2016-10-11 2018-04-19 Microdose Therapeutx, Inc. Inhal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6655881A (zh) * 2016-12-28 2017-05-10 河南师范大学 压电马达的多频驱动方法
EP3384947A1 (en) * 2017-04-04 2018-10-10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Fluid delivery device
US11504093B2 (en) * 2021-01-22 2022-11-22 Exo Imaging, Inc. Equalization for matrix based line imagers for ultrasound imaging systems
JP2023004349A (ja) * 2021-06-25 2023-01-1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ネブライザ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7482A (en) * 1949-04-09 1950-08-01 Sharp & Dohme Inc Inhaler
GB1182779A (en) * 1966-09-17 1970-03-04 Fisons Pharmaceuticals Ltd Inhalation Device
US3507277A (en) * 1966-09-17 1970-04-21 Fisons Pharmaceuticals Ltd Inhalation device
GB1268051A (en) * 1968-06-07 1972-03-22 Fisons Pharmaceuticals Ltd Inhalation device
US3831606A (en) * 1971-02-19 1974-08-27 Alza Corp Auto inhaler
IT941426B (it) * 1971-07-17 1973-03-01 Isf Spa Inalatore a camera di turbinio per sostanze medicamentose polveriformi
US3795244A (en) * 1973-02-02 1974-03-05 Syntex Corp Inhalation device
US3948264A (en) * 1975-05-21 1976-04-06 Mead Johnson & Company Inhalation device
US4605167A (en) * 1982-01-18 1986-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imited Ultrasonic liquid ejecting apparatus
US4733797A (en) * 1986-09-22 1988-03-29 Haber Terry M Dosage sealing, monitoring and dispensing assembly
US5110008A (en) * 1989-09-29 1992-05-05 Moulding Jr Thomas S Dispenser adapted to isolate the dispensed objects by compression between two moveable structures
TW197380B (ko) * 1990-03-02 1993-01-01 Glaxo Group Ltd
AU9089591A (en) * 1990-12-17 1992-07-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haler
JPH04236962A (ja) * 1991-01-17 1992-08-25 Koji Toda 超音波吸入装置
US6629646B1 (en) * 1991-04-24 2003-10-07 Aerogen, Inc. Droplet ejector with oscillating tapered aperture
ES2284226T3 (es) * 1991-07-02 2007-11-01 Nektar Therapeutics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medicamentos en aerosol.
US5647357A (en) * 1995-09-08 1997-07-15 Respironics, Inc. Respiratory mask facial seal
US6026809A (en) * 1996-01-25 2000-02-22 Microdose Technologies, Inc. Inhalation device
US5906202A (en) * 1996-11-21 1999-05-25 Aradigm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recting aerosolized mist to a specific area of the respiratory tract
US6537246B1 (en) * 1997-06-18 2003-03-25 Imarx Therapeutics, Inc. Oxygen delivery agents and uses for the same
GB2343122B (en) * 1998-10-26 2003-01-08 Medic Ai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bulisers
CA2399464C (en) 2000-02-11 2008-10-07 Medic-Aid Limited Drug delivery apparatus
DE10011120A1 (de) * 2000-03-09 2001-09-13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10132069A1 (de) * 2001-07-05 2003-01-16 Buehler Ag Verfahren zum Beeinflussen der rheologischen Eigenschaften eines Fluids
RU22879U1 (ru) * 2001-12-28 2002-05-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ЕХНОЛИДЕР"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аэрозольный аппарат,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распылитель и генератор высокочастотных колебаний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7233228B2 (en) * 2002-04-29 2007-06-19 Glaxo Group Limited Alerting system
JP2005532091A (ja) 2002-05-10 2005-10-27 オリエル・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ドライ・パウダー吸入器、関連するブリスター装置、およびドライ・パウダー物質を施与しならびに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を製作する関連付けられた方法
US7118010B2 (en) * 2002-05-10 2006-10-10 Oriel Therapeutics, Inc. Apparatu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dispensing and /or evaluating dry powders
US7677411B2 (en) * 2002-05-10 2010-03-16 Oriel Therapeutics, Inc. Apparatu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processing, dispensing and/or evaluatingl dry powders
US6889690B2 (en) * 2002-05-10 2005-05-10 Oriel Therapeutics, Inc. Dry powder inhalers, related blister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dispensing dry powder substances and fabricating blister packages
WO2004002395A2 (en) 2002-06-27 2004-01-08 Oriel Therapeutics, Inc. Apparatu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processing, dispensing and/or evaluating non-pharmaceutical dry powders
GB2395437C (en) * 2002-11-20 2010-10-20 Profile Respiratory Systems Ltd Improved inhalation method and apparatus
AU2004231342A1 (en) 2003-04-14 2004-11-04 Vectura Ltd Dry power inhaler devices and dry power formulations for enhancing dosing efficiency
GB2407042B (en) * 2003-10-17 2007-10-24 Vectura Ltd Inhaler
AU2004294890B2 (en) 2003-12-03 2010-08-2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re-metered dry powder inhaler for moisture-sensitive medicaments
SE0303570L (sv) 2003-12-03 2005-06-04 Microdrug Ag Fukt-känslig medicinsk produkt
SE0303269L (sv) * 2003-12-03 2005-06-04 Microdrug Ag Medicinsk produkt
JP4601627B2 (ja) * 2004-01-16 2010-12-22 バイオデ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舌下薬物送達デバイス
US7607435B2 (en) 2004-01-21 2009-10-2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Gas or liquid flow sensor
US7538473B2 (en) 2004-02-03 2009-05-26 S.C. Johnson & Son, Inc. Drive circuits and methods for ultrasonic piezoelectric actuators
PL1718353T3 (pl) * 2004-02-24 2020-06-01 Microdose Therapeutx, Inc. Urządzenie do dostarczania leku na bazie strugi syntetycznej
DE102005005540B4 (de) 2005-02-07 2007-10-04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In verschiedenen Moden ansteuerbare Inhalationstherapievorrichtung
US20100139654A1 (en) * 2006-02-20 2010-06-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EP2162174A1 (en) 2007-07-06 2010-03-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US8297280B2 (en) 2007-07-20 2012-10-30 Canon Kabushiki Kaisha Inhaler
GB0800709D0 (en) * 2008-01-16 2008-02-20 Dunne Stephen T Double jet impinging nozzle
ES2655921T3 (es) * 2008-06-13 2018-02-22 Mannkind Corporation Un inhalador de polvo seco y sistema para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DE102009005048A1 (de) 2009-01-13 2010-07-15 Borm, Hans-Jürge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Ermittlung eines inspiratorischen Leckagevolumens bei der maschinellen Beatmung
KR20130117755A (ko) 2010-06-21 2013-10-28 맨카인드 코포레이션 건조 분말 약물 운반 시스템 및 방법
JP5874724B2 (ja) 2010-06-24 2016-03-0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2954A (ja) 2011-04-28
IL207636A0 (en) 2010-12-30
CL2009000462A1 (es) 2009-09-25
EP2249970A4 (en) 2016-07-06
CN101959616A (zh) 2011-01-26
NZ587432A (en) 2012-06-29
IL207636A (en) 2015-01-29
AU2009222226A1 (en) 2009-09-11
HK1153425A1 (en) 2012-03-30
EP2249970A1 (en) 2010-11-17
AR070741A1 (es) 2010-04-28
RU2521733C2 (ru) 2014-07-10
RU2010139843A (ru) 2012-04-10
IL236475A0 (en) 2015-02-26
KR101559606B1 (ko) 2015-10-12
EP2249970B1 (en) 2018-04-04
BRPI0908399A2 (pt) 2019-02-26
MX2010009439A (es) 2010-11-12
PE20100224A1 (es) 2010-04-14
JP5458024B2 (ja) 2014-04-02
ES2673293T3 (es) 2018-06-21
MX360749B (es) 2018-11-15
TW200936194A (en) 2009-09-01
US8371294B2 (en) 2013-02-12
WO2009111267A1 (en) 2009-09-11
CA2716600C (en) 2018-02-27
CA2716600A1 (en) 2009-09-11
ZA201006158B (en) 2012-03-28
IL236475A (en) 2016-09-29
US20090217925A1 (en) 2009-09-03
AU2009222226B2 (en) 2013-01-31
TWI532509B (zh) 2016-05-11
CN101959616B (zh)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589B1 (ko) 흡입 장치
US7318434B2 (en) Synthetic jet based medicament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KR101559606B1 (ko) 흡입 장치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209655A1 (en) Dry powder medicament de-agglom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