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599A -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599A
KR20100129599A KR1020090048245A KR20090048245A KR20100129599A KR 20100129599 A KR20100129599 A KR 20100129599A KR 1020090048245 A KR1020090048245 A KR 1020090048245A KR 20090048245 A KR20090048245 A KR 20090048245A KR 20100129599 A KR20100129599 A KR 2010012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boiler
main body
hea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표
Original Assignee
이승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표 filed Critical 이승표
Priority to KR102009004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9599A/ko
Publication of KR2010012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로서, 보일러에 연결된 난방배관의 난방 수 회수라인 측에 연결되는 입수구, 상기 보일러 측에 난방배관에 연결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가 결합 되어 열이 전도되며, 복수의 방열 핀을 나란하게 다 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방열 핀에는 상기 입수구로 유입된 난방 수가 상기 출수구로 지그재그 흐름을 갖도록 홀을 서로 어긋나게 형성한 방열 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 충 입 되어 상기 히터와 방열부재의 열이 전도되어 난방 수의 가열효율을 높이는 축열용 세라믹 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배관의 회수(回收)라인 부위로 들어오는 난방 수를 급속으로 예비 가열한 후, 설정온도 수준으로 복귀된 난방 수를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난방 수를 재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연소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연료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일러, 열교환기, 전기히터, 난방배관, 방열 부재, 축열용 세라믹 볼, 히트파이프

Description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Heat exchanger of boiler that use that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배관의 회수라인 부위에 설치되어 순환이 완료된 난방 수를 급속으로 예비 가열한 후, 설정온도 수준으로 복귀된 난방 수를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난방 수를 재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연소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연료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과 난방 수 공급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하여 얻어지는 열(熱)을 이용해 난방 수를 가열하여 난방 수를 공급하거나, 가열된 난방 수의 순환을 통해 실내의 바닥과 공기를 가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는 크게 가정용, 산업용, 농업용 등으로 구분되며, 그 사용 연료와 작동방식에 따라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및 전기보일러 등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보일러와 오일보일러는, 연료인 가스 또는 오일을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 된 열을 이용해 난방 배관을 순환하는 난방 수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또한, 전기보일러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히터를 가열하여 난방 수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그 내부에 설치된 히터를 구동시켜 실내의 난방을 위해 설치된 난방 배관을 순환하는 난방 수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난방 수가 난방배관을 통해 순환하는 과정에서 설정온도보다 낮아진 상태로 회수라인을 통해 보일러로 다시 들어오게 된다.
이때, 보일러의 가열부는 연료를 이용해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까지 재차 가열하게 되고, 이 가열된 난방 수는 순환펌프에 의해 방, 거실 및 욕실 등에 시공된 난방배관을 따라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일러는, 회수(回收)되는 난방 수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수준까지 재차 가열하는 과정에서 연소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도가 낮아진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으로 재가열하기 위해, 많은 양의 연료를 소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배관의 회수라인 부위에 설치되어 순환이 완료된 난방 수를 급속으로 예비 가열한 후, 설정온도 수준으로 복귀된 난방 수를 메인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으로 재가열하는데 필요한 연소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난방 수를 재차 가열하기 위한 연료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에 연결된 난방배관의 난방 수 회수라인 측에 연결되는 입수구, 상기 보일러 측에 난방배관에 연결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가 결합 되어 열이 전도되며, 복수의 방열 핀을 나란하게 다 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방열 핀에는 상기 입수구로 유입된 난방 수가 상기 출수구로 지그재그 흐름을 갖도록 홀을 서로 어긋나게 형성한 방열 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 충 입 되어 상기 히터와 방열부재의 열이 전도되어 난방 수의 가열효율을 높이는 축열용 세라믹 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히터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어 열이 전도되며, 각각의 양측에 상기 방열 핀이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방열 판이 포함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 핀은 상기 본체 양측 벽부 측 단부가 상향 되게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은 복수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난방 수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이 중지되어 난방 수의 순환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의 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본체에는 상기 난방 수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열용 세라믹 볼은 나란하게 형성된 상기 방열 핀 사이사이에도 모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조작을 위한 조작부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태양 광을 집광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을 통해 집광 된 태양열을 저장용 축전지가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에 모인 전력을 전원 선을 통해 상기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태양 광 전력과 일반 전력을 모두 사용하거나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 내부를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를 구비하되, 상기 히트파이프는 외부의 전원부에서 열원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환이 완료된 낮은 온도의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으로 예열한 후 메인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으로 재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연소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태양 광 전력을 통해 전력을 자체 생산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태양 광 전력과 일반 전력을 모두 사용하거나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체에 히트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가 회수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체에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 교환기(100)는, 본체(200), 히터(300), 방열 부재(400) 및, 축열용 세라믹 볼(500)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보일러(600)에는, 난방 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미도시)와, 난방 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난방배관(700)과, 상기 난방배관(700)을 통해 난방 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800) 및, 보일러 조작부(미도시) 등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600)의 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되는 난방 수의 온도가 40° 정도일 때 순환펌프(800)가 함께 가동한다. 이후, 난방 수의 온도가 60°도 정도가 될 때 상기 가열부(미도시)는 연소를 멈추고 순환펌프(800)만이 동작하여 난방 수의 순환 만을 이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열을 이용한 보조 열교환기(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 체 형상으로, 일측에는 난방배관(700)의 회수라인(710) 측에 연결되는 입수구(210)와, 보일러(600) 측 난방배관(700)에 연결되는 출수구(220)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200)의 전면에는 조작을 위한 조작부(23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물의 양, 열교환기 본체 내부의 온도, 소비전력, 에너지효율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의 난방 수 수용 용량은 2 ~ 6리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용량은 보일러(6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입수구(210)는 본체(20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220)는 입수구(2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수된 난방 수가 입수구(21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출수구(220)를 통해 보일러(600) 측 난방배관(700)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입수구(210)와 출수구(220)의 설치 위치는 동일 방향에 상하로 각각 형성하거나, 그 밖에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입수구(210)와 출수구(220)의 개수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히터(300)는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본체(200)의 내부로 들어오는 전원 선(310)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된다. 즉,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된 전원부(미도시)의 전력이 상기 전원 선(310)을 통해 히터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히터의 열이 방열 부재(400)에 전도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히터(300)는 세라믹 소재를 이용해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히터(300)는 본체(200)의 중앙에서 입수구(210)와 출수구(220)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수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난방 수가 출수구(22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히터(300)에 공급되는 전력은 200W/H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히터(300)로 공급되는 전력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300)는 본체(200)를 통과하는 난방 수가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가열이 중지되어 난방 수의 순환만을 이루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난방 수의 온도가 40 ~ 60° 정도가 될 때 상기 히터(300)가 정지될 수 있으며, 본체(200)를 통과하는 난방 수가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히터(300)로 전원 공급이 재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체(200)의 내부 혹은 외부에는 난방 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미도시)가 난방 수의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히터(300)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히터(300)에 전원을 공급되는 전원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태양 광 장치(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본체(200) 또는 인접 부위에 태양 광을 집광 되도록 집광판(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집광판(미도시)을 통해 집광 된 태양열을 저장하는 축전지(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전지에 모인 전력을 전원 선(310)을 통해 히터(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 광 전력을 통해 전력을 자체 생산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태양 광 전력과 일반 전력을 모두 사용하거나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다음으로, 방열 부재(400)는 상기 히터(300)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어 열이 전도되는 방열 판(410)과, 상기 각각의 방열 판(410)의 각각의 양측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어 다 층을 이루는 복수의 방열 핀(420)이 포함된다.
상기 방열 핀(420)에는 입수구(210)로부터 유입되는 난방 수가 출수구(220)방향으로 지그재그 흐름을 갖도록 홀(421)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421)은 복수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입수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난방 수가 상측에 위치된 방열 핀(420)의 홀(421)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 방열 핀(420)으로 이동된 난방 수는 다시 어긋나게 위치된 홀(421)을 통해 지그재그 흐름을 반복하면서 출수구(2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입수구(210)로 유입되는 난방 수는, 히터(300), 방열 판(410), 방열 핀(420)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본체(200)의 내부와 방열 핀(420)의 층 사이에 채워진 축열용 세라믹 볼(500)에 의해 가열되면서 출수구(220)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히터(300) 자체와 상기 히터(300)에 의해 열이 전도된 방열 부재(400)가 후술 될 축열용 세라믹 볼(500)에 열을 전도함으로써, 방열 핀(420)의 홀(421)을 통과하는 난방 수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온도로 용이하게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방열 핀(420)은 본체(200) 양측 벽부 측을 향하는 단부가 상향 되게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 핀(420)의 형상은, 입수구(210)로부터 (420)의 층을 통과하는 난방 수가 방열 판(410) 측으로 인접되게 출수구(2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 수 가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축열용 세라믹 볼(500)은 본체(200)의 내부에 충 입 되는 것으로, 상기 축열용 세라믹 볼(500)은 전술된 히터(300)와 히팅 부재(400)의 열이 축 열(蓄熱) 될 수 있도록, 세라믹 소재를 이용해 볼 타입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축열용 세라믹 볼(500)은 가열되는 히터(300)와 열이 전도되는 방열 부재(400)의 열이 전도되는 것으로, 난방 수와 접하여 가열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축열용 세라믹 볼(500)은 다 층을 이루는 방열 핀(420)의 사이사이에 모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수구(210)로부터 유입되는 난방 수가 방열 핀(420)의 홀(421)들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할 때, 난방 수가 다수의 축열용 세라믹 볼(500) 사이사이의 공간(510) 부위를 통과하면서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900)는, 외부의 전원부(미도시)에서 열원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파이프(Heat pipe)는 열전도 파이프로 감압한 파이프 속에 액체를 넣고 한쪽을 가열하여 증기를 다른 쪽으로 보내면, 다시 액체상태로 되어 가열부로 되돌아오는 작용을 반복하는 파이프이다.
이러한, 히트파이프를 이용하면 본체 내부를 지나가는 물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의 예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교환기(100)의 히터(30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히터(300)의 발열에 의해 밀착된 방열 부재(400)에 열이 전도된다. 이때 방열 부재(400)에 전도된 열은 다시 축열용 세라믹 볼(500)들에 전달된다.
이후, 본체(200)의 입수구(210)를 통해 유입된 난방 수가 방열 핀(420)의 어긋난 홀(421)들을 통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출수구(2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난방 수는 축열용 세라믹 볼(500)들 간의 공간(510)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난방 수는 축열용 세라믹 볼(500)과 접하는 상태로 직접 가열되면서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온도 수준으로 빠르게 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설정온도 수준으로 복귀된 난방 수는 본체(200)의 출수구(220)를 통해 보일러(600) 측 난방배관(700)으로 배출되면서 난방 수의 예열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예열과정은, 난방 수가 난방배관(700)을 통해 회수라인(710)으로 들어오는 과정마다 한번 씩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보일러(600)로 회수되는 난방 수의 온도를 설정 온도 수준으로 예열하는 과정이 선행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순환이 완료된 낮은 온도의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으로 예열한 후 보일러(600)로 공급함으로써, 난방 수를 설정온도 수준으로 재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연소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연료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가 회수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체에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열교환기 200: 본체
210: 입수구 220: 출수구
230: 조작부 240: 액정 디스플레이부
300: 히터 310: 전원 선
400: 방열 부재 410: 방열 판
420: 방열 핀 421: 홀
500: 축열용 세라믹 볼 10: 공간
600: 보일러 700: 난방배관
710: 회수라인 800: 순환모터
900: 히트파이프

Claims (11)

  1. 보일러에 연결된 난방배관의 난방 수 회수라인 측에 연결되는 입수구, 상기 보일러 측에 난방배관에 연결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가 결합 되어 열이 전도되며, 복수의 방열 핀을 나란하게 다 층으로 형성하되, 상기 방열 핀에는 상기 입수구로 유입된 난방 수가 상기 출수구로 지그재그 흐름을 갖도록 홀을 서로 어긋나게 형성한 방열 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 충 입 되어 상기 히터와 방열부재의 열이 전도되어 난방 수의 가열효율을 높이는 축열용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히터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어 열이 전도되며, 각각의 양측에 상기 방열 핀이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방열 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핀은 상기 본체 양측 벽부 측 단부가 상향 되게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복수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난방 수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이 중지되어 난방 수의 순환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본체에는 상기 난방 수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용 세라믹 볼은 나란하게 형성된 상기 방열 핀 사이사이에도 모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조작을 위한 조작부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태양 광을 집광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을 통해 집광 된 태양열을 저장용 축전지가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에 모인 전력을 전원 선을 통해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광 전력과 일반 전력을 모두 사용하거나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내부를 흐르는 물을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를 구비하되,
    상기 히트파이프는 외부의 전원부에서 열원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20090048245A 2009-06-01 2009-06-01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100129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245A KR20100129599A (ko) 2009-06-01 2009-06-01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245A KR20100129599A (ko) 2009-06-01 2009-06-01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99A true KR20100129599A (ko) 2010-12-09

Family

ID=4350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245A KR20100129599A (ko) 2009-06-01 2009-06-01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5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51B1 (ko) * 2011-08-17 2013-10-28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20200014557A (ko) * 2018-08-01 2020-02-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잠열축열재를 이용한 태양열 집열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51B1 (ko) * 2011-08-17 2013-10-28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20200014557A (ko) * 2018-08-01 2020-02-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잠열축열재를 이용한 태양열 집열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2841A (ko) 태양열발전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 시스템
KR100758820B1 (ko) 지열과 태양열 및 보조열원을 사용하는 급탕 및냉난방시스템과 그 운전제어방법
JPWO2006038508A1 (ja) 太陽電池システムおよび熱電気複合型太陽電池システム
KR20170105257A (ko) 지열과 태양광 연계 제어를 통한 냉난방 온수 보일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400411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045005B1 (ko) 태양열 복합 난방장치
KR20100129599A (ko) 고효율의 저 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1480062B1 (ko) 태양열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개별 난방 및 급탕시스템
CN206771486U (zh) 一种固体蓄热式电锅炉
US20100330511A1 (en) Method and system of preheating
JP2005207651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暖房装置
JP6378959B2 (ja) 熱利用システム
KR10117737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1602755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난방용 하이브리드 전기보일러
KR102221672B1 (ko) 급탕용 전기보일러를 갖는 난방시스템
CN202734217U (zh) 节能热水箱
KR100802261B1 (ko) 태양열 난방 및 급탕용 축열조
KR200405040Y1 (ko) 보일러 및 열교환기의 성능향상을 위한 유체의 가온장치
KR101517941B1 (ko) 태양열 집열 장치
KR100701969B1 (ko) 열매체 보일러의 온수 공급장치
CN206207765U (zh) 一体式太阳能热水器
CN101413720A (zh) 太阳能、电能热源供暖、供热冷风装置
KR200364727Y1 (ko)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1814499B1 (ko) 냉온보일러
KR20180133689A (ko) 온수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