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785A -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785A
KR20100128785A KR1020090047393A KR20090047393A KR20100128785A KR 20100128785 A KR20100128785 A KR 20100128785A KR 1020090047393 A KR1020090047393 A KR 1020090047393A KR 20090047393 A KR20090047393 A KR 20090047393A KR 20100128785 A KR20100128785 A KR 2010012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composite
layer
fiber layers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246B1 (ko
Inventor
권윤정
김주안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4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reinforced with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막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섬유층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상기 섬유층들 중에서 상호 접하는 섬유층들의 섬유 다발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단복합체; 상기 원단복합체에 스티칭되어 상기 각 층을 결합시키는 결합사; 및 상기 원단복합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내구성과 인장강도를 발휘함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유연하고 경량화된 막재를 이용함으로써 막구조물의 설치시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한다는 효과가 있다.
막구조, 막구조물, 막재, 멤브레인, 다층 직물

Description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Multilyaer membra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다층 막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막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포츠시설, 문화시설 등의 건축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막형태의 재료로서 내구성, 내화학성 및 유연성 등을 가짐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막재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물이란 경량의 막재료를 구조재로 하여 투과빛을 통한 반 옥외적인 내부공간구성과 자유로운 조형이 가능한 건축구조물로서, 전천후형 스포츠시설, 문화시설등 폭 넓은 용도로 많은 시설물에 사용되고 있다.
막구조는 일반적으로 박람회 파빌리온 등의 가설건축물에 사용되어져 왔는데 막재료의 현저한 발전과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시공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영구건축물로서의 기능이 충족되었고, 스포츠시설이나 문화시설, 쇼핑센타등 다양한 시설물에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막구조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막구조는 재료의 경량성, 고강도성을 살린 우수한 경제성, 시공성으로 대규모의 공간을 실현할 수 있고, 밝고 온화한 분위기위 내부공간을 연출할 수 있으며, 곡면을 살린 독특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 디자인성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막구조물의 종류로는 골조막구조, 현수막구조, 공기막구조가 있다.
골조막구조는 골조(철골, Space Frame)위에 막을 형성하는 구조방식으로 막면(膜面)의 안정과 외력에 저항하기 위해 골조와 막의 연결부분에 초기장력을 주어 형성한다.
현수막구조는 막면에 직접 초기장력을 주는 구조방식으로 구조의 안정성은 이 초기장력에 의하여 주어지며 장력비에 의해 곡면이 결정되어 지는 것으로 이 구조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곡면은 일반적으로 안장형 곡면이다.
공기막구조는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에 의해 막면의 장력을 주는 구조방식으로 휨과 압축에 대한 강성이 없는 유연한 재료를 이용하여 내부와 외부로 공간을 분할한다. 내부공간에 공기를 불어넣게 되면 내부기압은 상승하게 되는데 내부의 공기는 막을 들어올려 팽창시킴으로써 막면에 인장력을 주어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막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막재료로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Silicone-coated fiberglass, Vinyl-coated polyesters, PVF(Polyvinyl 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이 있다.
PTFE는 유리섬유 양면에 에틸렌수지를 도포하고 불소수지를 코팅한 막재로서 방화성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기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불연성이 우수하고, Silicone-coated fiberglass는 유리섬유에 염화비닐을 코팅한 재질로 방화성이 좋 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Vinyl-coated polyesters는 합성섬유에 염화비닐을 코팅한 재질로 방염 2품이며 내굴곡성이 우수하며, PVF는 기초포의 양면에 PVC, PVA 및 RUBBER 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불소필름을 접착시킨 막재로서 오염도가 적고 필름을 접착시키므로서 표면이 균일하다. PVDF는 기초포의 양면에 PVC, PVA 및 RUBBER 등의 수지를 도포한 후 불소수지를 코팅한 막재로 인장력 및 파열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막재료들은 기초포를 이루는 원단에 유연성과 내구성이 부족하여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서는 설치상의 제약을 받게되고, 설치 후에도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유지보수에 막대한 인원과 경비가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막재료들은 가공이 어렵고 특별한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코팅 물질을 코팅할 경우 코팅 물질이 다량으로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편의 다축 콤포지트(composite) 직조방식을 이용하여 2축 내지 5축으로 이루어지며, 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원단에 내구성과 내화학성을 부여하여 고강도 및 경량의 특성을 가지는 건축용 막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섬유층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상기 섬유층들 중에서 상호 접하는 섬유층들의 섬유 다발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단복합체; 상기 원단복합체에 스티칭되어 상기 각 층을 결합시키는 결합사; 및 상기 원단복합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원단복합체는 5개 내지 7개의 상기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카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간에 이루는 방향의 각도는 2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원단복합체를 150 ~ 190℃에서 열처리 한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복합체는 에폭시 수지에 함침된 후 열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아크릴, PV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사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섬유층들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상기 섬유층들 중에서 상호 접하는 섬유층들의 섬유 다발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단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원단복합체에 결합사를 스티칭하여 상기 각 층을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합된 원단복합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결합된 원단복합체를 150 ~ 19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상기 원단복합체를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된 원단복합체를 열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아크릴, PV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함침, 나이프 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내구성과 인장강도를 발휘함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유연하고 경량화된 막재를 이용함으로써 막구조물의 설치시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막구조물 설치 후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막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결합사에 의해 원단복합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막재(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막재(100)는 원단복합체(110), 결합사(120) 및 코팅층(130)을 포함한다.
원단복합체(110)는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섬유층(111,112,113,114,115)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적층되는 각 섬유층들 중에서 서로 마주보며 접하는 섬유층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된다(각 섬유층의 방향은 해당 섬유층에 포함되는 섬유 다발의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제 2 섬유층(112)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제 2 섬유층(112)과 서로 접하는 제 1 섬유층(111)과 제 3 섬유층(113)은 제 2 섬유층(112)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지만, 제 1 섬유층(111)과 제 3 섬유층(113)은 동일한 방향을 가르키도록 할 수 있고, 제 1 섬유층(111)과 제 3 섬유층(113)도 서로 다른 방향을 가르키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단복합체(110)를 이루는 제 1 섬유층(111), 제 2 섬유층(112), 제 3 섬유층(113), 제 4 섬유층(114) 및 제 5 섬유층(115)은 서로 접하는 섬유층간에는 동일하지 않은 방향으로 하여 2개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각 섬유층이 모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최대 5개 방향까지 배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간에 이루는 방향의 각도는 20°내지 90°의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단복합체(110)에는 제 1 섬유층(111), 제 2 섬유 층(112), 제 3 섬유층(113), 제 4 섬유층(114) 및 제 5 섬유층(115) 중 어느 하나의 섬유층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되, 서로 접하게되는 섬유층과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제 6 섬유층(미도시)이 더 적층될 수 있으며, 제 6 섬유층을 포함하는 원단복합체(110)에 제 6 섬유층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되는 제 7 섬유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 섬유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거나, 임의의 순서로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막구조물의 시공시 사용되는 막재에는 축방향으로 접힘이나 크랙(crack) 발생하여 파손되기 쉬운데, 본 발명에서는 원단복합체(110)를 상술한 바와 같이 다축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막구조물 시공시 막재에 발생하는 접힘 또는 시공 후 풍압 등의 영향에 의해 일정한 축방향으로 막재가 접히게 되어 축방향으로 발생되는 주름, 크랙(crack) 및 찢김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과 유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복합체(110)는 5 개층 내지 7 개층으로 형성하고, 미리 정해진 5개 축 방향으로 각 층이 배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복합체(110)가 7개층을 초과하여 형성되면 강도나 내구성은 더 향상될 수 있으나, 유연성 저하와 함께 중량화되는 단점이 있고, 5 개층 미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5 축방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미리 정해진 5개 방향으로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 섬유층이 각각 배향되도록 하여 원단복합체(110)가 5개 축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막재의 수평방향으 로 가해지는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며, 막재의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휨에 대해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 섬유층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등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재질 이외에 다층 막재(100)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이 더 포함되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 상기 열거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원단복합체(110)에 의해 다층 막재(100)의 유연성, 내구성, 내화학성 및 경량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열거한 재질의 특성과 상기 재질로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층 막재(100)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리섬유는 용융한 유리를 섬유 모양으로 한 광물섬유로서 내화학성, 불연성, 방음성, 내구성을 제공하며 특히 다층 막재(100)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85% 이상의 아미드기(CO-NH)가 두 개의 방향족 고리에 직접 연결된 합성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섬유로써 크게 메타계와 파라계로 구별된다. 바람직하게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하여, 다층 막재(100)가 우수한 인장강도와 유연성, 내한성 및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는 인장강도 20 g/d 이상, 인장탄성률 500~1100 g/d 정도의 고강력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분해온도 400도 이상의 고내열성과 -160도에서도 섬유의 특성을 유지하는 우수한 내한성을 가지며, 이 외에도 치수 안정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소재이다.
탄소섬유는 탄소원소의 질량 함유율이 90% 이상으로 이루어진 섬유장의 탄소재료로, 다층 막재(100)에 내열성, 내화학성, 치수안정성, 유연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부여한다. 특히, 탄소섬유는 저밀도이기 때문에 다층 막재(100)를 경량화 할 수 있는 소재이다.
상기 열거한 재질을 이용하여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층을 형성하면,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경량인 다층 막재(100)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층되어 원단복합체(110)를 이루는 각각의 섬유층은 결합사(12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결합사(120)는 원단복합체(11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원단복합체(110)에 스티칭(stitching)됨으로써 각 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결합사(120)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에스테르는 우수한 형태안정성과 고강력을 가지면서 열에 의한 강력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특성이 있어서 후술하는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원단복합체(110)는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킨 후 열압축하여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층을 더욱 강하게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는 원단복합체(110)의 각 섬유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우수한 내구성과 내후성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에 원단복합체(110)를 함침시켜 에폭시 수지가 스며들게 한 후 열압축을 통해 경화시킴으로써 각 섬유층이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에폭시 수지는 경화 후에도 유연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원단복합체(110)의 표면에는 코팅층(130)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코팅층(130)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원단복합체(110)의 내부에까지 코팅액이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코팅층(130)은 자외선과 오염 등의 외부 환경 요인으로 부터 원단복합체(110)를 보호하거나,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서 다층 막재(1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코팅층(130)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및 PVC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로 코팅층(130)을 형성할 경우에는 내열성, 내화학성 및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불소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불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크릴은 내광성과 보온성이 좋고 가벼우며 열가소성이 있어 아크릴을 이용하여 코팅층(130)을 형성할 경우 내광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막재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이 있으므로 주름이 잘 잡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PVC를 이용하면 우수한 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코팅층(130)을 형성하는 물질은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코팅층(13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코팅층(130)은 원단복합체(110)를 코팅액에 함침시켜 형성하거나 스프레이, 나이프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코팅층(130)을 형성하기 전에 원단복합체(110)는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130) 형성을 위한 원단복합체(110)의 열처리는 150℃ 내지 190℃에서 행하여 지는데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원단복합체(110)를 제조할 때 거칠어진 원단복합체(110)의 표면이 평탄화되고, 섬유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코팅층(130)을 형성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막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다층 막재(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제 1 섬유층(111), 제 2 섬유층(112), 제 3 섬유층(113), 제 4 섬유층(114) 및 제 5 섬유층(115)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상기 각 섬유층들 중에서 상호 접하는 섬유층들의 섬유 다발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원단복합체(110)를 형성한다(S10). 그리고나서, 원단복합체(110)에 결합사(120)를 스티칭하여 상기 각 섬유층을 결합한다(S20). 이때, 원단복합체(110)를 구성하는 각 섬유층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후 열압축할 수 있음은 이미 전술하였다. 이 후, 원단복합체(110)를 150℃ 내지 19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원단복합체(110)의 표면을 평탄화 하고 섬유의 안정성을 부여한다(S30). S30 단계에서 열처리된 원단복합체(110)의 표면에는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및 PVC 등을 코팅하여 코팅층(130)을 형성한다(S4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막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결합사에 의해 원단복합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막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층 막재
110 : 원단복합체 120 : 결합사
130 : 코팅층

Claims (15)

  1.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섬유층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상기 섬유층들 중에서 상호 접하는 섬유층들의 섬유 다발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단복합체;
    상기 원단복합체에 스티칭되어 상기 각 층을 결합시키는 결합사; 및
    상기 원단복합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복합체는 5개 내지 7개의 상기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카본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섬유층들간에 이루는 방향의 각도는 2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원단복합체를 150 ~ 190℃에서 열처리 한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복합체는 에폭시 수지에 함침된 후 열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아크릴, PV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사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11. a)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복수의 섬유층들을 적층하여 형성하되, 상기 섬유층들 중에서 상호 접하는 섬유층들의 섬유 다발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단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원단복합체에 결합사를 스티칭하여 상기 각 층을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합된 원단복합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상기 결합된 원단복합체를 150 ~ 19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상기 원단복합체를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된 원단복합체를 열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아크릴, PV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함침, 나이프 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막재 제조 방법.
KR1020090047393A 2009-05-29 2009-05-29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1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93A KR101113246B1 (ko) 2009-05-29 2009-05-29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93A KR101113246B1 (ko) 2009-05-29 2009-05-29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85A true KR20100128785A (ko) 2010-12-08
KR101113246B1 KR101113246B1 (ko) 2012-02-20

Family

ID=4350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93A KR101113246B1 (ko) 2009-05-29 2009-05-29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5417A (en) * 1999-10-18 2006-07-31 Stork Screens Bv Thin-walled cylinder made from fibre-reinforced plastics material
WO2001063033A1 (fr) * 2000-02-28 2001-08-30 Toray Industries, Inc. Materiau support renforcateur pique de façon multiaxiale, fil plastique a fibre renforcee, et procede de preparation correspondant
KR100572173B1 (ko) * 2004-11-12 2006-04-18 한화폴리드리머 주식회사 방오성 및 내후성 향상용 천막지의 제조방법
JP2006224543A (ja) 2005-02-18 2006-08-31 Fukui Prefecture 繊維補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246B1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5188A5 (ko)
JP4278677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US8383231B2 (en) Sandwich panel
JP3207221U (ja) 炭素繊維プリプレグ材料の構造
JP2009000933A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101659591B1 (ko) 하이브리드 세라믹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세라믹 섬유강화 복합재료
Zheng et al. Biomimetic architectured Kevlar/polyimide composites with ultra-light, superior anti-compressive and flame-retardant properties
KR20180113260A (ko) 내구성과 시공 편의성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
JP2007146400A (ja) 建築物の外断熱壁構造
KR101836323B1 (ko) 선박 내장용 고강도 섬유 복합 강화형 하드코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3669295U (zh) 一种玄武岩纤维布增强环氧地坪
GangaRao et al. FRP composite structures: theory, fundamentals, and design
Houtman Materials used for architectural fabric structures
KR101113246B1 (ko) 다층 막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5151763A (ja) 膜パネル
Colasante Tensile structures: biaxial testing and constitutive modelling of coated fabrics at finite strains
JP2018199267A (ja) 難燃性ハニカムコアサンドイッチパネル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ハニカムコアサンドイッチパネル構造体
CN106012181A (zh) 一种蜂窝状孔洞组合的立体织物及其编制方法
KR100998210B1 (ko) 샌드위치 패널 접합 구조체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접합방법
US20210362460A1 (en) Vacuum insulation element for use as a pressure- and impact-resistant, self-supporting element
CN114311871A (zh) 可折型frp板及其制作方法
Ghorbanalavi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common building polymeric materials for building envelope
WO2010022547A1 (zh) 一种纸基复合材料
JP2021041579A (ja) 積層体
JPH04622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