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730A -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730A
KR20100128730A KR1020090047312A KR20090047312A KR20100128730A KR 20100128730 A KR20100128730 A KR 20100128730A KR 1020090047312 A KR1020090047312 A KR 1020090047312A KR 20090047312 A KR20090047312 A KR 20090047312A KR 20100128730 A KR20100128730 A KR 20100128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inter
paralle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icroproces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류철규
Original Assignee
김종철
류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류철규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09004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730A/ko
Publication of KR2010012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하나의 이용예에 따르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매장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 프린터 사이에 삽입 연결되어, 그 컴퓨팅 장치가 프린터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 그 안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포함되어 있으면 이벤트에 관련된 내용을 부가하여 프린터로 제공한다. 그 이벤트 관련 내용은 직접 생성하거나 원격지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는다.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그 영수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프린터에 원래 그대로의 영수증 데이터를 전달한다. 다른 이용예로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매장의 프린터에 연결됨과 동시에 배달주문을 중개하는 원격지의 서버 시스템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버 시스템에 프린터의 상태정보를 보고하고, 서버 시스템이 제공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린터에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한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 매장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for a Printer}
본 발명은 서버 시스템에서 원격지에 있는 가게, 식당, 판매장 등(이하, '매장'이라 함)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린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내의 프린터와 같은 위치에서 그에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내용을 그 프린터에 프린트되도록 하고 그 프린터의 상태를 감시하며, 또한 그 매장내의 POS 장치, 금전계산기, 금전계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등(이하, '매장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라 함) 에도 연결되어 그 금전계산기가 같은 매장 내의 프린터로 출력하는 인쇄 데이터를 중간에서 캡쳐하여 로컬에서 어떤 판단을 하거나 그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그 서버 시스템이 프린터 제어와 관련하여 제공하는 명령들을 수행하는 등, 프린터에 관련된 다양한 제어기능을 갖는 프린터 제어 장치와 그에 관련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제조사와 카드사의 요구와 기존의 POS 시스템의 한계
대형 매장이나 중소형 매장을 통해 판매되는 소비재 상품들의 제조자나 판 매자는 자신의 상품들의 판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알기를 원한다. 각 상품의 지역별, 매장별, 기간별 판매량에 관한 정보나, 구매 연령층 등에 관한 정보로부터 그 제품에 대한 개선책을 찾아내거나 프로모션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쟁사보다 판매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제조사 등은 차별화된 판매전략(예: 가격 할인 이벤트, 경품 증정 이벤트, 포인트(마일리지) 적립 이벤트 등)을 수행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그러한 판매 전략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러한 요구들은 신용카드사들에 대해서도 공통되는 것이다.
기존에는 이러한 요구를 맞추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기존에는 위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이하,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이라 함)을 작성하여 매장의 각 계산대에 있는 POS 계산장치에 설치하여 이용하였다. 원하는 정보는 POS 계산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POS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므로,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에는 그 POS용 프로그램과 연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각 사업체별로 POS용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르므로,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은 POS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현장에서 설치를 위한 맞춤 작업을 더 할 필요가 있었다.
2. 매장에 대한 원격 출력 제어 기능에 관련된 요구
한편, 식당이나 피자가게 혹은 치킨가게, 또는 쌀가게나 반찬가게 등과 같은 다양한 가게들은 매장을 직접 방문한 사람을 상대로 한 판매 외에, 지역 주민들에 대해서는 주문을 받아 상품을 배달하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주문 접수는 주로 가게의 주인이 직접 전화로 받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인터넷이나 콜센터를 통해 배달 주문을 대행해주는 서비스도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배달 주문 대행 서비스는 고객의 주문을 해당 가맹점 가게의 컴퓨터로 전달해주는 방식으로 주문 중개를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콜센터를 이용한 배달 주문 대행 서비스는 고객의 주문을 전화로 받아서 그것을 해당 가맹점 가게의 컴퓨터나 전화로 전달해주는 방식이다. 이들 방식은 각 가맹점이 컴퓨터를 갖추어야 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컴퓨터 화면으로의 주문 전달방식은 그 주문이 가게의 주인에게 제때에 확실하게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보장하지 못하고, 전화를 통한 음성 전달방식은 정보전달의 부정확이 생길 수 있다.
POS 계산장치에 새로운 기능 예를 들어 제조사나 판매사 또는 카드사가 진행하고자 하는 새로운 이벤트의 수행 기능이나, 상품 판매 내역 파악 기능, 기타 신규 신용카드의 인증/결제 처리기능이나 회원인증 기능 등을 새로 추가하려면 그 때마다 해당 POS 계산장치에 관련 프로그램을 일일이 새로 설치하거나 수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이벤트 처리를 위해 그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을 POS 계산장치에 새로 설치해야 하는 것은 대단히 비효율적이다.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은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나 구매자에 관한 정보 등을 POS 계산장치에 기 설치된 POS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소프트웨어적으로 전달받아야 하므로 그 POS용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POS용 프로그램의 수정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도 POS용 프로그램에 맞추어 수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번의 설치로 끝나면 그나마 다행이겠지만, 실제는 그렇지 못하다. 제품별, 제조사별, 판매사별, 카드사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하는 정보나 수행하고자 하는 이벤트가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다양하게 변화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원하는 정보의 내용이나 이벤트의 내용이 바뀔 때마다 기 설치된 이벤트 수행용 프로그램 및/또는 POS용 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일들은 대단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POS 계산장치의 수정 내지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구매자들에 대한 원하는 이벤트 수행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또한, 신용카드사의 입장에서는 매장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되는 자사의 신용카드와 관련하여 해당 매장으로부터 고객별 총 구매금액 정보만을 제공받을 뿐, 각 고객이 어떤 상품을 얼마의 금액만큼 구매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지는 못한다. 하지만 신용카드사는 고객별 구매상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를 원한다. 그러한 부가 정보가 있으면 각 고객의 구매성향을 분석하여 고객별 타겟 프로모션을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부가 정보를 더 제공받으려면 매장의 POS 계산장치에 원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기존의 POS 프로그램과 연동시키는 작업을 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고객별 구매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존의 POS 계산장치의 실질적인 변경을 하지 않고서도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기존 방식의 비효율성은 이벤트 수행이나 고객별 구매상품 정보의 획득 등을 위한 부가적인 프로그램이 기존의 POS용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돌아가도록 구성된 것에서 비롯된다는 점이었다. 그러므로 그러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방안은 상품 판매 정보의 수집과 이벤트 처리를 위한 수단은 기존의 POS 장치에 전혀 변화를 주지 않고 특히 기존의 POS 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는 형태로 부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POS 장치와 그의 부속 프린터의 연결 경로 상에 추가되어 기존의 POS 프로그램에 어떤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POS 장치가 프린터로 내보내는 인쇄 출력 데이터를 가로채어 구문 분석을 통해 구매상품에 관한 정보 및/또는 결제용 신용카드의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서버 시스템에 전달하며, 그 서버 시스템이 로컬 매장의 프린터 제어와 관련하여 지시하는 명령을 받아서 수행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상품이나 결제 카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벤트 대상인 상품이나 카드에 대해서는 진행 중인 이벤트의 안내 메시지 및/또는 이벤트 수행 결과의 통지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인쇄 출력 데이터에 부가하여 프린터로 제공함으로써, 영수증에 구매상품의 계산내역 외에 이벤트에 관련된 메시지가 더 인쇄되도록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배달 주문 대행 서비스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접수한 주문을 가맹점 가게에 적시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것을 보장해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들 중의 하나는 주문을 가맹점 가게의 프린터를 통해 인쇄해주 는 방법일 것이다. 그런데 서버가 원격지 매장의 프린터로 단순히 프린트 명령을 내리는 것만으로는 위와 같은 배달 주문 서비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주문이 적시에 정확하게 가게 주인에게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보장해주기 위해서는 가게가 영업 중인지 그리고 가게 있는 프린터가 정상 상태에 있는지 등을 서버 측에서 알 수 있어야 한다. 주문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서버 측에서 알 수 있어야 주문 전달의 실패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각 가맹점 가게의 프린터에 연결되어 서버 시스템과 그 프린터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주고 각 가맹점 가게의 프린터의 상태 및 가맹점 가게가 영업 중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서버 시스템에 알려주고, 서버 시스템이 지시하는 내용을 해당 가게의 프린터에서 프린트되도록 지원하여, 주문이 가맹점 가게에 항상 적시에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해줄 수 있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연산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의 로직에 따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프린터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병 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다른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그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2 병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의 병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상기 프린터 장치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1 병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병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제2 직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상기 프린터 장치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제1 직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은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상기 프린터 장치로 출력한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서 그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접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게 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영수증 데이터를 원래 그대로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내용을 생성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 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시스템과의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통신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은 IEEE 1284 표준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외부의 상기 프린터 장치와의 사이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IEEE 1284 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은 데이터를 직렬형과 병렬형 간의 번역(변환)을 담당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엔진이 탑재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프린터 장치와의 사이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의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하는 UART 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 되는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가 정상 작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 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제어를 받아 어떤 상태나 이벤트 발생을 소리로 알려주는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연산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의 로직에 따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프린터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시스템과의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1 병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병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제1 직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시스템이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상기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프린터 장치가 보내주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다른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 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통신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 프린터 사이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과,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병렬 데이터변환을 통해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병렬 데이터변환을 통해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구비하는 시스템 환경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그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은,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프린터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 신하는 제1단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접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게 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달받는 제2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영수증 데이터를 원래 그대로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내용을 생성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이 제공해준 이벤트 관련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대상 상품명이나 카드명을 추출하여 이벤트 상품명/카드명 리스트에 추가해두고, 그 이벤트 상품명/카드명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대한 문자열 분석을 수행하여 그 영수증 데이터 내에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의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전달하여 분석을 지시한 경우, 소정의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받지 못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프 린터 장치에 그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직접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직접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영수증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 관련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프린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직접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프린터에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과,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병렬 데이터변환을 통해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시스템과의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환경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 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은 상기 프린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 시스템이 상기 프린터로 출력하는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상기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제어장치는 매장의 POS용 컴퓨터 장치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 프린터 사이에 결합되어, 매장에서 각 고객의 상품구매와 관련된 구매상품 정보와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러한 획득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를 기존의 POS 장치 등에 적용하여 위와 같은 정보 획득과 이벤트 수행을 함에 있어서, 그 POS 장치의 기존 프로그램의 수정을 전혀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에 매우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시행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바뀌거나 새로운 이벤트를 시행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로컬의 각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로 가서 어떤 프로그램을 수정할 필요는 없고, 서버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해당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에 접근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갱신을 위한 다운로드를 통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또한, POS용 컴퓨터 장치 등이 프린터로 내보내는 영수증 데이터에 이벤트와 관련된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그 영수증 데이터를 그대 로 프린터로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POS 시스템의 영수증 출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배달 주문 중개 서비스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원격지의 각 가게나 식당 등의 프린터에 대한 제어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프린터의 상태를 그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 장치에 보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에 의해, 서버 장치는 정상 동작이 가능한 프린터에 대해서만 배달 주문을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프린터에 대해서는 가게 주인으로 하여금 고장 수리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통지할 수 있고, 주문자에게는 다른 가게로 주문 변경을 할 것으로 유도 하는 등이 조치를 취할 수 있어서, 주문의 오전달로 인한 고객 불만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가게 등이 주문을 정상 접수할 수 있는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구성은 응용예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MPU(20)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MPU(20)는 연산과 제어를 담당하는 CPU(22)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고유번호나 기타 전원의 온/오프 여부에 상관없이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24) 및/또는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CPU(22)의 연산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램(RAM)과 같은 메모리(2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부는 MPU(20)를 외부 장치인 프린터(80)와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제1 인터페이스부(30-1)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30-1)는 MPU(20)와 외부 장치인 프린터(80) 간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병렬통신형 프린터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의 대표적인 예로는 IEEE 1284 인터페이스부(38)를 들 수 있다. IEEE 1284 인터페이스부(38)는 IEEE 1284 표준에 따라 MPU(20)와 프린터(80) 간의 양방향 병렬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MPU(20)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IEEE 1284 칩과, 이 IEEE 1284 칩에 연결되며 양방향 병렬통신 케이블에 대한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IEEE 1284 표준은 잘 알려져 있듯이 개인용 컴퓨터의 양방향 병렬 보조 인터페이스를 위한 표준 신호처리 방법에 관한 표준이다. 양방향 병렬통신 케이블(78)과 커넥터는 IEEE 1284 표준 명세(specification)를 따르는 것이어야 한다. 그 IEEE 1284 표준 명세는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병렬통신 케이블(78)을 이용하여 IEEE 1284 인터페이스부(38)의 커넥터와 프린터(80)의 병렬 포트의 커넥터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MPU(20)는 프린터(80) 내의 MPU(비도시)와 양방향 병렬 통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MPU(20)는 인쇄할 영수증 데이터와 함께 인쇄 명령을 프린터(80)로 전송하여 원하는 내용의 영수증이 인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린터(80)는 자신의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고장 발생 여부, 종이부족 여부, 잉크 또는 토너 부족 여부 등과 같은 인쇄 가능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를 MPU(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30-1)는 또한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병렬-직렬 변환 및 직렬-병렬 변환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34)를 들 수 있다. 이 UART부(34)는 데이터를 직렬형과 병렬형 간의 번역(변환)을 담당하는 수단으로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에 연결되는 직렬장치들로 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들어 있으며 MPU(20)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UART 마이크로칩(비도시)과, 그 UART 마이크로칩에 연결되며 양방향 직렬통신 케이블(74)에 대한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커넥터(비도시)를 포함한다. UART부(34)의 커넥터와 외부 장치인 프린터(80)의 직렬포트를 RS232 케이블과 같은 양방향 직렬통신 케이블(74)로 연결하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MPU(20)와 프린터(80)의 MPU(비도시) 간에 양방향 직렬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한 통신을 통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프린터(8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프린터(80)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그 사항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UART부에 관한 기술적인 표준이나 구성에 관한 사항은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제1 인터페이스부(30-1)가 프린터(80)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프린터(80)에 대한 인쇄 명령을 내리는 다른 외부 장치 즉, 매장에 설치 된 POS용 컴퓨터나 금전계산기능을 갖는 PC 등과 같은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인터페이스도 필요하다. 즉,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인터페이스부는 제2 인터페이스부(30-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인터페이스부(30-2)도 제1 인터페이스부(30-1)와 마찬가지로 MPU(20)와 외부 장치인 프린터(80) 간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로서 IEEE 1284 인터페이스부(36)를 포함한다. 또한,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로서 UART부(32)를 포함한다. IEEE 1284 인터페이스부(36)와 UART부(32) 역시 MPU(20)의 소정의 입출력포트들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인터페이스부(30-2)의 UART부(32)와 IEEE 1284 인터페이스부(36)는 제1 인터페이스부(30-1)의 그것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또한 직렬통신 케이블(72)과 병렬통신 케이블(76)을 각각 이용하여 매장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의 직렬통신 포트의 커넥터(비도시)와 병렬통신 포트의 커넥터(비도시)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의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MPU(20)는 매장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의 CPU(비도시)와 직렬통신 또는 병렬통신이 가능하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또 다른 통신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통신포트는 직렬포트와 병렬포트 중 어느 것이나 상관없다. 그 통신포트를 통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MPU(20)에서 돌아가는 MPU 구동프로그램(후술함)이 예컨대 매장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에 설치되어 돌아가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 후술함)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1은 직렬포트의 일예인 USB 가상 COM 포트(40)를 그 통신포트로서 채용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가상 COM 포트(40)를 USB 케이블(79)을 통해 외부의 다른 장치 즉, 매장의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의 USB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MPU(20)는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와 직렬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COM 포트나 USB 포트와 같은 다른 종류의 직렬 통신포트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동작상태표시부(42)와 부저(44)와 같은 출력수단과 재인쇄 버튼(46)과 같은 사용자 입력버튼 등도 포함한다. 동작상태표시부(42)는 CPU(22)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 되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와 프린터(80) 간의 접속 여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와 매장 계산장치(70) 간의 접속 여부, 그리고 전원의 온/오프 상태 등을 표시한다. 부저(44)는 CPU(22)의 제어를 받아 어떤 상태나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 소리로 출력한다. 재인쇄버튼(46)은 CPU(22)로 하여금 프린터(80)로 직전의 인쇄 명령을 다시 보내도록 지시하는 버튼이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서버 시스템(100)과의 원격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통신모듈(50)도 MPU(20)에 연결되어, MPU(20)가 인터넷(90)을 통해 서버 시스템(100)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신모듈(50)은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IP 프로 토콜에 따른 통신을 지원하는 TCP/IP 모듈(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인터넷(90)에 연결되어 원격지의 서버 시스템(100)과 TCP/IP 통신을 할 수 있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로 하여금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제어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기능은 이 장치의 응용예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프린터를 제어하여 그 프린터를 통해 원격지 또는 로컬에서 원하는 내용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이 중심 기능이다. 그 밖에 i) 매장 내 POS 컴퓨터나 다른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그에 연결된 프린터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 가로채어 그 내용을 분석하여 수행 중인 이벤트 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을 부가하여 프린터로 제공하고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원래의 영수증 데이터를 그대로 프린터에 전달하는 기능, ii) 가로챈 영수증 데이터, 분석된 이벤트 관련 데이터 등을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하고 그 서버 시스템(100)이 지시하는 명령을 받아서 실행하는 기능, iii) 서버 시스템(100)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을 받아서 프린터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기능, iv) 프린터의 상태 정보, 매장의 영업중 여부에 관한 정보, 통신라인의 정보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서버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기능 등이다.
이러한 제 기능들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각 기능을 구현한 프로그램 모듈은 전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나 또는 매장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70)에 설치하거가, 또는 이들 두 장치(10, 70)에 적절히 분산시켜 설치한다. 또 다른 방 안으로는 서버 시스템(100)에도 부분적으로 분산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이용하는 예를 다양하다. 도 2에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프린터 출력제어 수단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예들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이용예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가 예를 들어 POS 컴퓨터(70a)와 프린터(80)를 갖춘 매장에 설치되어 POS 컴퓨터(70a)가 그 프린터(80)로 내보내는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서 이벤트 관련 처리를 수행하는 응용예이고, 도 3은 이러한 응용예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예컨대 이마트와 같은 대형 할인매장 또는 중소형 매장의 계산대에 설치된 POS 컴퓨터와 프린터 사이에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가 설치되는 경우가 제1 실시예의 대표적이 예가 될 수 있다. 즉, 제1 응용예에서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가 매장의 POS 컴퓨터(70a)의 출력포트와 프린터(80)의 입력포트 사이에 삽입 연결된다. 연결 방식이 직렬방식이면, RS232 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UART부(32, 34)를 통해 POS 컴퓨터(70a)와 프린터(80)에 각각 연결한다. 병렬 연결방식이면, LPT 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IEEE 1284부(36, 38)를 통해 POS 컴퓨터(70a)와 프린터(80)에 각각 연결한다. 또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가상 COM-포트(40)와 POS 컴퓨터(70a)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79)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제1 응용예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구동제어 프로그램의 핵심기능을 모아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으로서 매장의 POS 컴퓨터(70a)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설치하는 점이다. 이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서버시스템(100)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 된다. 즉,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가 요청 내지 지시하는 과제를 처리하고 필요 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대신하여 서버 시스템(100)에 대한 보고, 데이터 전달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 한편으로는 서버 시스템(100)이 요청하거나 지시하는 과제를 처리하고 그를 대신하여 프린터(80)를 제어하는 등의 대리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POS 컴퓨터(70a)에서 백도어 프로그램 형태로 실행된다.
이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예컨대 CD나 USB 등과 같은 데이터 저장수단에 담아서 프로그램 설치 작업자가 로컬에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설치할 때 함께 POS 컴퓨터(70a)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POS 컴퓨터(70a) 사용자 또는 POS 컴퓨터(70a)들을 운용하는 POS 시스템 관리자가 인터넷(90)을 통해 서버 시스템(100)에 접근하여 다운로드 받아 각 POS 컴퓨터(70a)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POS 컴퓨터(70a)에서 운영되는 기존의 POS용 프로그램들과 연관되지 않고 독자적인 루틴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의 설치를 위해 기존의 POS용 프로그램들을 수정하는 등의 부대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또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ROM(24)이나 불휘발성 메모리에는 도 3과 같이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과 협력하여 여러 가지 기본적인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적인 작업들(예를 들어, POS 컴퓨터(70a)가 프린터(80)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 가상 COM-포트(40)를 통해 POS 컴퓨터(70a)의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으로 제공하는 기능과, 그 제어 에이전트 프 로그램(60)의 요청에 대한 응답 수행이나 그의 명령을 받아서 수행하는 기능(예: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이 제공해주는 이벤트 관련 추가 내용을 원래의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하여 프린터(80)에 제공하는 기능), 프린터(80) 등의 상태 보고 등과 같은 일들, 기타 MPU(20)가 적절한 동작과 제어)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MPU 구동 프로그램들이 내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는 POS 컴퓨터(70a)가 프린터(80)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 그 안에 이벤트에 관련된 사항이 포함되었는지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처리를 한다. 이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매장의 프린터(80)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를 거쳐 POS 컴퓨터(70a)를 통해 서버 시스템(1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린터(80)의 상태정보(예: 전원의 온/오프 여부, 종이 부족 여부/ 여러 가지 고장 발생 여부 등)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와 POS 컴퓨터(70a)를 거쳐 서버 시스템(100)까지 보고될 수 있다.
고객에 매장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POS 컴퓨터(80a)가 마련된 계산대에서 계산을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예컨대 바코더 리더기, 전자태그 리더기, 또는 QR코드 리더기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각 구매상품의 식별정보를 읽으면 POS 컴퓨터(70a)에는 그 구매상품들에 관한 결제정보가 만들어진다. 또한 고객이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결제용 카드정보도 획득된다. 결제정보는 예컨대 각 구매상품의 상품명, 단가, 수량, 금액 정보 등과, 전체 구매상품의 물품가액 정보, 결제용 카드정보, 기타 할인 내역 정보나 마일리지 포인트 정보 등이 포함된다.
POS 컴퓨터(70a)는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하여 그 구매상품의 결제정보를 이용한 영수증 데이터를 프린터(80)로 출력한다(S20 단계). 그런데 POS 컴퓨터(70a)와 프린터(80)의 연결 경로 사이에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가 위치하므로 그 영수증 데이터는 프린터(80)에 바로 전달되지 않고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MPU(20)에 먼저 전달된다(S22 단계). 마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가 영수증 데이터를 가로채기 한 것처럼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MPU(20)는 가로챈 그 영수증 데이터를 가상 COM-포트(40)를 통해 POS 컴퓨터(70a)의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으로 전달한다(S24 단계).
한편,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시행 예정인 이벤트에 관련된 문자 정보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하이트맥주에 관해 이벤트가 2009.06.01부터 1달간 구매 하이트맥주 구매 고객에게 구매가격의 10%를 할인해주는 할인 이벤트를 시행하는 경우, 서버 시스템(100)은 그 이벤트와 관련하여 이벤트 대상 상품명(예: 하이트맥주), 이벤트 시행기간(예: 2009.06.01~2009.06.30), 이벤트 내용(예: 상품가격의 10% 할인) 등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만들어서 그 이벤트 시행일 이전에 미리 각 매장의 POS 컴퓨터(70a)의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에 전달해둔다(S15 단계). 특정 상품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사가 자사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고객에 대한 할인 이벤트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그런 이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벤트 대상 카드명, 이벤트 시행기간, 이벤트 내용 등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만들어서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에 미리 전달해둔다.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서버 시스템(100)이 제공해준 이벤트 관련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대상 상품명이나 카드명을 추출하여 이벤트 상품명/카드명 리스트에 추가해둔다. 그리고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가 영수증 데이터를 보내올 때마다, 그 이벤트 상품명/카드명 리스트를 참조하여 그 영수증 데이터에 대한 문자열 분석을 수행하여 그 영수증 데이터 내에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의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S26 단계).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이러한 분석 결과, 영수증 데이터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이나 카드명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그 사실을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MPU 구동프로그램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MPU(20)는 S22 단계에서 POS 컴퓨터(70a)로부터 가로챈 영수증 데이터를 원래 상태 그대로 프린터(80)로 전달하고(S28 단계), 프린터(80)는 그 영수증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S30). 만약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이 소정의 설정 시간(예: 2초) 내에 MPU(20)로 어떤 응답을 해주지 않는 경우에, MPU 구동프로그램은 POS 컴퓨터(70a)로부터 수신한 그 영수증 데이터를 프린터(80)에 그대로 출력한다.
S26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 영수증 데이터에 이벤트 관련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내용을 처리하게 된다. 우선, 해당 이벤트에 관한 처리를 위해 서버시스템(100)에 보고를 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단계).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서 그 이벤트에 관해 처리 기준을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서버 시스템(100)에 실시간으로 전달한다(S34 단계). 반면에 서버 시스템(100)이 특정 이벤트의 처리 기준을 미리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에게 미리 알려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서버 시스템(100)에 실시간으로 보고하는 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마케팅 정보를 수집하는 차원에서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이벤트 대상 상품명이나 카드명을 포함하는 영수증 데이터들을 자체적으로 보관하여두었다가 한꺼번에 정기적으로 또는 서버 시스템(100)의 요청에 응하여 한꺼번에 서버 시스템(10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으로부터 이벤트 관련 영수증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 시스템(100)은 그 데이터를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36 단계),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처리 명령 및/또는 필요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에 제공한다(S38 단계).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이벤트 처리 명령 등이나 또는 미리 가지고 있었던 이벤트 처리 기준에 의거하여 이벤트 관련 내용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하이트맥주의 할인 행사가 진행 중이고 고객이 하이트맥주를 구매한 경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고객이 구입한 하이트맥주의 판매 금액에 대하여 10%를 할인해주는 할인액을 산출하고, 그 할인이 이벤트에 의해 적용됨을 고객에게 알려주는 내용의 이벤트 관련 추가 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에 제공한 다(S42 단계).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는 그 이벤트 관련 추가 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원래의 영수증 데이터에 덧붙여서 프린터(80)로 제공한다(S44 단계). 그러면 프린터(80)에서는 이벤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영수증이 인쇄된다(S46 단계). 도 6은 이러한 하이트맥주에 대한 할인 이벤트(하이트맥주 제조사와 비자카드사의 공동 할인 이벤트)에 따른 영수증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된 것처럼, POS 컴퓨터(70a)가 프린터(80)로 보낸 원래의 영수증 데이터 아래에 하이트맥주의 할인 이벤트에 관한 안내메시지와 할인 내역이 더 인쇄된다.
그리고 프린터(80)가 POS 컴퓨터(70a)로 보내는 S30 단계 또는 S46 단계에서의 영수증 인쇄의 성공 여부에 관한 보고메시지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를 거쳐 POS 컴퓨터(70a)에서 실행중인 POS 관련 프로그램에 전달되고, 동시에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는 그것을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에도 전달한다. 필요시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서버 시스템(100)에까지 그 메시지를 전달한다(S48 단계).
이처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의 제1 이용예는 하드웨어적으로는 POS 컴퓨터(70a)와 프린터(80)의 데이터 전달 경로 사이에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를 삽입 설치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와 POS 컴퓨터(70a)에 MPU 구동프로그램과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각각 설치하여 실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을 POS 컴퓨터(70a)에 설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의 실행 부담을 POS 컴퓨터(70a)의 CPU와 메모리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70a)의 MPU(20)를 낮은 성능을 것을 채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을 실행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을 가진 MPU(20)를 채용하려면, 단가가 올라가는 부담이 생긴다. 이러한 부담이 별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은 POS 컴퓨터(70a)가 아닌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a)에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의 제2 이용예가 바로 이러한 경우에 해당되는 것인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을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에 설치하고,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와 서버 시스템(100) 간의 통신도 POS 컴퓨터(70b)를 통하지 않고 직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 모듈(50)도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에 설치한다.
도 2에서 서버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 예컨대 메인서버(110)와 보조서버(120, 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서버(100)는 인터넷(90)에 연결되어 매장의 POS 컴퓨터(70a, 70b)나 원격 프린터 제어장치(10c, 10d)와 인터넷통신을 할 수 있다. 서버(110, 120, 130)에는 WAP서버(122)가 더 연결 될 수도 있다.
도 4는 제2 이용예에 따른 수행 절차의 흐름을 도시한다. 제2 이용예는 제1 이용예와 비교할 때, POS 컴퓨터에서 실행된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의 기능이 전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로 옮겨왔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쳐된 영수증 데이터에 이벤트 대상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64단계), 이벤트 대상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영수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영수증 데이터를 서버 시스템(100)에 전달하는 단 계(S72), 그리고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이벤트관련 명령 및/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관련 추가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S78)는 POS 컴퓨터 (70b)가 아니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에서 수행된다는 점은 제1 이용예와 다르다.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60)과 통신모듈(50)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와 서버 시스템(100) 간의 통신은 직접 이루어진다(S72 단계, S76 단계). 그 밖의 점들은 제1 이용예와 거의 동일하다. 즉, 프린터 상태 보고(S50), 구매상품에 대한 영수증 데이터의 출력(S60)과 영수증 데이터를 MPU(20)가 캡쳐하는 단계(S62),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가 이벤트 관련 추가 내용을 POS 컴퓨터(70b)가 프린터(80)로 출력한 원래의 영수증 데이터에 추가하여 프린터(80)로 제공하는 단계(S80 단계), 그리고 프린터(80)에서 영수증을 인쇄하는 단계(S68, S82 단계)와 영수증 인쇄의 성공 여부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b)를 통해 POS 컴퓨터(70b)와 서버 시스템(100)으로 보고하는 단계(S84 단계)는 제1 이용예에서의 대응되는 단계들과 내용적으로 동일하다.
제1 및 제2 이용예에서, 영수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이벤트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특정 상품에 대한 이벤트뿐만 아니라, 고객이 결제수단으로 제시하는 신용카드에 대해서도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품 제조사와 신용카드사의 공동 이벤트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벤트의 내용도 위에서 설명한 현금 할인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내용의 이벤트(예를 들어 마일리지 적립, 포인트 상당 금액의 대리 기부, 경품 추첨 이벤트에 대한 응모번호 제공 이벤트 등)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한 배달 주문을 해당 가맹점 매장의 프린터(80)로 전달하여 주문서가 인쇄되도록 하는 형태의 배달 주문 중개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의 제3 이용예와 제4 이용예가 그렇게 이용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보여준다. 서버 시스템(100)은 그러한 배달 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이다. 제3 이용예는 가맹점 매장 C가 주문을 컴퓨터(70c)와 그에 연결된 프린터(80)를 갖추고 있는 경우 그 기존의 프린터(80)를 활용하는 형태로 적용되는 예이고, 제4 이용예는 가맹점 매장 D가 컴퓨터나 프린터를 갖추고 있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d)와 그에 연결된 프린터(80)를 패키지로 공급하여 설치된 매장 환경에서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어느 경우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10d)는 인터넷(90)을 통해 서버 시스템(100)과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모듈(50)을 마련하고 있다.
제3 이용예에 있어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는 제1 UART부(32) 또는 제1 IEEE 1284부(36)를 통해 매장 C의 컴퓨터(70c)의 출력포트와 연결되고 제2 UART부(34)또는 제2 IEEE1284부(38)를 통해 매장 C의 프린터(80)와 연결된다. 또한 통신모듈(50)을 통해 인터넷(90)에 연결된다. 제4 이용예에 있어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d)는 제2 UART부(34)또는 제2 IEEE1284부(38)를 통해 매장 D의 프린터(80)와 연결되고, 통신모듈(50)을 통해 인터넷(90)에 연결된다.
도 5는 제3 이용예 또는 제4 이용예에 따른 수행 절차의 흐름을 도시한다. 서버 시스템(100)은 각 가맹점 매장에 설치된 프린터(80)가 정상적으로 프린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있 다. 주문이 들어온 매장의 프린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상태이면, 정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어떤 조치를 취하든지 아니면 주문 전달이 불가하기 때문에 다른 매장에 대하여 주문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주문자에게 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프린터(80)는 이상 발생 시(예: 종이 부족, 토너 부족, 종이 걸림, 전원 오프 등) 그러한 상태정보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로 보고한다(S100 단계). 그러므로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는 프린터(80)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서버 시스템(100)은 회원으로부터 원하는 상품의 배달 주문이 접수되면(S102 단계), 우선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에게 전달할 주문이 프린터(80)를 통해 정상적으로 인쇄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먼저 확인 요청을 한다(S104 단계).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는 그 요청에 대하여 그 때까지 파악하고 있는 해당 프린터(80)의 상태를 회신해준다(S106 단계).
프린터(80)가 정상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시스템(100)은 주문 데이터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로 송신한다(S108 단계). 주문 데이터는 예컨대 상품명, 수량, 주문자 주소 및 연락처, 기타 주문과 관련된 희망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 주문 데이터는 인터넷(90)을 통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에 전달된다.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의 MPU(20)는 통신모듈(50)을 통해 그 배달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배달 주문 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도록 프린터(80)에 대하여 그 배달 주문 데이터의 인쇄 명령을 내린다(S110 단계). 그에 응 해 프린터(80)는 주문서를 인쇄하고(S112) 인쇄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로 보고한다(S114 단계).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는 그 보고를 서버 시스템(100)에게 전달한다.
제3 이용예에 있어서, 매장의 컴퓨터(70c)가 프린터(80)에 대하여 주문서나 기타 다른 어떤 문서의 출력을 지시할 수도 있다(S116 단계). 그 경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는 컴퓨터(70c)가 내리는 인쇄 명령을 받아서 프린터(80)로 그대로 전달한다(S118 단계). 프린터(80)는 그 인쇄 명령에 따라 인쇄 작업을 처리한다(S120 단계). 그리고 인쇄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컴퓨터(70c)로 보고한다. 그 보고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로 먼저 전달되고,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c 또는 10d)는 그 보고를 컴퓨터(70c)로 전달한다(S122 단계).
본 발명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이용예는 기존의 POS 시스템을 변경할 필요 없이 그것에 적용되어 여러 가지 다양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형 할인 매장과 같은 곳에 있는 기존의 POS 계산장치와 프린터 사이에 부가되어, 기존의 POS 계산장치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고객이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그러한 정보 획득 기능을 활용하여 상품의 제조사나 수입판매원 또는 신용카드사 등이 자사의 상품이나 카드 등과 관련하여 원하는 이벤트를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그러한 이벤트 수행을 위해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POS 계산장치와 프 린터에 각각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기존의 POS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다.
다른 이용예는, 배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나 식당들과 그러한 식당 등에 대해 배달 주문을 하고자 하는 지역의 주민들을 연결해주는 배달 주문 중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식당 등의 프린터에 연결하고 한편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그 배달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서버 시스템이 전달해주는 배달 주문을 해당 매장의 프린터에 적절하게 인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는 두 장치 사이에 연결하여 그 장치들 사이에서 주고받은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서 원하는 후처리를 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그 두 장치들 간의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와 이에 연결된 주변의 다른 장치에 어떤 기능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지, 그리고 매장의 계산장치(70)와 어떻게 역할을 분담할 것인지, 서버 시스템(100)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의 몇 가지 이용예를 설명하였다. 설명된 이용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10)를 가지고 이용할 수 있는 예는 위에서 언급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를 프린터 출력제어 수단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예들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의 제1 응용예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의 제2 응용예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의 제3 및 제4 응용예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하이트맥주에 대한 할인 이벤트(하이트맥주 제조사와 비자카드사의 공동 할인 이벤트)에 따른 영수증의 예를 보여준다.

Claims (19)

  1.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연산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의 로직에 따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프린터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다른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2 병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의 병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상기 프린터 장치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1 병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병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제2 직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상기 프린터 장치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제1 직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은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상기 프린터 장치로 출력한 영수증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어서 그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접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게 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영수증 데이터를 원래 그대로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내용을 생성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시스템과의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통신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은 IEEE 1284 표준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외부의 상기 프린터 장치와의 사이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IEEE 1284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은 데이터를 직렬형과 병렬형 간의 번역(변환)을 담당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엔진이 탑재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프린터 장치와의 사이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의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하는 UART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 되는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가 정상 작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제어를 받아 어떤 상태나 이벤트 발생을 소리로 알려주는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7.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연산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의 로직에 따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프린터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시스템과의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1 병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병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 닛이 출력하는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제1 직렬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의 직렬통신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출력하는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 장치가 출력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시스템이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상기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프린터 장치가 보내주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다른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병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병렬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양방향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고 또한 반대로 병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직렬통신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소정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과,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에 연결되며 직렬통신용 접속단자를 제공해주는 제2 데이터변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통신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싱 칩은 IEEE 1284 표준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외부의 상기 프린터 장치와의 사이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의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하는 IEEE 1284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싱 칩은 데이터를 직렬형과 병렬형 간의 번역(변환)을 담당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엔진이 탑재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프린터 장치와의 사이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의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하는 UART 칩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 되는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가 정상 작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제어를 받아 어떤 상태나 이벤트 발생을 소리로 알려주는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
  13.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와 프린터 사이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과,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병렬 데이터변환을 통해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병렬 데이터변환을 통해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구비하는 시스템 환경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가 프린터로 출력하는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제2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접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금전계산용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게 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달받는 제2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영수증 데이터 내에 이벤트에 관련된 상품명 또는 카드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영수증 데이터를 원래 그대로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의 내용을 생성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하여 상기 프린터 장치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이 제공해준 이벤트 관련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대상 상품명이나 카드명을 추출하여 이벤트 상품명/카드명 리스트에 추가해두고, 그 이벤트 상품명/카드명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대한 문자열 분석을 수행하여 그 영수증 데이터 내에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의 상품명이나 카드명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전달하여 분석을 지시한 경우, 소 정의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받지 못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이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장치에 그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직접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직접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영수증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 관련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부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프린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직접 또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19.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프린터에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과, 양방향 병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병렬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직병렬 데이터변환을 통해 양방향 직렬통신을 지원해주는 제1 데이터변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시스템과의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환경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상기 프린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터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 시스템이 상기 프린터로 출력하는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프린터 출력제어 장치가 상기 주문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로 전달하여 인쇄되도록 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출력제어 방법.
KR1020090047312A 2009-05-29 2009-05-29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28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12A KR20100128730A (ko) 2009-05-29 2009-05-29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12A KR20100128730A (ko) 2009-05-29 2009-05-29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30A true KR20100128730A (ko) 2010-12-08

Family

ID=4350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12A KR20100128730A (ko) 2009-05-29 2009-05-29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4394A (zh) * 2014-03-27 2014-06-11 季攀 智能感应自动快速打印发票机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0013366A1 (ko) * 2018-07-13 2020-01-16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커넥터형 주문공정 자동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문공정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4394A (zh) * 2014-03-27 2014-06-11 季攀 智能感应自动快速打印发票机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0013366A1 (ko) * 2018-07-13 2020-01-16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커넥터형 주문공정 자동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문공정 자동화 시스템
KR20200007399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커넥터형 주문공정 자동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문공정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2809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装置
US10002486B2 (en) Vending machine
CN103692766B (zh) 印刷系统、印刷装置以及印刷方法
KR101716615B1 (ko) 인쇄 제어 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JP2001344640A (ja) 自動販売機運営方法及び自動販売機
US10685339B2 (en) Check-out system, including merchandise registration apparatus and payment apparatus, and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US9787858B2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network system
CN103568606A (zh) 印刷装置、印刷系统以及印刷方法
CN104952163A (zh) Pos系统以及pos系统的控制方法
US201702561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nciliation of various lottery transactions
US10360549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er
JP6003252B2 (ja) Posシステム、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
KR20100128730A (ko) 프린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6840377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264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38320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RU2595623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лучшения систем приема наличных
JP6835325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精算装置、登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613256A2 (en) Retail peripherals management system
JP5000461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06350536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CN108122104B (zh) 用于控制销售点外围的访问和配置的方法和设备
US20150154582A1 (en) Print control system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06293540A (ja) 販売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情報管理方法
JP6851947B2 (ja) 電子レシートエージェント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