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901A -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 Google Patents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901A
KR20100127901A KR1020090046225A KR20090046225A KR20100127901A KR 20100127901 A KR20100127901 A KR 20100127901A KR 1020090046225 A KR1020090046225 A KR 1020090046225A KR 20090046225 A KR20090046225 A KR 20090046225A KR 20100127901 A KR20100127901 A KR 2010012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ne
optical line
ol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이승훈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앤티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앤티, 김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앤티
Priority to KR102009004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901A/ko
Publication of KR2010012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8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byp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회선단말(OLT:Optical Line Terminal) 간의 대용량 전송을 담당하는 광통신선로의 주광선로 장애 발생 시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함으로써, 중단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신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다심광케이블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 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다 수개의 광스위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로, 이중화된 광선로에서 OLT와 OFD(Optical Fiber Distribution) 사이에 설치되어 주광선로의 장애 발생 시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광스위치는 1:2의 N(N:정수)배수 타입으로 전압에 의해 전환되어 광전송 방향을 일시에 절체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는 광전송로 상의 손실 및 OLT의 에러를 체크하여 광선로 장애 발생 시 광스위치에 전압을 인가시켜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광선로 감시시스템과 연동하여 원격 중앙제어(WAN) 방식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46225
절체장치, 이중화, 광스위치, 다심광케이블, OLT, OFD

Description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Instantaneous switching apparatus of multi-core optical cable for optical line duplexing}
본 발명은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회선단말(Optical Line Terminal: 이하 OLT라 함) 간의 대용량 전송을 담당하는 광통신선로의 주광선로 장애 발생 시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함으로써, 중단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신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다심광케이블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심광케이블로 구성된 광선로는 기간선로(Backbone Network)를 구성하며, 이는 통신국사 간의 대용량 전송을 담당하는 선로로,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한 대처를 위하여 주광선로와 예비광선로의 이중화가 필수적이다. 주로 사용하는 주광선로는 주기적인 감시를 통하여 선로의 장애 발생을 대비하며, 주광선로의 장애 발생 시에는 중단 없는 서비스를 위하여 주광선로에서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를 해야만 한다.
종래의 광선로 절체작업은 현장으로 작업자가 파견되어 광분배함(Optical Fiber Distribution: 이하 OFD라 함)의 입력부 절체작업과 출력부 절체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광선로의 광케이블은 다심광케이블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서 절체작업의 수작업은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또 다른 추가 장애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심광케이블의 절체작업을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일시에 절체함으로써, 절체작업 시간의 단축과 수작업을 통한 또 다른 추가 장애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단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광선로의 장애 발생 시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다 수개의 광스위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로, 이중화된 광선로에서 OLT와 OFD 사이에 설치되어 주광선로의 장애 발생 시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광스위치는 1:2의 N(N:정수)배수 타입으로 전압에 의해 전환되어 광전송 방향을 일시에 절체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는 광전송로 상의 손실 및 OLT의 에러를 체크하여 광선로 장애 발생 시 광스위치에 전압을 인가시켜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광선로 감시시스템과 연동하여 원격 중앙제어(WAN) 방식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에 의해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는 주광선로의 장애 발생 시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함으로써, 절체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중단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통신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심광케이블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가 장애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기술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체장치의 제 1실시예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체장치의 제 2실시예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주광선로 장애 발생 시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다 수개의 광스위치(210)와 제어장치(221)로 구성되는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201,202,203)로, 이중화된 광선로(401,402,403)에서 OLT(101,102,103)와 OFD(301,302,303,304,305,306) 사이에 설치되어 주광선로(401)의 장애 발생 시 예비광선로(402)로 일시에 절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광스위치(210)는 1:2의 N(N:정수)배수 타입으로 전압에 의해 전환되어 광전송 방향을 일시에 절체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221)는 광전송로 상의 손실 및 OLT의 에러를 체크하여 광선로(401,402,403) 장애 발생 시 광스위치(210) 에 전압을 인가시켜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광선로(401,402,403) 감시시스템과 연동하여 원격 중앙제어(WAN)(222) 방식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광선로(401,402,403)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201,202,203)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 N개의 OLT(101,102,103)를 링(Ring) 형상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OLT(101,102,103) 간에 1:N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일측의 OLT(101)에서 전송된 통신신호의 흐름은 절체장치(201)와 OFD(301)를거쳐 주광선로(401)를 통하여 전송된다. 전송된 통신신호는 타측에서도 마찬가지로 OFD(303)와 절체장치(202)를 거쳐 OLT(102)로 수신되며, 다시 절체장치(202)와 OFD(304)를거쳐 광선로(403)을 통하여 OFD(306)와 절체장치(203)을 거쳐 또 다른 OLT(203)로 전송된다.
이 때, 광선로(401,402,403)의 통신신호 감시는 일측의 OLT(101)에서 실시간으로 패킷단위 신호감시를 진행할 수 있고, 또한 OFD(301,302)에서 독립적으로 주광선로(401)와 예비광선로(402)를 자체적으로 감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광선로(401)에서 장애가 검출되었을 시 종래의 다심광케이블 절체작업은 현장으로 작업자가 파견되어 OFD(301,302)의 입력부 절체자업과 출력부 절체적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광선로의 광케이블은 다심광케이블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서 종래의 절체작업은 1:24~1:1024 코어의 다심광케이블 코어 하나하나 절체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을 지연시키고, 또한 다른 추가 장애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절체작업은 절체장치(201)의 제어장치(221)를 통하여 다 수개 광스위치(210)에 전압을 인가하여 광통신선로를 주광선로(401)에서 예비광선로(402)로 일시에 전환시켜 줌으로써 순간 절체가 이루어지게 되며, 통신신호는 도 3처럼 일측의 OLT(101)에서 예비광선로(402)를 통하여 타측의 OLT(103)로, 다시 또 다른 OLT(102)로 전송되어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광선로(401,402,403)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201,202,203)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 OLT(101,102,103)를 스타(Star) 형상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OLT(101,102,103) 간에 1:1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통신신호의 흐름은 도 1의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측의 OLT(101)에서 전송된 통신신호는 절체장치(201)와 OFD(301)를 거쳐 주광선로(4010)를 통하여 타측의 OFD(303)와 절체장치(202)를 거쳐 OLT(102)로 수신된다.
제 2실시예에서도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선로 감시를 실시하며, 장애 발생 시에는 제어장치(221)를 통하여 주광선로(401)에서 예비광선로(402)로 일시에 전환시켜 줌으로써, 도 4처럼 일측의 OLT(101)에서 예비광선로(402)를 통하여 타측의 OLT(103)로 전송되어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스위치(210)를 도시한 평면도로, 핀 A에 Vcc의 전압을 인가하고 핀 B를 접지시키면 Output 1(212)로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핀 C에 Vcc 의 전압을 인가하고 핀 D를 접지시키면 Output 2(213)로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Output 1(212)에는 주광선로(401)를, Output 2(213)에는 예비광선로(402)를 연결한다면, 핀 A에 전압을 인가하고 핀 B를 접지시켜 주광선로(401)를 이용할 수 있으며, 주광선로(401)에 장애 발생 시에는 핀 C에 전압을 인가하고 핀 D를 접지시켜 일시에 주광선로(401)에서 예비광선로(402)로 절체하여 예비광선로(40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OLT(101,102,103) 간의 통신에서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압에 의해 광전송 방향이 전환되는 광스위치(210)를 이용하여 일시에 절체하는 신속한 대처를 통해 중단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신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다심케이블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체장치의 제 1실시예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체장치의 제 2실시예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주광선로 장애 발생 시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주광선로 장애 발생 시의 통신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102, 103 : OLT(Optical Line Terminal)
201, 202, 203 : 절체장치 210 : OS(Optical Switch)
211 : OS Input 212 : OS Output 1
213 : OS Output 2 221 : 제어장치
222 : 원격 중앙제어(WAN)
301, 302, 303, 304, 305, 306 : OFD(Optical Fiber Distribution)
401 : 주광선로 402 : 예비광선로

Claims (3)

  1. 이중화된 광선로에서 OLT와 OFD 사이에 설치되어 주광선로의 장애 발생 시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다 수개의 광스위치와,
    광전송로 상의 손실 및 OLT의 에러를 체크하여 광선로 장애 발생 시 광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 수개의 광스위치는 1:2의 N(N:정수)배수 타입으로 전압에 의해 전환되어 광전송 방향이 주광선로에서 예비광선로로 일시에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광선로 감시시스템과 연동하여 원격 중앙제어(WAN) 방식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KR1020090046225A 2009-05-27 2009-05-27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KR20100127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25A KR20100127901A (ko) 2009-05-27 2009-05-27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25A KR20100127901A (ko) 2009-05-27 2009-05-27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01A true KR20100127901A (ko) 2010-12-07

Family

ID=4350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225A KR20100127901A (ko) 2009-05-27 2009-05-27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90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102B1 (ko) * 2012-07-30 2013-02-20 (주)엘프테크 회선 자동 절체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257807B1 (ko) * 2011-05-12 2013-04-29 (주)파이버피아 실시간 광케이블 모니터링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460206B1 (ko) * 2011-06-16 2014-11-10 (주)유비쿼스 통신 방송 결합 이중화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53723B2 (en) 2013-04-23 2017-12-26 Solid, Inc. Optical network system
KR20190044857A (ko) * 2017-10-23 2019-05-02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광선로 절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07B1 (ko) * 2011-05-12 2013-04-29 (주)파이버피아 실시간 광케이블 모니터링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460206B1 (ko) * 2011-06-16 2014-11-10 (주)유비쿼스 통신 방송 결합 이중화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4102B1 (ko) * 2012-07-30 2013-02-20 (주)엘프테크 회선 자동 절체 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9853723B2 (en) 2013-04-23 2017-12-26 Solid, Inc. Optical network system
US10554296B2 (en) 2013-04-23 2020-02-04 Solid, Inc. Optical network system
KR20190044857A (ko) * 2017-10-23 2019-05-02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광선로 절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377B (zh) 在海水下传输电力并提供光纤通信的系统和方法
JP5196595B2 (ja) 光信号冗長システム、光信号分配装置及び光信号冗長方法
CN101267259B (zh) 无源光网络中的光纤保护系统及装置
US9008501B2 (en)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cy in a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KR20100127901A (ko) 광선로 이중화를 위한 다심광케이블 순간 절체장치
JP6104652B2 (ja) 切替装置および伝送システム
US6563979B2 (en) Automatically switched redundant switch configurations
US6516110B2 (en) Optical cross-connector
JP2007173943A (ja) 光海底伝送システム
CN112202323B (zh) 一种柔性直流阀控制保护系统冗余度提升方法
US7630597B2 (en) Master/slave multiple path optical switching device
CN107465450B (zh) 一种光纤故障时传输业务的切换和保护装置及控制方法
US20120251097A1 (en) Passive architectural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CN108808714B (zh) 一种高压柔性直流输电阀控保护系统及保护控制方法
CN102664703A (zh) 多级分光无源光网络的保护方法及多级分光无源光网络
US9872090B2 (en) Wavelength redundancy device and wavelength redundancy method
CN101056143A (zh) 光以太网基于光层的保护恢复方案
TW201434280A (zh) 光收發裝置
US6643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e and roll in a photonic switch
JP2009212668A (ja) 光伝送システム
CN114745517A (zh) 一种双机控制切换器、视频传输系统和列车控制显示系统
CN106533543B (zh) 一种低速率光信号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20010035998A (ko) 광가입자 선로 자동 절체 장치
WO2024034064A1 (ja) 端局装置、通信装置及び切替制御方法
WO2024034062A1 (ja) 端局装置、通信装置及び切替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