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617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617A
KR20100127617A KR1020090046131A KR20090046131A KR20100127617A KR 20100127617 A KR20100127617 A KR 20100127617A KR 1020090046131 A KR1020090046131 A KR 1020090046131A KR 20090046131 A KR20090046131 A KR 20090046131A KR 20100127617 A KR20100127617 A KR 2010012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lens unit
camera modu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구
Original Assignee
류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인구 filed Critical 류인구
Priority to KR102009004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617A/ko
Publication of KR2010012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결합구조 및 렌즈부의 조절구조를 개량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금속재질의 뚜껑부재와, 상기 뚜껑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내통부재, 상기 뚜껑부재 및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뚜껑부재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외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 내에 위치하며, 외주에 단차부를 구비하는 렌즈부와 상기 내통부재에 외주연이 지지되고, 상기 렌즈부에 내주연이 지지되는 링 형상의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렌즈모듈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영구자석의 하측에 위치하는 코일과, 상기 렌즈부의 외주연에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부와 상기 홀더부 내측에 위치하며, 렌즈부의 하측에서 상기 렌즈부의 초점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와 상기 홀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통하여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감지하는 영상센서 및 상기 영상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영상센서의 신호를 외부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의 결합구조 및 렌즈부의 조절구조를 개량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휴대용 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 기능이 장착된 PDA,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디지털 카메라 기술 및 정보 저장 능력의 발달로 인하여 높은 사양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digital camera module)의 장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 추세이며, 제반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에 메가 픽셀(mega pixel)급 이미지 센서(image sensor)가 사용되면서, 자동 초점 및 광학 줌 등 부가 기능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으로 렌즈부, 피사체의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센서, 영상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외부로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렌즈부의 자동초점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렌즈부와 영상센서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초점조절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초점조절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조정자는 상기 렌즈부를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이동시켜 렌즈부와 영상센서와의 사이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렌즈부를 직접 이동시켜 초기 초점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상기 렌즈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도 힘이 전달되어 구동부가 변형되어 파손되거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상측에 형성되는 뚜껑부재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케이스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접착제가 경화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생산시간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모듈의 뚜껑부재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렌즈부와 영상센서의 초기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종래의 카메라모듈의 구동부 파손 및 구동특성변화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초기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금속재질의 뚜껑부재와, 상기 뚜껑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내통부재, 상기 뚜껑부재 및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뚜껑부재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외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 내에 위치하며, 외주에 단차부를 구비하는 렌즈부와 상기 내통부재에 외주연이 지지되고, 상기 렌즈부에 내주연이 지지되는 링 형상의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렌즈모듈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영구자석의 하측에 위치하는 코일과, 상기 렌즈부의 외주연에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부와 상기 홀더부 내측에 위치하며, 렌즈부의 하측에서 상기 렌즈부의 초점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와 상기 홀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통하여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감지하는 영상센서 및 상기 영상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영상센서의 신호를 외부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부재의 외주연과 상기 외통부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외통부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용접결합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측면 상하 부에 각각 상측단차부와 하측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렌즈부의 상측단차부에 내주연이 안착되고 외주연은 상기 내통부재와 상기 뚜껑부재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측판스프링과, 상기 렌즈부의 하측단차부에 내주연이 안착되고 외주연은 상기 내측통부의 하면과 상기 홀더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하측판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판스프링은, 외곽을 구성하는 링 형상의 외측링부와 상기 외측링부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링부와, 상기 외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를 연결하여 스프링력을 형성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관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방향으로 극성이 착자되고 상기 코일의 코일 선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의 자력선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코일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구자석과 상호 당기는 힘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모듈을 상기 코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자기스프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홀더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을 외부로 연결시키는 외부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초점조절부는,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에 위치하고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과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며 상측면에는 상기 렌즈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갖는 초점조절링부재와,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 내측면에 형 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숫나사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부와 상기 영상센서의 초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외연에는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홀더의 측면부에 조절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초점조절링 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부가 일측면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금속링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모듈의 뚜껑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카메라모듈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모듈의 영상센서와 렌즈부의 초기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이 경우 구동부에 외력을 전달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구동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측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측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링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은, 케이스부(110), 렌즈부(120), 렌즈구동부(130), 초점조절부(140), 영상센서(150) 및 인쇄회로기판(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금속재질의 뚜껑부재(111), 금속재질의 외통부재(112), 내통부재(113) 및 홀더(114)를 포함한다.
상기 내통부재(113)와 외통부재(112)는 얇은 벽을 가지고 상하로 관통된 원형인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재(111)는 렌즈부(120)의 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통부재(112)에 삽입되어 내통부재(113)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뚜껑부재(111)와 외통부재(112)는 조립 후 뚜껑부재(111)의 외주연과 외통부재(112)의 내주연 사이에 복수의 용접결합점(115)이 형성되어 조립된다.
상기 뚜껑부재(111)와 외통부재(112)는 각각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레이저 용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용접결합점(115)에 의하여 상기 뚜껑부재(111)와 외통부재(112)는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일반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화시간이 별도로 필요 없으므로 접합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14)는 상기 외통부재(11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사각 형태를 가진다. 상기 홀더(114)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14a) 부위에 외통부재(112)가 삽입된다. 홀더의 상측에 형성된 본드 주입구(114b)는 외통부재(112) 조립에 사용되는 본드 유입 홀이다. 또한 홀더(114) 내측에는 후술할 코일(135)이 안착되는 코일안착부(114c)가 형성되며, 코일선 끝선이 홀더 외측에 설치된 전원단자(180)에 연결되도록 외부로 전선이 빠지는 코일 관통구(114d)가 배치된다. 코일(135)의 두 끝 단은 코일 관통구(114d)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며, 홀더(114)의 외측에 부착된 전원단자(180)에 납땜(180a)으로 전기적 연결된다. 또한 홀더 하측에는 후술할 초점 조절 링 부재(141)가 나사로 결합되는 암나사부(142)가 위치한다.
상기 렌즈부(120)는, 상기 홀더(114)의 수납공간 내에 위치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120)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의 상하부에 각각 상측단차부(121)와 하측단차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의 상하측단차부의 간격은 상기 내측통부재의 상하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하측판스프링에 의하여 누름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렌즈부(140)는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구동부(130)는, 판스프링부재(131), 영구자석(134), 코일(135) 및 요크(1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부재(131)는 상측판스프링(132)과 하측판스프링(133)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판스프링(132)은 얇은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외측 링부(132a), 내측 링부(132b) 그리고 외측 링부(132a)와 내측링부(132b)을 연결하며 스프링력을 형성하는 연결부(132c)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 판스프링(133) 또한 얇은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외측 링부(133a), 내측 링부(133b) 그리고 외측 링부(133a)과 내측 링부(133b)을 연결하며 스프링력을 형성하는 연결부(133c)로 구성된다. 상하측 판스프링(132, 133)은 외측에 고정된 부재인 내통부재(113)에 결합되고, 내측은 렌즈부(120)의 상하측 단차부(도 7의 121, 122)에 각각 안착되어 렌즈모듈(120)을 렌즈모듈(120)의 광축 방향을 따라 영상센서(150)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즉, 상측판스프링(132)은 상기 렌즈부(120)의 상측단차부(121)에 내측링부(132b)가 안착되고 외측링부(132a)는 상기 내통부재(113)와 상기 뚜껑부재(111) 사이에서 고정되며, 하측판스프링(133)은 상기 렌즈부(120)의 하측단차부(122)에 내측링부(133b)가 안착되고 그 위에 순차적으로 영구자석(142)와 요크(141)가 안착되며, 외측링부(133a)는 상기 내측통부(113)의 하면과 상기 홀더(114)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판스프링(132)(133)의 연결부(132c)(133c)는 다수개의 관통공간이 형성되어, 소요되는 스프링계수를 임의로 변화시킨다.
상기 상하측판스프링(132)(133)은 상기 렌즈부(120)가 렌즈의 광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속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렌즈구동부(130)가 발생시키는 힘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초기 배치된다. 상기 하측판스프링(133)이 안착되는 상기 렌즈부(120)에 형성된 하측단차부(122)는 상기 외통부재(112)의 하측면과 일치하도록 초기 배치된다.
상기 렌즈부(120)는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의 안착면(141b)에 안착되며, 상기 상하측판스프링(132)(133)은 상기 렌즈부(120)가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에 안착하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초점 조절 부재를 상기 렌즈부(120)의 광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때, 상기 렌즈부(120)이 항상 상기 초점 부재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초기 조점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134)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부(120)의 외주부에 조립된다. 상기 요크(136)는 상기 렌즈부(1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134)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영구자석(134)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코일(135)은 상기 홀더(114)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영구자석(134)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코일(135)은 전류를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상기 영구자석(134)에 대하여 척력을 인가하여 상기 렌즈부(120)를 이동시킨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14)의 외면에는 상기 코일(1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135)을 외부로 연결시키는 외부단자(18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135)로 용이하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135)의 하측에는 자기스프링판(137)이 형성된다. 상기 자기스프링판(137)은 자석에 붙는 성질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 자기스프링판(137)은 상기 영구자석(134)과 상호 당기는 힘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부(120)가 상기 코일(135) 방향으로 안착되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상기 렌즈부(120)의 초기 위치 안정성을 증가 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초점조절부(140)는, 초점조절링부재(141)와,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부(120)의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홀더(114)의 수납공간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의 외측면에는 수나사부(114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41a)에 대응하는 홀더(114)의 수납공간 내측면에는 암나사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부(141a)와 암나사부(142)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결합을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부(141a)를 회전시키면 상기 암나사부(1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가 상기 렌즈부(120)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41a)의 상측에는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한 걸이역할을 하는 수직홈(14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홈(143)은 홀더의 양측에 형성된 조절공간(114e)을 통하여 홀더(114)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홀더(114) 외부에서 조절공간(114e)을 통하여 초점조절링부재(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홈(143)을 이용하여 초점조절링부재(141)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는 홀더(1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을 하게 되며, 초점조절링부재(141)의 안착된 렌즈부(120)는 상하 이동한다. 이를 통하여 영상센서(171)와 렌즈부(120)의 상대 위치가 조절 된다.
그리고,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의 일측에는 상기 렌즈부(120) 하측 바닥을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금속링(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링은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가 회전할 때 상기 렌즈부(120)와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상기 영상센서(150)는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홀더(114)의 수납공간(114a) 하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영상센서(150)는 상기 렌즈 부(120)를 통하여 형성되는 피사체의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60)은 이 전기전 신호를 외부 처리기(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다음과 같은 작동원리로 작동된다.
도 2,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35), 요크(136) 및 영구자석(134)로 구성되는 렌즈구동부(1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렌즈부(120)는 초점조절 링부재(141)에 안착되어 렌즈부(120)와 영상센서(150)간의 간격으로 초기 초점 상태를 구성한다. 이 경우, 초기 초점상태가 상기 렌즈부(120)이 설계된 초점 거리와 실제 거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초점조절 링부재(141)를 회전시키면, 상기 초점조절 링부재는 승하강하고,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에 안착되는 상기 렌즈부는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렌즈부(120)와 영상센서(15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모듈의 초기초점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초기조점상태가 보정되면 상기 초점조절링부재는 본드 등에 의하여 상기 홀더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등으로 초점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 공정이 카메라 모듈 제작공정의 최종작업이 된다.
이 경우, 상기 초점조절링부재(141)는 상기 렌즈구동부(130) 및 상기 렌즈부(120)와 별개로 형성되므로, 상기 초점조절링 부재(141)를 회전시켜 초기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렌즈구동부 및 상기 렌즈부에 어떠한 외력도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초기 초점조정 시에 렌즈구동부의 상하측스프링 등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초기초점상태가 적절하게 보정된 카메라 모듈은 실제 단말기 등에 장착이 되어, 사용자가 피사체 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자동 초점을 기능을 실행하면, 자동 초점 작동을 위하여 인가되는 전류신호가 인쇄회로기판(160)에 형성된 연결단자(161)에 전달되고, 이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단자(180)에 구동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전원단자(180)에 인가된 구동 전류는 코일(135)에 인가되어 요크(136)와 영구자석(134)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렌즈부(120)에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력이 발생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20)의 광축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화된 영구자석(134)은 요크(136)와의 상호 관계에 의하여 코일(135)을 가로지르는 자력선(135a)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코일(135)에 전류를 소정의 방향으로 인가하면 영구자석(134)은 코일(13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발생시켜, 렌즈부(120)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영구 자석(134)의 하측 부위에 형성되며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 금속으로 제작되는 자기 스프링판(137)은 영구자석(134)을 코일(135) 방향으로 당기는 기능을 하여 렌즈부(120)가 코일(135)방향으로 안착되는 힘을 증가 시켜 렌즈부(120)의 초기 위치 안정성을 증가 시킨다.
상기 구동력이 상측판스프링(132)과 상기 하측판스프링(132)과 상기 자기스프링판(137)이 발생시키는 힘의 합보다 클 때 상기 렌즈부(150)는 상기 점조절링부재(141)에서 이격되어 영상센서(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렌즈 모 듈(120)의 광축 방향을 따라 구동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렌즈 모듈(120)의 앞에 위치한 피사체 거리에 따라 렌즈부(120)와 영상센서(150)와의 상대거리를 조정함으로서 렌즈부(120)에 의하여 영상센서(150)상에 형성되는 피사체 상의 초점이 최적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측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측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카메라모듈110 : 케이스부
111 : 뚜껑부재 112 : 외통부재
113 : 내통부재 114 : 홀더
120 : 렌즈부 130 : 렌즈구동부
131 : 판스프링부재 134 : 영구자석
135 : 코일 136 : 요크
140 : 초점조절부 141 : 초점조절링부재
150 : 영상센서 160 : 인쇄회로기판

Claims (10)

  1.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금속재질의 뚜껑부재와, 상기 뚜껑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내통부재, 상기 뚜껑부재 및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뚜껑부재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외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 내에 위치하며, 외주에 단차부를 구비하는 렌즈부와
    상기 내통부재에 외주연이 지지되고, 상기 렌즈부에 내주연이 지지되는 링 형상의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렌즈모듈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홀더에 장착되며 영구자석의 하측에 위치하는 코일과, 상기 렌즈부의 외주연에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부와
    상기 홀더부 내측에 위치하며, 렌즈부의 하측에서 상기 렌즈부의 초점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와
    상기 홀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부로부터 통하여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감지하는 영상센서 및 상기 영상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영상센서의 신호를 외부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의 외주연과 상기 외통부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외통부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용접결합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측면 상하 부에 각각 상측단차부와 하측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렌즈부의 상측단차부에 내주연이 안착되고 외주연은 상기 내통부재와 상기 뚜껑부재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측판스프링과, 상기 렌즈부의 하측단차부에 내주연이 안착되고 외주연은 상기 내측통부의 하면과 상기 홀더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하측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판스프링은, 외곽을 구성하는 링 형상의 외측링부와 상기 외측링부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측링부와, 상기 외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를 연결하여 스프링력을 형성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카메라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방향으로 극성이 착자되고, 상기 코일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의 자력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영구자석과 상호 당기는 힘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모듈을 상기 코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자기스프링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홀더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을 외부로 연결시키는 외부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는,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에 위치하고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과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며 상기 렌즈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갖는 초점조 절링부재와, 상기 홀더의 수납공간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부와 상기 영상센서간의 초기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카메라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링부재의 외주에는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홀더의 측면부에 조절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링 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부가 일측면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금속링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20090046131A 2009-05-26 2009-05-26 카메라 모듈 KR20100127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31A KR20100127617A (ko) 2009-05-26 2009-05-26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31A KR20100127617A (ko) 2009-05-26 2009-05-2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17A true KR20100127617A (ko) 2010-12-06

Family

ID=4350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131A KR20100127617A (ko) 2009-05-26 2009-05-2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6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275A1 (ko) * 2013-02-14 2014-08-21 Kim Young Jun 렌즈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4802A (ko) * 2014-04-02 2015-10-13 (주)옵티스 돌기와 가이드홈으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275A1 (ko) * 2013-02-14 2014-08-21 Kim Young Jun 렌즈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4802A (ko) * 2014-04-02 2015-10-13 (주)옵티스 돌기와 가이드홈으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39713B (zh) 一种变焦组件、镜头组件及摄像模组
JP613896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9804354B2 (en) Lens drive apparatus
US8254046B2 (en) Camera module with autofocus function
JP2009301033A (ja) カメラ装置
KR100919118B1 (ko) 자체 체결 수단을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갖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US9369619B2 (en) Camera module having structure to reduce flare phenomenon
KR20090097096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00125978A (ko) 마그네트 이동 타입 이미지 촬상용 렌즈 액츄에이터
JP201203277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10235195A1 (en) Voice coil motor and camera module using same
WO2020114364A1 (zh) 摄像头模组及终端
KR20120051492A (ko)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JP5185088B2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CN110989127A (zh) 光学变焦马达、摄像装置及移动终端
JP2008096705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101078858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JP200710428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KR100964541B1 (ko) 카메라 액츄에이터 모듈
TWI514719B (zh) 音圈馬達及鏡頭模組
KR20120100509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27617A (ko) 카메라 모듈
KR100817033B1 (ko) 소형렌즈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0939119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079026B1 (ko) 자동초점 광학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