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088A - 서랍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서랍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088A
KR20100127088A KR1020090045604A KR20090045604A KR20100127088A KR 20100127088 A KR20100127088 A KR 20100127088A KR 1020090045604 A KR1020090045604 A KR 1020090045604A KR 20090045604 A KR20090045604 A KR 20090045604A KR 20100127088 A KR20100127088 A KR 2010012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locking
closing
adjustment mean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09004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088A/ko
Publication of KR2010012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81Telescopic drawer rails with stop blocks, e.g. synchronization buff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닫힘조절수단이 레일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서랍의 앞부분이 들려지는 경우에는 닫힘조절수단과 걸림링크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서랍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랍 설치구조는, 서랍(100)과; 캐비넷(110)과; 상기 서랍(100)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레일(102,112)과; 상기 레일(102,112)과 이격 설치되며, 걸림스위치(13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150)와, 댐퍼(160)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100)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닫힘조절수단(120)과;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링크(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닫힘조절수단(120)과 걸림링크(200)는, 상기 서랍(100)의 앞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는 경우에는 걸림스위치(130)와 걸림링크(200)의 체결이 더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서랍, 닫힘, 조절, 댐퍼, 링크

Description

서랍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drawer}
본 발명은 서랍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닫힘조절수단이 레일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서랍의 앞부분이 들려지는 경우에는 닫힘조절수단과 걸림링크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서랍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랍의 개폐가 사용자에 의해 모두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서랍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서랍 자동 개폐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등과 같은 가구에는 가구레일(10)이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이러한 가구레일(10)을 따라 서랍(20)이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가구레일(10)에는 자동닫힘장치(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서랍(20)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며, 상기 서랍(20)의 측면 좌측단에는 링크(40)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닫힘장치(30)에는 상기 서랍(20)의 닫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50)가 일체로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2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자동닫힘장치(30)의 우 측단에 걸어지면, 상기 자동닫힘장치(30)에 의해 상기 서랍(20)은 자동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자동닫힘장치(30)가 상기 가구레일(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새로이 출시되는 가구에는 문제가 없으나, 기존 가구에 자동닫힘장치(30)를 설치하려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레일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자동닫힘장치(30)가 가구레일(1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서랍(20)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서로 그 형상이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서랍(20)의 좌측용과 우측용을 구분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또한, 상기 링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링크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양단에는 볼트(bolt)가 통과하는 체결공(44)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링크(40)를 나무로 형성되는 상기 서랍(20)의 측면에 볼트(bolt)를 사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근래의 서랍 구조에서는 모서리를 강화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된 강화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링크(40) 구조에서는 금속재질로 된 강화부재로 인하여 서랍(20) 모서리에 상기 링크(40)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볼트(bolt)가 금속재질인 강화부재를 통과하지 못하여 링크(40)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닫힘조절수단이 레일과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서랍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닫힘조절수단과 걸림링크가 서랍과 캐비넷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서랍의 앞부분이 들려 올려지는 경우에는 닫힘조절수단과 걸림링크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서랍 설치구조는,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서랍과; 상기 서랍이 수용되는 캐비넷과; 상기 서랍과 캐비넷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서랍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과 이격 설치되며,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스위치와, 상기 걸림스위치가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와, 상기 걸림스위치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닫힘조절수단과; 상기 서랍 또는 캐비넷에 설치되며, 상기 닫힘조절수단의 걸림스위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링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닫힘조절수단과 걸림링크는, 상기 서랍의 앞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는 경우에는 걸림스위치와 걸림링크의 체결이 더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서랍 설치구조에 따르면, 서랍의 자동 닫힘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닫힘 속도를 조절하는 닫힘조절수단이 캐비넷의 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서랍이 일정 정도만큼 닫힌 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고, 서랍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에는 속도가 감속되어 닫힘시의 충격이 방지되며 소음 발생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닫힘조절수단이 볼트(bolt) 등에 의해 캐비넷의 측면에 레일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닫힘조절수단이 레일과는 별개로 분리되어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에 서랍이 설치되어 있는 가구에도 닫힘조절수단을 별도로 더 추가하여 서랍의 닫힘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걸림링크가 서랍에 설치되고, 닫힘조절수단이 캐비넷에 설치되는 한편, 걸림링크가 닫힘조절수단의 하측에 위치한다. 반대로, 걸림링크가 캐비넷에 설치되면, 닫힘조절수단이 서랍에 설치되는 한편, 걸림링크가 닫힘조절수단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랍의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당길 때, 상방으로 서랍 앞부분이 들려 올려지는 경우에는 걸림링크와 닫힘조절수단의 걸림스위치는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걸림링크와 걸림스위치가 서로 이격되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서랍 설치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 설치구조의 후방사시도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 크기의 가구들에는 물품 수납을 위한 서랍(100)이 장착된다. 즉,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사각 형상의 서랍(100)이 슬라이딩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서랍(100)은 캐비넷(110)과 같은 가구에 수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캐비넷(110)에 사각 형상의 서랍(100)이 수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10)에는 캐비넷레일(112)이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레일(112)은 상기 서랍(100)이 전후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상기 서랍(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캐비넷레일(112)과 대응되는 서랍레일(102)이 설치된다. 상기 서랍레일(102)은, 상기 캐비넷레일(11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서랍레일(102)에는 바퀴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캐비넷(110)의 일면에는 상기 서랍(100)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닫힘조절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은, 상기 서랍(100)이 닫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함과 동시에 닫힘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102,112)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캐비넷레일(112)은 캐비넷(110)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됨에 반하여, 상기 닫힘조절수 단(120)은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서랍(100)의 모서리부분에는 강화부재(104)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강화부재(104)는 상기 서랍(100)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나무로 이루어지는 서랍(100)의 모서리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랍(100)의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링크(200)가 설치된다. 즉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링크(200)가 볼트(bolt)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닫힘조절수단(120)과 걸림링크(200)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반대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이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걸림링크(200)가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에는 상기 서랍(100)의 하단부 측면이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링크(2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링크(200)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접하는 측방체결부(210)와, 상기 서랍(100)의 하면에 접하는 하방체결부(220)와, 상기 측방체결부(210)에 형성되어 상기 닫힘조절수단(120)과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링크부(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방체결부(210)와 하방체결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서랍(10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직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링크(200)가 상기 서랍(100)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 모서리에 장착되면, 상기 링크부(230)가 측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링크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체결부(210)로부터 측방(도 5에서는 좌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후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링크부(230)에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130)가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측방체결부(210) 및 하방체결부(220)에는 볼트(bolt)가 체결되는 체결공(212,222)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측방체결부(210)의 선후단에는 측방체결공(212)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방체결부(220)의 우측단에는 다수의 하방체결공(2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공(212,222)을 통해 볼트(bolt)가 통과하여 상기 서랍(100)에 걸림링크(200)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212,222)을 상기 측방체결부(210)와 하방체결부(220)에 각각 형성하는 이유는, 서랍(100)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볼트(bolt)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링크(200)를 장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측방체결부(210)를 통해 서랍(100)의 하단 모서리 측면에 볼트(bolt)를 체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하방체결부(220)를 통해 서랍(100)의 하면에 볼트(bolt)를 체결하여 상기 걸림링크(200)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공(212,222)을 통해 볼트(bolt)가 상기 서랍(100)에 체결되면, 상기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모서리에 고정된다.
도 5에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링크(200)의 하방체결부(220)에는, 상기 서랍(100)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강화부재(104)를 감싸는 함몰부(240)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링크(200)의 측방체결부(210) 하단은 우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소정 넓이의 함몰부(240)를 더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함몰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방체결부(220)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
상기 측방체결부(210)와 하방체결부(220)에도 상기에서와 같은 체결공(212,222)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측방체결부(210)의 선후단에는 측방체결공(212)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방체결부(220)의 우측단에는 다수의 하방체결공(2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공(212,222)을 통해 볼트(bolt)가 통과하여 상기 서랍(100)에 걸림링크(200)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212,222)을 상기 측방체결부(210)와 하방체결부(220)에 각각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함몰부(240)는 상기 하방체결부(220)가 하측으로 일정 높이로 함몰된 부분이다. 이러한 함몰부(240)는 상기 서랍(10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강화부재(104)의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방체결부(220)의 체결공(222)은, 하방체결부(220)의 가장 우측단에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공(222)을 통해 상기 서랍(100)의 하면에 볼트(bolt)를 체결하는 경우에도 볼트(bolt)가 강화부재(104)를 관통할 필요는 없게 된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하단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00)의 측면 및 후면 그리고, 하면 모서리 부근에는 금속재질의 강화부재(104)가 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강화부재(104)가 없는 부분에 볼팅(bolting)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함몰부(240)의 우측에 형성된 다수의 하방체결공(222)을 통해 볼트(bolt)가 체결되어, 상기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하면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에는 상기 서랍(100)이 닫힌 상태의 닫힘조절수단(120)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상기 서랍(100)이 열리는 상태의 닫힘조절수단(120)이 부분 절개된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은, 상기 걸림링크(20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스위치(13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형성된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홀(140)과,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15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1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링크(200)가 걸어지는 돌기(132,133)와, 상기 당김부재(150)의 일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체결단(134)과,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핀(136,13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132,133)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 좌측에 형성되는 닫힘돌기(132)와, 상단 우측단에 형성되는 열림돌기(1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닫힘돌기(132)는 상기 서랍(100)이 닫히는 경우에 상기 걸림링크(200)와 먼저 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열림돌기(133)는 상기 서랍(100)이 열리는 경우에 걸림링크(20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핀(136,137)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우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136)과,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좌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1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돌기(132,133)와 대칭되는 하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위치보다 항상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부를 당겨 걸림스위 치(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회전 중심(작용점) 역할을 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적어도 하측(도 8에서)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홀(146)에 정지한 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홀(140)은,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닫힘조절수단(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140)은,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평홀(142)과, 상기 수평홀(14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144)과, 상기 가이드홀(144)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14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1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내홀(140)은 3단계의 경사를 가진다. 즉 안내홀(140)의 좌측은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길이방향과 같이 좌우로 수평으로 소정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평홀(14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평홀(142)의 우측에는 수평홀(142)보다 아래로 소정 각도로 꺾여진 가이드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44)의 우측에는 더 큰 각도로 아래로 꺾여진 고정홀(1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44)은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 유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고정홀(146)에 수용되는 경우나, 상기 고정홀(146)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당김부재(150)는, 도시되 바와 같이, 좌측단은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하단 좌측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당김부재체결단(134)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15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댐퍼(160)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복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중앙 부분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댐퍼(160)는 댐퍼홀더(162)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우측단에는 로드(164)가 돌출되어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160)에 의해 감속되어 결국, 서랍(10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양단에는 닫힘조절수단(120)이 볼트(bolt)에 의해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홀(170)이 관통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서랍 설치구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서랍(100)을 여는 경우, 서랍(100)을 앞쪽으로 당기면 서랍(100)은 상기 레일(102,1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서 랍(100)이 열린 상태의 후방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랍(100)이 열린 경우에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조절수단(120)의 우측단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기 닫힘조절수단(120) 내측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랍(10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서랍(100)에 부착된 걸림링크(200)가 젖힌 상태의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접근하여 상기 닫힘돌기(132)에 부딪힌다. 따라서, 이러한 충돌 힘으로 인하여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고정홀(146)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가이드홀(144)로 이동한다.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가이드홀(144)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당김부재(15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가이드홀(144)을 따라 미끄러져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자동적으로 상기 수평홀(14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수평상태로 자세가 복귀되고, 상기 돌기(132,133)에 상기 걸림링크(200)의 링크부(230)가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서랍(100)은 상기 걸림스위치(13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닫혀진다. 그리고, 이때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당김부재(150)에 의해 저절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서랍(100)을 끝까지 닫지 않아도 서랍(100)이 저절로 닫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걸림스위치(130)에는 상기 댐퍼(160)의 로드(164)가 연 결되어 있으므로, 댐핑력에 의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좌측 이동속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서랍(100)의 닫힘시 충돌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서랍(1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은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서랍(100)을 열기 위해 서랍(100)의 전면을 앞으로 당기면, 상기 서랍(100)의 링크부(230)에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걸려진 상태로 당겨지므로, 상기 걸림스위치(130)도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이동하여 닫힘조절수단(120)의 후측(도 7 및 도 8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136)은 상기 안내홀(140)의 수평홀(142) 및 가이드홀(144)을 차례로 통과한 다음, 상기 고정홀(146)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고정홀(146)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열림돌기(133)가 도 8과 같이 닫힘조절수단(120)의 내측(하측)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상기 열림돌기(133)와 상기 걸림링크(200)의 연결이 해제되어, 서랍(100)은 전방으로 더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당김부재(150)의 인장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게 되고, 이러한 당김부재(150)의 힘에 의해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이 상기 제1가이드핀(136)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고정홀(146)은 상기 수평홀(142) 및 가이드홀(144)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 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146)의 길이방향과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과 제1가이드핀(136)의 선분이 이루는 각이 거의 직각을 유지하므로 상기 제1가이드핀(136)은 상기 고정홀(146)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서랍 설치구조의 개폐는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서랍 설치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서랍(100)을 열거나 닫는 경우에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와 걸림링크(200)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즉, 일반적으로 서랍(100)은 좌우로는 유격이 거의 없으나, 상하로는 유격이 크도록 설치됨이 보통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서랍(100)은 사람의 키 높이에 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서랍(100)을 여는 경우에는 보통 서랍(100)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링크(200)가 함께 들리게 되어,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를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도 9a 내지 도 10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a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닫힘조절수단(120)과 걸림링크(200)는, 상기 서랍(100)의 앞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는 경우에는 걸림스위치(130)와 걸림링크(200)의 체결이 더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걸림링크(200)는 서랍(100)이나 캐비넷(110)의 측면 중앙부분에 설치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에서 설명 한 하방체결부(220)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a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에 장착된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9b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에 장착되는 경우의 걸림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조절수단(120)은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링크(200)는 서랍(100)의 선단부근 중앙 높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02,112)은 각각 상기 서랍(100) 및 캐비넷(110)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102,112)은 도 3에 예시된 것과 반대방향이다. 즉, 캐비넷레일(112)이 롤러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기 서랍(100)의 선단 상단부에는 손잡이(106)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9b에는 상기와 같은 서랍구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은,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걸림스위치(130)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점선으로 표시된 부분 참조)
그리고, 상기 걸림링크(200)는,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상단부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링크(200)가 상기 서랍(100)에 설치되고, 상기 닫힘조 절수단(1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화살표와 같이 사용자가 서랍(100)의 손잡이(106)를 잡고 전방(도 9b에서는 좌측)으로 당길 때, 상방으로 서랍(100) 앞부분이 들려 올려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링크(200)와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는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걸림링크(200)와 걸림스위치(130)가 서로 이격되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즉, 여기에서는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이,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걸림스위치(130)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링크(200)는,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점선으로 표시됨)
따라서,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화살표와 같이 사용자가 서랍(100)의 손잡이(106)를 잡고 전방(도 10에서는 좌측)으로 당길 때, 상방으로 서랍(100) 앞부분이 들려 올려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링크(200)와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는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걸림링크(200)와 걸림스위치(130)가 서로 이격되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 자동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링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링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걸림링크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걸림링크가 서랍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조절수단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서랍이 열리는 경우의 걸림스위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것으로, 걸림링크가 서랍의 측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실시예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것으로, 닫힘조절수단이 서랍의 측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보인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서랍 120. 닫힘조절수단
130. 걸림스위치 140. 안내홀
150. 당김부재 160. 댐퍼
200. 걸림링크 210. 측방체결부
220. 하방체결부 230. 링크부
240. 함몰부

Claims (5)

  1.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서랍(100)과;
    상기 서랍(100)이 수용되는 캐비넷(110)과;
    상기 서랍(100)과 캐비넷(11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서랍(100)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레일(102,112)과;
    상기 레일(102,112)과 이격 설치되며,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스위치(13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15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160)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100)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닫힘조절수단(120)과;
    상기 서랍(100) 또는 캐비넷(110)에 설치되며,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걸림스위치(130)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링크(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닫힘조절수단(120)과 걸림링크(200)는, 상기 서랍(100)의 앞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는 경우에는 걸림스위치(130)와 걸림링크(200)의 체결이 더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은,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걸림스위치(130)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걸림링크(200)는,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상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설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은,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걸림스위치(130)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걸림링크(200)는,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닫힘조절수단(1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하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설치구조.
KR1020090045604A 2009-05-25 2009-05-25 서랍 설치구조 KR20100127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04A KR20100127088A (ko) 2009-05-25 2009-05-25 서랍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04A KR20100127088A (ko) 2009-05-25 2009-05-25 서랍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88A true KR20100127088A (ko) 2010-12-03

Family

ID=4350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04A KR20100127088A (ko) 2009-05-25 2009-05-25 서랍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0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KR100937158B1 (ko) 도어의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US8220884B2 (en) Device for adjustable mounting of the runner of pull-out guides on drawers
US20070126324A1 (en) Refrigerator rail assembly and refrigerator storage box extracting/re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58651B1 (en) Drawer slide with adjustable strike
US7967399B1 (en) Linearly actuated chassis lock for a drawer slide
US20080218045A1 (en) Attachment Arrangement for Releasable Attachment of Pull-Out Guides on Drawers
KR101186377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열림 및 닫힘 장치
JP4737556B2 (ja) 家具
KR101095910B1 (ko) 개폐조절장치 및 그 설치구조
JP4879638B2 (ja) 両側で引出すことのできる自立型ボックスのための引出し
TW201600700A (zh) 移動門用的輪箍
CN106490866B (zh) 用于引导可相对于家具本体运动的家具拉出部的引导装置
KR20170030547A (ko)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피팅
US6481812B1 (en) Undermount drawer guide assembly
KR20100108795A (ko) 자동담힘기능이 구비된 서랍
US9125491B2 (en) Pull-out guide for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s
KR101095903B1 (ko) 서랍 설치구조
KR20100127088A (ko) 서랍 설치구조
KR20100060350A (ko) 서랍 설치구조
KR102343110B1 (ko) 레일 일체형 다단 서랍의 선택적 개폐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가구
KR102241844B1 (ko) 가구 서랍의 풀아웃 가이드 고정용 홀더
JP2008229281A (ja) 引出の摺動機構
KR101071528B1 (ko) 가구용 도어 하부의 보조 댐핑 장치
KR20110038493A (ko)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