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937A -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937A
KR20100125937A KR1020090044914A KR20090044914A KR20100125937A KR 20100125937 A KR20100125937 A KR 20100125937A KR 1020090044914 A KR1020090044914 A KR 1020090044914A KR 20090044914 A KR20090044914 A KR 20090044914A KR 20100125937 A KR20100125937 A KR 2010012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ubfields
max
gray scale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환
문성학
송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5937A/en
Publication of KR2010012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9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unnecessary sustain voltage from being supplied for one frame. CONSTITUTION: A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subfields. An image signal is mapped to the sub-fields(S100). The sustain signal is assigned to a plurality of sub-fields.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 is reduced based on the maximum gradation of image signal(S200). The maximum gradation of the image signal is adjusted to a first set value which is varied according to a modified value. The modified value is difference between a real gradation and the first set value.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의 장치{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A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 device thereof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소비전력을 줄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 device thereof which reduce power consum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 방전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에서 나오는 진공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The plasma display panel is a display element in which vacuum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a plasma formed by gas discharge excite phosphors, and display a screen by using visible light generated at this time. The plasma display panel has a high resolution and large screen configuration, and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the next 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

이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는 수백만 개 이상의 단위 방전셀들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 방전셀들은 벽전하의 기억특성을 이용해서 켜지는 방전셀과 켜지지 않는 방전셀을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방전셀을 방전시키는 것으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In the plasma display panel, millions of unit discharge cel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discharge cells select the discharge cells that are turned on and the discharge cells that are not turned on by using the memory characteristics of the wall charges, and display the screen by discharging the selected discharge cells.

이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평균전력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이 사용된다. 도 1은 APL을 설명하는 도면이다.When driving such a plasma display panel, an average power level (APL) is us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L.

APL은 전력소모를 고려하여 프레임별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방향에서는 계조 당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고, 전력소모가 감소하는 방향에서는 계조 당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증가시킨다.APL adjusts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per frame in consideration of power consumption.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per gray level is reduced, and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per gray level is increased.

예를 들어, (a)와 같이 작은 면적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계조 당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많게 한다. 그러면, 화면의 전체 휘도는 증가된다.For example, when the screen is displayed in a small area as shown in (a),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small,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per gray level is relatively high. Then,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screen is increased.

이와는 반대로, (b)와 같이 넓은 면적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계조 당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적게 한다. 그러면 전력소모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image is displayed in a large area as shown in (b),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per gray level is relatively small. This prevents excessive power consumption.

이 같은 원리로, APL에 따라 프레임별로 서스테인 개수는 미리 할당되어 있으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필요한 프레임을 선택해 영상 신호에 대해 서브필드 맵핑이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number of sustains for each frame is pre-assigned according to the APL. When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a required frame is selected and subfield mapping is performed on the image signal.

그런데, 종전의 구동 방법에서는 이 같은 APL에도 불구하고, 한 프레임에 속한 모든 서브필드의 유지 기간에서는 방전셀의 켜짐/꺼짐 유무와 상관없이 서스테인 전압이 모든 방전셀에 인가된다. 이 같은 경우, 한 프레임동안 사용되지 않는 서브필드에서도 서스테인 전압은 인가가 되므로, 쓸모없이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iving method, despite this APL, the sustain voltage is applied to all the discharge cells regardless of whether the discharge cells are turned on or off in the sustain period of all the subfields belonging to one frame. In such a case, since the sustain voltage is applied even in a subfield not used for one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s unnecessarily increased.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한 프레임동안 쓸모 없이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해서 소비전력을 줄이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this technical background, and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a sustain voltage from being applied unnecessarily for one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서브필드들(Subfields)을 포함하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APL)을 참조로 영상 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고,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제1 설정값 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값은 실제 계조와 상기 제1 설정값의 차이인 변경치를 참조로 변화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in units of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ields,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an image signal is provided. Mapping an image signal to a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and reducing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And adjusting the first set value to a reference value, wherein the first set value changes with reference to a change valu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y level and the first set value.

그리고, 상기 변경치 중 최대 변경치가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최대 변경치가 상기 제2 설정값과 같도록 상기 제1 설정값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ximum change value of the change values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first set value so that the maximum change value is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최대 계조는 1024이고, 상기 제2 설정값에 따른 계조 범위는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ximum gradation of the frame is 1024, and the gradation range according to the second setting value is 200.

상기 제1 설정값으로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게인으로 나눈 값으로 각 서브필드들에 재배열하 고, 상기 게인은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에 대한 할당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 가중치(G-max)의 비율(G-max/g-max)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adjusting to the first set valu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is rearranged in each subfield by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gain by the gain, and the gain is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image signal. It may be defined as the ratio (G-max / g-max) of the maximum gray scale weight G-max of the allocated frame to (g-max).

상기 제1 설정값으로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수를 늘려 줄 수도 있다.In the adjusting of the first set value, the number of the image data may be increased by multiplying the gain by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과, 복수의 서브필드들(Subfields)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영상 신호의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APL)을 참조로 영상 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맵핑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고,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제1 설정값 으로 조정하고, 상기 제1 설정값은 실제 계조와 상기 제1 설정값의 차이인 변경치를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된 픽셀들의 변경치를 참조로 변화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 plasm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in units of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s. The controller maps an image signal to a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the image signal, and assigns the image signal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a maximum gray scale of the image signal.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is reduced, and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video signal is adjusted to a first set value, and the first set value is a change valu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n actual gray level and the first set value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set valu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apparatus which changes with reference to a changed value of pixe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APL에 따라 맵핑된 각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재배열함으로써, 모든 서브필드를 온 시키므로, 무효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ll the subfields are turned on by rearranging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for each subfield mapped according to the APL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the number of the invalid sustain signals is reduced. Improve the efficienc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은, APL에 따라 영상 신호를 서브필드들에 맵핑한 다음에,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2는 이중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에 따라서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pping a video signal to subfields according to APL, and then rearranging the number of sustains per subfield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video signal. 2 illustrates a process of rearranging the number of sustains for each subfield according to the maximum gray level of a dual image signal.

S611 단계에서,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S61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mapped frame.

판단 결과,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보다 작은 경우에는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를 재배열한다(S612). 여기서, 재배열은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As a result, whe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mapped frame, the number of sustains for each subfield is rearranged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video signal (S612). Here, the rearrangement is performed in a direction of decreasing the number of allocated sustain signals.

반면에,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mapped frame, the step ends.

한편, 제 S611 단계에서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프레임의 최대 계조 (G-max)보다 큰 경우에 대해서는,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프레임의 최대 계조 (G-max)보다 크게 될 수는 없기 때문에 판단할 필요가 없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is greater tha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frame in step S611,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is the maximum gray level G- of the frame. There is no need to judge because it cannot be greater than max).

이 같은 구동 방법으로, 도 3에 예시된 화면을 실제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예시된 화면은 밤의 영상으로, APL이 40레벨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도 4의 (a)와 같이 APL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맵핑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4 및 이하의 설명에서, 각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는 계조 가중치와 동일 한 것으로 예시한다. In this driving method, a process of actually displaying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3 will be described.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3 is a night image and assumes that the APL is 40 levels.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subfields are mapped according to APL as shown in FIG. In FIG. 4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umber of sustains for each subfield is illustrated as being equal to the gray scale weight.

화면은 밤의 이미지이므로, 저계조에 해당하며, 하늘(800)의 계조가 가장 밝고 다른 산, 구름 등의 피사체의 계조는 하늘(800)의 계조보다 낮다. 따라서, 화면의 최대 계조는 하늘의 127계조가 된다. 그리고, 한 프레임에서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또는, 계조 가중치)는 도 4의 (a)와 같이 제 1 서브필드(SF1)부터 제 8 서브필드(SF8)까지 각각 2, 4, 8, 16, 32, 64, 128, 256개가 된다.Since the screen is an image of the night, it corresponds to a low gray level, and the gray level of the sky 800 is the brightest, and the gray level of a subject such as another mountain or cloud is lower than the gray level of the sky 800. Therefore, the maximum gradation of the screen is 127 gradations of the sky.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or gray scale weight) is 2, 4, 8, and 16 from the first subfield SF1 to the eighth subfield SF8,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 32, 64, 128, 256.

여기서,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는 127계조이므로,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7 서브필드까지는 온(On)되고, 제 8 서브필드는 오프(Off)된다. Here, since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is 127 gray levels, the first to seventh subfields are turned on and the eighth subfield is turned off.

한편, 이 프레임에 속한 서브필드들의 최대 계조는 256이다. 따라서, 이 경우 영상 신호, 즉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보다 작다.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subfields belonging to this frame is 256. Therefore, in this case,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video signal, that is, the video signal is smaller tha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mapped frame.

이러한 경우, 도 4의 (b)와 같이 복수의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제 1 서브필드(SF1)부터 제 8 서브필드(SF8)까지 각각 1, 2, 4, 8, 16, 32, 64, 128개로 재배열한다. 즉, 맵핑된 프레임(도 4의 (a))의 각 서브필드별로 할당된 서스테인의 개수를 게인(G-max/g-max)으로 나눈 값으로 재배열한다. 이 같은 재배열은 APL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가 127 계조이므로, 마지막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가 127(또는, 이와 유사한)인 프레임에 다시 맵핑해서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를 재배열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4,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subfields is respectively 1, 2, 4, 8, 16, from the first subfield SF1 to the eighth subfield SF8. Rearrange to 32, 64, 128. That is, the number of sustains allocated to each subfield of the mapped frame (FIG. 4A) is rearranged by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gain (G-max / g-max). This rearrangemen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APL. Since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image signal is 127 gray levels, the number of sustained sub-fields is re-mapped by remapping the frames having the gray scale weight of 127 (or similar) in the last subfield. Can be arranged.

결과적으로, 도 4의 (a)와 같이 영상 신호의 127계조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서브필드(SF1)부터 제 7 서브필드(SF7)까지를 온 시키고, 제 8 서브필드(SF8)를 오 프 시킨 것과 다르게, 재배열한 다음에는 동일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서 도 4의 (b)와 같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8 서브필드까지 모든 서브필드를 온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의 (a)와 (b)는 실질적으로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키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가 동일시 된다. 따라서 도 4의 (a)와 (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재배열 결과 모든 서브필드를 온(On)시키므로 무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a) of FIG. 4, the first subfield SF1 to the seventh subfield SF7 are turned on to implement 127 gray levels of the video signal, and the eighth subfield SF8 is turned off. Unlike the above, after rearranging, all subfields from the first subfield to the eighth subfield are turned on as shown in (b) of FIG. 4 to express the same gray level. Accordingly, the numbers of the sustain signals which generate sustain discharge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Figs. 4A and 4B. Therefore, while FIG. 4 (a) and (b) can realize substantially the same image, the sub-fields are turned on (on) as a result of the rearrangement, thereby reducing the reactive power consumption.

도 4의 (a)와 (b)를 비교하면 도 4의 (a)에서는 제 8 서브필드와 같이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에 따라 오프 서브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 도 4의 (a)에서 제 8 서브필드(SF8)에는 256개의 서스테인 신호가 할당되는데, 이 256개의 서스테인 신호는 서스테인 방전을 일으키지 않는 무효한 서스테인 신호이다. 이에 따라, 무효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When comparing (a) and (b) of FIG. 4, in FIG. 4A, an off subfield may exist according to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an image signal like the eighth subfield. In FIG. 4A, 256 sustain signals are allocated to the eighth subfield SF8, which is an invalid sustain signal that does not cause sustain discharge. As a result, the reactiv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반면에, 도 4의 (b)에서는 도 4의 (a)의 경우에 비해 게인(Gain)을 증가시켜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8 서브필드까지 모든 서브필드를 온 시키므로, 도 4의 (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무효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b) of FIG. 4, since all gains are turned on from the first subfield to the eighth subfield by increasing the gain compared to the case of (a) of FIG. While it is possible to realize substantially the same image as, the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invalid sustain signals.

여기서, 도 4의 (a)와 (b)의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비교하면, 도 4의 (a)에서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대략 512개이고, 도 4의 (b)에서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대략 256개로서, g-max/G-max 의 비율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Here, when the number of the assigned sustain signals of (a) and (b) of FIG. 4 is compared,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of FIG. 4 is approximately 512, and it is allocated from (b) of FIG.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is approximately 256,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decreases at a ratio of g-max / G-max.

또한, 도 4의 (a)와 (b)의 게인을 비교하면, 도 3의 (a)에서 구현하는 계조 는 대략 127계조이고, 도 4의 (b)에서 구현하는 계조는 대략 256계조로서, G-max/g-max 의 비율로 게인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ains of FIGS. 4A and 4B are compared, the gradation implemented in FIG. 3A is about 127 gradations, and the gradation implemented in FIG. 4B is about 256 grada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gain increases at the ratio of G-max / g-max.

이상의 설명에서는, 고계조가 화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해서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고계조가 화면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exemplifying a case where high gradation is not included in the screen. Hereinafter, a case where high gradation is included in the screen will be described.

도 5는 저계조 화면 일부에 고계조 화면이 포함된 화면과 이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준다. 히스토그램은 계조별 빈도수이다.5 shows a screen including a high gradation screen in a portion of the low gradation screen and a histogram thereof. The histogram is the frequency of each gray level.

도 5를 살펴보면, 히스토그램에서 대부분은 C 이하에서 계조가 분포하지만, 일부는 B계조의 빈도를 갖는다. A 계조는 화면 중 집(900)의 창문(910)에 해당하고, (a) 화면에서 최대 계조이다. 따라서, 하늘(800)과 다른 피사체의 계조는 낮은 반면에, 피사체 중 창문(910)의 계조는 하늘(800) 및 다른 피사체의 계조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a)의 화면에 대한 프레임의 히스토그램은 (b)와 같이 하늘(800) 및 다른 피사체의 계조, 즉 0계조부터 C계조까지는 빈도가 충분히 높고, 창문(910)의 계조, 즉 A계조의 빈도는 매우 낮은 형태이다.Referring to FIG. 5, in the histogram, most of the gray scales are distributed below C, but some have a frequency of B gray scales. A gray scale corresponds to the window 910 of the house 900 of the screen, and (a) is the maximum gray scale on the screen. Accordingly, the gray level of the sky 800 and other subjects is low, whereas the gray level of the window 910 among the subjects is excessively high compared to the gray levels of the sky 800 and other subjects. In this case, the histogram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a) is sufficiently high in the gradations of the sky 800 and other subjects, that is, the gradations of 0 to C, as shown in (b), and the gradations of the window 910, ie, A The frequency of gradation is very low.

이러한 경우에, 창문(910)의 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창문(910)의 계조를 히스토그램의 최대 값으로 설정한다면, 오프되는 서브필드의 개수가 증가함으로써 무효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무효 전력의 소모를 저감시키기 위해 이 화면(a)의 최대 계조를 A계조보다 낮은 B계조로 설정한다.In this case, if the gray level of the window 910 is set to the maximum value of the histogram because the area of the window 910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parts, the reactive power may increas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ubfields that are turned off.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onsumption of reactive power, the maximum gradation of this screen (a) is set to B gradation lower than A gradation.

다만, 이처럼 최대 계조를 낮추는 것은 화면의 화질을 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최대 계조를 많이 낮추면 낮출수록 소비전력을 줄이는 효과도 크지만 그에 비례해서 화질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lowering the maximum gradation may degrade the screen quality. In addition, as the maximum gradation is lowered much,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but the quality is deteriorated in proportion.

한편, 계조를 원래보다 낮춰서 표시하는 경우, 일정한 범위에서 계조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사람의 눈에 화질의 열화가 잘 인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1000 계조를 제1 설정값(계조를 낮춰서 표시할 수 있는 최대값으로 기 설정된 값임)인 850으로 낮추는 경우와, 900계조를 제1 설정값인 750으로 낮추는 경우에, 계조와 상관없이 양자는 동일한 범위(150 계조)에서 실제 계조가 변화기 때문에 양자 모두 화질의 열화가 잘 인지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radation is displayed lower than the original,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gradation within a certain rang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is hardly recognized by the human eye. For example, when the 1000 gray levels are lowered to 850, which is the first set value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displayed by lowering the gray scales), and when the 900 gray levels are lowered to the first set value, 750, the gray level is correlated with the gray scales. Without both, the actual gradation changes in the same range (150 gradations), so both are not well perceived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반면에, 1000계조를 제1 설정값인 750으로 낮추는 경우에는 계조의 변화 범위(250 계조)가 상기 예보다 크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가 상기 예보다 잘 인식된다. 이 같은 사실로, 계조의 변화 범위, 즉 실제 계조와 제1 설정값의 차이(이하, 제2 설정값)가 임계값을 넘어서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가 잘 인식됨을 알 수 있다. 실험적으로, 1024 계조를 표현하는 경우에, 제2 설정값의 임계치는 200이다. 따라서, 제2 설정값이 200을 넘어서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가 사람의 눈에 잘 인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ray scale is lowered to 750, which is the first set value,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is recognized better than the above example because the change range of the gray scale (250 gray scale) is larger than the above exampl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is well recognized when the change range of the gray scale, i.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y scale and the first set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se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Experimentally, when expressing 1024 gray scales, the threshold of the second set value is 200. Therefore,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is well recognized by the human eye when the second set value exceeds 200.

이 같은 배경에서, 제2 설정값에 따라서 제1 설정값을 변화시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픽셀별 계조의 변화 범위가 큰 경우에는 제1 설정값을 올려서 계조의 변화 범위를 줄여, 화질의 열화가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거나, 픽셀별 계조의 변화 범위가 작은 경우에는 제1 설정값을 내려서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In such a background, it is preferable to change and set a 1st setting value according to a 2nd setting value. That is, if the change range of gray level by pixel is large, the first set value is increased to reduce the range of gray level change so that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is not recognized or when the change range of gray level by pixel is small, the first set value is lowered. Effectivel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도 6및 도 7은 화면에서 제1 설정값을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예시한다. 도 6의 화면은 계조 변 화가 적은 경우이고, 도 7은 화면의 계조 변화가 큰 경우를 예시한다.6 and 7 illustrate screens corresponding to video signals constituting one frame in order to explain a method of correcting a first set value on the screen. The screen of FIG. 6 shows a case where the gray scale change is small, and 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gray scale change of the screen is large.

도 6에서 예시한 화면은, 밤 하늘 전체에 별이 고르게 떠 있는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따라서, 밤 하늘은 저계조에 해당이 되나, 별은 밤 하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밝기 때문에 포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포화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의 계조가 그 프레임의 최대 계조로 고정되는 것이다.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6 is a screen showing stars evenly floating in the entire night sky. Therefore, the night sky corresponds to the low gradation, but the star is a saturated region because it is relatively brighter than the night sky. That is, the gradation of pixels belonging to the saturation region is fixed to the maximum gradation of the frame.

따라서, 상술한 구동 방법에 따르면, 포화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의 실제 계조를 제1 설정값으로 내려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도 6에서 예시한 화면에 대한 제1 설정값이 800이고, 포화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의 실제 계조는 950이고, 제2 설정값은 200이라고 가정한다면, 실제 계조와 최대 계조의 기준값의 차이(950 - 800)(이하, 변경치)는 150이므로, 실제 계조 950을 800으로 내려 표시를 하게 된다. 그런데, 제2 설정값이 200이므로, 이 화면에 대해 제1 설정값을 800에서 750으로 내려, 실제 계조와 제1 설정값의 차이가 제2 설정값과 같도록 조정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 actual gray level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aturation region is lowered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display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setting value for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6 is 800, the actual gray level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aturation region is 950, and the second setting value is 200, Since the difference (950-800) (hereinafter, the changed value) is 150, the actual gray level 950 is lowered to 800 to be displayed. By the way, since the second set value is 200, the first set value is lowered from 800 to 750 for this screen,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dation and the first set value is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이처럼, 도 6의 화면에서는 제1 설정값을 종전 800에서 계조의 변화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인 750으로 내림으로써, 화질의 열화가 인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서스테인 개수를 줄여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creen of FIG. 6, the first setting value is lowered to 750, which is a range satisfying the change range of the gray scale from the previous 800, so that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is not recognized but the number of sustains can be effectively reduc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그리고, 도 7에서 예시한 화면은, 밤 하늘에 별과 달이 같이 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달이 별보다 상대적으로 밝기 때문에, 이 화면의 최대 계조가 된다.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7 shows that stars and moons are floating together in the night sky. Therefore, since the moon is relatively brighter than the stars, it becomes the maximum gray scale of this screen.

도 6의 조건과 동일하게, 제1 설정값이 800, 제2 설정값은 200이고, 최대 계조가 1050이라고 가정한다면, 최대 계조를 제1 설정값으로 내려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변경치(1050 - 800)가 250이므로, 허락되는 계조의 변화 범위를 넘어서게 된다. 이 같은 경우, 계조의 변화 범위에 맞춰서 제1 설정값을 850으로 올려서 재설정할 수 있고, 또는 원래의 제1 설정값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As in the condition of FIG. 6, if the first set value is 800, the second set value is 200, and the maximum gray level is 1050, the maximum gray level is lowered to the first set value and displayed. However, since the change value (1050-800) is 250, it is beyond the allowable change range of the gradation. In such a case, the first set value may be reset to 850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range of the gradation to be reset, or the original first set value may be maintained as it is.

제1 설정값을 올리는 경우에는 계조의 변화 범위에 맞춰서 제1설정값을 조정하였으므로, 화면의 열화가 조정전보다 적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제1 설정값이 커졌으므로 서스테인 개수는 늘어 소비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제1 설정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은 줄일 수 있으나, 화면의 열화는 조정 후와 비교해서 잘 인식된다.In the case of raising the first setting value, since the first setting valu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range of the gradation, the deterioration of the screen is less than before the adjustment, while the first setting value is increased, so the number of sustain increases to increase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first set value is maintained as it i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ut the degradation of the screen is better recognized than after the adjustment.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을 도 8의 흐름도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8 as follows.

S100 단계에서, 영상 신호의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APL)을 참조로 영상 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맵핑한다.In operation S100, the image signal is mapped to a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the image signal.

S200 단계에서,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인다.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게인으로 나눈 값만큼 줄일 수 있고, 영상 신호의 데이터는 게인을 곱한만큼 늘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는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으로 고정한다.In operation S200,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is reduced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image signal.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can be reduced by the value divided by gain, and the data of the video signal is preferably increased by multiplying the gain.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video signal is fixed to a preset reference value.

S300 단계에서, 포화 영역에 속한 픽셀들, 즉 실제 계조가 제1 설정값으로 변경된 픽셀들의 실제 계조와 제1 설정값의 차이를 카운팅해서, 각 픽셀별 변경치를 구한다. 여기서, 변경치는 제1 설정값으로 변경된 픽셀들의 실제 계조와 제1 설 정값의 차이이다. 이에 따라서, 포화 영역에 속한 각 픽셀들의 변경치가 구해지고, 이 중 변경치의 최대값을 추출한다.In operation S300, a difference value between each pixel is obtained by coun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y level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aturation region, that is, the pixel in which the actual gray level is changed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first setting value. Here, the change valu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y level of the pixels changed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first setting value. Accordingly, the change value of each pixel belonging to the saturated region is obtained,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change value is extracted.

S400 단계에서, 변경치가 제2 설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해서, 작은 경우에는 S500 단계를 진행해서 변경치가 제2 설정값과 동일하도록 제2 설정값을 재조정한다. 반면에, 변경치가 제2 설정값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하거나, 상술한 바처럼 S500 단계를 진행할 수도 있다.In step S4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 value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and if it is smal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0 to readjust the second set value so that the change value is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On the other hand, if the change valu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step may be terminated, or the operation S500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된 것으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module" and "uni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n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from each other.

도 9는 상술한 구동 방법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구동부가 스캔 전극 구동부(460), 서스테인 전극 구동부(470) 및 데이터 구동부(465)로 분할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lasma display device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driving method. Herein, the driver is divided into the scan electrode driver 460, the sustain electrode driver 470, and the data driver 465.

도 8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부(410), APL 계산부(415), 카운팅부(417), 히스토그램 생성부(420), 콘트롤러(425), 역감마 보정부(430), 게인조정부(435), 하프토닝부(440), 서브필드 매핑부(445), 데이터 정렬부(45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스캔 전극 구동부(460), 데이터 구동부(465), 서스테인 전극 구동부(470), 제1 신호 생성부(475) 및 제2 신호 생성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번호 485은 리모콘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8,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memory unit 410, an APL calculator 415, a counting unit 417, a histogram generator 420, a controller 425, an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430, and a gain adjusting unit. 435, half toning unit 440, subfield mapping unit 445, data alignment unit 450, plasma display panel 100, scan electrode driver 460, data driver 465, and sustain electrode driver ( 470, a first signal generator 475, and a second signal generator 480. Reference numeral 485 corresponds to a remote control.

메모리부(4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The memory unit 410 stores the first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PL 계산부(415)는 제1 영상 신호에서 APL을 계산한다. 즉, APL 계산부(415)는 메모리부(410)에 저장된 제1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APL을 계산한다.The APL calculator 415 calculates an APL from the first image signal. That is, the APL calculator 415 calculates an APL through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410.

카운팅부(417)는 컨트롤러(425)의 제어 하에, 실제 계조가 제1 설정값으로 변경된 픽셀들의 실제 계조와 제1 설정값의 차이를 카운팅해서, 각 픽셀별 변경치를 구한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5, the counting unit 417 cou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dation of the pixels whose actual gradation is changed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first setting value, and obtains a change value for each pixel.

히스토그램 생성부(420)는 메모리부(410)로부터 제1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각 계조값에 대한 빈도를 카운팅(counting)하여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histogram generator 420 counts the frequency of each grayscale value from the memory unit 410 through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histogram data.

콘트롤러(425)는 제1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제1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가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보다 작은 경우에는 맵핑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를 재배열한다. 콘트롤러(425)는 제1 영상 신호의 APL에 따라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게인으로 나눈 결과값으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다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트롤러(425)는 카운팅부(417)의 연산 결과를 참조로, 포화 영역에 속한 픽셀의 최대 변경치가 제2 설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해서, 작은 경우에는 변경치가 제2 설정값과 동일하도록 제2 설정값을 재조정해서 포화 영역에 속한 픽셀들의 계조를 재조정된 제2 설정값으로 고정한다.The controller 425 determines whether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first image signal is smaller tha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mapped frame, and thus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first image signal is determined. If it is smaller than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mapped frame, the number of sustains for each subfield is rearranged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mapped frame. The controller 425 may re-assign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s a result of dividing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according to the APL of the first video signal by the gain. The controller 425 determines whether the maximum change value of the pixel belonging to the saturation reg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with reference to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ounting unit 417. 2 Adjust the setting value to fix the gradation of pixels belonging to the saturation region to the readjusted second setting value.

역감마 보정부(430)는 제1 영상 신호에 대한 역감마 보정을 수행한다.The inverse gamma correction unit 430 performs inverse gamma correction on the first image signal.

게인조정부(435)는 제1 영상 신호의 데이터에 게인을 곱하여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게인은 제1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에 대한 맵핑되는 프레임의 최대 계조(G-max) 의 비(G-max / g-max) 로 정의된다. 게인 조정부(435)는 콘트롤러(425)의 제어 하에 제2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값을 기준값으로 고정 할 수 있고, 이 기준값을 넘어서는 제2 영상 신호의 계조값을 기준값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밀집도 계산부(420)가 제공하는 밀집도에 따라서 기준값을 가변시킨다. The gain adjusting unit 435 multiplies the gain of the first image signal by the gain and outputs the second image signal. Here, the gain is defined as the ratio (G-max / g-max) of the maximum gray scale (G-max) of the mapped frame to the maximum gray scale (g-max) of the first image signal. The gain adjusting unit 435 may fix the maximum grayscale value of the second video signal to the reference val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5, and may fix the grayscale value of the second video signal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to the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is varied according to the density provided by the density calculator 420.

하프토닝부(440)는 제2 영상 신호에 대해 오차 확산과 디더링을 수행한다.The half toning unit 440 performs error diffusion and dithering on the second image signal.

서브필드 매핑부(445)는 하프토닝부(440)로부터 출력된 제2 영상 신호에 대해 서브필드 맵핑을 수행하여 제2 영상 신호에 대한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subfield mapping unit 445 outputs subfield mapping data for the second image signal by performing subfield mapping on the second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half-toning unit 440.

데이터 정렬부(450)는 서브필드 매핑부(445)를 통하여 출력된 제2 영상 신호에 대한 서브필드 매핑 데이터를 입력받아 서브필드별로 재정렬하여 제2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data alignment unit 450 receives subfield mapping data of the second image signal output through the subfield mapping unit 445 and rearranges the subfield mapping data for each subfield to outpu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signal.

스캔 전극 구동부(460)는 콘트롤러(425)의 제어에 의해 서브필드의 리셋 기간에 방전 셀들의 벽전하 상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리셋 신호를 스캔 전극에 공급한다. 또한, 스캔 전극 구동부(460)는 서브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 온(on)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스캔 전극들에 공급한다. 또한, 스캔 전극 구동부(460)는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 콘트롤러(425)에 의하여 할당된 개수의 서스테인 신호를 스캔 전극들에 공급한다.The scan electrode driver 460 supplies the scan electrode with a reset signal for uniformizing the wall charge state of the discharge cells in the reset period of the subfiel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5. In addition, the scan electrode driver 460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scan electrodes for selecting a discharge cell that is turned on in the address period of the subfield. In addition, the scan electrode driver 460 supplies the scan electrodes with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by the controller 425 in the sustain period of the subfield.

데이터 구동부(465)는 어드레스 기간에 스캔 전극 구동부(460)가 공급하는 스캔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정렬부(450)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펄스를 어드레스 전극들에 공급해서 온(on) 셀들을 선택한다.The data driver 465 supplies data puls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data alignment unit 450 to the address electrod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can signal supplied by the scan electrode driver 460 during the address period. Select the cells.

서스테인 전극 구동부(470)는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 콘트롤러(425)에 의하여 할당된 개수의 서스테인 신호를 서스테인 전극(Z)에 공급한다.The sustain electrode driver 470 supplies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by the controller 425 to the sustain electrode Z in the sustain period of the subfield.

한편, 콘트롤러(425)는 외부로부터 게인을 변경시키는 신호, 즉 게인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콘트롤러(425)의 입력부는 콘트롤러(425)의 핀(pin)일 수 있다.The controller 425 may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 signal for changing gain, that is, a signal for requesting a change in gain. In this case, the input of the controller 425 may be a pin of the controller 425.

예를 들어, 콘트롤러(425)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제1 신호 생성부(475) 또는 무선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제2 신호 생성부(480)로부터 게인을 변경시키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1 신호 생성부(475)는 기준 계조값 또는 게인의 설정을 위한 제1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425 may receive a signal for changing a gain from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including the keypad or the second signal generator 480 including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That is,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outputs a first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reference gray value or the gain to the controller 425.

제 2 신호 생성부(480)는 기준 계조값 또는 게인의 설정을 위한 제2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한다. 제2 신호 생성부(480)는 리모콘(remocon)(485)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해당하는 제2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한다.The second signal generator 480 outputs a second setting signal for setting a reference gray value or gain to the controller 425. The second signal generator 480 outputs a second set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85 to the controller 425.

제 1 신호 생성부(475) 또는 제2 신호 생성부(48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된 설정 신호를 입력받은 콘트롤러(425)는 기준 계조값 또는 게인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준 계조값 120을 설정하기 위하여 제1 신호 생성부(475) 또는 리모콘(485)을 조작하며, 제1 신호 생성부(475)는 제1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하고, 제2 신호 생성부(480)는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제2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할 수 있다. 콘트롤러(425)는 설정되어 있는 기준 계조값 127을 120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기준 계조값에 따라 게인을 다시 계산하여 게인 조정부(435)로 출력한다. 게인 조정부(435)는 제1 영상 신호에 갱신된 게인 2.5를 곱하여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25 receiving the setting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or the second signal generator 480 may update the reference gray value or the gain. For example, a user manipulates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or the remote controller 485 to set the reference gray value 120, and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sends the first set signal to the controller 425. The second signal generator 480 may receive a wireless signal and output the second set signal to the controller 425. The controller 425 updates the set reference gradation value 127 to 120, recalculates the gain according to the updated reference gradation value, and outputs it to the gain adjusting unit 435. The gain adjusting unit 435 may output the second image signal by multiplying the updated gain 2.5 by the first image signal.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인 2.5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1 신호 생성부(475) 또는 리모콘(485)을 조작하면, 제1 신호 생성부(475)는 제1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하고, 제2 신호 생성부(480)는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제2 설정 신호를 콘트롤러(425)로 출력할 수 있다. 콘트롤러(425)는 설정되어 있는 게인 2를 2.5로 갱신하여 게인 조정부(435)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인 조정부(435)는 제1 영상 신호에 갱신된 게인 2.5를 곱하여 제2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a user operates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or the remote controller 485 to set the gain 2.5, the first signal generator 475 sends the first set signal to the controller 425. The second signal generator 480 may receive a wireless signal and output the second set signal to the controller 425. The controller 425 may update the set gain 2 to 2.5 and output the gain 2 to the gain adjusting unit 435. The gain adjusting unit 435 may output the second image signal by multiplying the updated gain 2.5 by the first image signal.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it is to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APL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L.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 방법 중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에 따라서 서브필드별 서스테인 개수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arranging the number of sustains for each subfield according to the maximum gray level of an image signal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예시한 화면이다.3 is a screen exemplified for explaining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영상 신호를 APL에 따라서 맵핑한 서브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block in which the video signal of FIG. 3 is mapped according to APL.

도 5는 저계조 화면 일부에 고계조 화면이 포함된 화면과 이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cluding a high gradation screen in a portion of the low gradation screen and a histogram thereof.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예시된 화면이다.6 and 7 are screens illustrated to explain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8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lasma display apparatus implementing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다수의 서브필드들(Subfields)을 포함하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A driving method of a plasm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fram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ields, 영상 신호의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APL)을 참조로 영상 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맵핑하는 단계; 그리고,Mapping the image signal to a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the image signal; And,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고,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제1 설정값 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and adjusting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to a first setting value; 상기 제1 설정값은 실제 계조와 상기 제1 설정값의 차이인 변경치를 참조로 변화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And the first setting value changes with reference to a change valu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n actual gray level and the first setting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변경치 중 최대 변경치가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최대 변경치가 상기 제2 설정값과 같도록 상기 제1 설정값을 조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And adjusting the first set value such that the maximum change value is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when the maximum change value of the change values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레임의 최대 계조는 1024이고, 상기 제2 설정값에 따른 계조 범위는 20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frame is 1024, the gray scale range according to the second set value is 200 driving method of the plasma display pane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 설정값으로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게인으로 나눈 값으로 각 서브필드들에 재배열하고, 상기 게인은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에 대한 할당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 가중치(G-max)의 비율(G-max/g-max)로 정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In the adjusting to the first set valu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is rearranged in each subfield by a gain divided by a gain, and the gain is the maximum gray level of the image signal. A driving method of a plasma display panel defined by the ratio (G-max / g-max) of the maximum gray scale weight (G-max) of the allocated frame to (g-max).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설정값으로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수를 늘려주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And adjusting the first setting value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image data by multiplying the gain by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전극과, 복수의 서브필드들(Subfields)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 단위로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A plasm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in units of frames includ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ubfields; 상기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A controller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상기 콘트롤러는,The controller, 영상 신호의 평균전력레벨(Average Power Level, APL)을 참조로 영상 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맵핑하고,The image signal is mapped to a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an average power level (APL) of the image signal.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참조로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고,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를 제1 설정값 으로 조정하고,Reduc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and adjust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video signal to a first setting value; 상기 제1 설정값은 실제 계조와 상기 제1 설정값의 차이인 변경치를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된 픽셀들의 변경치를 참조로 변화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first setting value changes a change valu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an actual gray scale and the first setting value, with reference to a change value of pixels adjust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setting valu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변경치 중 최대 변경치가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최대 변경치가 상기 제2 설정값과 같도록 상기 제1 설정값을 조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ontroller adjusts the first set value such that the maximum change value is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when the maximum change value of the change values is smaller than a second set valu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레임의 최대 계조는 1024이고, 상기 제2 설정값에 따른 계조 범위는 200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frame is 1024, the gray scale range according to the second set value is 200 plasma display device.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맵핑된 다수의 서브필드들에 할당된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게인으로 나눈 값으로 각 서브필드들에 재배열하고, 상기 게인은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계조(g-max)에 대한 할당된 프레임의 최대 계조 가중치(G-max)의 비율(G-max/g-max)로 정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The controller rearranges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mapped plurality of subfields by the gains, and rearranges the subfields to each of the subfields, and the gain is applied to the maximum gray level (g-max) of the image signal. And a ratio (G-max / g-max) of the maximum gray scale weight (G-max) of the allocated fram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수를 늘려주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number of the image data by multiplying the gain by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KR1020090044914A 2009-05-22 2009-05-22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1259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14A KR20100125937A (en) 2009-05-22 2009-05-22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14A KR20100125937A (en) 2009-05-22 2009-05-22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37A true KR20100125937A (en) 2010-12-01

Family

ID=4350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914A KR20100125937A (en) 2009-05-22 2009-05-22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593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117B1 (en) Display method of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124887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igh quality image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0441528B1 (en)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to enhance expression of gray scale and color, and method thereof
KR1005529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JP4160575B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1067041A (en) Driving device of plasma display, sub field converting method of plasma display, and plasma display device
KR20070005163A (en) Plasma display panel device
JP2006163283A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46606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address data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6012572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90179889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857069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00125937A (en)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KR101174717B1 (en) Method for reverse-gamma compensation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996412B1 (en) Expr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ray level of Plasma Display Panel
JP2001175220A (en) Gradation display processor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processing method
KR200400260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20100125936A (en)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EP1331625A1 (en) Driving method for a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144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518297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66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ng plasma display panel
JP2005308949A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KR1006125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940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verage Picture Level i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