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613A - Pillow for preventing snore - Google Patents

Pillow for preventing sn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613A
KR20100124613A KR1020090043713A KR20090043713A KR20100124613A KR 20100124613 A KR20100124613 A KR 20100124613A KR 1020090043713 A KR1020090043713 A KR 1020090043713A KR 20090043713 A KR20090043713 A KR 20090043713A KR 20100124613 A KR20100124613 A KR 2010012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noring
pillow
head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득영
윤성철
Original Assignee
송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득영 filed Critical 송득영
Priority to KR102009004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4613A/en
Publication of KR2010012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6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PURPOSE: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is provided, which can prevent snoring by making sleeper's head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when a sleeper snores. CONSTITUTION: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comprises: a pillow body holding up the head of the human body in sleep; a pair of air bags(20) which are placed at the right and left inside the pillow body and make contraction and expansion possible according to amount of the inserted air; an air pump(30) for controlling the air inserted into the air bag; a snoring signal sensing part(10) for sensing snoring sound; and a controller(40) controlling the air pump.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베개{Pillow for preventing snore}Pillow for snoring {Pillow for preventing snore}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여 수면자의 머리와 어깨가 좌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수면시 자연스럽게 코골이를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의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cting the snoring sound and inducing the sleeper's head and shoulders to be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revent snoring during sleep, thereby enabling a good night's sleep. It relates to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일반적으로 코골이란 수면 중 목 주위나 혀의 근육이 느슨해져 안쪽에 설근 등이 쳐져 기도를 좁히는 경우, 좁은 기도로 공기가 통과할 때마다 코나 목 속의 벽이 진동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Generally, snoring refers to the sound generated by vibration of the walls of the nose or throat whenever air passes through the narrow airway when the muscles around the neck or the tongue are loosened and the muscles of the tongue are hit.

수면자가 수면을 취할 때 코를 골게 되면 심장에 산소 흡입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심장에 큰 부담을 주는 수면무호흡증뿐만 아니라 자고난 후에도 피로감이 남게 되고 가족의 안면을 방해하게 되어 가족에게까지 고통을 안겨주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잠을 자다가 숨을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낮에 졸리고 정신집중이 안돼 일의 능률이 저하되는 주된 요인이다. 이와 같이 코골이 증상이 심한 사람은 평상시에 기억력이 떨어지고 짜증을 잘 내며 가정생활에도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당연히 운전중 사고의 위험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수면무 호흡증은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증 등 심각한 성인병의 발생빈도를 높이며, 숨이 멈추면 혈액의 산소량이 떨어지는데 저산소증이 가장 심할 때 심장박동은 가장 빨라져서 심근경색증이나 심각한 부정맥이 초래될 수 있고, 또한 근골격계의 피로가 회복되지 않고 오히려 피로가 더 쌓이게 되는 것이다.Snoring when a sleeper sleeps can lead to a lack of oxygen inhalation into the heart, which can put a lot of stress on the heart, as well as fatigue, which can cause fatigue even after sleeping and disturb the family's face. There is a discontinuity. In addition, sleep apnea, which stops breathing during sleep, is a major factor that decreases work efficiency due to sleepiness and lack of concentration during the day. As such, people with severe snoring symptoms usually have low memory, irritability, and problems with their home life. In addition, sleep apnea increases the incidence of serious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and when you stop breathing, the oxygen level in your blood drops. In addition, fatigu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is not recovered, but rather fatigue is accumulated.

하지만, 수면시의 코골이 증상은 수면시 머리나 어깨를 옆으로 하면 뛰어난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걸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베개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일반적으로 베개의 내부에 에어 펌프와 에어 주머니를 설치하여 베개를 좌우로 흔들어 줌으로서 사람이 머리가 옆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내부에 에어 펌프와 에어 주머니에 의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겨우 자동적으로 베게를 일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사용자의 목을 단순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좌우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 symptoms of snoring during sleep are known to show an excellent preventive effect when the head or shoulder to the side when sleeping, many pillows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is principle have been proposed. Anti-snoring pill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ing th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form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head to turn to the side by shaking the pillow from side to side by installing an air pump and an air bag inside the pillow. That is,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incline the pillow to one side only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by the air pump and the air bag inside, so as to simply incline the user's neck to the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베개는 코골이 여부와 사용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 오히려 편안한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람은 수면시 자연스럽게 몸을 뒤척이고, 일측으로 돌아눕는 경향이 있다. 이때, 일측 방향으로 목이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설근 등이 동일한 방향으로 쳐지게 되어 기도를 막음으로 인하여 코를 골게 될 때만 타측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However, the pillow of the above structure is to be operated according to a fixed time uniformly regardless of the snoring and the user's intention, r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disturbs comfortable sleep. In particular, a person tends to naturally turn over and turn to one side during sleep. At this time, when the neck is tilted in one direction, the lingual muscles, etc. are struck in the same direction, and thu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nly when the nose is snored due to blocking the airways.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단순히 목의 방향만 좌우측 으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목뒤의 경추가 뒤틀어짐으로 인하여 경추에 대한 자극이 심하여 오히려 신체의 구조적인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mply by inclining the direction of the neck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the cervical twist of the back of the neck, the stimulation to the cervical spine is severe, there is a risk of harming the structural health of the body.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단순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면자의 머리 방향을 좌우측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수면자의 코골이 상태나 신체적인 구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오히려 수면과 건강에 역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코골이의 상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로 수면자의 머리의 방향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mply consists of switching the head direction of the sleeper to the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and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snoring state or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sleeper, rather causing adverse effects on sleep and health.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caus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leeper's head in a form suitable for the snoring stat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면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여 코골이 소리의 방향에 따라 반대 측으로 수면자의 머리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코골이 상태에 따라 적합하게 작용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noring sound of the sleeper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sleeper to the opposite sid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noring sound to the user's snoring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which functions proper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면자의 머리를 포함한 어깨 부위까지의 방향을 좌우측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신체 구조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코골이를 예방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which is configured to switch the direction to the shoulder region including the sleeper's head from side to sid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snoring without burdening the body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목적은 코골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속도, 동작 형태 등으로 그에 적합한 방식을 동작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ring pillow for snoring in a manner suitable for various speeds, motion form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수면 시 신체의 머리를 받치는 베개 본체; 상기 베개 본체 내에서 좌우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삽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각각 수축과 확장이 가능한 한 쌍의 에어 주머니; 상기 각 에어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킴으로써 에어 주머니의 공기 삽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펌프; 상기 베개 본체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코골이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코골이 신호 감지부의 신호에 의해 신호가 강한 측의 에어 주머니에 공기를 더 주입시키도록 상기 에어 펌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수면자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측의 에어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시켜 수면자의 머리가 반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noring prevention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illow body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body when sleeping; A pair of air pocket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ow body and capable of contracting and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air to be inserted; An air pump for adjusting the air insertion amount of the air bag by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nto each air bag;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s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pillow body, respectively, for detecting snoring sou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pump to further inject air into the airbag on the side of which the signal is strong by the signal of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When the snoring sound of the sleeper is detected, the airbag of the corresponding side is det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noring by injecting air into the head of the sleeper to be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개 본체는 신체의 어깨까지 받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 주머니의 하측에서 좌우로 분리되는 한 쌍의 에어 주머니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어깨 부분이 모두 반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illow body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houlder of the body, and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air pocket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lower side of the air bag, both the user's head and shoulder portion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lose.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머니에는 에어 주머니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 주입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ir ba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inlet for injecting air from the outside or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in order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air bag.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신호 분석부가 구비되어 상기 코골이 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에서의 공기 주입 속도와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signal analyz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ring is configured to change the air injection speed and the shape in the air pump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

본 발명은 수면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여 코골이 소리의 방향에 따라 반대 측으로 수면자의 머리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코골이 상태에 따라 적합하게 작용하여 효율적으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noring sound of the sleeper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leeper's head to the opposite sid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noring sound, so that the user's snoring function properly to prevent snoring efficiently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수면자의 머리를 포함한 어깨 부위까지의 방향을 좌우측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신체 구조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witch the direction to the shoulder region, including the head of the sleeper to the left and right, can induce a comfortable sleep without burdening the body structur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징요 베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noring pillow according to.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코골이 신호 감지부(10)와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측으로 기울이기 위한 에어 주머니(20)와 상기 에어 주머니(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펌프(30)와 상기 신호 감지부(1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 펌프(30)를 제 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부드러운 천 재질의 본체 내부에 솜과 같은 쿠션 재질의 베개 속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60) 내부에 쿠션을 위한 베개 속이 에어 주머니(20)로 구성된다.1, the snor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10 for detecting the snoring sound of the user and the air bag 20 for tilting the user's head to the left and right. And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the air pump 30 by the signal of the air pump 30 and the signal detecting unit 10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bag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supply 50 for. Generally, a pillow is provided with a pillow-like cushion material inside a body of a soft cloth material,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llow inside the body 60 is configured for a cushion in the air bag 2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신호 감지부(10)는 수면시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마이크로 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폰(10)은 베게 본체(60)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입력되는 코골이 소리의 크기에 의하여 사용자의 현재 머리 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일측의 에어 주머니(20)의 공기 주입 또는 배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signal detection unit 10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as a small microphone to detect snoring sound when sleeping. The microphone 10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illow body 60, respectively, and determines the current head direc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volume of the snoring sound input, and accordingly the air injection or It will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discharge.

전술한 에어 주머니(20)는 외부와 밀폐된 주머니로 내부에는 소정의 양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되는 양측 주머니에는 동일한 양의 공기가 채워져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평상시 일반적인 베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주머니(20)의 일측에는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의 양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 주입구(21)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bag 20 is a bag sealed inside and outside, and the inside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and a pair of both sides of the bag is filled with the same amount of air to form a horizontal stat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usual general pillow. have. One side of the air bag 20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21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amount of air injected therein.

전술한 에어 펌프(30)는 후술하는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양측의 에어 주머니(20)에 대하여 일측의 에어 주머니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각 에어 주머니(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공기 이동 통로가 형성된다.The air pump 30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move air to the air bag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air bag 20 on both sides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located between each air bag 20. Preferably, the air movement passage for moving the air is formed therein.

전술한 컨트롤러(40)는 상기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상기 신호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코골이 소리를 이용 하여 상기 에어 펌프(30)를 구동시켜 상기 양측의 에어 주머니(20) 속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각 에어 주머니(20)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The controller 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noring pillow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air pump 30 is driven by using the snoring sound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unit 10. Adjust the air injection amount in the air bag 20. The head of the user is tilted to one side by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each air bag 20.

전술한 전원부(50)는 상기 마이크로 폰(10)과 에어 펌프(30), 컨트롤러(40)가 구동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5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microphone 10, the air pump 30, and the controller 4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본체(60)에 내부 양측에 에어 주머니(2a,20b)가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각 에어 주머니(20a,20b)의 일측에는 마이크로 폰(10a,10b)이 구비된다. 또한, 좌우측 에어 주머니(20a,20b) 사이에는 각 에어 주머니(20a,20b) 속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펌프(30)와 상기 에어 펌프(3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0), 전원부(50)가 함께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snoring pillow drive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ir bags 2a and 20b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pillow body 60, and each air bag 20a, One side of 20b is provided with microphones 10a and 10b. In add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air bag 20a, 20b, the air pump 30 for adjusting the air injection amount in each air bag 20a, 20b, the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the air pump 30, the power supply unit ( 50) together.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개 본체(60)는 표피는 부드러운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에는 스펀지나 메모리 폼과 같은 쿠션 재질이 부착되어 본체(60)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 펌프(30)나 컨트롤러(40), 전원부(50), 마이크로 폰(10)의 이질감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는 충전을 위한 전원 케이블이나 공기 주입을 위한 공기 주입구가 돌출될 수 있는 개폐구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pillow body 60 is made of a soft material of the outer skin and the cushioning material such as sponge or memory foam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pump 30 or the controller (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heterogeneity of the power supply unit 50, the microphone 10 is configured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ort for protruding a power cable for charging or an air inlet for air injection. .

상기 에어 주머니(20a,20b)는 내외부로 공기 유출입이 철저히 차단되도록 구 성되며, 베개 본체(60)를 좌우로 나누면서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에어 주머니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bags 20a and 20b are configured to completely block air inflow and outward, and are formed to form a pair while dividing the pillow body 60 from side to side, and a pair of air bags are preferably formed in one piece. .

상기 베개 본체(60)의 내부 좌우측에는 한 쌍의 마이크로 폰(10a,10b)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여 신호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컨트롤러(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에어 펌프(30)를 제어하여 일측의 에어 주머니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 pair of microphones (10a, 10b) is built into the left and right inside of the pillow body 6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user's snoring sound and to transmit to the controller 40 through a signal cable (not shown), the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air pump 30 to inject air into the air bag on one sid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to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반적인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 베개 좌우측 에어 주머니에는 동일한 양의 공기가 주입되어 서로 평형 상태를 이룬다. 이때 사용자의 머리는 평형 상태에서 천정을 향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면 중 사용자는 몸을 뒤척이게 되므로 일 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takes a sleep in a general state, the same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left and right airbags of the pillow to balan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user's head may face the ceiling in an equilibrium state, but in general, the user is inclined to one side because the user turns over the body during sleep.

이러한 상태에서 코를 고는 경우 베개 양측의 마이크로 폰(10a,10b)에서는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양측의 마이크로 폰(10a,10b)에서는 각각 다른 크기의 소리가 감지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코를 고는 경우 베개 좌측의 마이크로 폰(10a)에서 더 큰 소리가 감지된다. 이때 컨트롤러(40)에서는 마이크로 폰(10a,10b)에서 감지되는 소리의 크기에 의해 현재 사용자의 머리가 어느 측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판단하게 되며, 에어 펌프(30)를 제어하여 양측의 에어 주머니(20a,20b)에 주입된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When snoring in such a state, the snoring sounds are detected in the microphones 10a and 10b on both sides of the pillow. At this time, the microphones 10a and 10b on both sides detect different sounds. That is, when snoring while the user's head is tilted to the left as shown, a louder sound is sensed by the microphone 10a on the left side of the pillow.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which side the user's head is currently inclined by the volume of the sound detected by the microphones 10a and 10b, and controls the air pump 30 to control the air pockets 20a,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20b) is controll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코를 고는 경우 좌측의 마이크로 폰(10a)에서 더 큰 소리가 감지되며, 에어 펌프(30)는 도 5에서와 같이 우측 에어 주머니(20b)의 공기를 좌측 에어 주머니(20a)로 강제 이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공기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는 자연스럽게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코를 고는 경우에는 우측의 마이크로 폰(10b)에서 더 큰 소리가 감지되고, 컨트롤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에어 주머니(20a)의 공기를 우측 에어 주머니(20b)로 강제 이동시키도록 에어 펌프(30)를 제어하게 되며, 사용자의 머리는 자연스럽게 다시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s head tilts to the left and snoring, a louder sound is sensed by the microphone 10a on the left side, and the air pump 30 has the right air pocket as shown in FIG. 5. The air of 20b is forcibly moved to the left air bag 20a, and the movement of the air naturally inclines the user's head to the right. In addition, when snoring in a state inclined to the right side, a louder sound is sensed by the microphone 10b on the right side, and the controller 40 draws air from the left airbag 20a to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6. The air pump 30 is controlled to be forced to the air bag 20b, and the head of the user is naturally inclined again to the left side.

한편, 이러한 에어 펌프(30)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와 코골이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면시의 코골이 상태는 들숨과 날숨에 따라서 연속(連續)적으로 코를 골기도 하지만, 들숨의 경우 코골이 소리가 단속(斷續)적으로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몸을 뒤척이게 되고 동시에 코골이 소리가 멈출 수도 있다. 따라서 에어 펌프(30)는 사용자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에어 주머니(20a.20b)의 공기를 단속적으로 이동시켜 에어 주머니를 통하여 약간의 충격을 주면서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공기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컨트롤러(40)에는 에어 펌프(30)의 온 오프와 함께 동작 모드, 동작 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함께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mp 3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user's sleep state and snoring state. In other words, the snoring state during sleep may be snoring continuously in accordance with inhalation and exhalation, but in the case of inhalation, the snoring sound may be severely interrupted. In this case, even a slight shock from the outside may cause the user to turn over and at the same time stop snoring. Therefore, the air pump 30 may be configured to inject air while giving a slight impact through the air bag by intermittently moving the air in the air bag 20a. 20b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moving speed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Although not shown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er 40 is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and an operation speed with the on and off of the air pump 3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snoring pillow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에어 주머니(20)가 사용자의 머리 부분뿐만 아니라 어깨 부분이 모두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본체(60)는 사용자의 머리와 어깨를 모두 받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머리를 받치는 한 쌍의 에어 주머니(20a,20b)와 그 하측에서 어깨를 받치기 위한 다른 한 쌍의 에어 주머니(20c,20d)가 더 구비된다. 사용자의 머리는 경추에 의해 어깨 부위를 포함하는 등 부위와 연결되는데, 수면시 사용자의 머리만 반대 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경우 머리와 어깨의 뒤틀림에 의하여 경추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bag 20 can be inclined to both the head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user. That is, as shown, the pillow body 60 is configured to support both the user's head and shoulders, the inside of the pair of air bags (20a, 20b) supporting the head and shoulders from the lower side Another pair of air bags 20c and 20d for hitting are further provided. The user's head is connected to the back, including the shoulder area by the cervical spine. If only the user's head is tilted to the opposite side during sleep, the cervical spine may be exerted by the twisting of the head and shoulders.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는 마이크로 폰에 의해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두 개의 좌측 에어 주머니(20a 및 20c) 또는 우측 에어 주머니(20b 및 20d) 모두에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함께 어깨 부위까지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경추를 포함한 신체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코골이 소리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jects air into both the left airbags 20a and 20c or both the right airbags 20b and 20d when snoring sounds are detected by the microphone. Is inclined to one side to the shoulder area together with the user's head to prevent snoring sound efficiently while preventing the body from being applied to the body including the cervical spin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noring pillow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noring pillow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4 to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snoring pillow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10a,10b) : 신호 감지부(마이크로 폰)10 (10a, 10b): signal detector (microphone)

20(20a 내지 20d) : 에어 주머니20 (20a to 20d): air bag

30 : 에어 펌프30: air pump

40 : 컨트롤러40: controller

50 : 전원부50: power supply

60 : 베개 본체60: pillow body

Claims (4)

수면 시 신체의 머리를 받치는 베개 본체;Pillow body to support the head of the body when sleeping; 상기 베개 본체 내에서 좌우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삽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각각 수축과 확장이 가능한 한 쌍의 에어 주머니;A pair of air pocket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ow body and capable of contracting and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air to be inserted; 상기 각 에어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킴으로써 에어 주머니의 공기 삽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펌프;An air pump for adjusting the air insertion amount of the air bag by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nto each air bag; 상기 베개 본체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코골이 신호 감지부; 및Snoring signal detection units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pillow body, respectively, for detecting snoring sound; And 상기 코골이 신호 감지부의 신호에 의해 신호가 강한 측의 에어 주머니에 공기를 더 주입시키도록 상기 에어 펌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pump to further inject air into the airbag on the side of which the signal is strong by the signal of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수면자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측의 에어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시켜 수면자의 머리가 반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When snoring sound of the sleeper is detected,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noring by injecting air into the air bag of the corresponding side so that the head of the sleeper is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개 본체는 신체의 어깨까지 받치도록 구성되고,The pillow body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houlder of the body, 상기 에어 주머니의 하측에서 좌우로 분리되는 한 쌍의 에어 주머니가 더 구비되어,There is further provided a pair of air pockets separated from left and right at the bottom of the air pocket, 사용자의 머리와 어깨 부분이 모두 반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Snoring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user's head and shoulders are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에어 주머니에는 에어 주머니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 주입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The air bag is snoring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inlet for injecting air from the outside or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in order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air ba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컨트롤러에는 신호 분석부가 구비되어 상기 코골이 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에어 펌프에서의 공기 주입 속도와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signal analysis unit snoring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ange the air injection speed and the shape in the air pump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KR1020090043713A 2009-05-19 2009-05-19 Pillow for preventing snore KR20100124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13A KR20100124613A (en) 2009-05-19 2009-05-19 Pillow for preventing sn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13A KR20100124613A (en) 2009-05-19 2009-05-19 Pillow for preventing sn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613A true KR20100124613A (en) 2010-11-29

Family

ID=4340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713A KR20100124613A (en) 2009-05-19 2009-05-19 Pillow for preventing sn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4613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21B1 (en) * 2012-11-12 2013-11-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nti-snoring pillow
KR20160117909A (en) * 2015-04-01 2016-10-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On Internet of Things
KR101866169B1 (en) *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Personalize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KR101935722B1 (en) 2018-05-18 2019-04-03 김수형 All-In-One Function Pillow Device
WO2020122394A1 (en)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KR102272919B1 (en) 2020-10-07 2021-07-05 주식회사 텐마인즈 Apparatus for decreasing noise
KR102406918B1 (en) 2021-06-29 2022-06-10 김수형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CN114668276A (en) * 2022-05-24 2022-06-28 张弘毅 Pillow and VR equipment
CN116172800A (en) * 2023-03-03 2023-05-30 河北工业大学 Control method of air bag nursing pillow matched with turning-over movement
KR102632417B1 (en) 2023-07-06 2024-01-31 김수형 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WO2024039072A1 (en) * 2022-02-03 2024-02-22 박송범 Automatic height-adjustable pillow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21B1 (en) * 2012-11-12 2013-11-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nti-snoring pillow
KR20160117909A (en) * 2015-04-01 2016-10-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noring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On Internet of Things
KR101866169B1 (en) *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Personalize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KR101935722B1 (en) 2018-05-18 2019-04-03 김수형 All-In-One Function Pillow Device
WO2020122394A1 (en)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KR102272919B1 (en) 2020-10-07 2021-07-05 주식회사 텐마인즈 Apparatus for decreasing noise
KR102406918B1 (en) 2021-06-29 2022-06-10 김수형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WO2024039072A1 (en) * 2022-02-03 2024-02-22 박송범 Automatic height-adjustable pillow
CN114668276A (en) * 2022-05-24 2022-06-28 张弘毅 Pillow and VR equipment
CN114668276B (en) * 2022-05-24 2024-02-13 张弘毅 Pillow and VR equipment
CN116172800A (en) * 2023-03-03 2023-05-30 河北工业大学 Control method of air bag nursing pillow matched with turning-over movement
CN116172800B (en) * 2023-03-03 2024-05-17 河北工业大学 Control method of air bag nursing pillow matched with turning-over movement
KR102632417B1 (en) 2023-07-06 2024-01-31 김수형 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4613A (en) Pillow for preventing snore
KR101643545B1 (en)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US20100051037A1 (en) Clothes and method for preventing sleeping respiratory obstruction and/or decubitus
KR100711701B1 (en) Pillow for preventing respiration obstruction in sleep
JP2008173407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nd snoring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7283106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disordered breathing
KR101499437B1 (en) A Metris Operating Unit for Preventing Snoring
KR102406918B1 (en)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KR20120002384U (en) Massage pillow for anti-snoring
KR20100012528A (en) A snore free pillow
JP4175278B2 (en) Sleep apnea syndrome prevention device
KR20100119249A (en) A pillow for a snorer
KR20110008610U (en) Pillow for preventing snore
WO2015033008A1 (en) Mattress and posture correction appliance therefor
KR10094888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sleeping respiratory ob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8525191U (en) A kind for the treatment of of sleep disorders clothes
KR20110047395A (en) A pillow of preventing a snore
CN210727392U (en) Multifunctional pillow
JP3101466U (en) Anti-snoring pillow
CN209884479U (en) Anti-snoring pillow
CN206979641U (en) Snore stopping pillow
CN105434093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pillow and air inflation method
KR10095834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e
CN205626242U (en) Multi -functional intelligence pillow
JP2006094917A (en) Swing bed for enhancing sl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