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397A -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397A
KR20100124397A KR1020090043365A KR20090043365A KR20100124397A KR 20100124397 A KR20100124397 A KR 20100124397A KR 1020090043365 A KR1020090043365 A KR 1020090043365A KR 20090043365 A KR20090043365 A KR 20090043365A KR 20100124397 A KR20100124397 A KR 20100124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ntent
image
mobile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완
이상신
Original Assignee
서동완
이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완, 이상신 filed Critical 서동완
Priority to KR102009004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4397A/ko
Publication of KR2010012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전송받고,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한 후, 휴대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고,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자동 변경하는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기간(예: 일, 주, 월 등)에 사용자나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폰의 바탕화면을 자동적으로 바꾸어주어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이미지, 다운로드

Description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Method for changing a background picture of portable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기간(예: 일, 주, 월 등)에 사용자나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폰의 바탕화면을 자동적으로 바꾸어주는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폰을 소지 사용함에 따라 휴대폰 모델의 단순한 개발만으로는 수익창출 및 시장 점유 증대에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 부분에 대한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휴대폰을 소지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용의 복잡성, 고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전화통화, 메시지 전송, 전화번호부, 바탕화면 등록 등과 같은 간단한 기능만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상당수이다.
그 중 휴대폰의 바탕화면 변경 기능은 간단한 기능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휴대폰 기능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 또한 자주 바꾸는 것은 이미지의 선택, 편집, 저장 등 여러 단계 의 작업을 거치게 되어 사용자에게는 매우 귀찮은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특정 기간(예: 일, 주, 월 등)에 사용자 혹은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폰의 바탕화면을 자동적으로 바꾸어주는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변경방법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로부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고객의 휴대폰 단말기 번호와,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외부의 고객정보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고객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하는 단계, 휴대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 및,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자동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여 자동 변경 하는 단계는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이미지 변경 시간이 된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콘텐츠로 자동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 정보를 외부의 고객정보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는 정보 전달 시간 이전에 완료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정보는 휴대폰 단말기 번호, 서비스 제공자 코드, 모델코드(핸드폰 모델에 대한 정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코드), 요금제코드, 모델명,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는 동영상, 정지 영상,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대한민국 휴대폰 시장은 일반(유선) 전화 가입자 수보다도 많아졌으며, 그 인구는 2천만이 넘는 숫자로써 대규모 시장군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 바탕화면은 사용자에게 높은 노출 빈도수를 나타내며 고객과 가까운 노출 환경에 위치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의 첫 번째 장점은, 문화예술산업 분야 중 연예인 또는 상용화된 캐릭터들의 이미지를 콘텐츠로 삼아 고객이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창출해 낼 수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캐릭터의 이미지나 동영상은 인터넷을 통해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 지만, 해당 기술을 이용할 경우, 별도의 조작없이 연예인들이 직접 찍은 사진, 동영상 등을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바로 이용자들의 휴대폰에 보여줄 수 있는 시나리오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많은 사용자들이 존재하는 시장이라면, 공공기관의 공익광고 및 각종 캠페인에 대한 광고도 소화해 낼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이용한 새로운 광고 기법은 광고주들에게도 매력적인 광고 방법이 될 것이다. 2천만 사용자가 하루 열 번씩 휴대폰의 바탕화면을 보게 된다고 가정했을 때, 광고 노출 수는 총 2억번의 광고 노출 효과가 있다. 해당 기술은 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의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시스템을 예로 든 것이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101~103), 웹 서버(201~203), 게이트웨이(300), 고객정보 관리서버(400), 메인서버(500),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으로 된 것으로, 게이트웨이는 상황에 따라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101~103)는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동영상)를 제공하는 사업자(예: 연예 부문 콘텐츠 제공자) 또 는 광고주(예: 빈폴, 아우디) 서버로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동영상)를 결정하는 주체이며, 여러 서비스 제공자들이 해당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사업자(예: 연예 부문 콘텐츠 제공자) 서버인 첫 번째 모델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유료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기업에 소속된 연예인들의 사진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이 중 자신이 마음에 드는 연예인을 미리 선택하여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서비스를 통해 자동으로 제공받는다.
이에 대한 요금은 새로운 요금제를 통해 부과하거나, 부가서비스 요금제, 정액제, 또는 매 건마다 이용료를 부과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수익은 서비스 제공자와 이동통신사가 수입 배분한다.
서비스 제공자가 광고주(예: 빈폴, 아우디) 서버인 두 번째 모델의 경우는 바탕화면 자동변경 서비스에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료를 광고주가 지불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정부 또는 공공기관의 공익광고 또는 민간기업의 사업 등의 홍보를 위하여 동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휴대폰 사용자는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또는 의뢰자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사용료를 지불하는 형식이다.
콘텐츠에 따른 서비스 모델 간 비교는 다음과 같다.
구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의한 서비스 제공
(공익광고, 사업홍보 등)
서비스 제공자 수입 창출 사용료 제공
이동통신사 수입 창출 수입 창출
사용자 사용료 부담 수입 창출
* 서비스 무료 이용
업데이트 주기 사용자의 선택
(예: 일, 주, 월 등)
사용자, 제공자의 선택
(예: 일, 주, 월 등)
웹 서버(201~203)는 서비스 제공자(101~103)가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콘텐츠(예: 이미지) 관리 및 업로드, 콘텐츠(예: 이미지) 이력 관리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한다. 웹 페이지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가 요구하는 통계 데이터를 보여줄 수도 있다. 주요 기능은 메인 서버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300)는 메인 서버와 웹 서버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를 가공하여 서버가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담당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400)는 각 이동통신사마다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메인 서버(500)의 요청시 고객 정보(예: 휴대폰 단말기 번호,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를 메인 서버(500)로 제공한다.
메인 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01~103)로부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텍스트)를 전송받은 후, 본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정보(예: 휴대폰 단말기 번호,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 등)를 고객정보 관리서버(400)에 요청하여 전달받고,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전달받은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하고, 해당 휴대폰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휴대폰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여 휴대폰 단말기에서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게 한다.
콘텐츠(예: 이미지)가 다수개 있는 경우 각기 관리하며, 서비스 제공자(SP) 혹은 이동통신사가 정해놓은 특정시간이 되었을 때, 이미지를 전송하는 내부적 규칙을 정해야 하며, 정해놓은 특정시간에 각 사용자에게 이미지 전달 작업을 시작한다. 각 서비스 제공자마다 콘텐츠(예: 이미지)가 다르므로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의 콘텐츠에 대해 전술한 플로우를 따로 수행한다.
메인 서버는 사용자의 정보를 알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단말기기 정보(예: 단말기기의 화면 크기 정보)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단말기기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고 각기 다른 화면 사이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기의 화면 크기 정보를 꼭 필요로 하며, 화면 사이즈에 맞도록 이미지를 변환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이미지 변환 작업은 고객 정보를 얻기 전에 해도 되고, 얻은 후에 해도 상관없다. 이렇게 얻은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와 단말기기 정보를 통해 얻은 변환된 이미지를 가지고 사용자에게 이미지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달한다. 휴대폰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이미지를 전달받고 해당 이미지를 휴대폰 바탕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은 휴대폰 바탕화면으로 사용되는 콘텐츠(예: 이미지)의 변경을 위해,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메인서버(50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자동적으로 변경해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01~103)가 제공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텍스트)를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101~103)로부터 전송받는다.
다음, 본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정보(예: 휴대폰 단말기 번호,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 등)를 고객정보 관리서버(400)에 요청하여 전달받는다.
서비스 제공자(101~103)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고객정보 관리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한다.
다음, 휴대폰 바탕화면의 콘텐츠(예: 이미지) 변경을 위해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고,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은 콘텐츠 변경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자동적으로 변경해준다.
그 결과, 바탕화면 콘텐츠가 변경되어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
도 2의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시스템을 예로 든 것이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101~103), 웹 서버(201~203), 게이트웨이(300), 고객정보 관리서버(400), 메인서버(70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800),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으로 된 것으로, 게이트웨이는 상황에 따라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101~103)는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동영상)를 제공하는 사업자(예: 연예 부문 콘텐츠 제공자) 또는 광고주(예: 빈폴, 아우디) 서버로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동영상)를 결정하는 주체이며, 여러 서비스 제공자들이 해당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웹 서버(201~203)는 서비스 제공자(101~103)가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콘텐츠(예: 이미지) 관리 및 업로드, 콘텐츠(예: 이미지) 이력 관리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한다. 웹 페이지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101~103)가 요구하는 통계 데이터를 보여줄 수도 있다. 주요 기능은 메인 서버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300)는 메인 서버와 웹 서버 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를 가공하여 서버가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담당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400)는 각 이동통신사마다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메인 서버(700)의 요청시 고객 정보(예: 휴대폰 단말기 번호,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를 메인 서버(700)로 제공한다.
SMSC(800)는 SMS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일종의 SMS 전송 서버들의 통합서버로서, 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 서비스는 메인서버(700)가 휴대폰 단말기에게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 SMS를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은 SMS를 이용하여 서버-클라이언트간 명령을 전달할 경우에 대한 서비스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서버의 명령을 전달하는 도구로써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메인 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자(101~103)로부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텍스트)를 전송받고, 본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정보(예: 휴대폰 단말기 번호,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 등)를 고객정보 관리서버(400)에 요청하여 전달받은 후,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전달받은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하고, 해당 휴대폰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휴대폰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여 휴대폰 단말기에서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게 한다.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은 휴대폰 바탕화면으로 사용되는 콘텐츠(예: 이미지)의 변경을 위해,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메인서버(50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자동적으로 변경해준다.
도 3의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방법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먼저, 메인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 텍스트)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송받는다(S300).
다음,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미리 설정된 정보 전달 시간(예: AM 02시)이 된 경우, 본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 정보(예: 휴대폰 단말기 번호,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 등)를 고객정보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다(S301~S302).
고객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사용자정보
NAME DESCRIPTION
MDN 휴대폰 번호
SP_CODE 서비스 제공자 코드
MODEL_CODE 모델코드
CHARGE_CODE 요금제코드
모델정보
NAME DESCRIPTION
MODEL_NAME 모델명
MODEL_CODE 모델코드
LCD_SIZE LCD크기
한편, 상기한 바에 따라 고객 정보를 전달받은 후,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가 이미지나 동영상인 경우, 고객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한다(S303).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각 단말기의 화면 크기별로 미리 사이즈를 맞춰둘 필요가 있으며,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각 사이즈별로 최적화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이미지 정보
NAME DESCRIPTION
IMAGE CODE 이미지 코드
IMAGE SIZE 이미지 사이즈
IMAGE 실제 이미지
UPDATE_DATE 이미지 업데이트 시각
한편,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하면, 휴대폰 바탕화면의 콘텐츠(예: 이미지) 변경을 위해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고(S304), 콘텐츠 변경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601~603)은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S305).
그리고, 휴대폰 단말기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를 셋팅할 시간이 된 경우 바탕화면 콘텐츠를 변경하여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306 ~ S307).
도 4의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변경방법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자는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이미지를 게이트웨이로 업로드시킨다.
게이트웨이는 업로드된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이미지를 메인 서버로 전달한다. 다음, 고객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한다.
그런 후, 휴대폰 바탕화면의 이미지 변경을 위해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고,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콘텐츠 변경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예: 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셋팅할 시간이 된 경우 바탕화면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자동변경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자동변경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자동변경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바탕화면 이미지 자동변경방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103 : 서비스 제공자 201 ~ 203 : 웹서버
300 : 게이트웨이 400 : 고객정보 관리서버
500, 700 : 메인서버 601 ~ 603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800 : SMSC

Claims (4)

  1.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로부터 휴대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고객의 휴대폰 단말기 번호와,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외부의 고객정보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고객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사이즈를 변경하는 단계;
    휴대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 및
    휴대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 변경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자동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여 자동 변경하는 단계는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해당 휴대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이미지 변경 시간이 된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콘텐츠로 자동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 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는,
    휴대폰 단말기 번호, 서비스 제공자 코드, 모델코드, 요금제코드, 모델명, 휴대폰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화면에 들어갈 콘텐츠는,
    동영상, 정지 영상,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KR1020090043365A 2009-05-19 2009-05-19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KR20100124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65A KR20100124397A (ko) 2009-05-19 2009-05-19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65A KR20100124397A (ko) 2009-05-19 2009-05-19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97A true KR20100124397A (ko) 2010-11-29

Family

ID=4340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65A KR20100124397A (ko) 2009-05-19 2009-05-19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4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1210B2 (en) 2014-08-18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background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1210B2 (en) 2014-08-18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background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030B2 (en) User content sharing system and method with location-based external content integration
CN1326377C (zh) 用于共享利用数字媒体显示装置的图像的方法和系统
US7895078B2 (en) User-driven dat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6065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capabilities
JP2009534002A (ja) 複数のモバイル・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にカスタマイズされたコンテンツを送達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13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argeted Advertising During Commun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Provider
KR101463773B1 (ko) 송수신 단말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70378B1 (ko) Mo 서비스 기반 혜택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4397A (ko) 휴대폰의 바탕화면 자동 변경 방법
KR20200064524A (ko) Sns 기반 디지털 전자명함 생성 및 공유 장치
US20080275784A1 (en) Processes for automated digital distribution of content and products thereby
JP2008225863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
WO2012011646A1 (ko) 개인 방송 홈페이지 시스템
JP6834069B2 (ja) 役務提供支援システム
JP2007279791A (ja) Qrコードを用いた電子広告提供システム
US20180144519A1 (en) Event Digital Image Enhancement
JP201620811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101165414B1 (ko) 광고통화서비스 시스템
KR2003002828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KR101898820B1 (ko) 이미지 명함 서비스 시스템
KR20010094521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KR20010090618A (ko) 배너광고를 이용한 배너명함 및 인터넷 가상공간의사이버명함
JP2008250863A (ja) アクセスカードを用いたwebサイトの閲覧及び運営方法
KR20040063424A (ko) 모바일 광고 방법
KR20060113103A (ko) 모바일 이미지 합성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