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008A -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008A
KR20100124008A KR1020090043035A KR20090043035A KR20100124008A KR 20100124008 A KR20100124008 A KR 20100124008A KR 1020090043035 A KR1020090043035 A KR 1020090043035A KR 20090043035 A KR20090043035 A KR 20090043035A KR 20100124008 A KR20100124008 A KR 2010012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all
sphere
water
bal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054B1 (ko
Inventor
유성용
Original Assignee
유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용 filed Critical 유성용
Priority to KR102009004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0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8Ball cover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주입이 가능한 물놀이용 고무공으로서, 상기 고무공의 외형을 이루는 제1구체를 형성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고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가능케 하는 공기주입구; 상기 제1구체의 내부에 또 다른 제2구체를 형성하고 표면에 광고 또는 안내 문구와 그림이 인쇄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인쇄된 광고 또는 안내 문구와 그림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구체와 제2구체를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놀이, 고무공, 광고

Description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A Beach Ba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해변이나 수영장에서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고무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공의 내부에 광고 또는 안내용 문자 및 그림이 인쇄된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변이나 수영장에서 어린이 또는 일반 성인들의 물놀이 기구로서 공기주입식 고무공(일명 비치볼)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공은 일반적인 고무풍선에 비해 잘 터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 위에서 구명튜브를 대신할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발생시키므로, 해변이나 물 위에서 놀이용 공으로서 많이 사용된다.
한편,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공(200)에 제품 판촉을 위한 광고나 계몽용 문구(210)를 인쇄하여 무료로 나누어 줌으로써, 제품을 간접적으로 광고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놀이용 고무공은 해변이나 물 위에서 모래에 쓸리거나 바닷물이나 수영장의 소독제과 빈번하게 접촉하므로, 놀이용 고무공의 표면에 인쇄된 광고나 계몽용 문구가 오랫동안 원형 그대로 보존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나 계몽용 문구를 특수처리된 인쇄방법으로 고무공에 인쇄하거나 인쇄된 고무공의 표면을 코팅하여, 인쇄표면이 오래 지속되도록 하고 있으나, 고무공에 인쇄된 인쇄문구가 광고주나 제품제작의뢰인이 만족할 만한 정도로 오랫동안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공에 인쇄된 문구나 그림이 훼손되지 않고 오랫동안 그대로 유지되게 할 수 있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주입이 가능한 물놀이용 고무공으로서, 상기 고무공의 외형을 이루는 제1구체를 형성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고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가능케 하는 공기주입구; 상기 제1구체의 내부에 또 다른 제2구체를 형성하고 표면에 광고 또는 안내 문구와 그림이 인쇄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인쇄된 광고 또는 안내 문구와 그림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구체와 제2구체를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타원형태로 재단된 원단이 두 겹으로 겹쳐져 연결된 형태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의 내부에는 제3구체를 형성하는 또 다른 제2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물놀이용 고무공의 제조방법으로서, 타원 형태로 재단된 반투명 재질과 투명 재질의 원단을 교대로 연결하여 상기 고무공의 외형을 이루는 제1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에 공기주입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재단된 하나 이상의 제2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부재의 표면에 광고용 또는 안내용 문자와 그림을 인쇄하고, 다수의 구멍을 뚫는 단계; 및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 위에 중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제1부재의 양끝 테두리를 접합하여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고무공에 인쇄된 문구나 그림이 최초에 인쇄된 상태 그대로 보존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고무공에 인쇄된 광고나 상표를 사용자나 주변인들에게 영구적으로 주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공을 통한 상업광고 또는 공익광고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물놀이용 고무공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무공을 A-A방향에서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무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물놀이용 고무공(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포함하고, 공기주입구(30)와 보강부재(40)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부재(10)는 고무공(1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타원형으로 재단된 여러 개의 부분들(12, 14)로 이루어져 고무공(100)의 외형을 이루는 제1구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부재는(10)는 방수 및 기밀기능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 예의 제1부재(10)는 고무공(100)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반투명 부분(12)과 투명 부분(14)이 존재하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부재(120)의 모든 부분이 투명한 부분(14)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른 모양으로 투명 부분(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타원형으로 재단된 여러 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고무공(100)이 내부에 대체로 구형인 제2구체(완전한 구체가 아닐 수 있다)를 형성한다(도 3 참조). 한편, 제2부재(20)의 표면에는 제1부재(10)의 투명 부분(14)을 통해 여러 가지 문자나 그림이 표시될 수 있도록, 광고용 문구나 그림 또는 제품의 상표 또는 기타 홍보용 문구나 그림이 인쇄된다. 그리고 제2부재(20)에는 공기주입구(30)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제2부재(20)에 의해 형 성된 제2구체와 제1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제1구체 사이로 소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22)이 형성된다. 즉, 고기주입구(30)를 형성된 공기는 제2부재(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부풀려 제2구체를 형성한 후 또는 형성함과 동시에, 구멍(22)을 통해 제2부재(20)의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제1부재(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부풀려 제1구체를 형성한다.
공기주입구(30)는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공기소통용 통로와 마개를 구비한다.
보강부재(40)는 제1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제1구체의 연결부분(특히, 고무공(100)에서 양끝 부분)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구실을 한다. 따라서 보강부재(40)는 제1부재(10)의 접합방법이나 제조방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무공(100)은 제2부재(20)에 표시된 문자나 그림(24)이 제1부재(10)의 투명 부분(14)에 의해 표시되나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훼손 없이 또렷하고 깨끗하게 오랫동안 원형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무공(100) 자체 상표나 기타 다른 제품의 광고 등을 홍보하는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부재(20)에 시각성이 좋은 그림이나 무늬를 인쇄하여, 고무공(100)의 모양을 더욱더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고무공(100)의 제작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원단 일부분을(대체로 타원형태이다)을 상하로 배치하고, 제1부재(10)의 원단 테두리(즉, 타원의 테두 리)와 제2부재(20)의 원단 테두리를 접착제나 고주파 열 융착을 통해 접착시킨다. 이후,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접착된 여러 개의 부재를 이어 붙여 구체(공기 주입 전에는 대체로 뾰족한 타원체이다)를 만들고, 필요에 따라 보강부재(40)를 덧붙인다(참고로 이 과정은 통상적인 물놀이용 고무공 제작방법과 동일하다). 이렇게 완성된 고무공(100)에 공기를 주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이중 구조를 갖는 고무공(100)이 완성된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물놀이용 고무공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무공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참고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고무공(100)은 제2부재(20)의 배치형태가 제1실시 예와 다르며, 이에 따른 제작방법도 다르다. 즉 제2실시 예의 고무공(100)은 제1부재(10)를 구성하는 원단의 재단방향과 제2부재(0)를 구성하는 원단의 재단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게 하여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 예의 고무공(100)은 제2부재(20)가 제2구체를 단독으로 형성하도록 이어 붙인 후, 제1부재(10)가 이 제2구체를 둘러싸면서 제1구체를 형성하도록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제1실시 예와 달리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서로 접착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제1실시 예와 달리 제2부재(20)가 완전 한 구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제2구체가 제1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제1구체 안에서 자유자재로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삼중구조를 갖는 물놀이용 고무공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고무공(100)은 제2부재(20)에 의해 형성된 제2구체 안에 제3부재(26)가 또 다른 구체를 형성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다르다. 즉, 본 실시 예는 제2부재(20)의 일 부분을 제1부재(10)와 마찬가지로 투명 재질로 제작하고, 제2구체 안에 또 다른 구체를 형성시켜 전술된 실시 예들과 다른 기능과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 예는 고무공(100) 안쪽에 여러 개의 구체가 구성된 형태이므로, 사용자들로 하여금 전술된 실시 예들보다 차원 높은 입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물놀이용 고무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물놀이용 고무공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무공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무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물놀이용 고무공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무공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삼중구조를 갖는 물놀이용 고무공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물놀이용) 고무공 10: 제1부재
12: 반투명 부분 14: 투명 부분
20: 제2부재 22: 구멍
24: (광고용) 문자 또는 그림 26: 제3부재
30: 공기주입구 40: 보강부재

Claims (4)

  1. 공기주입이 가능한 물놀이용 고무공으로서,
    상기 고무공의 외형을 이루는 제1구체를 형성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고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가능케 하는 공기주입구;
    상기 제1구체의 내부에 또 다른 제2구체를 형성하고 표면에 광고 또는 안내 문구와 그림이 인쇄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인쇄된 광고 또는 안내 문구와 그림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구체와 제2구체를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타원형태로 재단된 원단이 두 겹으로 겹쳐져 연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의 내부에는 제3구체를 형성하는 또 다른 제2부재가 더 구비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4. 물놀이용 고무공의 제조방법으로서,
    타원형태로 재단된 반투명 재질과 투명 재질의 원단을 교대로 연결하여 상기 고무공의 외형을 이루는 제1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에 공기주입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재단된 하나 이상의 제2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부재의 표면에 광고용 또는 안내용 문자와 그림을 인쇄하고, 다수의 구멍을 뚫는 단계; 및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 위에 중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제1부재의 양끝 테두리를 접합하여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제조방법.
KR1020090043035A 2009-05-18 2009-05-18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035A KR101194054B1 (ko) 2009-05-18 2009-05-18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035A KR101194054B1 (ko) 2009-05-18 2009-05-18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008A true KR20100124008A (ko) 2010-11-26
KR101194054B1 KR101194054B1 (ko) 2012-10-24

Family

ID=4340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035A KR101194054B1 (ko) 2009-05-18 2009-05-18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0194A1 (en) * 2020-05-11 2021-12-02 Gary Kemp Apparatus integrating a zoetrope into an inflatable ball or symmetrical transparent object
USD977044S1 (en) * 2020-05-11 2023-01-31 Gary Kemp Inflatable zeotrope bal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936Y1 (ko) 2004-05-25 2004-09-06 박영섭 비치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0194A1 (en) * 2020-05-11 2021-12-02 Gary Kemp Apparatus integrating a zoetrope into an inflatable ball or symmetrical transparent object
USD977044S1 (en) * 2020-05-11 2023-01-31 Gary Kemp Inflatable zeotrope b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054B1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566858A (en) Swimming ring
US20060223411A1 (en) Lighter than air novelty figure
US20140273718A1 (en) Self-sealing balloon or bladder
KR101194054B1 (ko)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261561A1 (en) Toy ball
US1994202A (en) Aerial toy
KR200435034Y1 (ko) 완구딱지
CN206473735U (zh) 一种新型透明球玩具
US20070293120A1 (en) Picture frame balloon
CN209382216U (zh) 具有玻纤布中固粘接布片作为加强结构的充气桨板
CN209002965U (zh) 一种具有漂浮作用的泳衣面料
CN208193587U (zh) 一种尖头竞速充气桨板
CN205113668U (zh) 一种游泳项圈
KR102196476B1 (ko) 이미지 연출을 위한 교체식 장식패널
CN204775887U (zh) 两用充气躺椅
KR20200001992U (ko) 파티용 풍선 장식물
JP3173425U (ja) 表示用風船
JPH0119988Y2 (ko)
KR100364118B1 (ko) 표면에 입체감이 표현되는 간판
TWM313532U (en) Soft tennis ball with integral inflation valve
JP3239358U (ja) 表示付きスティックバルーン
KR200272575Y1 (ko) 애드벌룬
CN218839711U (zh) 一种可拆卸的双气囊充气桨板
CN214267919U (zh) 一种耐磨型游泳圈
CN213271206U (zh) 气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