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429A -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429A
KR20100123429A KR1020090042642A KR20090042642A KR20100123429A KR 20100123429 A KR20100123429 A KR 20100123429A KR 1020090042642 A KR1020090042642 A KR 1020090042642A KR 20090042642 A KR20090042642 A KR 20090042642A KR 20100123429 A KR20100123429 A KR 20100123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de
sound signal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919B1 (ko
Inventor
이상신
박성수
정구익
유재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1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해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에 출력하여 지향성 음향 신호를 형성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에 출력하여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음향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이어폰과 같은 장치를 휴대할 필요없이, 영상통화, DMB 등의 서비스 이용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중모드 스피커를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기능 동작에 상응하여 자동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스피커 모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다중모드 스피커, 지향성

Description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MULTI MODE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향성 기능까지 갖춘 스피커를 용이하게 구현하고, 이와 같은 다중모드 스피커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동작하는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피커란 전기적 신호를 공기의 진동으로 바꾸어 사람의 귀에서 소리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그 원리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다. 즉, 진동판이 있는 보이스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전류의 방향에 따라 보이스 코일 자체가 상하 운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과 연결된 진동판을 움직여 공기의 진동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때, 신호의 주파수와 전류의 힘에 따라 높고 낮은 소리, 작고 큰 소리가 다르게 나며 소리의 크기는 진동판이 움직이는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스피커 중에서 마이크로 스피커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이 소형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스피커로서 소리를 재생하는 원리는 일반 라우드 스피커와 동일하게 플레임의 왼손 법칙에 따르나, 진동판의 형상은 콘이나 돔 형태를 취하지 않고 있으며, 바깥쪽 부분에 그릴로 진동판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이 댐퍼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장치용의 마이크로 스피커는 음성통화와 같이 귀에 가까이 대고 통화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리시버(Receiver)와 화상통화와 같이 귀에서 30~40cm 떨어진 거리에서 통화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스피커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단말기의 작은 공간에 스피커와 리시버(Receiver)를 동시에 장착하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리시버(Receiver)와 스피커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스피커를 듀얼 모드 스피커라고 한다.
듀얼 모드 스피커에서 리시버(Receiver)와 스피커폰 모드 간의 전환은 제어신호에 의한 스위칭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임피던스는 8옴으로 고정되어 있어, 리시버(Receiver) 음압이 커지게 되므로 통화음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화상통화, DMB 등의 서비스를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 이용할 때, 기존의 스피커를 이용하게 되면 소리가 전방향으로 퍼져, 주변에 소음으로 작용하므로 이어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향성 스피커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기기에 지향성 스피커 기능까지 갖춘 다중모드의 스피커를 개발하여 이를 통한 신규한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시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향성 기능까지 갖춘 스피커를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기기에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향성 기능까지 갖춘 스피커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동작하는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해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에 출력하여 상 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형성하거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에 출력하여 상기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의 출력 또는 상기 무지향성 음향 신호의 출력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전기 신호를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부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 및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회로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한 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제 1 음향 신호 또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을 역위상으로 반전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피커의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착신의 경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스위치의 오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에서의 임피던스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여 착신 벨을 상기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부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성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 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발신의 경우,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성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엔터테인먼트로 기능하는 경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모드전환 요청에 응답하거나,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의 지향성을 다이폴(Dipole) 형 태 이외에 다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는, 전기 신호를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한 결과인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 1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 또는 상기 제 2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스피커는 상기 제 1 스피커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스피커는 상기 제 1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과 동일한 음향 출력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가 다이폴(Dipole) 형태의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스피커는 전화통화에 사용되는 리시버(Receiver) 기능 및 스피커 폰 기능을 구비하는 듀얼모드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스피커는 전화통화에 사용되는 리시버(Receiver) 기능 및 스피커 폰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을 역위상으로 반전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피커의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 간의 크기 및 위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의 지향성이 다이폴(Dipole)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원공급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달되 는 경우,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어느 한 스피커를 통해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다른 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하여 형성되는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지향성 음향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출력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 또는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판별 단계, 상기 판별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상기 전화통화의 수신을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 및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동작시켜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상기 리시버(Receiver) 모드 및 상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착신인 경우에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향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착신 벨을 상기 무지향성의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발신인 경우에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상기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 를 위한 상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향성 기능까지 갖춘 스피커를 용이하게 구현하고, 이와 같은 다중모드 스피커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동작하는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이어폰과 같은 장치를 휴대할 필요없이, 영상통화, DMB 등의 서비스 이용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모드 스피커를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기능 동작에 상응하여 자동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스피커 모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해 음원에 대한 전기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음향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110), 이동통신 단말장의 기능 동작(예컨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등)에 상응하여 상기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둘 이상의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 회로부에 전달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음향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기능 동작을 선택하거나 스피커 모드의 전환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에서의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110)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111),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둘 이상의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스피커부(111)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일례로 하여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스피커는 음원의 전기 신호를 사람이 가청할 수 있는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하며, 제 2 스피커는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스피커는 제 1 스피커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의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제 1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과 동일한 출력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의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하여 형성하는 지향성 음향 신호가 다이폴(Dipole) 형태의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스피커는 전화통화에 사용되는 리시버(Receiver) 기능 및 스피커 폰 기능을 구비하는 듀얼모드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스피커도 듀얼모드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 2 스피커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110)의 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전화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기능 및 스피커 폰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회로부(113)는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을 역위상으로 반전하여 제 2 스피커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및 제 1 스피커의 동작모드(예컨대, 리시버로 동작 또는 스피커 폰으로 동작 등)에 따라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크기를 가변하여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제 1 스피커가 출력하는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스피커가 출력하는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하여 형성되는 지향성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 간의 위상차가 180도로 이루어져 지향성을 최대로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실제 스피커 시스템 구현상에서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 간의 위상 및 출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제 1 음향 신 호 및 제 2 음향 신호 간의 크기 및 위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제 1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차이분만큼 조절하여 제 1 스피커로 전달한다.
또한,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제 1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절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 신호의 지향성이 다이폴(Dipole)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음향 제어부(12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전화통화로 기능하는 경우,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110)가 동작하는 모드인 리시버(Receiver) 모드,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및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중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스위치를 오프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에 전달하고, 임피던스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회로로 전달하여 제 1 스피커에 조절된 임피던스만큼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착신 벨을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착신 벨은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110)가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동작하여 어느 정도 이격된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귀까지 그 음향이 전달되어야 함에 따라, 음향 제어부(120)는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예컨대, 착신 벨이 사용자의 귀까지 전달될 수 있을 정도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회로로 전달한다.
이에,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예정된 레벨 이상의 임피던스로 조절되어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 함에 따라, 제 1 스피커는 착신 벨을 예정된 레벨 이상의 음향으로 출력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음향 제어부(120)는 전화통화가 음성통화인지 영상통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음향 제어부(120)는 상기의 판별결과가 음성통화인 경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한 후 리시버(Receiver) 모드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회로로 전달한다.
이에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제어신호에 따른 임피던스로 조절하여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제 1 스피커는 예정된 레벨 미만의 음향으로 출력한다.
한편, 음향 제어부(120)는 상기의 판별결과가 영상통화인 경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고,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로 전달하여 제 2 스피커로부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회로로 전달함에 따라 제 1 스피커로부터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음향 제어부(120)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모두 동작하도록 하여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음향 신호를 형성한 후,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음향 신호가 동기화되도록 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음향 제어부(120)는 발신으로 전화통화는 경우에는 착신 벨을 울릴 필요가 없으므로, 발신하는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를 판별한 다.
이후, 음성통화인 경우, 음향 제어부(120)는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설정하여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회로로 전달함에 따라,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의 크기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조절함에 따라 출력되는 제 1 음향 신호의 신호 크기를 제어한다.
한편, 영상통화인 경우에 음향 제어부(120)는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하여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에 전달함에 따라 제 2 스피커가 동작하도록 함에 따라 제 2 스피커로부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를 한다.
더불어, 임피던스 정합회로에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의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제 1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음향 신호의 신호 크기를 조절한다.
결국, 음향 제어부(120)는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음향 신호가 출력됨에 따르는 동기화로 인해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지향성 음향 신호 또는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이 실행되면, 동작하는 기능 과 관련한 스피커 출력이 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무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00 및 S102).
이후로, 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우에는 제 1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제 2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S104).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제 1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 1 음향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 2 스피커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제 1 음향신호와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신호를 출력한다(S106 내지 S110).
이후로, 제 1 음향신호 및 제 2 음향신호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져 지향성 음향신호가 출력된다(S112).
한편, 상기 S102 단계에서 무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우에는 제 1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형성된 후, 형성된 제어신호를 통해 제 1 스피커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 1 음향신호가 무지향성으로 출력된다(S114 내지 S120).
이후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스피커 출력을 요하는 소정의 기능을 종료하게 되면 상기의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된다(S12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전화통화 기능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라 구분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이 실행되면, 실행중인 기능의 종류가 어떠한 것인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200 및 S202).
모니터링한 결과가 전화통화를 위한 기능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DMB 시청, 게임 등을 실행하기 위한 엔터테인먼트와 관련한 기능인지에 따라 각각에 해당하는 이후의 프로세스가 진행된다(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전화통화를 위한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전화통화를 최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피커 제어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206).
이후로, 전화통화가 음성통화인지 영상통화인지를 구분하는 과정이 실행되고(S208), 전화통화가 음성통화인 경우에는 스피커 모드를 리시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음성통화하기에 용이한 리시버 모드의 음향신호를 출력한다(S210 및 S212).
한편, 전화통화가 영상통화인 경우에는 지향성 스피커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한다(S216).
상기 S204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엔터테인먼트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DMB 시청, 게임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최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스피커 제어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218).
이후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거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종료되면 이에 따른 스피커 제어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된다(S220).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전화통화 기능으로 동작하 는 경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시의 전화통화를 일례로 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착신하여 전화통화가 실행되는 경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한 후 이를 통해 착신 벨을 출력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300 및 S302).
이후로, 상기 착신 신호가 음성통화를 위한 것인지 영상통화를 위한 것인지를 판별한다(S304).
음성통화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장치(100)는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S306).
이후로, 사용자가 리시버(Receiver) 모드를 통해 음성통화를 지속하다가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또는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의 전환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S308).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모드전환 설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여 전환한 해당 스피커 모드를 통해 통화를 지속하게 된다(S310).
영상통화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착신 벨을 출력하고 있는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서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S312).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기능이 종료되면 이에 따른 스피커 제어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된다(S314).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장치(100)가 DMB 시청, 게임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400).
이후로, 이동통신 단말장치(100)는 단일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하는 엔터테인먼드에 대한 음향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2).
이후로, 사용자가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를 통해 해당하는 엔터테인먼트를 지속하다가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또는 리시버(Receiver) 모드로의 전환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S404).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모드전환 설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여 전환한 해당 스피커 모드를 통해 통화를 지속하게 된다(S406).
이동통신 단말장치(100)의 해당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종료되면 이에 따른 스피커 제어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된다(S408).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향성 기능까지 갖춘 스피커를 용이하게 구현하고, 이와 같은 다중모드 스피커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동작하는 상황에 따라 스피커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지향성 음향 신호 또는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기능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라 구분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장치 110 :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
111 : 스피커부 113 : 전원회로부
120 : 음향 제어부 130 : 입력부

Claims (33)

  1.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해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에 출력하여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형성하거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에 출력하여 상기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의 출력 또는 상기 무지향성 음향 신호의 출력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3. 전기 신호를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부를 포함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부; 및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회로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한 지향성 음향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제 1 음향 신호 또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을 역위상으로 반전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피커의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착신의 경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스위치의 오프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에서의 임피던스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 1 스피커에 상기 전원 을 공급하여 착신 벨을 상기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부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 성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발신의 경우,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미만으로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지향성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임 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엔터테인먼트로 기능하는 경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크게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모드전환 요청에 응답하거나,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의 지향성을 다이폴(Dipole)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음향출력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15. 전기 신호를 제 1 음향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한 결과인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 1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 또는 상기 제 2 스피커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피커는
    상기 제 1 스피커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피커는
    상기 제 1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과 동일한 음향 출력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가 다이폴(Dipole) 형태의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피커는
    전화통화에 사용되는 리시버(Receiver) 기능 및 스피커 폰 기능을 구비하는 듀얼모드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피커는
    전화통화에 사용되는 리시버(Receiver) 기능 및 스피커 폰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을 역위상으로 반전하여 상기 제 2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피커의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인입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 간의 크기 및 위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스피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향 신호의 지향성이 다이폴(Dipole)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23.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원공급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어느 한 스피커를 통해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다른 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위상과 역위상을 갖는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 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동기화하여 형성되는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지향성 음향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 1 음향 신호 또는 상기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25.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화통화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판별 단계;
    상기 판별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상기 전화통화의 수신을 위한 리시버(Receiver) 모드 및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을 동작시켜 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무지향성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상기 리시버(Receiver) 모드 및 상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착신인 경우에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향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착신 벨을 상기 무지향성의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무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31.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전화통화로 기능하며 발신인 경우에 상기 전화통화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음성통화인 경우, 상기 음성통화를 위한 상기 리시버(Receiver)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상기 지향성의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의 다중모드 음향출력 방법.
KR1020090042642A 2009-05-15 2009-05-15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KR10154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42A KR101548919B1 (ko) 2009-05-15 2009-05-15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42A KR101548919B1 (ko) 2009-05-15 2009-05-15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29A true KR20100123429A (ko) 2010-11-24
KR101548919B1 KR101548919B1 (ko) 2015-09-03

Family

ID=4340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642A KR101548919B1 (ko) 2009-05-15 2009-05-15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045A (zh) * 2017-12-18 2018-07-06 佛山市创思特音响有限公司 一种记录用户使用习惯的音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23B1 (ko) * 2006-03-21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045A (zh) * 2017-12-18 2018-07-06 佛山市创思特音响有限公司 一种记录用户使用习惯的音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919B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217B (zh) 无线音响设备
RU2411691C2 (ru) Аудиогарнитура
JP2009509400A (ja) 無線によるハンズフリーの家庭内通信装置及び方法
KR101122767B1 (ko)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98253A1 (en)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20080070516A1 (en) Audio data streaming with auto switching between wireless headset and speakers
US8923524B2 (en) Ultra-compact headset
CN101212556A (zh) 安装电话功能的电视系统及针对其的遥控器装置
KR100678166B1 (ko) 어쿠스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7467513B2 (ja) 端末、音声連携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
CN116033304B (zh) 一种音频输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090186579A1 (en) Wireless headset with character message output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utputting character message
KR102127209B1 (ko) 무선 이어셋 통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367581A (zh) 一种耳机装置、通话系统、设备及装置
CN106708466A (zh) 音频播放控制方法及装置
KR101548919B1 (ko) 다중모드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JP5376688B2 (ja) 電話装置、および通話転送方法
EP3886455A1 (en) Controlling audio output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20040038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전자기기와그를 이용한 착신정보 알림 방법
JP3112619U (ja) 携帯機器用のイヤホン装置
EP3082322B1 (en) Telephone device, telephone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10268407A (ja) 通話端末装置及び三者間通話方法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KR100671489B1 (ko) 홈씨어터를 이용한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