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268A - Led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Led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268A
KR20100123268A KR1020090042408A KR20090042408A KR20100123268A KR 20100123268 A KR20100123268 A KR 20100123268A KR 1020090042408 A KR1020090042408 A KR 1020090042408A KR 20090042408 A KR20090042408 A KR 20090042408A KR 20100123268 A KR20100123268 A KR 2010012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voltage
string
driving circuit
constan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268A/ko
Publication of KR2010012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전압레벨이 변동하더라도, 안정적으로 LED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LED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전압을 입력받아 일정한 전류량을 유지하는 구동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정전류 레귤레이팅부;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입력받는 스트링을 구비하는 LED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LED, 드라이빙, 정전류, 저항.

Description

LED 구동회로{LED DRIVING CIRCUI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를 가지고 있는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LED 소자는 반도체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PN 접합 구조를 가진 다이오드로서, PN 접합에서 전자와 홀이 결합할 때 여분의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나오는 소자이다. LED 소자를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와 제조공정에서 첨가된 불순물에 따라 LED 소자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아연 및 산소 원자에 의해서는 파장이 700 nm 인 적색빛이 LED 소자로부터 나오게 되며, 질소 원자에 의해서는 파장 550 nm 인 녹색빛이 LED 소자로부터 나오게 된다.
LED 소자는 기존의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고, 효율이 좋으며 고속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LED 소자는 최근에 액정표시소자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LED 소자를 백라이트 광원으로 사용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의 형광램프를 백라이트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색재현성, 수명등에서 보다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LED 소자가 가지고 있는 고휘도, 낮은 소비전력 및 긴 수명의 장점을 이용하여 조명장치에 LED 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LED 소자는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되는 다이오드이기 때문에, 반도체 공정의 특성상 생겨날 수 밖에 없는 제조공정상 오차를 가지고 있다. 같은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되더라도, 반도체 공정의 특성상, 예를 들어 웨이퍼 상의 위치에 따라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반도체 공정 장비의 특성에 따라서도 완성된 LED 소자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LED 소자의 특성이 균일하지 않다는 것은 하나의 제조공정서 제조된 LED 소자들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LED 소자를 이용하는 조명장치의 경우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조금만 변화하더라도, LED 소자의 특징상 조명장치에서 출력되는 빛이 크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 변화는 전술한 제조공정상 특징으로 인해 더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전압레벨이 변동하더라도, 안정적으로 LED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LED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전압을 입력받아 일정한 전류량을 유지하는 구동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정전류 레귤레이팅부;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입력받는 스트링을 구비하는 LED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LED 소자를 이용하는 장치에서 LED 소자를 안정적인 구동전류로 구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LED 소자를 포함한 장치의 동작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LED 소자를 사용하는 조명장치인 경우 입력전압이 변화하더라도 LED 조명장치에서 일정한 빛이 방출되어, 조명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LED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LED 구동회로는 브릿지 회로부(10), 저항(R1), 및 스트링(20)을 구비한다. 브릿지 회로부(10)는 4개의 다이오드(D1~D4)를 구비하여, 단상 입력전원(AC)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입력받아 스트링(20)에 정류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저항(R1)는 스트링(20)에 일정한 양의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소자이다. 스트링(20)은 다수의 LED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2개가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브릿지 회로부(10)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의해 저항(R1)을 통과하여 구동전류가 흐르게 되고, 구동전류가 스트링(20)을 관통하면서, 스트링(20)에 구비되는 LED 소자에서 빛이 출력된다.
도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LED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LED 구동회로는 브릿지 회로부(10), 캐패시터(C), 및 스트링(20)을 구비한다. 브릿지 회로부(10)는 4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단상 입력전원(AC)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입력받아 스트링(20)에 정류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캐패시터(C)는 스트링(20)에 일정한 양의 전류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소자이다. 스트링(20)은 다수의 LED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있다. 브릿지 회로부(10)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의해 캐패시터(R)와 스트링(20)에 구동전류가 흐르게 되고, 스트링(20)에 구비되는 LED 소자에서 빛이 출력된다.
도3은 도1 또는 도3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상 입력전원에서 제공되는 AC 전압이 입력되면, 브릿지 회로부(10)에 의해 정류되고, 정류된 전압에 의해 생성된 구동전류가 스트링(20)에 있는 LED 소자에서 빛이 출력되도록 한다.
전술한 LED 조명장치는 저항 또는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스트링에 있는 LED 소자에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우에는 입력되는 AC 전압의 전압레벨이 변동된다면, 저항 또는 캐패시터는 수동소자이기 때문에 스트링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도 변동이 생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상 입력전원에서 제공되는 AC 전압의 레벨이 변하게 되면(W 참고), 그에 따라 LED 구동전류의 전류량도 변하게 된다. LED 구동전류의 전류량이 변화하게 된다는 말은 LED 구동회로에서 출력되는 빛이 일정하지 못하고,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되는 AC 전압의 변동에 따라 출력되는 빛이 원하지 않았는데도 변하게 되면, LED 구동회로를 신뢰성 있게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LED 구동회로에 구비되는 LED 소자는 반도체 제조공정 특성상 일정한 특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입력되는 AC 전압의 변동에 따라 출력되는 빛이 원하지 않았는데도 변하게 되면, LED 구동회로에서 출력되는 빛의 변동이 더 심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AC 전압의 전압레벨이 변화하더라도, LED 소자에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은 일정할 수 있는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는 브릿지 회로 부(100), 저항(R), 정전류 레귤레이팅부(CCR), 및 스트링(200)을 구비한다. 브릿지 회로부(100)는 4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단상 입력전원(AC)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입력받아 스트링(200)에 정류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저항(R)은 역률이 개선되는 특성을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스트링(200)은 다수의 LED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2개의 LED 소자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5는 도4의 정전류 레귤레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정전류 레귤레이터는 액티브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특히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특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모스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등을 이용하여 정전류 레귤레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정전류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도7은 도5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브릿지 회로부(100)에 의해 정류된 전압으로 인해 생성된 구동전류가 정전류 레귤레이팅부(CCR)로 흐르게 되면, 정전류 레귤레이팅부(CCR)는 일정한 크기의 구동전류를 스트링(200)으로 제공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류 레귤레이팅부(CCR)은 일정한 전압레벨의 문턱전압(Vt)보다 더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량을 유지하는 구동전류를 스트링(200)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상 입력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이 변동되더라도, 정전류 레귤레이팅부(CCR)에 의해 일정한 전류량을 유지하는 구동전류가 스트링(200)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스트링(200)에 구비되는 LED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일정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LED 구동회로는 저항과 캐패시터와 같은 수동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일정한 구동전류를 안정적으로 LED 소자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조명장치로 적용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LED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LED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3은 도1 또는 도3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5는 도4의 정전류 레귤레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정전류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7은 도5에 도시된 LED 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브릿지 회로부 200: 스트링

Claims (5)

  1. 구동전압을 입력받아 일정한 전류량을 유지하는 구동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정전류 레귤레이팅부; 및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입력받는 스트링
    을 구비하는 LED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AC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구동전압으로 제공하기 위한 브릿지 회로부를 더 구비하는 LED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레귤레이팅부는
    액티브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레귤레이팅부는
    모스 트랜지스터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회로부와 상기 정전류 레귤레이팅부 사이에 배치된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회로.
KR1020090042408A 2009-05-15 2009-05-15 Led 구동회로 KR20100123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408A KR20100123268A (ko) 2009-05-15 2009-05-15 Led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408A KR20100123268A (ko) 2009-05-15 2009-05-15 Led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268A true KR20100123268A (ko) 2010-11-24

Family

ID=4340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408A KR20100123268A (ko) 2009-05-15 2009-05-15 Led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474A (ko) * 2013-05-14 2016-01-27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광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474A (ko) * 2013-05-14 2016-01-27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광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992B2 (en) Alternating current light emitting device
TWI477190B (zh) 發光二極體驅動裝置
US10234112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US20120049741A1 (en) Current balance scheme for driving led strings and the method thereof
US2008023162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backlight module and light source driving device thereof
WO2014172986A1 (zh) Led背光源及液晶显示装置
JP2010056314A (ja)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9013109B2 (e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with adjustable current settings and switch voltages
US8421721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US8525422B2 (en) Backlight apparatus
KR100994246B1 (ko) 엘이디 램프 구동회로
KR10188459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101387540B1 (ko) Led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US9210747B2 (en) Driver for driving LED backlight source, LED backlight source and LCD device
JP5322849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8531129B2 (en) Passive current balance driving apparatus
KR20100123268A (ko) Led 구동회로
US9585219B2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apparatus
KR101007034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00002474A (ko) 발광 장치
TWI429163B (zh) 被動式電流平衡驅動裝置
TWI437906B (zh) 具高運作可靠度之發光裝置與應用該發光裝置之光源系統
US20160102818A1 (en) Led-based lighting module using slow decay phosphor to reduce flicker
KR20120079339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류 조절 장치
KR20110026788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를 이용한 광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