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072A -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1072A KR20100121072A KR1020090040041A KR20090040041A KR20100121072A KR 20100121072 A KR20100121072 A KR 20100121072A KR 1020090040041 A KR1020090040041 A KR 1020090040041A KR 20090040041 A KR20090040041 A KR 20090040041A KR 20100121072 A KR20100121072 A KR 201001210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 call
- words
- mobile termina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화 연결에 따라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음성 인식된 데이터로부터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어들을 추출한 뒤, 해당 단어들을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함으로써, 추후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이전에 통화한 기록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연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통화, 음성 인식, 단어 저장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송수신 시 발생하는 음성을 인식하고, 그로부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추출한 후, 통화 기록에 함께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 시,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사람과 통화를 하였는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 휴대 단말기는 통화를 수행한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기록 즉, 통화 기록을 저장한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통화 기록 보기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록만을 제공하게 됨으로, 해당 통화 기록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정보 획득이 연상이 어렵다. 즉, 종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다른 사람과 통화를 수행한 사실에 대해서는 통화 기록으로부터 유추해 낼 수 있으나, 그 사람과 어떠한 통화를 하였는지를 기억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다른 사람과 어떠한 통화를 수행했는지 기억해내기 위해서 매우 긴 시간의 고민이나 또는 확인을 위해 재통화를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타 휴대 단말기 전화번호가 자신이 익히 알고 있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경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해당 전화번호를 가진 사람이나 주체에 대해서 기억해내지 못하기가 쉽다. 이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꼭 필요한 사람과 통화하였으나, 그 사람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통화 기록 전체를 일일이 검색하면서, 그때 상황을 떠올리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쏟아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저장 시, 통화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음성 인식으로 인식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기록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지원을 통해 기억 연상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통화 연결에 따라 송신되는 음성 신호 수신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로부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기록 저장 시, 함께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 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통화 연결 시 송신을 위한 음성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통화 연결에 따라 송신되는 음성 신호 수신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로부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기록 저장 시, 함께 저장 하는 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 내용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통화 기록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화 기록 관리 시스템은 통화 기록을 저장 관리하는 주체인 휴대 단말기(100), 휴대 단말기(100)와 통화를 수행하는 타 휴대 단말기(101),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타 휴대 단말기(101) 간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화 기록 관리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 또는 타 휴대 단말기(101)가 상대방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색인을 선택하고, 통화 연결을 위한 키 입력을 수행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200)을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와 타 휴대 단말기(101) 간에 통화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이 형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및 타 휴대 단말기(101)는 상기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음성을 송수신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101)는 단어 저장 기능 설정 여부에 따라 송수신되는 음성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특정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들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필터링된 단어들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통화 기록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타 휴대 단말기(101)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또는 타 휴대 단말기(10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타 휴대 단말기(101)는 음성 통화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무선주파수부(110)를 활성화하여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오디오 처리부(130)에 마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마이크가 수집한 음성을 인코딩하고,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한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처리부(130)에 전송하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수신된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단어 저장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가 수집하는 음성을 음성 인식하거나, 상기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130)에 전달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음성 인식된 정보들 중 일정 형태의 단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들에 대하여 기 설정된 조건 예를 들면 일정 빈도수 이상 추출되는 단어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일정 순위 이내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통화 기록 저장 시,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들을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는 터치 센서(153)가 생성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제어부(160) 제어 하에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서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는 단어 저장 기능 설정 여부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하여 음성 인식되고, 해당 음성 인식된 정보들은 일시적으로 저장부(150) 또는 제어부(160)에 마련된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특정키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 신호들을 제어부(160)에 전달하는데, 이때,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20)는 단어 저장 기능 설정을 온/오프하기 위한 입력 신호, 단어 저장 기능에 따라 일정 순위 내에 포함 된 단어들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통화 목록에 일정 단어가 함께 저장된 단어 저장 목록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특정 단어 저장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MIC)가 수집한 음성 신호는 단어 저장 기능 설정 여부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직접적으로 음성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신호 또한 단어 저장 기능 설정 여부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음성 인식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에 따라 마이크(MIC)가 수집한 음성 신호 및 상기 스피커(SPK)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음성 인식 목적을 위하여 제어부(160)에서 음성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단어 저장 기능 설정을 위한 화면, 단어 저장된 통화 기록을 검색하기 위한 화면, 단어 저장된 통화 기록만을 정렬한 화면, 추출된 단어들 중 자동으로 제외되는 단어들의 그룹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 특정 통화 기록에 대하여 저장할 단어 저장 선택 화면 등 단어 저장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단어 저장 기능 지원을 위한 통화 기록 관리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화 기록 관리 응용 프로그램은 마이크가 수집한 음성 신호 및 무선주 파수부가 수신한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루틴과, 음성 인식된 정보 중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 루틴, 추출된 단어들 중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선별하는 단어 선별 루틴, 선별된 단어들과 통화 기록을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고, 입력부에 제어에 따라 해당 통화 기록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리스트 관리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루틴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어부(160)에 로딩 되고, 각 루틴에 대한 프로그램 모듈로서 동작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음성 인식된 단어들을 인식하기 위한 단어 DB(Data Base)(151), 설계자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입력에 따라 단어 DB(151)에서 자동으로 제외되는 필터 DB(153), 추출된 단어들 중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단어들을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는 리스트 DB(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DB들은 단어 저장 기능 및 단어 저장 목록 검색 기능 지원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단어 저장 기능 및 단어 저장 목록 검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신호 흐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부(161), 단어 추출부(163), 단어 선별부(165), 리스트 관리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161)는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하는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 또는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가 수집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음성 인식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단어 저장 기능 설정에서 마이크(MIC)가 수집하는 음성 신호에만 해당 기능을 적용할 것인지 또는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한 음성 신호에만 해당 기능을 적용할 것인지, 마이크(MIC)가 수집하는 음성 신호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한 음성 신호 모두에 해당 기능을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별도의 사용자 변경이 없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지정된 구성이 수집하는 음성 신호에 단어 저장 기능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음성 인식부(161)는 다양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부(161)가 적용하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서 마이크(MIC) 또는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한 음성 신호는 16KHz로 샘플링 하고, 16bit로 양자화 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양자화된 음성 데이터는 일정 값의 전달함수로 사전 강조되고 25ms의 해밍 윈도우를 곱하여 10ms씩 이동하면서 분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성 특징 파라미터는 12차 LPC-MEL spectrum계수와 정규화된 대수 에너지에 1차 및 2차의 차분 성분을 포함하여 총 39차의 특징 파라미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음성 인식 모델은 모델의 각 상태위치마다 음소결정트리를 생성하고, 학습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SSS(Successive State Splitting : 이하 SSS)에 의해 문맥의존 음향모델의 상태열을 학습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태분할을 수행하는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SSS에 의해 분할할 상태를 선택하여 분할하는 동시에 전체 분할 가능한 상태에 대해 상태분할을 수행하고 우도가 최대가 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부(161)에서 적용되는 음향 모델은 은닉 마르코프 망이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부(161)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음성파를 주파수 분석하여 모음을 특징짓는 음역 또는 그것과 등가인 특징을 추출해서 분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인식부(161)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송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실시간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제어부(160) 또는 저장부(150)에 마련된 버퍼에 일시 저장한 이후, 저장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처리는 제어부(160)의 처리 용량 등에 따라 설계자의 의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성 인식부(161)는 다양한 알고리즘 및 방법을 적용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단어 추출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추출부(163)는 음성 인식부(161)가 인식한 음소 단위의 데이터가 어떠한 형태의 음절들을 구성하는지, 음절들이 어떠한 형태소를 구성하는지, 상기 형태소들이 어떠한 단어들을 구성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음절들, 형태소들로부터 일정 형태의 단어를 추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어 추출부(163)는 단어 DB(151)에 저장된 다양한 단어들을 기준으로 음절들 또는 형태소들의 집합이 특정 단어를 지시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음절들 또는 형태소들의 집합이 단어에 해 당하는 경우, 이를 추출한다. 이 과정에서, 단어 추출부(163)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어절 내에서 조사와 접속사를 제외하고 명사형 단어들만을 추출할 수 도 있고, 일정 단어와 조사가 합쳐진 어절 단위로 단어를 구분할 수 도 있다. 상기 단어 추출부(163)는 어절 단위 추출 시, 어절과 어절 사이에 발생하는 쉼 구간을 기준으로 어절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추출부(163)는 이렇게 추출된 단어를 단어 선별부(165)에 전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어 추출부(163)는 반복적으로 행해진 대화의 내용 중 색인이 될 수 있을만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사들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 있는 어절에 비하여 조사 등이 제외된 단어를 기준으로 추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단어 추출부(163)는 실질적으로 단어 DB에 저장된 다양한 음성 인식 지원을 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음성 인식부(161)의 구성에 포함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상기 단어 추출부(163)가 전달한 어절 단위로 구분된 또는 어절로부터 조사 등이 분리되어 추출된 단어들에 대하여 해당 단어들이 반복적으로 인식되는지를 검사하고, 반복된 단어들에 대하여 누적 횟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반복된 단어들을 누적 횟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단어들을 재배열하고, 재배열된 단어들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단어들을 자동 선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선별된 단어들은 상기 리스트 관리부(167)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우선순위에 따라 재배열된 단어들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표시부(140)에 출력된 단어들 중 입 력부(120)의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단어들을 기준으로 단어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우선순위에 따라 재배열된 단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들을 선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들은 리스트 관리부(167)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단어 선별 작업 과정에서 필터 DB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 DB는 단어 음성 인식부(161) 및 단어 추출부(163)가 추출한 단어들 중에 대화 내용을 지시할 수 없는 일반적인 단어들을 제외하도록 설정된 DB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필터 DB를 참조하여 단어 추출부(163)가 전달한 단어들 중에 상기 필터 DB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있는 경우, 해당 단어에 대한 누적 횟수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해당 단어에 대한 선별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 DB에 "안녕"이라는 단어와, "감사"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고,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데이터 내에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등의 정보가 있어서, 해당 데이터로부터 "안녕"과 "감사"의 단어가 추출되었다면, 상기 단어 선별부(165)는 상기 "안녕"과 "감사"에 대한 선별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관리부(167)는 상기 단어 선별부(165)가 전달한 선별된 단어들을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도록 지원하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단어들을 통하여 특정 통화 기록을 검색하거나, 상기 단어를 포함한 통화 기록들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이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상기 리스트 관리부(167)는 이러한 지원을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저장 기능 설정에 따라 단어 저장된 통화 기록 검색 및 선택에 따른 정보 표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단어 저장 기능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 결과에 따라, 앞서 설명한 단어 추출 및 선별 작업을 통하여 선별된 단어들을 해당 통화 연결에 따라 획득된 타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예를 들면 전화번호 기록과 함께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141 화면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제어하여 통화 목록 검색 요청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최근에 통화한 기록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각 통화 기록에 대하여 해당 통화 기록이 수신한 통화 기록인지 혹은 발신한 통화 기록인지, 메시지 수신 기록인지 등을 나타내는 41 정보 영역과, 통화 기록 시 수신된 또는 발신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43 정보 영역과, 해당 통화 기록이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는 45 정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43 정보 영역에는 전화번호 대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폰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특히, 45 정보 영역 중 특정 통화 기록에는 단어 저장 기록을 알리기 위한 단어 저장 아이콘(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화 기록은 단어 저장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 후 음성 신호가 송수신됨에 따른 기록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141 화면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통화 기록 즉, 단어 저장 아이콘(30)이 45 정보 영역에 출력되어 있는 통화 기록을 지정하여 하이라이트한 상태에서, 해당 통화 기록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보기 위한 특정 동작 예를 들면, "OK" 버튼을 활성활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14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통화 기록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표시부는 14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통화 기록에 포함된 전화번호 또는 색인 출력되는 전화번호 영역(31)과, 해당 전화번호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내역 즉, 통화 시각과 통화한 시간 정보가 출력되는 시간 정보 영역(33) 및 단어 저장 기능에 따라 저장된 단어들이 출력된 단어 목록 영역(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전화번호 영역(31) 및 시간 정보 영역(43)을 통하여 특정 전화번호와 언제 통화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단어 목록 영역(35)을 통하여 상기 전화번호 영역(31)에 개시된 특정 전화번호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와 어떠한 내용의 통화를 수행하였는지를 단편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단편적인 단어 목록들을 기반으로 어떠한 내용의 통화가 이루어졌는지를 전체적으로 연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어떠한 인물이었는지를 연상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단어 목록 영역(35)에 개시된 "도배, 장판" 등으로부터 해당 전화번호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도배 또는 장판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인물임을 짐작할 수 있고, "금액"이라는 단어로부터 도배와 장판 등과 관련하여 금액을 협상한 적이 있음을 가정적으로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시 간 정보 영역(43)에 개시된 시각 정보를 통하여 언제쯤 통화하였는지를 함께 유추한다면 보다 정확한 연상 작용을 통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가진 타 휴대 단말기 사용자를 거의 정확하게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저장 기능을 통하여 기록된 통화 기록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145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기록에 대한 검색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입력부 또는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해당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검색창 활성화를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검색창을 활성화한 이후, 입력부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창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검색창에 사용자가 최근 주로 검색한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출력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정보 출력을 위하여 해당 검색창을 지정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버블텍스트 또는 팝업창 등에 주로 검색되었던 다른 정보들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검색을 보다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145 화면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단어저장목록"을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창에 해당 정보를 기입한 이후, 선택 버튼 예를 들면 "OK" 버튼을 클릭하면, 표시부는 147 화면에서와 같이 단어 저장 기능에 따라 기록된 통화 기록들이 표시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표시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수/발신을 지시하는 41 정보 영역, 전화번호 또는 전 화번호에 대응하는 색인 정보가 출력되는 43 정보 영역 및 단어 저장 아이콘(20)이 출력되는 45 정보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147 화면에서의 표시부는 검색창에서 입력한 단어저장목록에 대응하도록 단어 저장 아이콘(20)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만을 전체 통화 기록에서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147 화면에서 첫 번째 줄에 나열된 통화 기록을 활성화하는 경우, 도 4의 14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통화 기록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어저장 목록만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어저장 목록 검색을 위한 검색 항목을 메뉴에 추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활성화할 경우, 해당 검색창을 145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검색창에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입력하고 "OK"버튼을 활성화하면, 입력된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단어저장목록들을 147 화면에서 출력할 수 있다. 즉, 147 화면에 출력된 단어저장 목록은 검색창에 입력된 단어 또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147 화면에서 메뉴 활성화에 따른 검색창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147 화면에서 메뉴 버튼을 활성화하고 검색창 항목을 활성화하여 145 화면에서와 같이 검색창 출력화면을 볼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검색창에 입력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어 저장 목록을 147 화면에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검색창 입력 신호에 따라 통화 기록 중 단어저장 목록 전체를 출력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검색창 및 검색창에 입력된 정보를 기준으로 단어저장 목록 중에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단어저장 목록만을 재 정렬하여 출력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필터 DB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필터 DB를 임의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필터 DB 편집을 위한 메뉴 항목을 신설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필터 DB 편집 화면은 설계자에 의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의 목록 예를 들면, "안녕하세요", "수고하세요", "엄마"등의 단어를 디폴트로 출력할 수 있고, 추가로 사용자 임의적으로 작성한 제외 단어 예를 들면 "우ㄹ(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 필터 DB 편집 화면에서 설계자가 임의적으로 작성한 단어들에 대하여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해당 단어들을 단어 선별 시 적용할지 여부를 빠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각 단어들에 대하여 체크 버튼(11)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 전체 체크 버튼(11)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버튼을 별도로 제공할 수 도 있다.
필터 DB 편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저장 등의 방법으로 편집된 필터 DB를 기준으로 단어 선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단어 선별부가 제공하는 단어 선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설명에 앞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단어 저장 기능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면, 송수신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성 인식과 단어 추출 및 단어 선별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단어 추출부는 단어 선별에 따라 우선순위를 가지는 단어들에 대하여 자동으로 일정 순위에 드는 단어들을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종료하기 위하여 통화 종료 버튼을 클릭하였거나, 통화 종료에 해당하는 기구적 동작을 수행하였거나,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통화 종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 저장을 위한 화면을 활성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어 저장 화면은 단어 저장 화면임을 지시하는 단어 저장 페이지(71), 단어 저장 기능을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색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73), 통화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 영역(75), 통화 연결 과정에서 일정 조건 예를 들면 음성 인식된 반복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을 가진 단어들이 출력되는 단어 선택 영역(77), 단어 선택 영역(77)에 출력된 각 단어들을 사용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크 박스(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선 택 영역(77)에 출력되는 단어들은 음성 인식된 반복 횟수가 큰 단어들이 빠른 번호를 가질 수 있도록 배열된다. 즉, 단어 선택 영역(77)에 출력된 단어 "화이트데이"는 "영행"에 비하여 보다 많이 음성 인식된 단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단어 저장 화면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통화 연결 동안 음성 인식된 단어들 중 자신이 원하는 단어들을 선택하여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를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그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부팅 과정을 수행한 이후, 각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S101 단계에서 초기화된 구성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대기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103 단계에서 통화 연결을 위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검출하고, 별도의 통화 연결을 위한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S105 단계로 분기하여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통 화 목록 표시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에 대하여 두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폰북에 저장된 색인 입력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통화 발신 상태와,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화 수신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 기능이 수행되면, 즉, 무선주파수부가 활성화되면, S107 단계에서 단어 저장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부팅 시, 설계자의 의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음성 통화 기능에 대하여 단어 저장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 직전에 단어 저장 기능을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가 단어 저장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면 단어 저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7 단계에서 단어 저장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단어 저장 기능 설정을 위한 팝업창에서 단어 저장 기능을 설정하지 않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 단말기는 S109 단계로 분기하여 일반 통화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통화 기능이란, 통화 중 별도의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고, 화자의 음성을 인코딩 과정을 거쳐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타 휴대 단말기가 전송한 음성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S1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단어 저장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S111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중 또는 통화 종료 후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중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마이크가 수집하는 음성 신호 및 무선주파수부가 수신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버퍼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부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하는 중에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한 뒤, 통화가 종료된 뒤에 저장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음성 인식이 완료된 녹음 데이터를 저장부에 삭제하여 메모리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인식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는 S113 단계에서 음성 인식된 데이터들 예를 들면, 음소, 적어도 하나의 음소로 구성된 음절, 적어도 하나의 음절로 구성된 형태소, 적어도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된 낱말 또는 단어,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어절을 구분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어절을 하나의 단어로 구분할 수 있으며 또는 어절에 포함된 명사 및 조사 중 조사를 제외한 명사만을 하나의 단어로 추출할 수 도 있다.
S113 단계에서 단어 추출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는 S115 단계로 분기하여 추출된 단어들 중 일정 조건 예를 들면 음성 인식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단어들을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단어 추출부가 전달하는 단어들에 대하여 중복되는 경우, 중복되는 만큼의 누적 횟수를 적용하고, 누적 횟수가 많은 단어들을 다른 단어들에 비하여 우선순위가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우선순위가 일정 순위 이상인 단어들을 자동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단어들을 현재의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도록 리스트 관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선별된 단어들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단어 저장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단어 저장 화면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단어 선별부가 제시한 단어들 중 사용자의 일정 조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추후에 연상하기가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단어들을 입력부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단어 선별부는 해당 선택된 단어들을 리스트 관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상기 단어 선별부는 S115 단계에서 저장부에 기 저장된 필터 DB를 기준으로 음성 인식된 단어들 중에 제외시킬 단어들을 선택할 수 있다. 필터 DB에 포함된 단어들은 별도의 누적 횟수 적용이 되지 않고 무시된다.
다음으로, S11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관리부는 S115 단계에서 선별된 단어들을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한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추가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저장된 단어가 함께 저장된 통화 기록을 사용자 검색 요청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어가 함께 저장된 특정 통화 기록을 선택하면, 해당 통화 기록에 관한 정보 즉, 전화번호, 통화 시간 정보 및 저장된 단어들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서비스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통화 연결에 따라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음성 인식된 데이터로부터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어들을 추출한 뒤, 해당 단어들을 통화 기록과 함께 저장함으로써, 추후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이전에 통화한 기록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연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기록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가 저장된 통화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가 저장된 통화 목록 검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선별에 적용되는 필터 DB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선별에 적용되는 단어 저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21)
-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상기 통화 연결에 따라 송신되는 음성 신호 수신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로부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기록 저장 시, 함께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음성 인식하는 과정은휴대 단말기의 마이크가 수집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가 수신하여 디코딩된 후 스피커에 출력될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은음성 인식된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를 추출하는 과 정;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어절을 추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된 단어 중 중복되는 단어들의 누적횟수를 검출하는 과정;누적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과정;일정 순위 이내에 포함되는 단어들만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저장하는 과정은상기 자동으로 선별된 단어를 저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된 단어들을 일정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상기 출력된 단어들 중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단어를 선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저장하는 과정은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선별된 단어를 저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추출된 단어 중 기 설정된 단어들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추출에서 제외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화 연결 직전에 단어 저장 기능을 활성화 여부 확인을 위한 팝업창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화 기록을 출력하는 과정;단어가 함께 저장된 통화 기록과 단어가 저장되지 않은 일반 통화 기록이 구별되도록 상기 단어가 함께 저장된 통화 기록에 아이콘을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검색창에 특정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 기록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 통화 연결 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통화 연결 시 송신을 위한 음성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부;상기 통화 연결에 따라 송신되는 음성 신호 수신되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로부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기록 저장 시, 함께 저장하는 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단어 추출부는음성 인식된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로 구성된 어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추출된 단어 중 기 설정된 단어들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추출에서 필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된 단어 중 중복되는 단어들의 누적횟수를 검출하고, 누적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부여한 후, 일정 순위 이내에 포함되는 단어들만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단어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리스트 관리부는상기 자동으로 선별된 단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추출된 단어들을 일정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단어들 중 사용자 제어에 따라 단어를 선별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리스트 관리부는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선별된 단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통화 연결 직전에 단어 저장 기능을 활성화 여부 확인을 위한 팝업창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통화 기록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표시부는단어가 함께 저장된 통화 기록과 단어가 저장되지 않은 일반 통화 기록이 구별되도록 상기 단어가 함께 저장된 통화 기록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특정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창 및상기 입력된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 기록을 출력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록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0041A KR20100121072A (ko) | 2009-05-08 | 2009-05-08 |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0041A KR20100121072A (ko) | 2009-05-08 | 2009-05-08 |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1072A true KR20100121072A (ko) | 2010-11-17 |
Family
ID=4340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0041A KR20100121072A (ko) | 2009-05-08 | 2009-05-08 |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107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4419A (ko) * | 2014-02-11 | 2015-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화 기록 제공 장치 및 방법 |
KR20160032355A (ko) * | 2014-09-15 | 2016-03-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
-
2009
- 2009-05-08 KR KR1020090040041A patent/KR2010012107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4419A (ko) * | 2014-02-11 | 2015-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화 기록 제공 장치 및 방법 |
KR20160032355A (ko) * | 2014-09-15 | 2016-03-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11758B2 (ja) | 音声対話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 |
US11990135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hybrid speech recognition processing | |
US10079014B2 (en) | Name recognition system | |
KR102108500B1 (ko) | 번역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CN110049270A (zh) | 多人会议语音转写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 |
CN102117614B (zh) | 个性化文本语音合成和个性化语音特征提取 | |
CN106251869B (zh) | 语音处理方法及装置 | |
CN112513833A (zh) | 用于基于预先合成的对话提供人工智能服务的电子设备和方法 | |
US20040064322A1 (en) | Automatic consolidation of voice enabled multi-user meeting minutes | |
CN104252464B (zh) | 信息处理方法和装置 | |
CN109801648B (zh) | 消息弹窗语音编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CN107040452B (zh) |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JP2006190296A (ja) |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テキスト抽出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 |
CN102984666B (zh) | 一种通话过程中的通讯录语音信息处理方法及系统 | |
GB2323694A (en) | Adaptation in speech to text conversion | |
JP7116088B2 (ja) | 音声情報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EP268293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user voice in mobile terminal | |
CN109144458A (zh) | 用于执行与语音输入相对应的操作的电子设备 | |
EP4393144A1 (en) | Determination and visual display of spoken menus for calls | |
CN105302335B (zh) | 词汇推荐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JP2010026686A (ja) | 統合的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対話型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 |
KR102666826B1 (ko) | Stt를 활용한 화자구분 시스템 | |
KR20100121072A (ko) |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CN104021151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
CN111274828B (zh) | 基于留言的语言翻译方法、系统、计算机程序和手持终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