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54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54A
KR20100120054A KR1020090039053A KR20090039053A KR20100120054A KR 20100120054 A KR20100120054 A KR 20100120054A KR 1020090039053 A KR1020090039053 A KR 1020090039053A KR 20090039053 A KR20090039053 A KR 20090039053A KR 20100120054 A KR20100120054 A KR 2010012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casing
washing
rotating dr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욱
김지희
박선영
구본권
장재원
강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054A/ko
Priority to PCT/KR2009/005186 priority patent/WO2010128731A1/en
Priority to US13/260,123 priority patent/US9567700B2/en
Publication of KR2010012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2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having one rotary cleaning receptacle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1Reclaiming or recovering the solvent from a mixture of solvent and contaminants, e.g. by distilling
    • D06F43/085Filtering arrangements; Filter cleaning; Filter-aid powder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 D06F43/088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세탁과 드라이크리닝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에 마련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수공급부와;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드라이크리닝 용제를 공급하는 용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용제공급부, 용제회수부, 필터부, 필터카트리지,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 device conducting cloth and A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물세탁과 드라이크리닝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통칭하여 이르는 명칭이며, 최근에는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세탁기의 경우 그 내부구조에 따라서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로 구분되고, 건조기의 경우 드럼형 건조기와 캐비닛형 건조기로 구분된다.
특히 종래의 드럼세탁기의 경우, 그 내부구조를 보면, 케이싱과, 고정조, 고정조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드럼 및 회전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관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공급관은 물세탁을 위한 분말세제가 액체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세제함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고 드럼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세탁수과 섞인 세제가 회전드럼 내부로 공급되고, 이후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이 낙하하면서 세탁과정이 수행되고, 이후, 헹굼과정 및 탈수과정이 수행된다.
탈수까지 완료된 세탁물의 경우 세탁기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건조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건조되기도 하고, 건조기로 옮겨져서 건조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의 물세탁 및 건조과정만 수행하였고, 그에 따라 물세탁으로 처리할 수 없었던 지용성 때나 얼룩을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드라이크리닝 세탁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며, 최근 드라이크리닝이 필요한 세탁물의 사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드라이크리닝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세탁 뿐만 아니라 드라이크리닝세탁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에 마련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수공급부와;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드라이크리닝 용제를 공급하는 용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제공급부는 용제가 수용되는 용제수용부와; 상기 용제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쪽으로 용제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용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드럼내부에 분사되는 용제를 회수하는 용제회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제회수부는 회수되는 용제를 상기 용제수용부로 안내하는 용제회수관과; 상기 용제회수관과 연결되어 회수되는 용제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회수부는 회수되는 용제가 기체상태로 회수되는 경우 이를 응축시켜 상기 용제수용부로 액체상태로 유입되도록 하는 응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장치와 상기 용제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액체상태의 용제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케이싱에 삽입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수용부 일측에 마련되어 계면활성제가 수용되는 계면활성제 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용제수용부와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는 그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마개는 상기 케이싱일측에 형성된 투입홈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 또는 상기 개폐마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조와 연결되는 열풍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세탁장치의 회전드럼의 입구부으로 용제를 분사하도록 세탁장치의 고정조 내부 또는 세탁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건조장치의 회전드럼의 입구부으로 용제를 분사하도록 건조장치의 고정조 내부 또는 건조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 내부와 건조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같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건조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과 상기 건조장치의 케이싱의 하부에는 각각 회전드럼의 설치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케이싱과 구획되어 마련되는 받침대가 설치되되,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받침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각각 상기 건조장치의 받침대와 상기 세탁장치의 받침대 내부에 상호 분리되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건조장치의 받침대 또는 상기 세탁장치의 받침대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공급부는 상기 용제가 수용되는 용제수용부 및 계면활성제가수용되는 계면활성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회수되는 용제가 필터링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는 상기 용제수용부 및 상기 계면활성제수용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용제 또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홈과; 상기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전면에서 삽입가능하게 하는 착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는 상기 용제수용부와 상기 필터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는 실리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세탁과 드라이크리닝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소정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에 사용되는 용제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세척명령을 내릴 것인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세척명령을 내린경우에 의류처리장치내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의류처리장치에서 물세탁뿐만 아니라 드라이크리닝 세탁도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탁장치와 건조장치가 한 세트로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드라이크리닝이 건조장치 또는 세탁장치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한쪽에서는 물세탁이 가능해지고 한쪽에는 드라이크리닝이 가능해질 수 있는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다.
드라이크리닝시 한번만 쓰고 버리는 소모성의 용제/세제가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며, 용제가 일반적인 유독성 화합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화장품등에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오일로 구성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인 드라이크리닝이 이루어질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그 케이싱(10)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조(15), 그리고, 상기 고정조(15)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드럼(20)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드럼(20)의 후방에는 상기 회전드럼(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25)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장치(25)는 DD(direct drive)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회전모터와 구동풀리로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드럼(2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30)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드럼(20) 내부가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의 투시창(35)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드럼(2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관(40)과, 상기 세탁수 공급관(40)에 장착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세탁수밸브(45)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싱(10)의 상측 전면에는 상기 세탁수 공급관(40)과 연결되며 분말세제 또는 액체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함(50)이 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조(15)에는 회전드럼(20)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55)가 연결되는데, 상기 열풍공급장치(55)의 구성을 보면, 상기 고정조(15)와 연결되는 안내덕트(60)와 상기 안내덕트(60) 내부에 마련되는 가열장치(61)와, 상 기 공기의 송풍을 위하여 가열장치(61) 부근에 설치되는 송풍팬(62)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덕트(60)는 순환덕트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조(15)의 외부에는 드라이크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데, 그 구성요소를 대별하면, 드라이크리닝용 용제를 상기 회전드럼(20)내부로 공급하는 용제공급부와, 상기 회전드럼(20)내부에 공급된 용제를 다시 회수하는 용제회수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용제공급부의 구성을 보면 액체상태의 용제가 수용되는 용제수용부(70)와, 상기 용제수용부(70)와 연결되어 드라이크리닝시 용제에 의한 얼룩이나 때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돕는 계면활성제를 수용하는 계면활성제 수용부(71) 및, 상기 용제수용부(70) 및 상기 계면활성제수용부(71)와 연결되어 용제와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펌핑하는 펌프(72), 그리고, 펌핑되는 혼합물이 이동하는 용제공급관(73)과, 상기 용제공급관(73)의 단부에 마련되어 용제를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용제분사장치(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제수용부(70)는 상기 펌프(72)와 함께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용제수용부(70)는 상기 케이싱(10)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펌프(72)는 상기 케이싱(10) 내측에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용제분사장치(74)는 상기 회전드럼의 입구부 측에 용제가 골고루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용제분사장치(74)는 고정 조(15) 내부 또는 케이싱(10)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단, 상기 도어(30)의 회전궤적 범위에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어(30)의 투시창(35)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용제회수부의 구성을 보면, 상기 고정조(15)의 최하단부에 연결되는 용제회수관(75)과, 상기 용제회수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필터부(7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조(15)와 상기 용제회수관(75) 사이에는 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7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77)는 액체상태의 용제가 회수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그 바Rdmlk 경우에는 폐쇄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부(76)는 각각 상기 용제수용부 및 상기 펌프(72)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부에는 교체가능한 필터카트리지(80)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72)는 용제의 배출작용 및 사용된 용제의 흡입작용도 하게 되는 트윈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펌프(72)의 흡입작용시 상기 고정조(15) 하부에 있던 용제가 세탁물에서 나온 이물질들과 섞여서 상기 펌프(72)를 거친다음 상기 필터부(76)를 통과한 후 상기 용제수용부(70)로 다시 들어가서 재사용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가능한데, 이러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제수용부(70) 또한 부족한 용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제수용부(70) 및 상기 필터부(76)가 설치되는 케이싱(10)의 전방의 외부 전면에는 선택적으로 용제 및 계면활성제의 추가 투입 또는 필터카트리지(80) 교체시 케이싱(10)의 일부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부재(90)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필요시에는 상기 커버부재(90)를 열어서 필터카트리지(80)를 교체하거나, 용제 및 계면활성제를 공급하고, 그 밖의 때에는 커버부재(80)를 닫아서 필터카트리지(80)나 용제수용부(70) 및 계면활성제수용부(71)가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용제는 인체의 안전 및 환경보호를 위하여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드라이 크리닝 시에는 그 용제로서 과염소에틸렌(perchloroethylene, PERC)을 사용하였으나, 이 용제는 독소나 냄새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드라이 크리닝에서는 화장품등에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을 사용되는 것이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제수용부(70)와 계면활성제 수용부(71) 그리고 상기 필터부(76), 펌프(72)는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받침대(85)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드럼이 수용된 공간을 제외한 다른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제수용부(70)나 계면활성제 수용부(71)는 상기 받침대(85)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펌프(72)는 케이싱(10) 내부에 수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 다.
다만, 상기 용제수용부(70), 계면활성제 수용부(71), 필터부(76), 펌프(72)는 하나의 모듈로서 결합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장착 및 수리가 용이해질 수 있고,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도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다.
도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하였다 시피, 용제 및 계면활성제의 추가 공급 및 상기 필터부의 필터 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용제수용부(70) 및 계면활성제 수용부(71), 그리고 필터부(76)의 전면은 각각 상기 받침대(85)의 전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펌프(72)는 상기 요소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받침대(85)의 전면에는 상기 계면활성제 및 상기 용제의 추가투입을 위한 투입홈(9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71)나 상기 용제수용부(70)의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전면을 향해 노출되어 각 수용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사용자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입홈(93)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76)의 필터카트리지(80)가 전면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하는 장착홈(9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85)의 전면에는 상기 투입홈(93)과 상기 장착홈(96)을 가 릴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90)가 장착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카트리지(80)의 교체 또는 계면활성제나 용제의 투입시를 제외한 때에는 상기 요소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90)는 상기 받침대(85)의 전면과 그 양측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받침대(85) 전면의 형상자체가 캐비닛(10)에 대하여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들어간 단차형상이므로 이러한 단차형상에 따른 외형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9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4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74)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분사장치(74)의 분사구는 상기 회전드럼(20)의 투입구를 향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사장치(74)는 상기 회전드럼(도1참조, 20)의 투입구 전방측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사장치(7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장치는 캐비닛(10)의 내측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고정조(도1참조, 15의 내측에 설치되어야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로 각각 나뉘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1~4에서 서술한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본체에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구비한 것임에 반하여 도5에서는 그러한 기능을 두개의 본체가 각각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10)과 상기 건조장치의 케이싱(100)하부에는 각각의 받침대(85,18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서는 상기 드라이크리닝을 위한 모듈(용제공급부, 용제회수부)이 상기 건조장치 케이싱(100)의 하부의 받침대(185)에 설치되고, 상기 용제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74)가 상기 건조장치의 회전드럼(120)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건조장치 케이싱(100)의 하부에 마련된 받침대(185) 전면에도 상기 용제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투입할 수 있는 투입홈(93) 및 상기 필터부(76)의 필터카트리지(80)를 착탈할 수 있는 장착홈(96)이 마련되고, 상기 투입홈(93) 및 상기 장착홈(96)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190)가 설치된다.
드라이크리닝 자체가 건조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건조장치에 드라이 크리닝을 위한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10)의 받침대(85)에는 소규모의 옷감이나 신발을 세탁하기 위한 소형드럼(미도시)등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상기 세탁장치 하부에 마련된 받침대 내부에 상기 드라이크리닝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개시한 것인데, 이 때에는 도1과 같이 상기 세탁장치에 내부에 소정의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드라이크리닝 모듈(용제공급부, 용제회수부)에 관한 사항은 도1 및 도2에서 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다만, 도1 및 도2의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도6의 의류처리장치와의 다른점은 도1,2는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본체로만 형성된 것이나, 도6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장치 및 건조장치가 하나의 셋트를 구성한다는 점이고, 건조장치 뿐만 아니라 세탁장치에도 건조기능이 부여됨으로써 건조되어야할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 건조장치 뿐만 아니라 세탁장치에서도 건조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6에서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건조장치에서 물세탁된 세탁물의 건조가 수행되는 경우, 세탁장치에서는 물세탁 뿐만 아니라 드라이크리닝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7의 경우, 용제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의 분사장치가 건조장치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8은 세탁장치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5,6과 다른 점은 드라이크리닝 모듈이 건조장치 및 세탁장치 부분에 분산되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분산되어 설치한 것은 드라이 크리닝 세탁능력의 증대 및 용제 또는 계면활성제의 추가투입횟수 그리고 필터부의 필터카트리지의 교체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76) 및 상기 용제수용부(70) 그리고 상기계면활성제 수용부(7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대시킨 결과, 이들 모두가 건조장치 또는 세탁장치에 단독으로 설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분산시켜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사장치(74)가 세탁장치의 케이싱(1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필터부(76)가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74) 또는 받침대(85)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건조장치의 케이싱(110) 또는 받침대(185) 내부 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76)가 장착되는 부분에는 필터카트리지(80)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96)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용제수용부(70) 및 계면활성제 수용부(71)가 설치된 부분에는 상기 용제수용부(70) 및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71)의 개폐마개(70a,71a)가 노출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마개(70a,71a)과 상기 장착홈을 선택적으로 가리기 위하여 각각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의 받침대(85,185)의 전면에는 커버부재(90,19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우선, 드라이크리닝을 하기 위하여 세탁물을 회전드럼(20)내부에 넣고, 드라이크리닝을 위한 동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펌프(72)의 펌핑동작에 의하여 상기 용제수용부(70)에 수용된 용제와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71)에 수용된 계면활성제가 상기 펌프(72)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72)를 통과한 혼합물은 상기 용제공급관(73)을 따라서 이동한 후 상기 분사장치(74)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드럼(20)내의 세탁물에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20)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회전 및 낙하작용을 하면서 서로 마찰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서 용제와 계면활성제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상기 세탁물에 묻은 때나 얼룩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세탁물에 분사된 혼합물은 세탁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회전드 럼(20)에서 빠져나와 고정조(15) 하부에 누적되고, 이후, 상기 펌프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이 상기 용제회수관(75)을 따라 펌프로 이동한 후 상기 필터부(76)를 거치게 된다.
상기 필터부(76)는 이물질과 용제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필터부(76)에 의하여 분리된 용제는 다시 상기 용제수용부(70)로 들어가서 이후 드라이크리닝시 재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및 2와 다른 점은 상기 용제가 열풍에 의하여 휘발되어 기체상태로 있는 경우, 그 기체상태의 용제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응축장치(280)가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용제수용부(270)와,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271), 그리고 펌프(272)가 상기 케이싱(10)의 일측공간 또는 그 받침대(85)에 설치되고, 펌프에 연결된 용제공급관(273)은 상기 케이싱(10)의 전면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20)의 입구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분사장치(274)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조(15)에 인접하게는 회전드럼(2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공급장치(55)가 마련되는데, 상기 열풍공급장치(55)는 가열장치(40)와, 송풍팬(62), 그리고 안내덕트(60)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덕트(60)는 상기 고정조(2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덕트(60)는 순환덕트 형태로 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조(20) 및 상기 회전드럼(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안내덕트(60)의 일부는 상기 용제수용부(270) 방향으로 향하여 배 치되며, 상기 안내덕트(60)에는 필터부(276)와 상기 필터부(276) 하부에 배치되는 응축장치(28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장치(280) 하부에는 상기 용제수용부(27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장치(280)와 상기 용제수용부(270) 사이에는 개폐밸브(28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폐밸브(282)에 의하여 응축된 용제(L)가 상기 용제수용부(270)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덕트(270)는 다시 상기 송풍팬(62)과 가열장치(61)가 설치된 곳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마련되는 받침대(85)의 전면에는 상기 용제수용부(270)와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271)의 전면이 노출되어 이들의 추가공급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필터부(276)도 상기 받침대(85)의 전면에 노출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85)의 전면에는 그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90)가 마련되어서 필요시 용제수용부(270) 및 계면활성제 수용부(271) 및 필터부(276)를 노출하도록 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11은 도10에서 나타난 실시예의 동작을 개시한 것이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 크리닝이 시작되면, 상기 펌프(272)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및 용제가 상기 펌프(272)로 이동한 후, 상기 용제공급관(273)을 따라서 분사장치(274)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수용된 세탁물 에 분사된다.
이후, 상기 회전드럼(20)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회전/낙하시켜 세탁물의 세탁을 유도한다. 이후, 상기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가열장치(61) 및 상기 송풍팬(62)이 작동하면, 안내덕트(60)를 따라서 열풍이 회전드럼(20)내로 공급된다.
회전드럼(20)내로 공급된 열풍에 의하여 회전드럼(20) 내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제가 휘발되어 공기 내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기체상태의 용제와 공기는 상기 회전드럼(20) 및 고정조(15)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안내덕트(60)를 따라 필터부로 이동한다.
필터부(276)에서 세탁물에서 나오는 린트 등이 필터링되고, 이후, 필터링된 공기 및 용제는 응축장치(280)를 통과한다.
상기 응축장치(280)에 의하여 용제가 응축되면, 응축된 용제는 그 하부에 누적되고, 이후, 상기 개폐밸브(282)의 개방동작에 의하여 상기 용제수용부(270)로 이동한다.
한편, 응축장치(280)를 통과한 냉각된 공기는 다시 안내덕트(60)를 따라서 상기 가열장치(61)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가열된 후 회전드럼(20)내로 이동하게 되는 순환과정을 거친다.
도1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는 하나의 장치 내에서 물세탁과 드라이 크리닝 세탁이 가능하다. 그런데 드라이 크리닝 세탁이 완료된 이후에는 회전드 럼(20) 내부에 실리콘 용제가 남아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물세탁을 하게 되는 경우 이후 물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물의 2차 오염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크리닝 세탁완료 이후 회전드럼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회전드럼내부 세척 단계를 보면, 우선 무조건적으로 드라이크리닝이 완료되면 세척수가 주입되어 세척을 하는 과정을 생각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드라이크리닝 세탁단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체적으로는 회전드럼(20)에 소정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에 사용되는 용제를 세척한다.
위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드라이크리닝 세탁을 마친 이후, 바로 다른 세탁물도 드라이크리닝을 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굳이 세척이 필요없을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세척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물어보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드라이크리닝 세탁이 완료된 후에 디스플레이창(미도시)에 회전드럼(20) 내부를 세척하는지 여부를 터치패드와 같은 형태로 명시적으로 물어본 후, 사용자가 "예" 를 명확하게 선택하면 그에 따라서 세척을 수행하고, "아니오"를 누르거나 아직 누르지 않은 경우 세척을 보류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세탁장치가 드럼세탁기형태로 된 것을 전제로 한 것이나, 이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며, 펄세이터가 장착되는 탑로딩(Top-loading)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드라이크리닝모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드라이크리닝모듈의 일부가 노출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분사장치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내지 도8은 세탁장치와 건조장치가 한 세트로 구성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라이크리닝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케이싱 20: 회전드럼
70: 용제수용부 71: 계면활성제수용부
72: 펌프 73: 용제공급관
74: 분사장치 75: 용제회수관
76: 필터부 80: 필터카트리지
93: 투입홈 96: 장착홈

Claims (21)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에 마련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수공급부와;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드라이크리닝 용제를 공급하는 용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공급부는 용제가 수용되는 용제수용부와;
    상기 용제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쪽으로 용제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용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내부에 분사되는 용제를 회수하는 용제회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제회수부는 회수되는 용제를 상기 용제수용부로 안내하는 용제회수관과; 상기 용제회수관과 연결되어 회수되는 용제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회수부는 회수되는 용제가 기체상태로 회수되는 경우 이를 응축시켜 상기 용제수용부로 액체상태로 유입되도록 하는 응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장치와 상기 용제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액체상태의 용제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케이싱에 삽입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수용부 일측에 마련되어 계면활성제가 수용되는 계면활성제 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용제수용부와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부는 그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 는 개폐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마개는 상기 케이싱일측에 형성된 투입홈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 또는 상기 개폐마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드럼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조와 연결되는 열풍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세탁장치의 회전드럼의 입구부으로 용제를 분사하도록 세탁장치의 고정조 내부 또는 세탁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건조장치의 회전드럼의 입구부으로 용제를 분사하도록 건조장치의 고정조 내부 또는 건조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 내부와 건조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같이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건조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의 케이싱과 상기 건조장치의 케이싱의 하부에는 각각 회전드럼의 설치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케이싱과 구획되어 마련되는 받침대가 설치되되,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받침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각각 상기 건조장치의 받침대와 상기 세탁장치의 받침대 내부에 상호 분리되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공급부와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건조장치의 받침대 또는 상기 세탁장치의 받침대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공급부는 상기 용제가 수용되는 용제수용부 및 계면활성제가수용되는 계면활성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회수부는 상기 회수되는 용제가 필터링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는 상기 용제수용부 및 상기 계면활성제수용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용제 또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홈과;
    상기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전면에서 장착가능하게 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는 상기 용제수용부와 상기 필터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실리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물세탁과 드라이크리닝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소정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에 사용되는 용제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크리닝 세탁과정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세척명령을 내릴 것인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세척명령을 내린경우에 의류처리장치내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39053A 2009-05-04 2009-05-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0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53A KR20100120054A (ko) 2009-05-04 2009-05-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9/005186 WO2010128731A1 (en) 2009-05-04 2009-09-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3/260,123 US9567700B2 (en) 2009-05-04 2009-09-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solvent supply part for dry-cleaning sol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53A KR20100120054A (ko) 2009-05-04 2009-05-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54A true KR20100120054A (ko) 2010-11-12

Family

ID=4305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053A KR20100120054A (ko) 2009-05-04 2009-05-0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67700B2 (ko)
KR (1) KR20100120054A (ko)
WO (1) WO20101287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95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제, 용제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세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3410A1 (en) * 2011-05-31 2012-12-06 Fariborz Dawudia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delicate textiles
JP5599932B2 (ja) * 2013-12-27 2014-10-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10402816B2 (en) * 2016-12-31 2019-09-03 Square, Inc. Partial data object acquisition and processing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995448B2 (en) * 2019-09-27 2021-05-0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condenser
US20210198834A1 (en) * 2019-12-27 2021-07-0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wash water treating assembly
FR3135734A1 (fr) * 2022-05-19 2023-11-24 Alysee Services installation et procédé de nettoyage à sec d’articles textiles composites.
WO2024037646A1 (zh) * 2022-08-18 2024-02-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WO2024037639A1 (zh) * 2022-08-18 2024-02-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3196A1 (en) * 2001-12-20 2005-02-24 Wright Tremitchell L. Non-aqueous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6059845A (en) * 1997-08-22 2000-05-09 Greenearth Cleaning, Llc Dry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utilizing a siloxane composition as a solvent
US7021087B2 (en) * 2000-06-05 2006-04-04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reatment fluid to fabrics
US6691536B2 (en) 2000-06-05 2004-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hing apparatus
US20040231371A1 (en) * 2000-06-05 2004-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viding non-aqueous laundering capability
US20040267473A1 (en) 2003-06-27 200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transferring and utilizing data among laundry devices, users, and the like
US7926311B2 (en) * 2003-10-01 2011-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l laundry cleaning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02287A (ko)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 장치
US8056747B2 (en) * 2007-10-12 2011-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vable tank for laundry bulk dispense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95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제, 용제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세탁 장치
WO2013032295A3 (ko) * 2011-09-02 2013-04-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제, 용제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세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7381A1 (en) 2012-01-26
US9567700B2 (en) 2017-02-14
WO2010128731A1 (en)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05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69487B1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KR100730504B1 (ko) 직물 세탁 방법 및 장치
RU26552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993223B1 (ko) 의류처리장치
JP4448843B2 (ja) 洗濯機
RU25642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2873722B1 (en) Method for treating laundry and detergent used therein
KR101348719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4057821A (ja) 洗濯機
KR20050114106A (ko)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JP2012080928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101781870B1 (ko) 세탁장치
TW201502336A (zh) 滾筒式洗衣機
KR101128809B1 (ko) 세탁장치
KR101812171B1 (ko) 세탁장치
JP2014212821A (ja) 洗濯機
EP3786336B1 (en) Detergent supply device
WO2012114752A1 (ja) 衣類処理装置
KR2011000991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124128A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1000959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0992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2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29

Effective date: 2017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