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158A - 케어맨 멀티탭 - Google Patents

케어맨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158A
KR20100119158A KR1020090038120A KR20090038120A KR20100119158A KR 20100119158 A KR20100119158 A KR 20100119158A KR 1020090038120 A KR1020090038120 A KR 1020090038120A KR 20090038120 A KR20090038120 A KR 20090038120A KR 20100119158 A KR20100119158 A KR 2010011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connector
unit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087B1 (ko
Inventor
이상헌
박동재
윤형호
한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솔
Priority to KR102009003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0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어맨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케어 프로세서를 통해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 및 프린터, DVD 등의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동시에 케어 가능한 케어맨 멀티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연결구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 시간을 계수하여 일정 시간에 따라 계수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에 흐르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 센서부에서 감지된 전류량을 통해 최초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인식하여 메모리 출력하는 초기 소모 전력 인식부와, 메모리에 기억된 전력과 제1연결구로부터 현재 소모되는 전력을 비교하는 케어 전력 판단부와, 현재 소모되는 전력이 기억된 전력보다 큰 경우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며, 타이머의 계수 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원격 신호 감지부의 고유 코드에 따라 릴레이 온 시키고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진 마이컴과, 초기 전력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갖는 케어 프로세서 및 플러그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표시부 및 케어 프로세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SMPS로 이루어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케어맨 멀티탭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의 소모를 차단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이용한 해킹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릴레이, 멀티탭, 소비 전력, 원격 신호, 전자기기, 케어 프로세서

Description

케어맨 멀티탭{CAREMAN MULTITAP}
본 발명은 케어맨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어 프로세서를 통해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케어하여 컴퓨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이용한 해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 전자기기의 전력 케어를 통해 프린터, DVD 등의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동시에 케어할 수 있고, 원격 신호 감지부를 통해 리모콘 등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릴레이를 온 시킬 수 있으며 원격 신호 감지부가 다른 리모컨의 원격 신호를 인식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와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케어맨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통상적으로, 제한된 수의 전자기기에 더 많은 전자제품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플러그와 둘 이상의 소켓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탭은 플러그를 발전소의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항시 상용 전원이 인출 가능한 전원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둘 이상의 소켓에 각각 연결된 둘 이상의 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탭은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 및 프린터, 스캐너, 스피커, 비디오, DVD, 홈시어터 등의 보조 전자기기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탭은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 전자기기의 전원과 보조 전자기기의 전원을 각각 오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주 전자기기의 전원만을 오프하고 보조 전자기기의 전원은 그대로 두어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멀티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 전자기기와 보조 전자기기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 가능한 멀티탭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상기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와 같은 전자제품은 상기 멀티탭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상당량의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낭비되는 전력은 막대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대두되는 환경 문제의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0년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전자제품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1W 이하로 제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도 대기전력의 제한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멀티탭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주 전자기기(컴퓨터 등)의 전원 동작 여부에 따라 보조 전자기기(프린터, 스캐너 등)의 전원을 차단 가능한 지능형 절전 멀티탭,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09239>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지능형 절전 멀티탭은 주 전 자기기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단자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주 전자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항시 상용 전원이 인가되는 멀티탭은 주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은 그대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멀티탭은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의 미사용시 상시 전원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완전히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멀티탭은 통상적으로 건물내 구석진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직접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해 몸을 웅크려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케어 프로세서를 통해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케어하여 컴퓨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이용한 해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 전자기기의 전력 케어를 통해 프린터, DVD 등의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동시에 케어 가능한 케어맨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신호 감지부를 통해 리모콘 등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릴레이를 온 시킬 수 있으며, 다른 리모컨의 원격 신호를 인식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와 공용으로 사용되어 리모컨을 통한 전원 관리가 편리해지는 케어맨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시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100)와,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메인 스위치(210)와, 제1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연결구(221), 제2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연결구(223) 및 제3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연결구(225)를 통해 상기 플러그(1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공통으로 인가하는 소켓부(220)와,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230)와, 리모콘(2)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를 출력하는 원격 신호 감지부(240) 및 상기 소켓부(220), 표시부(230) 및 원격 신호 감지부(240)를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5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케어하는 케어맨 멀티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50)는 상기 제1연결구(221)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부(251),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 시간을 계수하여 일정 시간에 따라 계수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252), 상기 제1연결구(221) 및 상기 제2연결구(223)에 흐르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253), 상기 센서부(251)에서 감지된 전류량을 통해 최초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인식하여 메모리(254d)에 출력하는 초기 소모 전력 인식부(254a)와, 상기 메모리(254d)에 기억된 전력과 상기 제1연결구(221)로부터 현재 소모되는 전력을 비교하는 케어 전력 판단부(254b)와, 상기 현재 소모되는 전력이 상기 기억된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타이 머(252)를 초기화시키며, 상기 타이머(252)의 계수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253)를 오프시키고, 상기 원격 신호 감지부(240)의 고유 코드에 따라 상기 릴레이(253) 온 시키고 상기 표시부(230)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진 마이컴(254c)과, 상기 초기 전력 인식부(254a)로부터 인식된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값이 저장되는 메모리(254d)를 갖는 케어 프로세서(254) 및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230) 및 상기 케어 프로세서(254)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SMPS(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253)를 수동으로 온 시키며 상기 메모리(254d)를 초기화하는 택트 스위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컨(2)은 상기 릴레이(253)를 온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2a)과, 상기 리모컨(2)의 전원 버튼(2a) 대신에 상기 제1전자기기용 또는 상기 제2전자기기용 리모컨의 전원 기능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릴레이(253)를 온 시키기 위한 변환 버튼(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상기 변환 버튼(2b)에 의한 상기 리모컨(2)의 원격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기기용 또는 상기 제2전자기기용 리모컨의 전원 기능 버튼에 의한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253)를 구동하는 보조 코드를 상기 케어 프로세서(254)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어맨 멀티탭은 케어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컴퓨터, 텔레비 전 등의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의 소모를 차단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이용한 해킹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 전력을 케어함과 동시에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동시에 케어 가능하고,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만으로도 프린터, 스캐너 등 보조 전자기기의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여 릴레이를 원격에서 온 시킬 수 있고, 다른 리모컨의 원격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의 리모컨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을 나타낸 사시 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1)은 전원 소켓(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100) 및 다수의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디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100)는 건물 내부 등에 구비되어 상시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어맨 멀티탭(1)에 전원을 제공하며, 제공된 전원은 케어맨 멀티탭(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에 공통으로 인가된다. 바디부(200)는 알루미늄 등 가볍고 견고하여 방열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스위치(210), 소켓부(220), 표시부(230), 원격 신호 감지부(240), 구동부(250) 및 택트 스위치(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스위치(210)는 바디부(200)의 일면에 설치되어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즉, 메인 스위치(21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케어맨 멀티탭(1)의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210)는 케어맨 멀티탭(1)에 16A(암페어)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케어맨 멀티탭(1) 및 이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과전류 트립 장치(미도시)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220)는 바디부(200) 내부에 설치되며 각종 전자기기의 플러그(미도시)와 결합되어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이 각종 전자기기에 공통으로 인가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켓부(220)는 각종 전자기기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연결구(221, 223, 2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구(221)에는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인 제1전자기기(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연결구(223)에는 제1전자기기의 보조 역할을 하는 프린터, 스캐너, 비디오, DVD, 스피커 등의 보조 전자기기인 제2전자기기(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연결구(225)에는 충전기, 가습기 등 기타 전자기기인 제3전자기기(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주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제1연결구(221)는 주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케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연결구(221)는 주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에 따라 하술할 구동부(250)에 의해 전원의 인가 여부가 결정되어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제2연결구(223)는 구동부(250)의 제어에 의해 제1연결구(221)와 함께 전원의 인가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3연결구(225)는 케어맨 멀티탭(1)이 온 되는 동안에 상시 전원이 인가되므로 주 전자기기와 별도로 사용되는 기타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230)는 바디부(200)의 일면에 설치되며, LED 등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다. 표시부(230)는 하술할 구동부(250)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가 케어맨 멀티탭(1)의 동작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원격에 위치한 리모컨(2)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감지한다. 즉,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케어맨 멀티탭(1)의 전원을 원격에서 온/오프 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리모컨(2)의 원격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원격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를 하술할 구동부(250)로 출력 한다. 따라서,사용자는 웅크려서 전원을 온/오프하지 않아도 케어맨 멀티탭(1)의 전원을 편리하게 온/오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50)는 소켓부(220), 표시부(230) 및 원격 신호 감지부(240)를 구동 및 제어 한다. 구동부(250)는 바디부(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술한 소켓부(220) 내지 원격 신호 감지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동작 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해당하는 구동 신호를 각 부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250)는 제1연결구(221)에 연결된 주 전자기기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시 소모 전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50)는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 여부에 따라 제1연결구(221)에서의 전원 인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택트 스위치(260)는 바디부(200)의 일면에 설치된 것으로 수동으로 릴레온(On) 시켜 소켓부(220)와 연결된 다수의 전자기기에 공통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택트 스위치(260)는 하술할 케어 프로세서(2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어 프로세서(254)의 메모리(254d)를 초기화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260)를 약 1초간 짧게 눌려지는 경우 케어 프로세서(254)는 릴레이(253)를 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택트 스위치(260)가 약 5초이상 길게 눌려기는 경우 케어 프로세서(254)는 메모리(254d)를 초기화 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1)은 전용 리모컨(2)을 포함하여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케어맨 멀티탭(1) 전용 리모컨(2)은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 원 버튼(2a)과 다른 리모컨으로 케어맨 멀티탭(1)을 조작할 수 있도록 원격 신호 감지부(240)의 원격 신호 인식에 따른 코드 변환을 전환시키는 변환 버튼(2b)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어맨 멀티탭(1)은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의 리모컨을 사용할 경우다수의 리모컨을 제어하지 않고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 하나로 케어맨 멀티탭(1)을 제어 가능한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1)에 대해 보다 상세하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케어맨 멀티탭(1) 중 케어 프로세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1)은 메인 스위치(210), 제1연결구(221), 제2연결구(223), 제3연결구(225), 표시부(230), 원격 신호 감지부(240), 구동부(250) 및 택트 스위치(26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소켓부(220)에 연결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사용 여부를 감지한 후 주 사용 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전력 소모를 케어하는 구동부(25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250)는 센서부(251), 타이머(252), 릴레이(253), 케어 프로세서(254) 및 SMPS(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센서부(251)는 제1연결구(221)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량을 하술할 케어 프로세서(254) 에 전달한다. 타이머(252)는 케어 프로세서(254)에 의해 제어되며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 시간을 계수하여 일정 시간에 따라 계수 신호를 케어 프로세서(254)로 출력한다. 타이머(252)는 케어 프로세서(25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며, 계수 시간이 1분이 경과하면 케어 프로세서(254)로 계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계수 신호의 시간 간격은 당업자에 따라 변경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릴레이(253)는 소켓부(220)를 통해 전자기기에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케어 프로세서(25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주 전자기기와 보조 전자기기가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구(221) 및 제2연결구(223)의 전원 인가를 차단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253)는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스위치(210)와 제1연결구(221), 메인 스위치(210)와 제2연결구(223)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시킨다. 메인 스위치(210)는 플러그(100)로부터 상용 전원이 인가되므로 릴레이(253)가 오프되는 경우 주 전자기기와 보조 전자기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릴레이(253)는 하술할 케어 프로세서(254)를 통해 온/오프가 제어되며, 택트 스위치(260) 또는 리모컨(2)을 통해 턴 온(Turn-on)되도록 제어 가능하다.
상기 케어 프로세서(254)는 소켓부(220)에 연결된 주 전자기기 및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케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어 프로세서(254)는 초기 전력 인식부(254a), 케어 전력 판단부(254b), 마이컴(254c) 및 메모리(25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초기 전력 인식부(254a)는 센서부(251) 에서 감지된 전류량을 통해 최초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인식한다. 초기 전력 인식부(254a)에서 인식된 전력값은 하술할 메모리(254d)에 임시 저장된다. 케어 전력 판단부(254b)는 제1연결구(221)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이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케어 전력 판단부(254b)는 메모리(254d)에 임시 저장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과 현재 제1연결구(221)를 통해 소모되는 전력을 비교하여 마이컴(254c)에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254c)은 현재 소모되는 전력이 초기 전력 인식부(254a)에 의해 기억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과 같거나 작을 경우 현재 소모되는 전력이 케어 전력임을 인식하고, 타이머(252)로부터 전원 오프 시간이 1분이 경과하였다는 계수 신호를 입력 받음과 동시에 릴레이(253)를 오프 시킴으로써 제1연결구(221) 및 제2연결구(223)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현재 소모되는 전력이 기억된 소모 전력보다 큰 경우 타이머(252)를 초기화시킨다. 또한, 마이컴(254c)은 원격 신호 감지부(240)로부터 입력받은 고유 코드를 인식하여 릴레이(253) 및 표시부(230)를 구동한다.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케어맨 멀티탭(1)의 전용 리모컨(2) 중 전원 버튼(2a)에 의한 원격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릴레이(253)를 온 시키는 고유 코드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마이컴(254c)은 릴레이(253)를 온 시킴으로써 제1연결구(221) 및 제2연결구(223)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한편,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리모컨(2)의 변환 버튼(2b)에 의한 원격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주 전자기기용 또는 보조 전자기기용 등 다른 리모콘의 전원 기 능 버튼에 의한 원격 신호를 감지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이에 따라, 다른 리모콘의 전원 기능 버튼에 의한 보조 코드를 마이컴(254c)에 출력시켜 릴레이(253)를 온 시킬 수도 있다. 마이컴(254c)은 케어 프로세서(254)의 동작에 따라 표시부(230)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표시부(230)는 릴레이(253)가 온 되는 동안에 발광하도록 마이컴(254c)으로부터 제어되며, 원격 신호 감지부(240)가 리모컨(2)의 변환 버튼(2b)에 의한 원격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모리(254d)가 초기화되는 동안에 발광과 소광이 일정 횟수 반복되도록 마이컴(254c)으로부터 제어된다. 메모리(254d)에는 초기 전력 인식부(254a)로부터 인식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값이 임시 저장된다.
상기 SMPS(255)는 표시부(230)와 케어 프로세서(254)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즉, SMPS(255)는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표시부(230) 및 케어 프로세서(254)에 각각 인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케어맨 멀티탭(1)을통해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이 케어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어맨 멀티탭(1)을 통해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을 케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을 케어하는 단계는 릴레이 온 단계(S100), 전원 오프 시 소모 전력 기억 단계(S200), 타이머 초기화 단 계(S300), 케어 전력 판단 단계(S400), 전원 오프 시간 계수 단계(S500) 및 릴레이 오프 단계(S6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온 단계(S100)는 메인 스위치(210)가 온 되어 있는 동안에 리모컨(2) 또는 택트 스위치(260)를 이용하여 릴레이(253)를 온 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253)는 케어 프로세서(254)를 통해 온/오프가 제어되며, 케어맨 멀티탭(1) 전용 리모컨(2) 또는 주 전자기기용 및 보조 전자기기용 리모컨을 통해 턴 온될 수 있다. 리모컨(2) 또는 다른 리모컨의 원격 신호는 원격 신호 감지부(240)를 통해 감지되어 고유 코드 또는 보조 코드로 변환되어 케어 프로세서(254)로 출력된다. 리모컨(2) 및 택트 스위치(260)를 통해 릴레이(253)를 온 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케어맨 멀티탭(1)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 오프 시 소모 전력 기억 단계(S200)는 초기 전력 인식부(254a)를 통해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 시 소모 전력을 기억하는 단계이다. 초기 전력 인식부(254a)는 최초 제1연결구(221)에 연결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제1연결구(221)에 흐르는 전류값 감지를 통해 인식하며, 인식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 전력을 메모리(254d)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연결구(22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센서부(251)를 통해 감지된다.
상기 타이머 초기화 단계(S300)는 케어 프로세서(254)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타이머(252)가 초기화되는 단계이다. 타이머(252)는 1분이 경과하면 계수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현재 제1연결구(221)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메모리(254d)에 기억된 전력과 같거나 작은 값일 경우 시간을 계수한다.
상기 케어 전력 판단 단계(S400)는 케어 전력 판단부(254b)를 통해 현재 주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과 메모리(254d)에 기억된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만일, 현재 소모 전력이 기억 전력보다 큰 값인 경우 주 전자기기의 전원이 온 상태이므로 케어 프로세서(254)는 타이머(252)를 초기화한다. 반면에, 현재 소모 전력이 기억 전력과 같거나 작은 값인 경우 케어 프로세서(254)는 현재 소모 전력이 케어 전력임을 인식하여 타이머(252)의 시간 계수가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 오프 시간 계수 단계(S500)는 타이머(252)를 통해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 시간이 계수되는 단계이다. 타이머(252)는 케어 프로세서(254)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즉, 현재 전력이 케어 전력일 경우 계수를 진행하여 1분이 경과시 계수 신호를 케어 프로세서(254)로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오프 단계(S600)는 케어 프로세서(254)의 제어 신호에 따라 릴레이(253)가 오프되어 제1연결구(221)와 제2연결구(223)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는 단계이다. 케어 프로세서(254)는 타이머(252)의 계수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릴레이(253)를 오프시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어맨 멀티탭(1)은 케어 프로세서(254)를 포함하여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전력의 소모를 차단한다. 케어 프로세서(254)는 최초 케어맨 멀티탭(1)에 연결된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 전력을 기억하고, 현재 소모 전력이 기억 전력과 같거나 작 은 경우 현재 소모 전력을 케어 전력으로 인식하여 케어 전력이 1분 이상 소모되는 경우 주 전자기기 및 보조 전자기기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이용한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어맨 멀티탭(1)은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 전력을 케어함과 동시에 보조 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동시에 케어 가능하고, 주 전자기기의 전원 오프만으로도 프린터, 스캐너 등 보조 전자기기의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신호 감지부(240)를 포함하여 릴레이(253)를 원격에서 온 시킬 수 있고,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다른 리모컨의 원격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주 전자기기 또는 보조 전자기기의 리모컨을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전원 관리가 편리해지는 케어맨 멀티탭(1)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맨 멀티탭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케어맨 멀티탭 중 케어 프로세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을 케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어맨 멀티탭 2: 리모컨
100 : 플러그 200 : 바디부
210 : 메인 스위치 220 : 소켓부
221 : 제1연결구 223 : 제2연결구
225 : 제3연결구 230 : 표시부
240 : 원격 신호 감지부 250 : 구동부
254 : 케어 프로세서 260 : 택트 스위치

Claims (3)

  1. 상시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100)와,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메인 스위치(210)와, 제1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연결구(221), 제2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연결구(223) 및 제3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연결구(225)를 통해 상기 플러그(1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공통으로 인가하는 소켓부(220)와,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230)와, 리모콘(2)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를 출력하는 원격 신호 감지부(240) 및 상기 소켓부(220), 표시부(230) 및 원격 신호 감지부(240)를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5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기기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을 케어하는 케어맨 멀티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50)는,
    상기 제1연결구(221)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부(251);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 시간을 계수하여 일정 시간에 따라 계수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252);
    상기 제1연결구(221) 및 상기 제2연결구(223)에 흐르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253);
    상기 센서부(251)에서 감지된 전류량을 통해 최초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을 인식하여 메모리(254d)에 출력하는 초기 소모 전력 인식부(254a)와, 상기 메모리(254d)에 기억된 전력과 상기 제1연결구(221)로부터 현재 소모되는 전력을 비교하는 케어 전력 판단부(254b)와, 상기 현재 소모되는 전력이 상기 기억된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타이머(252)를 초기화시키며, 상기 타이머(252)의 계수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253)를 오프시키고, 상기 원격 신호 감지부(240)의 고유 코드에 따라 상기 릴레이(253) 온 시키고 상기 표시부(230)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진 마이컴(254c)과, 상기 초기 전력 인식부(254a)로부터 인식된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전원 오프시 소모되는 전력값이 저장되는 메모리(254d)를 갖는 케어 프로세서(254); 및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230) 및 상기 케어 프로세서(254)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SMPS(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맨 멀티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253)를 수동으로 온 시키며, 상기 메모리(254d)를 초기화하는 택트 스위치(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맨 멀티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2)은 상기 릴레이(253)를 온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2a)과, 상기 리모컨(2)의 전원 버튼(2a) 대신에 상기 제1전자기기용 또는 상기 제2전자기기용 리모컨의 전원 기능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릴레이(253)를 온 시키기 위한 변환 버튼(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격 신호 감지부(240)는,
    상기 변환 버튼(2b)에 의한 상기 리모컨(2)의 원격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기기용 또는 상기 제2전자기기용 리모컨의 전원 기능 버튼에 의한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253)를 구동하는 보조 코드를 상기 케어 프로세서(254)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맨 멀티탭.
KR1020090038120A 2009-04-30 2009-04-30 케어맨 멀티탭 KR10099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20A KR100997087B1 (ko) 2009-04-30 2009-04-30 케어맨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20A KR100997087B1 (ko) 2009-04-30 2009-04-30 케어맨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58A true KR20100119158A (ko) 2010-11-09
KR100997087B1 KR100997087B1 (ko) 2010-11-29

Family

ID=4340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120A KR100997087B1 (ko) 2009-04-30 2009-04-30 케어맨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0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69B1 (ko) * 2012-09-03 2014-02-28 (주)낙원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9818212A (zh) * 2019-01-18 2019-05-28 广西五毛物联网科技有限公司 具有防水和电量检测的智能排插及其充电计费方法
KR20220102325A (ko) 2021-01-13 2022-07-20 곽창용 방열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단자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69B1 (ko) * 2012-09-03 2014-02-28 (주)낙원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4034999A1 (ko) * 2012-09-03 2014-03-06 (주)낙원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9818212A (zh) * 2019-01-18 2019-05-28 广西五毛物联网科技有限公司 具有防水和电量检测的智能排插及其充电计费方法
KR20220102325A (ko) 2021-01-13 2022-07-20 곽창용 방열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단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087B1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294B1 (ko) 콘센트
US9304947B2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ical sockets with plugged applianc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7795759B2 (en) Load condition controlled power strip
US20100148591A1 (en) Plug device
US20100001590A1 (en) Energy-saving electrical adaptor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EP2882058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instrument comprising same
KR20060063731A (ko)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콘센트
JP2013168386A (ja) 待機電力遮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8036477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
US6804482B2 (en) Printer to control power supply via a host
KR100997087B1 (ko) 케어맨 멀티탭
KR101721412B1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JP5161282B2 (ja) 周辺機器の待機電力遮断機能を持つコンピュータ
TWM450891U (zh) 節能供電裝置
KR20120124014A (ko) 절전형 멀티탭
KR101753674B1 (ko)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KR101606085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0902235B1 (ko) 컴퓨터 및 주변장치의 대기전원 소모를 방지하는 멀티 탭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101037757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WO2010099646A1 (zh) 用于消除系统可自动关机的电器待机功耗装置
KR101433710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멀티 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120211B2 (en) Timing-device equipped energy-saving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