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274A -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274A
KR20100118274A KR1020090037019A KR20090037019A KR20100118274A KR 20100118274 A KR20100118274 A KR 20100118274A KR 1020090037019 A KR1020090037019 A KR 1020090037019A KR 20090037019 A KR20090037019 A KR 20090037019A KR 20100118274 A KR20100118274 A KR 2010011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tor
distributor
unit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희
Original Assignee
이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귀희 filed Critical 이귀희
Priority to KR102009003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274A/ko
Publication of KR2010011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2003/0446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a single air duct for transporting treated air from the central station to the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부분에 히터 열 공급파이프, 에어 후레쉬 공급파이프, 흡기 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배관들이 중앙집중식 클리너 메인박스부에 연결됨으로써 청소기능 및 후레쉬 에어의 급기/배기기능, 그리고 열교환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패널부, 클리너 메인박스부, 제 1분배기, 제 1웰유니트(Wall Unit)부, 제 2웰유니트(Wall Unit)부, 제 2분배기, 제 3웰유니트(Wall Unit)부로 구성됨으로서, 청소기의 기능 및 후레쉬에어의 급기/배기기능, 열교환 기능을 선택에 따라 작동할 수 있고,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청소기를 사용하여 실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클리너 메인박스부, 열교환기, 제어부, 멀티 분배기

Description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Multi functional airconditioner which has cleanning ability}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부분에 히터 열 공급파이프, 후레쉬 에어 공급파이프, 흡기 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배관들이 중앙집중식 클리너 메인박스부에 연결됨으로써 청소기능 및 후레쉬 에어(Fresh air)의 급기/배기기능, 그리고 열교환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건물이나 일반건물에 적용되는 중앙집진식 청소기는 건물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청소기의 모터에 청소기배관이 연결되어 있고, 청소흡입구가 건물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이 청소흡입구에 호스를 연결하여 건물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경우 천정부분에 덕트를 설치하여 공기의 출입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조시스템에는 급기용 팬모터에 의해 실내에 외부의 후레쉬 에어를 공급하고 배기용 팬모터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 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된 청소기 및 공조시스템은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그에 따라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비용증대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공조시스템의 경우에는 급기설비 및 배기설비를 병행하여야 하고, 천정에 급기 및 배기를 위한 환기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비용이 증대되며 천정의 높이에 한계가 있는 국내 아파트 등에는 실질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청소 기능 및 실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기(吸氣)기능과 함께, 후레쉬에어를 외부로부터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급기(給氣)기능을, 한 개의 클리어 메인박스부에서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첫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소기능 및 흡기기능과, 급기기능을 한 개의 클리어 메인박스부에서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각 방마다 편리하게 분기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데에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청소기능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사용 편이성을 위해 청소흡입구가 벽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급, 배기 기능을 위해서는 덕트가 천정 또는 벽면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함에 따라, 실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멀티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천정의 높이에 한계가 있는 국내 아파트 등에 대해서도 널리 적용 가능한 멀티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세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는,
키패드를 통해 각 기기에 운전수단(청소, 히터, 공기청정, 난방)의 명령을 내리는 컨트롤 패널부와;
컨트롤 패널부로부터 전달된 운전수단의 명령신호에 따라 급기용 팬모터, 청소기용 모터, 제 1분배기의 스텝모터, 제 2분배기의 스텝모터, 히터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되, 상기 컨트롤 패널부에서 청소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용 모터와 제 2분배기의 스텝모터가 함께 작동하게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부에서 공기청정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급기용 팬모터와 제 1분배기의 스텝모터가 함께 작동하게되고, 난방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급기용 팬모터와 제 1분배기의 스텝모터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히터장치도 함께 작동하게되도록 구성되어진 제어부와;
본체가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그중 1개의 공간에는 급기용 팬모터와 급기의 흐름을 유도하기위한 반고리형 유도관(21)과 흡입구가 구비되고, 나머지 공간 에는 오염된 공기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기위한 먼지봉투부와 청소기용 모터와 배출구가 구비되어진 클리너 메인박스부와;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의 급기용 팬모터와 제 1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스텝모터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다수개의 급기홀이 구비되어진 제 1분배기와;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의 청소기용 모터와 제 2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스텝모터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다수개의 흡기홀이 구비되어진 제 2분배기와;
일단은 상기 급기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레쉬에어 공급을 위한 에어덕트가 구비되어진 제 1웰유니트와;
일단은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청소기의 전원 및 공기 흡입구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어진 제 2웰유니트;
일단은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실내오염공기 배출을 위한 에어덕트가 구비되어진 제 3웰유니트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클리너 메인박스부에서 청소기의 기능, 후레쉬 에어의 급기/배기기능, 및 열교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소기능 및 흡기기능과, 급기기능을 한 개의 클리어 메인박스부에서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제 1, 2분배기와 제 1, 2, 3웰유니트에 의해 각 방마다 편리하게 분기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설 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요부인 클리너 메인박스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요부인 클리너 메인박스부의 좌측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조장치에서는,
컨트롤 패널부(10), 클리너 메인박스부(20), 제 1분배기(30), 제 1웰유니트(Wall Unit)(40), 제 2분배기(60), 제 2웰유니트(Wall Unit)(50), 제 3웰유니트(70)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부(10)는 벽 일측에 부착되어, 키패드를 통해 각 기기의 운전수단(청소, 히터, 공기청정)에 대한 작동명령을 내리는 곳으로, 이는 사각패널로 이루어져, 키패드 상에 청소기능버튼, 히터기능버튼, 공기청정버튼, 온도조절버튼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부(10)는 클리너 메인박스부(20)에 내장된 제어부(80)의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20)는 컨트롤 패널부(10)로부터 전달된 작동 명령신호에 따라 청소기용 모터(26), 급기용 팬모터(22)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급기용 팬모터(22)를 작동시킬 경우 제 1분배기(30)를 통해 후레쉬 에어 및 히터열을 실내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청소기용 모터(26)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제 2분배기(60)를 통해 실내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하거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박스 형상의 본체로 형성되고, 본체 내부의 공간은 상, 하 2부분으로 구분되어있는데, 상부 공간에는 외부의 후레쉬 에어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구(24')와, 후레쉬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용 팬모터(22)와, 급기를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반고리형 유도관(21)과, 상기 반고리형 유도관(21)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필요시 급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장치(23)가 구비되어있으며,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20)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흡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만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봉투부(25)와, 흡기의 흐름을 유도하기위해 상기 먼지봉투부(25)의 후미에 위치하는 청소기용 모터(26)와, 흡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반고리형 유도관(21)은 급기의 압력을 배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반고리형태의 관로를 통과하는 동안 유속은 저하되나 압력은 증가될 것이므로, 급기를 먼곳까지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고리형 유도관(21)의 단부에는 히터장치(23)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히터장치(23)가 작동될 경우에는 급기를 가열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실내를 히팅할 수 있게된다.
청소기용 모터(26)는 상기 급기용 팬모터(22)와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힘이 작용하게되며, 그 전방에는 먼지봉투부(25)가 위치하므로 오염된 실내공기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 상기 배기구(24)를 통해 배기되어진다.
한편, 상기 청소기용 모터(26) 일측에는 쿠션링(27)이 결합되어져서, 작동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 전면의 먼지봉투부(25)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먼지봉투부(25)내에 이물질이 가득찬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리너 메인박스부(20)에는 제어부(8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컨트롤 패널부(10)로부터의 작업 명령신호에 의해 상기 제 1분배기(30), 제 2분배기(60)로의 유로를 개폐제어하거나, 상기 급기용 팬모터(22)와 청소기용 모터(26)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히터장치(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80)는 PIC16C711 원칩 마이컴으로 구성되고, 입력단자 일측에 컨트롤 패널부(10)의 청소기능 버튼으로부터 청소 입력신호가 전달되고, 입력단자 일측에 컨트롤 패널부(10)의 히터기능 버튼으로부터 히터 입력신호가 전달되며, 입력단자 일측에 컨트롤 패널부(10)의 공기청정버튼으로부터 공기청정 구동신호가 전달되고, 입력단자 일측에 제 1분배기(3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측정 된 온도값이 전달되며, 출력 단자 일측에 연결된 제 1분배기(30)의 스텝모터(32)로 구동신호를 보내 급기관(33)을 통한 급기의 흐름을 개폐 제어하고, 출력 단자 일측에 연결된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급기용 팬모터(22)로 구동신호를 보내, 급배기 팬이 회전하여 후레쉬 에어가 제 1분배기(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필요시에는 상기 히터장치(23)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열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80)는 출력 단자 일측에 연결된 제 2분배기(60)의 스텝모터(62)로 구동신호를 보내 제 1, 2흡기관(63)(64)을 통한 흡기의 흐름을 개폐 제어하고, 출력단자 일측에 연결된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청소기용 모터(26)로 구동신호를 보내, 먼지봉투부(25)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80)는 PID 제어 방식을 적용한 제어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ID 제어기란 P(비례), I(적분), D(미분)에 맞게 응답하도록 만든 제어기로서 온도 콘트롤러가 대표적인 장치라 할 수 있다.
즉, 온도 콘트롤러는 원하는 온도로 제어하기 위하여 목표 온도까지 올라갈 때 비례응답적인 행동으로 온도를 상승시키고, 목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분, 미분 응답의 행동을 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요부인 제 1분배기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제 1분배기(30)는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반고리형 유도관(21)과 제 1연결관(28)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는데,
전면에는 개폐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급기홀(31)과, 상기 급기홀(31)의 개폐수단을 각각 따로 제어하기위한 스텝모터(32)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홀(31)은 각 방마다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2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하 2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홀(31)은 내부에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은 별개의 스텝모터(32)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텝모터(32)는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의 작동명령에 따라 작동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홀(31)에는 급기관(33)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급기관(33)은 원하는 장소까지 신장되며, 그 타단에는 공기배출구가 구비된 제 1웰유니트(40)가 벽면의 일정부위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 1분배기(1)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미도시함)가 구비될 수 있는데, 온도센서에서는 상기 급기홀(3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8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장치(23)를 작동하여 가열된 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히터장치(23)의 작동이 중단되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요부인 제 2분배기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요부인 제 2분배기의 좌측면도로서.
제 2분배기(60)는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먼지봉투부(25)와 제 2연결관(29)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는데,
전면에는 개폐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흡기홀(61)과, 상기 흡기홀(61)의 개폐수단을 각각 따로 제어하기위한 스텝모터(62)로 구성된다.
상기 흡기홀(61)은 각 방마다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2개 이상으로 구성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하 2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흡기홀(61)은 내부에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단은 별개의 스텝모터(62)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텝모터(62)는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의 작동명령에 따라 작동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홀(61)에는 제 1흡기관(63) 또는 제 2흡기관(6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흡기관(63)은 원하는 장소까지 신장되며, 그 타단에는 전원공급용 삽입구와 청소기 연결용 연결구가 함께 구비되어진 제 2웰유니트(50)가 벽면의 일정부위에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제 2흡기관(64)은 건축물의 각 방에 설치된 청소기 연결용 연결구까지의 연결통로로써 상기 청소기용 모터(26)의 작동시에 각 방으로부터의 더러운 먼지, 이물질 등이 상기 제 2흡기관(64)을 통해 흡입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2흡기관(63)도 원하는 장소까지 신장되며, 그 타단에는 공기흡입구가 구비된 제 3웰유니트(70)가 벽면의 일정부위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 1웰유니트(40)와 제 3웰유니트(70)는 급,배기를 위한 것이고, 제 2웰유니트(50)는 청소를 위한 것이므로, 제 2웰유니트(50)는 벽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웰유니트(40)와 제 3웰유니트(70)는 벽면의 상부 또는 천정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제 1웰유니트(40)와 제 3웰유니트(70)는 서로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청소 모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부(10)의 청소기능 버튼을 누르면,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제어부(80)는 청소기 작동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청소기용 모터(26)가 작동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제 2분배기(60)의 흡기홀(61)이 개방되도록 스텝모터(62)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기홀(61)에 제 1흡기관(63)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청소기(100)의 연결부를 상기 제 2웰유니트(50)의 전원 및 흡기구 연결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실내 청소가 가능케되는 것이다.
[공기청정 모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부(10)의 후레쉬에어 공급버튼을 누르면,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제어부(80)는 후레쉬에어 공급개시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급기용 팬모터(22)가 작동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제 1분배기(30)의 급기홀(31)이 개방되도록 스텝모터(32)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급기홀(31)에 급기관(33)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급기관(33)의 타단에 구비되어진 제 1웰유니트(40)의 덕트를 통해 후레쉬에어가 공급될 것이므로, 실내의 청정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제 1분배기(30)에서 급기관(33)이 연결된 부위를 감지하고, 급기관(33)이 연결된 부위의 스텝모터(32)만 작동하게되므로, 후레쉬에어를 급기관(33)이 연결된 장소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부(10)의 오염공기의 배출기능의 버튼을 누르면,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제어부(80)는 오염공기 배출개시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청소기용 모터(26)가 작동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제 2분배기(60)의 흡기홀(61)이 개방되도록 스텝모터(62)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기홀(61)에 제 2흡기관(64)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흡기관(64)의 타단에 구비되어진 제 3웰유니트(70)의 덕트를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급가 배출될 것이므로, 실내의 청정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레쉬에어 공급기능과 오염공기 배출기능은 공기청정모드에서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는 후레쉬에어 공급버튼과 오염공기 배출버튼이 공기청정모드 버튼으로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청정모드 버튼 조작시에 상기 제 1분배기(30), 급기관(33), 및 제 1웰유니트(40)를 통한 후레쉬에어 공급기능과 함께, 상기 제 2분배기(60), 제 2흡기관(64), 및 제 3웰유니트(70)를 통한 오염공기 배출기능이 동시에 작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난방 모드]
난방모드는 후레쉬에어 공급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에서만 작동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부(10)의 난방모드 버튼을 누르게되면,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제어부(80)는 난방모드 개시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급기용 팬모터(22)가 먼저 작동되고있는 상태에서, 히터장치(23)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 1분배기(30)의 급기홀(31)과, 급기관(33)과, 제 1웰유니트(40)를 거쳐 실내에 공급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 1분배기(3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져 있는데, 온도센서의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히터장치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가 일정온도 범위 내에서 제어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요부인 클리너 메인박스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요부인 클리너 메인박스부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요부인 제 1분배기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요부인 제 2분배기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요부인 제 2분배기의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트롤 패널부 20 : 클리너 메인박스부
21 : 반고리형 유도관 22 : 급기용 팬모터
23 : 히터장치 24 : 배기구
25 : 먼지봉투부 26 : 청소기용 모터
27 : 쿠션링 28 : 제 1연결관
29 : 제 2연결관 30 : 제 1분배기
31 : 급기홀 32, 62 : 스텝모터
33 : 급기관 40 : 제 1웰유니트
50 : 제 2웰유니트 60 : 제 2분배기
61 : 흡기홀 70 : 제 3웰유니트

Claims (5)

  1. 키패드를 통해 각 기기에 운전수단(청소, 히터, 공기청정, 난방)의 명령을 내리는 컨트롤 패널부(10)와;
    컨트롤 패널부(10)로부터 전달된 운전수단의 명령신호에 따라 급기용 팬모터(22), 청소기용 모터(26), 제 1분배기(30)의 스텝모터(32), 제 2분배기(60)의 스텝모터(62), 히터장치(23)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되,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 청소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용 모터(26)와 제 2분배기(60)의 스텝모터(62)가 함께 작동하게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 공기청정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급기용 팬모터(22)와 제 1분배기(30)의 스텝모터(32)가 함께 작동하게되고, 난방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급기용 팬모터(22)와 제 1분배기(30)의 스텝모터(32)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히터장치(23)도 함께 작동하게되도록 구성되어진 제어부(80)와;
    본체가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그중 1개의 공간에는 급기용 팬모터(22)와 급기의 흐름을 유도하기위한 반고리형 유도관(21)과 흡입구(24')가 구비되고, 나머지 공간에는 오염된 공기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기위한 먼지봉투부(25)와 청소기용 모터(26)와 배출구(24)가 구비되어진 클리너 메인박스부(20)와;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급기용 팬모터(22)와 제 1연결관(28)에 의해 연결되고, 스텝모터(32)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다수개의 급기홀(31)이 구비되어진 제 1분배기(30)와;
    상기 클리너 메인박스부(20)의 청소기용 모터(26)와 제 2연결관(29)에 의해 연결되고, 스텝모터(62)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다수개의 흡기홀(61)이 구비되어진 제 2분배기(60)와;
    일단은 상기 급기홀(3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레쉬에어 공급을 위한 에어덕트가 구비되어진 제 1웰유니트(40)와;
    일단은 상기 흡기홀(6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청소기(100)의 전원 및 공기 흡입구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어진 제 2웰유니트(50);
    일단은 상기 흡기홀(6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실내오염공기 배출을 위한 에어덕트가 구비되어진 제 3웰유니트(7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 공기 청정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80)의 제어명령을 통해, 상기 급기용 팬모터(22)와 제 1분배기(30)의 스텝모터(32)가 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상기 청소용 모터(26)와 제 2분배기(60)의 스텝모터(62)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웰유니트(40)와 제 3웰유니트(70)를 통해 급,배기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리형태의 유도관(21)의 단부에 히터장치(23)가 결합되고, 상기 히터장치(23)는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 난방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작동되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부(10)에서 난방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히터장치(23)가 온도센서에서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만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 1, 2분배기의 다수의 급기홀(31), 흡기홀(61)중에서 사용중인 것만을 선별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32)(62)들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KR1020090037019A 2009-04-28 2009-04-28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KR20100118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19A KR20100118274A (ko) 2009-04-28 2009-04-28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19A KR20100118274A (ko) 2009-04-28 2009-04-28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274A true KR20100118274A (ko) 2010-11-05

Family

ID=4340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019A KR20100118274A (ko) 2009-04-28 2009-04-28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2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9033A (zh) * 2018-10-29 2019-01-11 山西百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居民生活的智能集成节能系统
CN109682031A (zh) * 2018-12-25 2019-04-26 好空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风净化系统的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9033A (zh) * 2018-10-29 2019-01-11 山西百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居民生活的智能集成节能系统
CN109682031A (zh) * 2018-12-25 2019-04-26 好空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风净化系统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953B1 (ko) 주택의 실내 청정관리 시스템
AU2010293674B2 (en) Air conditioner
KR100836021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KR102263864B1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101860454B1 (ko) 실내공기의 순환, 배출 및 흡입기능을 구비한 공기순환시스템
KR100730716B1 (ko) 환기유니트가 일체로 구비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KR20120117144A (ko) 환기시스템
KR101497314B1 (ko) 공기조화기
KR10195664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90000356U (ko) 급기관의 자가청소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KR20100118274A (ko) 청소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KR20060024742A (ko) 청정모드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20100083913A (ko)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508485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CN215260242U (zh) 厨房空气处理系统
KR20110134661A (ko) 제습기능이 구비된 열회수형 환기장치
CN105465942B (zh) 热交换式换气装置
JP3473127B2 (ja) 空調換気扇
JP2010101600A (ja) 空調システム
JP3851609B2 (ja) 空調機の複数台制御方法
KR10144363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0416876Y1 (ko) 쾌적한 실내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쾌적제어시스템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CN114508787A (zh) 空调室内机、空调器和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