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041A - 터치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041A
KR20100118041A KR1020090036814A KR20090036814A KR20100118041A KR 20100118041 A KR20100118041 A KR 20100118041A KR 1020090036814 A KR1020090036814 A KR 1020090036814A KR 20090036814 A KR20090036814 A KR 20090036814A KR 20100118041 A KR20100118041 A KR 2010011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touch
input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순임
Original Assignee
위순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순임 filed Critical 위순임
Priority to KR102009003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041A/ko
Publication of KR2010011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 감지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스캔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과 상기 입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캐닝 라인이 구비된 복수개의 스캔채널; 및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 스캔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스캐닝 라인의 구조를 매우 조밀하고 세밀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고해상도의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순화된 스캐닝 라인의 구조를 반복하여 확대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의 대면적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기판 부재를 사용하여 단층으로 완성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장치의 박막화가 가능하다.
Figure P1020090036814
터치스크린, 스캔 채널, 스캐닝 라인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TOUCH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다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감지능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대면적화가 용이한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것으로 최근 여러 장치에 많이 장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저항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차광 방식, 전자유도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통상적으로 뒷면에 도전막(ITO)을 형성한 PET 기판이 사용되며 공기층을 끼고 유리 위로 형성한 도전막(ITO)과 상대하고 있다. 그리고 두 면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고 터치하지 않았을 때의 상호 접촉(short)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내에는 스페이서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빛의 투과율을 저하는 불가피하다. 또한 터치할 때마다 도전막끼리 기계적인 접촉을 하는 관계로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전막을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로 인해 투과율을 더욱 나빠지고 심지어는 황색을 띠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다.
표면 탄성파를 이용한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X축, Y축의 송신용 변환기로부터 진동을 보내면 유리 표면에 탄성파가 진행한다. 이때, 유리 표면에 손가락을 대면 그 부분의 진동(energy)이 손가락에 흡수되어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은 손톱, 막대기 등 유리 표면의 탄성파를 흡수하지 못하는 물체로 터치 했을 때에는 검출되지 않을 경우는 있다. 또한 물방울이 남아 있으면 여기에 표면탄성파가 흡수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에 장애를 받을 염려가 있다.
적외선차광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가로, 세로 한쪽에 LED를 이용한 발광면을 설치하고 그 반대편에 수광면을 설치한다. 그리하여 화면을 터치할 때 빛이 차단됨으로 빛을 차단한 위치가 어디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화면 위에는 검출소자가 없기 때문에 투과율은 100%이다. 그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 먼지나 곤충 등 광원을 차단하는 물체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된다. 또한 조명이나 햇빛이 화면에 들어오는 경우 장애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전자유도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자계를 발생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로 터치해야 하는 것으로 타블렛 등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손가락으로는 동작시킬 수 없음으로 응용범위는 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에서는 빛이 막을 통과할 때 공기와 막과의 경계에서 반사가 일어나거나 또는 막과 소재와의 경계에서도 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막과 층의 수가 적을수록 불필요한 반사는 일어나지 않 는다. 이러한 점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각 층 사이에는 공기층이 없기 때문에 투과율이 좋고 불필요한 반사도 거의 없다. 그러나 해상도를 높이기에는 단순히 패턴을 미세화하는 것으로는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다양한 장치들에 널리 장착되고 있지만 가격 저하를 위해 그리고 성능 향상을 위해 해결해야할 부분들이 존재하고 있다. 즉, 보다 단순화된 구조와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터치스크린 장치들은 대면적화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감지능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대면적화가 용이한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 감지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스캔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과 상기 입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캐닝 라인이 구비된 복수개의 스캔채널; 및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 하는 터치 스캔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라인과 스캐닝 라인은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에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접지부와의 사이에 저항, 캐패시터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상기 스캔채널의 좌측과 우측을 교대적으로 스캔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의 비율비교분석에 의해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은 전압, 전류의 크기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노이즈 제거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신호 증폭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를 발생하는 스캔신호 발생원; 및 상기 스캔신호 발생원과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 사이에서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라인은 하나 이상의 선형 구조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 구조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스캐닝 라인의 구조를 매우 조밀하고 세밀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고해상도의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순화된 스캐닝 라인의 구조를 반복하여 확대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의 대면적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기판 부재를 사용하여 단층으로 완성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장치의 박막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는 터치 감지 영역 내에 스캐닝 라인(25)이 구비된 복수개의 스캔채널(20)과 복수개의 스캔채널(20)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에 기초하여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 스캔 회로(30-1, 30-2, 60)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캔채널(20)은 스캔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21)과 입력 라인(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캐닝 라인(25)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캔신호를 발생하는 스캔신호 발생원(40)가 구비되고, 스캔신호 발생원(40)과 복수개의 스캔채널(20) 사이에서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가 마련된다. 즉, 캔신호 발생원(40)에서 발생한 스캔신호가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복수의 스캔채널(20) 각각의 입력 라인(21)에 입력되면, 이 스캔신호는 입력 라인(21)과 스캐닝 라인(25)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노드(29)를 거쳐 스캐닝 라인(25)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다. 터치스크린 장치(10)는 스캔채널(20)을 스캔하도록 터치 스캔 회로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제어부(60)는 복수개의 스캔채널(20)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의 비율비교분석에 의해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은 전압, 전류의 크기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이 다.
스캔채널(20)은 노드(29)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이며, 좌우 번갈아가며 교대적으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스캔 회로는 좌측의 제1 스캔 회로(30-1) 및 우측의 제2 스캔 회로(30-2)를 포함한다. 입력 라인(21)과 스캐닝 라인(25)은 광 투과성 전도체로 예를 들어, 투명 인듐 주석 산화물, 투명한 도전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기판 부재(미도시)는 투명 기판 예를 들어,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10)는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위에 장착되는 경우 광 투과를 위하여 기판 부재와 스캔채널(20)은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광 투과가 불필요한 경우 각기 반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 부재는 스캔채널(20)의 외곽을 둘러서 접지 쉴드가 설치된다. 접지 쉴드는 스캔채널(2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스캔 회로(30-1, 30-2)는 노이즈 제거 회로(51-1, 51-2), 멀티플렉서(53-1, 53-2),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는 회로(55-1, 55-2), 신호 증폭 회로(57-1, 57-2) 및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59-1, 59-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회로(51-1, 51-2)는 스캔채널(20)을 거친 스캔신호에 섞인 노이즈를 제거한다. 예컨대, 노이즈 제거 회로(51-1, 51-2)는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 무선주파 간섭) 및 ESD(ElectroStatic Discharge, 정전기 방전)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53-1, 53-2)는 복수개의 스캔채널(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스캔채널(20)의 스캔신호를 출 력한다.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는 회로(55-1, 55-2)는 특정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로 노치 필터(north filter) 및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증폭 회로(57-1, 57-2)는 미약한 신호를 대신호로 증폭하고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59-1, 59-2)는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상의 구성요소는 선택적인 부분이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는 터치스크린의 어느 한 지점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스캔신호는 입력 라인(21)의 입력단(S_in2)으로 입력되어 스캐닝 라인(25)과의 노드(29)를 거쳐 스캐닝 라인(25)을 타고 전송되어 출력단(S_out1)으로 출력된다. 이때,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출력 스캔신호(S_out1)에서 스캔신호의 왜곡은 없다. 그러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스캐닝 라인(25)의 터치 위치(t)와 상관되어 스캔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그럼으로 터치 위치(t)와 스캔신호 왜곡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스캐닝 라인(25)의 해당되는 터치 위치(t)를 검출한다. 즉, 스캐닝 라인(25)의 전체 길이(D_a)에 대비하여 터치 위치(t)까지의 길이(D_t)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위치(t)까지의 길이(D_t)는 그에 대응되는 X축 좌표값으로 변환된다. 한편, Y축 좌표값은 Y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개의 스캔채널(20) 중 터치가 감지된, 즉 스캔신호의 왜곡이 발생한 스캔채널(20)의 위치에 대응하는 값이 Y축 좌표값이 된다.
스캔채널(20)은 노드(29)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이기 때문에 좌우 번갈아가 며 교대적으로 스캔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스캔신호는 입력 라인(21)의 입력단(S_in2)으로 입력되어 스캐닝 라인(25)과의 노드(29)를 거쳐 스캐닝 라인(25)을 타고 전송되어 출력단(S_out2)으로 출력된다. 이때, 터치 위치(t)는 노드(29)를 중심으로 좌측에 있기 때문에 스캐닝 라인(25)의 우측을 타고 전송된 스캔신호의 왜곡은 없다. 만약 터치 위치(t)가 우측에 있었다면 상기 도 2의 스캔 경로를 따라서는 스캔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도 3의 스캔 경로를 따라서는 스캔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것이다. 이와 같이, 좌우 번갈아가며 교대적으로 스캔이 이루어져야 터치 위치(t)를 제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위치(t)의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라인(21)의 입력단(S_in1, S_in2) 및 스캐닝 라인(25)의 출력단(S_out1, S_out2)을 바꿔가면서 스캔할 수 있다. 스캔신호가 어떠한 스캔경로를 가지든 스캔 신호는 터치 위치(t)와 상관되어 신호 왜곡이 발생되며, 이러한 신호 왜곡 성분은 스캐닝 라인(25)의 터치 위치(t)에 대응하는 길이(D-t)에 상관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관성에 기초하여 스캐닝 라인(25)의 출력단(S_out1, S_out2)에서 각기 터치 위치(t)까지의 거리(D-t)가 계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터치스크린의 둘 이상의 지점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복수개의 터치 입력(tL, tR)에 대하여 발생되는 신호 왜곡 성분은 각 터치 입력 위치에 상관되기 때문에 한 지점에서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둘 또는 셋 이상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 감 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의 경우에는 좌측 터치 입력(tL)은 감지되고 우측 터치 입력(tR)은 감지되지 않는다. 반대로 도 7및 도 9의 경우에는 우측 터치 입력(tR)은 감지되고 좌측 터치 입력(tL)은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라인(21)의 입력단(S_in1, S_in2) 및 스캐닝 라인(25)의 출력단(S_out1, S_out2)을 바꿔가면서 스캔해야 복수개의 터치 입력(tL, tR)를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터치스크린의 스캔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입력 라인(21)과 스캐닝 라인(25)은 각각 입력단(S_in1, S_in2)과 출력단(S_out1, S_out2)에 스위칭 회로(32, 33, 36, 37)가 마련된다. 스위칭 회로(32, 33, 36, 37)는 접지부와의 사이에 저항, 캐패시터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로팅 처리를 위하여 고저항을 연결하여 접지되도록 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커패시터나 코일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터치 감응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먼저 제어부(20)는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스캔신호를 발생시켜 복수개의 스캔채널(20)의 각각의 입력 라인(21)의 입력단(S_in1, S_in2)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입력측 스위칭 회로(32, 33)를 제어하여 입력 라인(21)의 입력단(S_in1, S_in2)의 어느 하나로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출력측 스위칭 회로(36, 37)를 제어하여 스캐닝 라인(25)을 통해서 전송되어 출력되는 스캔신호가 스캐닝 라인(25)의 출력단(S_out1, S_out2)의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입 력측 스위칭 회로(33)는 접지시키고 우측의 입력측 스위칭 회로(32)를 연결하는 경우, 스캔신호는 입력 라인(21)의 우측 입력단(S_in2)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좌측의 출력측 스위칭 회로(36)는 연결시키고 우측의 출력측 스위칭 회로(37)는 접지시키는 경우, 스캔신호는 스캐닝 라인(25)의 좌측 출력단(S_out1)으로 출력된다.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 및 스위칭 회로(32, 33, 36, 37) 중 하나 이상은 소비전력을 감소하기 위하여 일반모드와 슬립모드의 두 가지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반모드에서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는 스캔 신호 발생원(40)을 복수개의 스캔채널(20)에 스위칭 속도를 느리게 해서 느리게 스캔하도록 한다. 반면 슬립동작모드에서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는 스캔 신호 발생원(40)을 복수개의 스캔채널(20)에 스위칭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해서 빠르게 스캔하도록 한다. 그럼으로 슬립모드에서는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45)의 스위칭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스위칭 동작에 따른 전력 소비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스캐닝 라인의 다양한 변형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스캔채널의 스캐닝 라인은 하나 이상의 선형 구조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 구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예시된 스캔채널(20)의 스캐닝 라인(25)의 경우, 단순한 직선 구조를 갖고 있는데 도 14에 도시된 스캔채널(20a)의 스캐닝 라인(25a)은 세로로 지그재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지그재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구조가 혼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29-1, 29-2, 29-3)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또 다른 다양한 변형 구조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터치스크린의 어느 한 지점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터치스크린의 둘 이상의 지점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터치스크린의 스캔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스캐닝 라인의 다양한 변형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터치스크린 장치 20 : 스캔채널
21 : 입력 라인 25 : 스캐닝 라인
30-1 : 제1 스캔 회로 30-2 : 제2 스캔 회로
32, 33, 36, 37 : 스위칭 회로
40 : 스캔신호 발생원 45 :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

Claims (13)

  1. 터치 감지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스캔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과 상기 입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캐닝 라인이 구비된 복수개의 스캔채널; 및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 스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라인과 스캐닝 라인은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에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접지부와의 사이에 저항, 캐패시터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상기 스캔채널의 좌측과 우측을 교대적으로 스캔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을 통해 전송된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의 비율비교분석에 의해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의 전기적 특성값은 전압, 전류의 크기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노이즈 제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신호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캔 회로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를 발생하는 스캔신호 발생원; 및
    상기 스캔신호 발생원과 상기 복수개의 스캔채널 사이에서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발생원측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라인은 하나 이상의 선형 구조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 구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0090036814A 2009-04-27 2009-04-27 터치스크린 장치 KR2010011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14A KR20100118041A (ko) 2009-04-27 2009-04-27 터치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14A KR20100118041A (ko) 2009-04-27 2009-04-27 터치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41A true KR20100118041A (ko) 2010-11-04

Family

ID=4340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814A KR20100118041A (ko) 2009-04-27 2009-04-27 터치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0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15B1 (ko) * 2014-08-14 2015-02-17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15B1 (ko) * 2014-08-14 2015-02-17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866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8412B1 (ko) 전극 시트 및 터치 입력 장치
JP5845371B1 (ja) スマートフォン
US9342201B2 (en) Capacitive touch input device
KR101452042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105978B1 (ko) 분할 스캔 구역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분할 스캔 방법
KR102189017B1 (ko) 터치센서패널 및 터치입력장치
JP5484097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方法
KR102139727B1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666490B1 (ko) 격자형 전도성 감지부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20100118041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97416B1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101666489B1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20160141881A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497419B1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20160098988A (ko) 터치 입력 장치
KR20120018096A (ko) 지시체 검출 장치, 위치 검출 센서 및 위치 검출 센서의 제조 방법
KR101275161B1 (ko) 정전 용량 터치 감지 장치
KR101626041B1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865301B1 (ko) 터치 입력 장치
JP2011215675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KR20200029720A (ko) 터치센서패널
KR20100108492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609310B1 (ko)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00107836A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