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10B1 -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10B1
KR101609310B1 KR1020080101782A KR20080101782A KR101609310B1 KR 101609310 B1 KR101609310 B1 KR 101609310B1 KR 1020080101782 A KR1020080101782 A KR 1020080101782A KR 20080101782 A KR20080101782 A KR 20080101782A KR 101609310 B1 KR101609310 B1 KR 10160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rallel
scan line
parallel scan
conductiv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569A (ko
Inventor
위순임
Original Assignee
위순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순임 filed Critical 위순임
Priority to KR102008010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는 일면으로 터치 감지 영역을 갖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의 이면에 형성된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 및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통해서 제1 및 제2 스캔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스크린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와 상관되어 왜곡 성분을 갖게 되고, 왜곡 성분 값에 기초하여 터치 감지 영역에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보다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101782
터치스크린, 신호 왜곡, 스캔 라인

Description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TOUCHSCREEN DEVICE WITH CONDUCTIVE PARALLEL SCAN LINE AN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것으로 최근 여러 장치에 많이 장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저항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차광 방식, 전자유도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통상적으로 뒷면에 도전막(ITO)을 형성한 PET 기판이 사용되며 공기층을 끼고 유리 위로 형성한 도전막(ITO)과 상대하고 있다. 그리고 두 면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고 터치하지 않았을 때의 상호 접촉(short)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내에는 스페이서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 이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빛의 투과율을 저하는 불가피하다. 또한 터치할 때마다 도전막끼리 기계적인 접촉을 하는 관계로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전막을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로 인해 투과율을 더욱 나빠지고 심지어는 황색을 띠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다.
표면 탄성파를 이용한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X축, Y축의 송신용 변환기로부터 진동을 보내면 유리 표면에 탄성파가 진행한다. 이때, 유리 표면에 손가락을 대면 그 부분의 진동(energy)이 손가락에 흡수되어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은 손톱, 막대기 등 유리 표면의 탄성파를 흡수하지 못하는 물체로 터치 했을 때에는 검출되지 않을 경우는 있다. 또한 물방울이 남아 있으면 여기에 표면탄성파가 흡수되기 때문에 터치 검출에 장애를 받을 염려가 있다.
적외선차광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가로, 세로 한쪽에 LED를 이용한 발광면을 설치하고 그 반대편에 수광면을 설치한다. 그리하여 화면을 터치할 때 빛이 차단됨으로 빛을 차단한 위치가 어디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화면 위에는 검출소자가 없기 때문에 투과율을 100%이다. 그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 먼지나 곤충 등 광원을 차단하는 물체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된다. 또한 조명이나 햇빛이 화면에 들어오는 경우 장애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전자유도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자계를 발생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로 터치해야 하는 것으로 타블렛 등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손가락으로는 동작시킬 수 없음으로 응용범위는 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에서는 빛이 막을 통과할 때 공기와 막과의 경계에서 반사가 일어나거나 또는 막과 소재와의 경계에서도 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막과 층의 수가 적을수록 불필요한 반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각 층 사이에는 공기층이 없기 때문에 투과율이 좋고 불필요한 반사도 거의 없다.
이와 같은 여러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다양한 장치들에 널리 장착되고 있으며 가격 저하를 위해 그리고 성능 향상을 위해 해결해야할 부분들이 존재하고 있다. 즉, 보다 단순화된 구조와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터치스크린 장치들은 대면적화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갖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일면으로 터치 감지 영역을 갖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의 이면에 형성된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 및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통해서 제1 및 제2 스캔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스크린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와 상관되어 왜곡 성분을 갖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은 투명 인듐 주석 산화물, 투명한 도전성 중합체, 불투명 도전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은 하나 이상의 선형 구조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 구조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은 복수개의 측면 돌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이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대하여 둘 이상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이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덮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의 길이에 상관되는 교류 신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변조된 신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동일 주파수를 갖되 상호 반대 위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접지 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표시장치는 상기 기판 부재 일면에 장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보다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보다 향상된 동작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판 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면으로 터치스크린 기판을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50)는 터치 감지 영역 내에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52-1, 52-2)(이하, '제1 및 제2 스캔 라인'으로 약칭 함)이 구비된 기판 부재(51)와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구동회로(10)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은 기판 부재(51)의 이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수평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구조로 장착된다.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은 광 투과성 전도체로 예를 들어, 투명 인듐 주석 산화물, 투명한 도전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기판 부재(51)는 투명 기판 예를 들어,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50)는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위에 장착되는 경우 광 투과를 위하여 기판 부재(51)와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은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광 투과가 불필요한 경우 기판 부재(51)와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은 각기 반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 부재(51)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외곽을 둘러서 접지 쉴드가 설치된다. 접지 쉴드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의 다양한 변형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은 수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구조가 혼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의 나선형 구조로 들어가고 나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또 다른 다양한 변형 구조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구조는 하나 이상의 선형 구조 영역을 갖는 경우 또는 비선형 구조 영역을 갖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은, 도 8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한 직선 구조를 갖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구조의 양편으로 복수개의 측면 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0은 기판 부재의 단면 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기판 부재(51)의 이면에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이 구성되고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을 덮도록 보호막(63)이 구성된다. 그리고 기판 부재(51)의 일면으로 편광판(62)이 장착된다. 즉, 기판 부재(51)는 편광판(62)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사이에 설치된다. 그럼으로 편광판(62)에 의해 기판 부재(51)가 보호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60)의 표시화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터치스크린 장치(50)는 터치스크린 구동 회로(10)에 의해 구동되어 기판 부재(51) 일면의 터치 감지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한다. 터치스크린 구동 회로(10)는 크게 제어부(20), 스캔 신호 발생부(30), 스캔 신호 수신부(32), 및 스위칭 회로(40)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스 캔 신호 발생부(30)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제1 및 제2 입력 스캔 신호(S1_in, S2_in)를 발생시켜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각각의 일단(54-1, 54-2)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을 통해서 전송되어 출력되는 제1 및 제2 출력 스캔 신호(S1_out, S2_out)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각각의 타단(56-1, 56-2)을 통해서 스캔 신호 수신부(32)로 출력된다. 스캔 신호 수신부(32)는 제1 및 제2 출력 스캔 신호(S1_out, S2_out)가 왜곡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그 왜곡 성분 값을 제어부(20)로 제공한다. 제어부(20)는 스캔 신호 수신부(3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왜곡 성분 값에 기초하여 터치 감지 영역에서 터치된 위치 정보 TP(XN, YM)를 출력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이용한 터치 위치의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과 스캔 신호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입력 스캔 신호(S1_in, S2_in)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각각의 일단(54-1, 54-2)으로 입력되어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을 타고 전송되고 각각의 타단(56-1, 56-2)을 통하여 제1 및 제2 출력 스캔 신호(S1_out, S2_out)가 출력된다. 이때,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S10) 제1 및 제2 출력 스캔 신호(S1_out, S2_out)에서 스캔 신호의 왜곡은 없다(S12). 그러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S20)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터치 위치(TP)와 상관되어 스캔 신호의 왜곡이 발생(S22)하게 된다. 그럼으로 터치 위치(TP)와 스캔 신호 왜곡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해당되는 터치 위치(TP)를 검출(S24)한다. 즉,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전체 길이(Ls)에 대비하여 터치 위치(TP)까지의 길이(Ltp_1, Lpt_2)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위치(TP)까지의 일차원 길이(Ltp_1, Lpt_2)는 이차원 좌표 변환 연산(S26)을 통하여 표시화면에서 그에 대응되는 이차원 좌표값 TP(XN, YM)로 변환되며 해당되는 좌표값 TP(XN, YM)이 출력(S28)된다.
터치 위치(TP)와 스캔 신호의 왜곡 성분의 상관관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이 반전된 두 개의 사인 파형의 교류 신호를 스캔 신호로 입력하는 경우에서 설명될 수 있다. 제1 스캔 라인(52-1)의 일단(54-1)으로 사인파 신호의 제1 스캔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캔 라인(52-2)의 일단(54-2)으로 반전 위상의 사인파 신호의 제2 스캔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상호 반전된 위상을 갖고 서로 반대 위치에서 입력되고 출력된다. 이때,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터치 위치(TP)와 상관되어 신호 왜곡이 발생되며, 이러한 신호 왜곡 성분은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터치 위치(TP)에 대응하는 길이(Ltp_a, Ltp_b)에 상관된다. 그럼으로 이러한 상관성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일단(54-1, 54-2) 혹은 타단(56-1, 56-2)에서 각기 터치 위치(TP)까지의 거리(Ltp_a, Ltp_b)가 계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캔 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길에 대응하는 한 파장의 주기를 갖는 주파수를 갖는 사이파 신호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고주파 신호, 저주파 신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교류 신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된 신로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과 표시화면과의 대응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일차원 선분의 길이(Ls)를 갖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임의의 영역은 이차원 평면을 갖는 표시화면의 모든 화소 (X1, Y1)~(XN, YM)와 대응 관계를 갖는다. 즉, 표시화면의 하나의 픽셀이 갖는 이차원 좌표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일차원 길이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표시화면의 터치 위치가 TP(X6, Y3)일 때 그 좌표(또는 그 영역)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일단(54-1) 또는 타단(56-2)에서 해당 터치 위치 TP(X6, Y3)까지의 길이와 대응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1 및 제2 스캔 신호의 왜곡 성분이 그 터치 위치와 갖게 되는 상관성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스캔 신호 수신부의 일예와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 구동 회로는 스캔 신호 수신부로서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출력단에 각기 연결되는 정류부(35, 36)와 비교기(33) 그리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정류부(35, 36)를 통해서 정류된 신호는 비교기를 통하여 비교되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1)로 입력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로부터 출력되는 값(SC_out)은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 왜곡 성분을 포함한다. 그럼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6)로부터 출력되는 값(SC_out)에 기초하여 제어부(20)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에서 해당되는 터치 위치(TP)까지의 길이(Ltp)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럼으로 표시화면에서 터치 위치에 대한 이차원 좌표 TP(XN, YM)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비교 방식은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의 일단(54-1, 54-2)과 타단(56-2, 56-2)에서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세 개의 비교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개의 비교 결과 값(SC1_out, SC2_out, SC3_out)은 제어부(20)로 입력되고 이 값들에 기초하여 제어부(20)는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1, 52-2)에서 해당되는 터치 위치(TP)까지의 길이(Ltp)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럼으로 표시화면에서 터치 위치에 대한 이차원 좌표 TP(XN, YM)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8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점에서 동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복수개의 터입력에 대하여 발생되는 신호 왜곡 성분은 각 터치 입력 위치에 상관되기 때문에 한 지점에서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둘 또는 셋 이상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하나의 기판 부재에 둘 이상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구성한 변형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2는 하나의 기판 부재에 삼선 구조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구성한 또 다른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장치는 하나의 기판 부재(51)에 상호 연결되지 않는 두 쌍의 제1 및 제2 스캔 라인(52a-1, 52a-2, 52b-1, 52b-2)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네 개의 병렬 스캔 라인쌍(52a, 52b, 52c, 52d)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스캔 라인을 구성하여 병렬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판 부재(51)에 삼선 구조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52-1, 52-2, 52-3)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면으로 터치스크린 기판을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의 다양한 변형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직선형 구조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기판 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측면 돌기를 구비한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기판 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기판 부재의 단면 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이용한 터치 위치의 감지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과 스캔 신호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과 표시화면과의 대응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스캔 신호 수신부의 일예와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점에서 동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하나의 기판 부재에 둘 이상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구성한 변형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하나의 기판 부재에 삼선 구조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구성한 또 다른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터치스크린 구동회로 20: 제어부
30: 스캔 신호 발생부 32: 스캔 신호 수신부
50: 터치스크린 장치 51: 기판 부재
52-1, 52-2: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

Claims (13)

  1. 일면으로 터치 감지 영역을 갖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의 이면에 형성된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 및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통해서 제1 및 제2 스캔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스크린 구동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내에서 터치된 위치와 상관되어 왜곡 성분을 갖게 되고,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은 하나 이상의 선형 구조 영역 또는 하나 이상의 비선형 구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은
    투명 인듐 주석 산화물, 투명한 도전성 중합체, 불투명 도전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은
    복수개의 측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대하여
    둘 이상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덮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상기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의 길이에 상관되는 교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변조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신호는 동일 주파수를 갖되 상호 반대 위상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접지 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12. 제1항의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 일면에 장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80101782A 2008-10-16 2008-10-16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60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82A KR101609310B1 (ko) 2008-10-16 2008-10-16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82A KR101609310B1 (ko) 2008-10-16 2008-10-16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569A KR20100042569A (ko) 2010-04-26
KR101609310B1 true KR101609310B1 (ko) 2016-04-06

Family

ID=4221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782A KR101609310B1 (ko) 2008-10-16 2008-10-16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336B1 (ko) * 2012-07-27 2019-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110A (ja) 2004-05-25 2006-01-12 Alps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式の座標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110A (ja) 2004-05-25 2006-01-12 Alps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式の座標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569A (ko) 2010-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1251B2 (en) Orthogonal signaling touch user, hand and object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176692A1 (en) Dynamic assignment of possible channels in a touch sensor
KR102288703B1 (ko) 고속 멀티 터치 스타일러스 및 센서
US10191579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orthogonal signaling sensors
US201503015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t mitigated sensitivity in a touch sensitive device
WO2014032376A1 (zh) 触控式液晶显示装置
US20110210944A1 (en) Digital capacitive touch screen
KR101105978B1 (ko) 분할 스캔 구역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분할 스캔 방법
KR102092944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위치 검출 방법
Moeller et al. Scanning FTIR: unobtrusive optoelectronic multi-touch sensing through waveguide transmissivity imaging
CN203012671U (zh) 一种触摸检测设备
CN103376954A (zh) 光学触控装置及触控感测方法
KR101609310B1 (ko) 전도성 병렬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666490B1 (ko) 격자형 전도성 감지부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97416B1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101572092B1 (ko) 전도성 단일 스캔 라인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666489B1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CN104423726A (zh) 光学式坐标输入装置
KR101626041B1 (ko) 터치스크린 장치
KR20100108492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97419B1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KR20100099632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181712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장치
CN102063229A (zh) 一种触摸屏结构及其调整光线均匀度的方法
KR20100107836A (ko) 이차원 전도성 감지망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