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585A -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585A
KR20100117585A KR1020107016926A KR20107016926A KR20100117585A KR 20100117585 A KR20100117585 A KR 20100117585A KR 1020107016926 A KR1020107016926 A KR 1020107016926A KR 20107016926 A KR20107016926 A KR 20107016926A KR 20100117585 A KR20100117585 A KR 20100117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criteria
group
user
communication cond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029B1 (ko
Inventor
밍리 유
얀 자오
타오 양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0011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34A/D conversion, code compression/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88Closed user groups, CU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2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67Hierarchical multiplexing, add-drop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92Channels assigned according to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는데, 여기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들을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이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되고;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가 시분할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할당된다.

Description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PERSIS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EMI-GROUPING AND STATISTICALLY MULTIPLEXING}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UE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모든 서비스들은 패킷 도메인(packet domain)에서 반송될 것이므로, VoIP(Voice over IP)는 운영자들에 대한 중요한 서비스이다. 스케줄링은 VoIP 용량을 개선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업링크(UpLink: UL) 스케줄링 원리들에 따른 현재의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상태[참조문헌 1]로부터, VoIP에 대한 영구적 및 동적 스케줄링 모드들이 LTE 업링크에 대해 허용된다.
LTE 시스템에 대하여, 이것은 상당히 많은 수(예를 들어, 400개)의 활성 UE들을 지원할 것이다. 그 후, 특히, 업링크에 대하여, 이것은 다수의 VoIP 사용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승인(grant)들을 소모할 것이며, 이는 다운링크(DownLink: DL) 용량을 감소시킬 것이다.
상기의 동적 승인 방법에 대한 제약들로 인하여, 다운링크(DL) L1 용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동적 스케줄링 모드가 VoIP 서비스들에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HARQ 프로세스 동안 미사용된 HARQ 송신을 이용하는 것이 쟁점이 된다. LTE 시스템에서, 낮은 평균 송신 수는 적응형 변조 및 코딩 방식(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들에 의해 높은 스펙트럼 효율(spectrum efficiency)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평균 HARQ 송신 수는 양호한 스펙트럼 효율을 성취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1 및 2 사이일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VoIP 서비스에 대해 최대 송신 수는 (4 및 5와 같이) 클 것이므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잠재적 재송신들을 위한 자원을 자신의 최대 송신 수까지 할당해야 한다.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에서는 동적 승인이 필요하지 않지만, HARQ 송신에서 자원들을 영구적 방식으로 충분하게 이용하는 방법이 여전히 미해결점이다.
자원 이용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다수의 VoIP 사용자들을 그룹화하기 위하여 동적 그룹화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Motorola로부터의 제안[참조문헌 2]이 존재한다. 상이한 사용자들은 하나의 그룹에서 동일한 MCS 및 동일한 자원 유닛(resource unit)들을 사용해야 하므로, 다수의 그룹들이 상이한 MCS 및 RU(자원 유닛) 수와 함께 규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안은 그룹 내의 어느 VoIP 사용자가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할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특정 비트-맵 동적 승인(bit-map dynamic grant)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3GPP에서의 현재 승인 방법과 상충되며, 이 제안은 지금 3GPP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HARQ 자원을 비-VoIP 사용자(non-VoIP user)와 공유하는 Alcatel-Lucent로부터의 또 다른 제안[참조문헌 3]이 존재한다. 기본적인 개념은 동적 사용자들이 (VoIP 패킷의 성공적인 송신으로 인하여) VoIP에 대해 미사용된 HARQ 재송신 기회들을 사용하여 다른 패킷 서비스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며, 충돌이 존재할 때, VoIP 패킷 최초 송신이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시프트(shift)된다. 그러나, 주파수-도메인에서, VoIP 패킷은 동일한 자원 유닛 및 동일한 MCS를 사용할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최초 송신을 위한 시간 자원이 영구적이지 않고, VoIP 서비스 및 다른 동적 패킷 서비스들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한다. 이것은 또한 VoIP 서비스들 및 다른 버스트 서비스(burst service)들로 할당되는 상이한 대역폭이 존재하는 경우에 현재의 3GPP 상태 및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 스케줄링에 대한 반-그룹화에 의하여 임의의 동적 시그널링 희생 없이 시스템 성능을 상당히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한 VoIP UE에 대한 VoIP 패킷들 사이에서의 VoIP UE들의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 방법을 사용하여 업링크 VoIP 스케줄링에 대해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에서 미사용된 HARQ 송신 기회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predetermined set)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time slot)들에서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시분할 멀티플렉싱 모드(time division multiplexing mode)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은: 모든 사용자 장비들의 통신 조건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이전에 그룹화된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사용자 장비가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그의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밖으로 조정하고,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그의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적어도:
- 사용자 장비가 토크 상태(talk state)인 것;
-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및
-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될 그의 사용자 장비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average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가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들 사이의 최대 차이가 제 2 소정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은: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은: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을 재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패킷 및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남아있는 패킷들을 폐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은 항상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들은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에 따라 변화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자원은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자원 유닛들의 수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average packet error ratio)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다는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의 평균 사용 수가 제 2 임계값보더 더 낮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룹화되지 않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다는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의 평균 사용 수가 제 3 임계값보더 더 크지 않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수단; 및 시분할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는: 모든 사용자 장비들의 통신 조건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이전에 그룹화된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사용자 장비가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판정기; 및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그의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밖으로 조정하고,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그의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조정하는 조정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적어도:
- 사용자 장비가 토크 상태인 것;
-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및
-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될 그의 사용자 장비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가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들 사이의 최대 차이가 제 2 소정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가: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들을 할당하는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가 부가적으로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을 재송신하고;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패킷 및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남아있는 패킷들을 폐기하는데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가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을 항상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는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들을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에 따라 변화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자원이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자원 유닛들의 수이다.
바람직하게는, 그의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다는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들의 평균 사용 수가 제 2 임계값보더 더 낮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룹화되지 않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다는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의 평균 사용 수가 제 3 임계값보더 더 크지 않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에서, 다수의 VoIP UE들은 시간 도메인 내의 상이한 음성 슬롯(20ms)에서 HARQ 프로세스들을 동등하게 공유하기 위하여 (영구적 승인을 사용하여) 반-정적으로 그룹화된다. 각각의 VoIP UE들 내에서, 다수의 VoIP 패킷들은 각각의 패킷이 우연히 최대 송신 수에 도달할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 각각의 할당된 시간 슬롯 내에서 HARQ 프로세스를 통계적으로 공유하고 있고, 그 동안, 다수의 VoIP 패킷들은 평균적으로 공유된 HARQ 프로세스 자원에서 성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영구적 스케줄링에 대한 반-그룹화의 장점은 임의의 동적 시그널링 희생 없이 시스템 성능을 상당히 개선시키는 것이다(~90% 이득).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적 스케줄링에 대한 반-그룹화에 의하여 임의의 동적 시그널링 희생 없이 시스템 성능이 상당히 개선된다.
도 1은 VoIP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VoIP 서비스의 특성들을 약술한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영구적 VoIP 스케줄링에 대한 반-그룹화에 대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정적 또는 반-정적 자원 할당을 갖는 반-그룹화에 대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및 종래 기술들에 따른 예비 시뮬레이션으로부터 획득되는 그래프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비-제한된 실시예들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일부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제한이 아니라, 본 발명의 예들로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할 수 있지만, 종래의 구조 또는 구성이 생략될 것이다.
1. VoIP 서비스 특성들
VoIP 서비스에 대하여, 2개의 상태들, 토크 상태 또는 사일런스 상태(silence state)가 존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상태에서, 하나의 VoIP 패킷만이 20ms마다 송신되고; 사일런스 상태에서, 하나의 SID(사일런스 기술자(silence descriptor)) 패킷이 160ms마다 송신된다. 게다가, 동기 HARQ가 UL VoIP 송신에 대해 지원된다.
2.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에 대한 반-그룹화 방법
동시에 지원되는 많은 수의 VoIP 사용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는 동적 승인에 대한 필요가 없는 이점들로 인하여 업링크 VoIP 서비스에 대한 일종의 선택이다.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는 Alcatel-lucent 제품 내의 LA0.1의 제 1 릴리스(release)에서 사용될 것이다.
동적 다운링크 승인이 없는 영구적 스케줄링 모드에서, L3 시그널링(signaling)이 저속이기 때문에 또 다른 VoIP 사용자로부터 미사용된 HARQ 송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그룹화의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한 VoIP 사용자 내의 다수의 프레임들이 HARQ 프로세스를 공유하도록 하고 나서, 하나의 VoIP 패킷에 대해 미사용된 HARQ 재송신 기회가 임의의 시그널링 희생 없이 동일한 VoIP 사용자로부터의 또 다른 VoIP 패킷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이한 VoIP 사용자들은 상이한 프레임들(20ms)에서 HARQ 프로세스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다. 적응형 변조 및 코딩(AMC)이 LTE 업링크에서 지원되기 때문에, 양호한 스펙트럼 효율을 성취하기 위한 전형적인 HARQ 송신 수(예를 들어, 1 내지 2)는 높지 않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20ms) 내에서 2개 내지 3개의 VoIP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이 대부분 가능하다. 그 후, HARQ 자원 이용도가 반-그룹화 방법에 의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10)에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을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UE들이 UE 그룹 내로 그룹화된다. 그 후, 단계(203)에서, 하나의 UE 그룹 내의 각각의 UE가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모드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할당받는다. 그 후, 단계(204)에서, 각각의 UE가 자신의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자신의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할 것이다. 단계(204)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205)에서, 모든 UE들의 통신 조건들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된다. 그 후, 단계(207)에서, 하나의 UE 그룹 내로 이전에 그룹화된 소정 수의 UE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일부 UE들이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단계(207)에서 결정되는 경우에(단계 207에서 "No"), 단계(209)에서,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UE들이 UE 그룹 밖으로 조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즉, 모든 UE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고 상기 UE 그룹에서 충분한 자원 공간이 존재한다(미사용된 HARQ 재송신 수가 2보다 더 크다)고 단계(207)에서 결정되는 경우에(단계 207에서 "Yes"), 단계(211)에서, 또 다른 UE가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일부 UE들이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킨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단계 211에서 "Yes"), 단계(213)에서,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UE들이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조정된다. 단계(213) 이후에, 프로세스 흐름은 필요하다면, UE 그룹들을 갱신하기 위하여 단계(201)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즉, 다른 UE들이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단계 211에서 "No"), 프로세스 흐름은 필요하다면 UE 그룹들을 갱신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단계(201)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201)에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적어도:
- UE가 토크 상태인 것;
- UE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및
- 하나의 UE 그룹 내로 그룹화될 UE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UE의 측정된 평균 SINR이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UE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상기 제 1 소정 임계값은 다음으로서 선택된다: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SINR은 UE가 높은 스펙트럼 효율(또는 2회와 같은 낮은 송신 횟수)로 MCS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할 것이다. UE들의 그룹의 측정된 평균 SINR들 사이의 최대 차이가 제 2 소정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 UE들의 그룹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상기 제 2 소정 임계값은 2개의 UE들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MCS를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값이며, 그 후에, 그룹화된 UE들에 대해 동일한 수의 자원 유닛들이 사용될 것이다.
단계(204)는 각각의 UE가 자신의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자신의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는 패킷 송신 단계이다. 우측의 서브-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041)에서, UE의 그룹 내의 하나의 UE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HARQ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하나의 UE로부터의 패킷들이 할당된다. 단계(2043)에서, 패킷이 자신의 이전 패킷 송신의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송신 또는 재송신된다. 단계(2045)에서, 현재 패킷 송신이 성공적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현재 패킷이 성공적으로 송신된 경우에(단계 2045에서 "Yes"), 프로세스 흐름은 다음 패킷이 송신되는 단계(2043)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즉, 현재 패킷 송신이 성공적이지 않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단계 2045에서 "No"), 단계(2047)에서, 하나의 UE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지가 결정된다. 하나의 UE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 경우에(단계 2047에서 "Yes"), 프로세스 흐름은 현재의 패킷이 재송신되는 단계(2043)로 다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단계 2047에서 "No"), 단계(2049)에서, 현재의 패킷 및 임의의 다른 남아있는 패킷들을 폐기하는 것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UE에 대한 주파수 자원(RU 수) 및 변조 코딩 방식이 항상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의 UE 또는 UE들의 그룹에 대한 주파수 자원(RU 수) 및 변조 코딩 방식들이 하나의 UE의 측정된 SINR 또는 UE들의 그룹 내의 모든 UE들 사이의 측정된 평균 SINR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의 그룹화된 UE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다음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PER이 제 1 임계값(A)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UE 그룹에 영구적으로 승인된 평균 미사용 HARQ 송신 횟수가 제 2 임계값(B)보다 더 낮은 것.
그래서, 상기 그룹화된 UE들이 상기 기준들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 하나의 그룹화된 UE가 UE 그룹으로부터 제거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즉, 상기 기준들이 충족될 수 있는 경우에, 또 다른 UE가 UE 그룹 내로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그룹화된 UE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다음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하나의 UE 그룹 내의 UE들의 평균 PER이 제 1 임계값(A)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하나의 UE 그룹 내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평균 사용 수가 제 3 임계값(C)보다 더 크지 않은 것.
그래서, 상기 그룹들의 UE들이 상기 기준들을 충족시킨다고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비-그룹화된 UE들로부터의 하나의 UE가 상기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하나의 UE 그룹 내로 추가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600)는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을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UE들을 UE 그룹 내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유닛(610); 및 시분할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하나의 UE 그룹 내의 각각의 UE에 할당하는 할당 유닛(620)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UE는 자신의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자신의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할 것이다.
더욱이,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600)는 모든 UE들의 통신 조건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630); 하나의 UE 그룹 내로 이전에 그룹화된 소정 수의 UE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UE가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판정기(640); 및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UE들을 상기 UE 그룹 밖으로 조정하고,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UE들을 상기 UE 그룹 내로 조정하는 조정기(6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적어도:
- UE가 토크 상태인 것;
- UE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및
- 하나의 UE 그룹 내로 그룹화될 그의 UE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UE의 측정된 평균 SINR이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상기 UE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UE들의 그룹의 측정된 평균 SINR들 사이의 최대 차이가 제 2 소정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UE들의 그룹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고 결정된다.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600)는: 하나의 UE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HARQ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하나의 UE로부터의 패킷들을 할당하는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66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660)는 부가적으로 하나의 UE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UE로부터의 패킷을 재송신하고; 상기 하나의 UE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UE로부터의 패킷 및 상기 하나의 UE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남아있는 패킷들을 폐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600)는 하나의 UE에 대한 주파수 자원(RU 수) 및 변조 코딩 방식을 항상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UE의 측정된 SINR에 따라 하나의 UE에 대한 주파수 자원(RU 수) 및 변조 코딩 방식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의 그룹화된 UE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다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PER이 제 1 임계값(A)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UE 그룹에 영구적으로 승인된 평균 미사용 HARQ 송신 횟수가 제 2 임계값(B)보다 더 낮은 것.
그래서, 상기 그룹화된 UE들이 상기 기준들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 조정기가 하나의 그룹화된 UE를 UE 그룹으로부터 제거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비-그룹화된 UE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다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하나의 UE 그룹 내의 UE들의 평균 PER이 제 1 임계값(A)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하나의 UE 그룹 내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평균 사용 수가 제 3 임계값(C)보다 더 크지 않은 것.
그래서, 판정기(640)가 그의 그룹화된 UE들이 상기 기준들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조정기(650)는 비-그룹화된 UE들로부터의 하나의 UE를 상기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하나의 UE 그룹 내로 추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영구적 VoIP 스케줄링에 대한 반-그룹화에 대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VoIP 사용자들(UEi 및 UEj)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토크 요청을 기반으로 한) 자신들의 토크 스퍼트(talk spurt)들 동안 반-그룹화된다. 그 후, UEi 및 UEj로부터의 VoIP 패킷들 1 및 2가 하나의 프레임에서 동일한 HARQ 프로세스를 공유한다. UEi 및 UEj는 TDM 모드를 사용하여 상이한 시간 프레임들을 공유하고 있다.
다수의 VoIP 사용자들이 함께 반-그룹화되는 기준들은 다음이다:
■ VoIP 사용자들이 토크 상태인 것
■ VoIP 사용자들이 매우 불량한 채널 조건들이 아니라는 것, 즉, VoIP 사용자의 측정된 평균 SINR이 매우 낮은 경우에, 이것은 최저의 이용 가능한 MCS로도 많은 회수(예를 들어, 3회 이상) 송신될 것이다.
■ VoIP 사용자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 즉, 평균 측정된 SINR이 상기 사용자들에 대한 동일한 MCS를 선택하는 것에 가까워서, VoIP 사용자들이 동일한 수의 자원 유닛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예에서, UEi 및 UEj는 2개의 VoIP 프레임들(프레임 1 및 프레임 2)을 그룹화하고, HARQ 프로세스 1에서 RU들을 공유한다. 게다가, 2개의 UE들(UEi 및 UEj)은 대안적으로 UEi에 의해 사용되는 20ms 슬롯 0 및 UEj에 의해 사용되는 20ms 슬롯 1과 같은 시간 자원들을 공유한다.
각각의 20ms 슬롯(예를 들어, 슬롯 0) 내에서, UEi로부터의 2개의 VoIP 패킷들이 HARQ 송신들(예를 들어, 4개의 송신들)을 공유한다. 이들의 공유는: UEi로부터의 (a) VoIP 패킷들 1 및 2 둘 모두가 2회 송신되는 것 또는 (b) 패킷 1 이 1회 송신되고 패킷 2가 3회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VoIP UE들 내에서의 2개의 VoIP 패킷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HARQ 프로세스 자원에 대한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실현할 수 있다. 전체의 20ms 슬롯(예를 들어, 슬롯 0)이 동일한 UEi에 예약되므로, 임의의 동적 승인이 필요하지 않다. 세 번째 20ms 슬롯에서, 패킷 3이 4회 송신되는 경우에, 패킷 4는 송신될 기회를 손실할 것인데, 이것은 3회 송신들을 필요로 하는 확률이 10%보다 훨씬 더 적고 2개의 패킷들 둘 모두가 3회 송신들을 필요로 하는 확률이 VoIP 서비스에 대한 2%의 패킷 에러비에 대한 QoS 요건보다 낮은 10%*10%=1%보다 훨씬 더 적기 때문에 매우 확률이 낮을 것이다. 게다가, 충분한 패킷 에러비가 관측되는 경우에 UE들을 재그룹화하는 저속 메커니즘이 존재할 것이다.
VoIP 서비스에 대한 최대 지연 요건(예를 들어, 50ms) 및 (외부-루프 제어(outer-loop control)에 의해 동적으로 제어되는) VoIP 패킷들의 평균 송신 수가 다음과 같이 반-그룹화에서 VoIP 사용자들의 수를 제한한다는 점을 고려하라:
ㆍVoIP의 최대 지연이 50ms인 경우에: 전형적으로 2개의 VoIP UE들이 반-그룹화될 수 있다;
ㆍ40ms마다의 VoIP 패킷이 하나의 20ms 윈도우(window)에서 송신되도록 결합되고, 2개의 VoIP UE들이 TDM에서 20ms 윈도우의 시간 자원을 교호적으로 사용한다. 이것은 VoIP 서비스의 QoS 요건을 충족시키는 VoIP 패킷에 대한 최대 40ms 지연을 발생시킬 것이다.
VoIP 패킷들의 평균 송신 수가 (동적 자원 선택에서 피해질) 불량한 채널 조건에서와 같이 2회보다 더 큰 경우에, 이 VoIP 패킷 자신이 HARQ 재송신 기회들을 고도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HARQ 프로세스를 공유하기 위하여 VoIP 패킷들을 그룹화할 필요가 없다.
패킷들의 수(크기=반-그룹 내의 UE들의 수)는 각각의 시간 슬롯 내에서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서 최대 송신 횟수(예를 들어, 4회 송신들)를 통계적으로 공유하므로, 미사용된 HARQ 재송신 자원을 이용한다(예를 들어, 각각의 패킷이 평균적으로 2회만 송신되는 경우에, 자원 이용도를 50%로부터 100%로 개선시킨다). 이것은 상이한 VoIP 사용자들 사이에서 VoIP 패킷 송신을 조정하기 위한 고속 동적 L1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들을 발생시킨다.
동일한 VoIP 사용자로부터의 다수의 VoIP 패킷들에 대하여, HARQ 프로세스 자원은 자신이 최대 송신 수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VoIP 패킷 송신을 보증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그 후, 다음 VoIP 패킷 송신이 행해진다.
아우티지 확률(outage probability) 및 VoIP 용량 사이를 트레이드 오프(trade off)하기 위하여 반-그룹화의 크기를 반-정적으로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하나의 VoIP 사용자가 (사일런스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인해) 반-그룹을 떠나거나 새롭게 토크 상태로 진입할 때, L3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VoIP 사용자들과 반-정적으로 재그룹화되어야 한다.
VoIP 사용자들의 반-그룹 크기를 재조정하기 위하여 외부 루프 제어가 도입된다. 이 제어 루프는 규정된 측정 기간 내에서 반-그룹 내의 VoIP 사용자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PER)를 측정할 것이다. 평균 PER이 미리 구성된 임계값(A)보다 더 큰 경우(예를 들어, PER>VoIP 서비스의 QoS 요건으로부터의 2%인 경우) 또는 UE 그룹에 영구적으로 승인된 평균 미사용된 HARQ 송신 횟수가 제 2 임계값(B)보다 더 낮은 경우에, 하나의 VoIP 사용자가 반-그룹으로부터 제거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즉, 반-그룹 내의 VoIP 사용자들의 평균 PER이 미리 구성된 임계값(A)을 충족시키고, 총 사용된 HARQ 송신 수의 평균이 임계값(C)(예를 들어, 3회)보다 더 낮은 경우에, 하나의 VoIP 사용자가 반-그룹 내에 추가될 수 있다.
간소화를 위하여, 여기서, 유사한 채널 조건을 갖는 UE들을 반-그룹화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이한 VoIP 사용자들만이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 HARQ 프로세스 자원을 공유하므로, 상이한 VoIP 사용자들이 유사한 평균 SINR 값들을 갖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VoIP 사용자들의 반-그룹들을 균일하게 분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4는 정적 또는 반-정적 자원 할당을 갖는 반-그룹화에 대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도메인에서, 반-정적 자원 할당이 또한 저속으로 변화하는 채널 조건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2개의 VoIP UE들(예를 들어, UE1 및 UE2)을 도시한 도 4에서, 각각의 UE 내의 VoIP 패킷들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서 RU들을 공유하기 위하여 함께 반-통계적으로 그룹화되고, 2개의 UE들(UE1 및 UE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자원들을 통계적으로 공유한다. 이 도면은 RU들의 수에 의한 주파수 자원, 및 VoIP 패킷 송신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이 VoIP UE의 저속으로-변화하는 채널 조건에 따라 저속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경우 1에서, 모든 RU들 및 MCS는 간소화를 위해 고정되지만, 경우 2에서, 이들 둘 모두는 VoIP 용량을 더 개선시키기 위하여 반-정적으로 변화된다.
상세하게, 경우 1에서, UE1 및 UE2는 함께 반-그룹화되고, 시간 자원(20ms 시간 슬롯)을 교호적으로 할당받는다. 각각의 UE에 대하여, 2개의 VoIP 패킷들이 각각의 프레임(20ms 시간 슬롯) 내에서 최대 4회 송신들을 공유하고 있다. 채널-인식 스케줄링(channel-aware scheduling)이 도입되지 않으므로, 주파수 자원(RU 수) 및 MCS는 UE1 및 UE2의 VoIP 패킷 송신 둘 모두에 대하여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반면, 경우 2에서, 저속 채널-인식 스케줄링이 도입되므로, RU 수 및 MCS 둘 모두가 UE1 및 UE2에 대한 측정된 SINR에 따라 변화된다. 이것은 VoIP 용량을 더 개선시킬 수 있다.
그룹화가 반-정적이므로, 고속 채널 주파수-선택도가 충분히 이용될 수 없지만, 고속 주파수 페이딩 다이버시티(fast frequency fading diversity)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하나의 VoIP UE 내의 2개의 패킷들에 대해 동일한 HARQ를 통계적으로 공유하는 것으로 통하여 평탄해질 수 있다.
3. 예비 시뮬레이션 결과( Preliminary Simulation result )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simulation scenario)들:
■ 단일 셀(single cell), 5MHz BW(24RU들), 코덱 12.2Kbps, TU6 채널에 의한 도 4의 경우 1, 5HARQ 프로세스 및 4 최대 Tx 수, 1ms TTI
시뮬레이션들에서의 강화된 영구적 스케줄링에서의 특징들
■ SID 검출들
■ 동적 RU 선택 및 비-채널 인식: 각각의 VoIP 패킷에 대하여 상이한 RU 인덱스이지만, 고정된 RU 수 및 MCS: 2 RU들 × QPSK 1/2 선택
■ 반-그룹화(TDM)
동적 그룹 스케줄링에서의 특징들
■ Motorola[참조문헌 1]로부터: UE들의 그룹이 HARQ 프로세스 동안 RU들의 세트 공유
■ 각각의 VoIP 패킷에 대해 고정된 2 RU들 × QPSK 1/2
■ 사일런스 및 미사용된 HARQ 송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TTI 비트맵마다의 L1/L2 시그널링(비트들=각각의 그룹 내의 UE들의 수)(우리의 SID 검출 적용)
도 5a 및 도 5b는 시뮬레이션 결과들을 도시하는데, 도 5a는 상이한 방법들에서 VoIP 패킷들의 패킷 에러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하며, 도 5b는 상이한 방법들에서 VoIP 패킷들의 RLC SDU 지연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상이한 방식들에 대해 VoIP 패킷들의 QoS가 도시되어 있다. 반-그룹화 방법에 의하여, VoIP 용량이 110개의 UE들로부터 210개의 UE들로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될 수 있고, 이것이 영구적 VoIP 스케줄링에 대한 반-그룹화 방법의 효율을 입증한다. 순수한 동적 스케줄링 방법과 함께 반-그룹화 방법을 사용하는 영구적 스케줄링에 비하여 적은 갭(gap)(250개의 UE들이 상당한 동적 승인을 갖는 순수한 동적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QoS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이 존재하지만, 강화된 영구적 스케줄링에 대하여 동적 승인이 전혀 없는 이점들을 갖는다.
ㆍ VoIP QoS의 기준들은: 자신의 음성 프레임들의 98% 이상이 50ms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사용자들(PER<2%)을 기반으로 한 5% 아우티지이다.
상기 시스템 시뮬레이션들로부터, 반-그룹화의 강화가 다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완전 영구적 스케줄링이 60개의 UE들(=5*12)을 지원할 수 있고, 패킷 지연 및 PER을 충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 동적 그룹 스케줄링이 가장 큰 용량을 나타내지만(95% RLC SDU 지연 < 60ms 및 95% PER <2%를 갖는 250개의 UE들), 많은 수의 DL 승인 희생들(TTI마다 50개의 동적 승인들)을 필요로 한다. 이 동적 그룹은 3GPP에서 거절된다.
■ 강화된 영구적 스케줄링이 또한 상당한 용량 이득(95% RLC SDU 지연 < 50ms 및 95% PER <2%를 갖는 210개의 UE들) 대 110을 나타낼 수 있다
■ 반-그룹화(TDM)가 추가적인 91% 이득 대 w/o 반-그룹화 영구적 스케줄링을 성취할 수 있다
■ RRC 시그널링이 UE마다이므로, 실제 접속된 VoIP UE들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를 위하여 제공되며, 본 발명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 및 대체물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 내에 존재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참조문헌 목록:
참조문헌 1: 3GPP TS36.300
참조문헌 2: R2-070908 Group scheduling E-UTRA VoIP, Motorola;
참조문헌 3: R2-072667 Efficient Persistent UL Scheduling and HARQ Feedback Usage, Alcatel-Lucent
600 :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610 : 그룹화 유닛
620 : 할당 유닛 630 : 모니터
640 : 판정기 650 : 조정기
660 :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

Claims (24)

  1. 사용자 장비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시분할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 장비들의 통신 조건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이전에 그룹화된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사용자 장비가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밖으로 조정하고,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은 적어도:
    - 상기 사용자 장비가 토크 상태인 것;
    - 상기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및
    -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될 사용자 장비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가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결정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들 사이의 최대 차이가 제 2 소정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고 결정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을 재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패킷 및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남아있는 패킷들을 폐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이 항상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들이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에 따라 변화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자원이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자원 유닛들의 수인,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의 평균 사용 수가 제 2 임계값보더 더 낮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룹화되지 않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의 평균 사용 수가 제 3 임계값보더 더 크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13. 사용자 장비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에 있어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소정 세트의 기준들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각각 갖는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의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수단; 및
    시분할 멀티플렉싱 모드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을 사용하도록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 장비들의 통신 조건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이전에 그룹화된 소정 수의 사용자 장비들이 여전히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또 다른 사용자 장비가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판정기; 및
    더 이상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밖으로 조정하고, 현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사용자 장비들을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조정하는 조정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적어도:
    - 상기 사용자 장비가 토크 상태인 것;
    - 상기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및
    -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로 그룹화될 사용자 장비들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는 것을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가 제 1 소정 임계값보다 더 낮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불량한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결정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의 측정된 평균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들 사이의 최대 차이가 제 2 소정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이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갖는다고 결정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들의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횟수를 공유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들을 할당하는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가 부가적으로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송신 프로세스가 여전히 가능한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패킷을 재송신하고;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응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재송신 프로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재송신되지 못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패킷 및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남아있는 패킷들을 폐기하는데 사용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는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을 항상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프로세스 제어기가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주파수 자원 및 변조 코딩 방식들을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에 따라 변화시키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자원이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자원 유닛들의 수인,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들의 평균 사용 수가 제 2 임계값보더 더 낮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24.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룹화되지 않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하여, 통신 조건들에 대한 상기 소정 세트의 기준들이:
    - 미리 규정된 측정 기간 동안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의 평균 패킷 에러비가 제 1 임계값보다 더 크지 않은 것; 및
    - 상기 하나의 사용자 장비 그룹에서의 재송신 횟수의 평균 사용 수가 제 3 임계값보더 더 크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구적 스케줄링 장치.
KR1020107016926A 2007-12-29 2007-12-29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406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7/003956 WO2009086667A1 (en) 2007-12-29 2007-12-29 Persis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emi-grouping and statistically multiplex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585A true KR20100117585A (ko) 2010-11-03
KR101406029B1 KR101406029B1 (ko) 2014-06-11

Family

ID=4085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926A KR101406029B1 (ko) 2007-12-29 2007-12-29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45167B2 (ko)
EP (1) EP2225910A4 (ko)
JP (1) JP5314702B2 (ko)
KR (1) KR101406029B1 (ko)
CN (1) CN101911806B (ko)
WO (1) WO2009086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5911A4 (en) * 2007-12-29 2012-10-17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BASED ON STATISTICAL MULTIPLEXES IN TIME AND FREQUENCY METHODS
KR101614994B1 (ko) * 2008-03-10 2016-04-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반지속적 및 동적 데이터 전송을 위해 harq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43901B2 (en) * 2011-05-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Group ID and QOS group identification for stream multiplexing in multicast and broadcast systems
TWI695604B (zh) * 2012-01-24 2020-06-0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在無線傳輸/接收單元中實施的方法以及網路節點
US8804595B2 (en) * 2012-06-25 2014-08-12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ES2894923T3 (es) * 2013-05-31 2022-02-16 Qualcomm Inc Precodificación lineal en sistemas MIMO de dimensión completa
US9807770B1 (en) * 2013-12-06 2017-10-31 Sprint Spectrum Lp Efficient use of assigning resources in the up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012939B2 (en) 2014-01-08 2021-05-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lways on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150134908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저비용(low-cost)단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149658A (zh) * 2019-04-08 2019-08-20 浙江天地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射频的同类设备近距自动成组上传数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3032B1 (en) 1998-04-02 2002-09-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dialing plan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480505B1 (en) * 1999-12-06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tched fair exhaustive polling scheduler
US6985434B2 (en) * 2000-09-01 2006-01-10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US20020168940A1 (en) * 2000-10-18 2002-11-14 Geert Heijenk Predictive fair polling mechanism in a wireless access scheme
US7058050B2 (en) * 2000-12-01 2006-06-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lexible inter-network communication scheduling
CN100467491C (zh) * 2001-01-17 2009-03-11 生物质转化有限责任公司 植物材料破碎成为易于水解的纤维素颗粒
DE10143497A1 (de) * 2001-09-05 2003-03-20 Siemens Ag Verfahren zur Anpassung der Bitrate eines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zu übertragenden Bitstroms und entsprechende Kommunikationsvorrichtung
CN1647418A (zh) * 2002-03-11 2005-07-27 飞思卡尔半导体公司 在超宽带系统中使用次速率时隙的方法
AU2003260005A1 (en) * 2002-08-23 200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071598B2 (ja) * 2002-10-04 2008-04-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無線局
US7181666B2 (en) * 2003-04-29 2007-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r-multiplexing in multiple access systems with retransmission
US20050002372A1 (en) * 2003-06-13 2005-01-06 Johan Rune Method of and system for intra-piconet scheduling
US7085256B2 (en) * 2003-07-31 2006-08-0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olling in a WLAN
US7471932B2 (en) * 2003-08-11 2008-12-30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OFDM in CDMA systems
WO2005020521A1 (en) * 2003-08-26 2005-03-03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Point-to-multipoint data transmission
US20060067269A1 (en) * 2004-09-27 2006-03-30 Enrico Jugl Method of scheduling us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804850B2 (en) * 2004-10-01 2010-09-28 Nokia Corporation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US20060105798A1 (en) * 2004-11-15 2006-05-18 Amitava Ghosh Method and apparatus for outer-loop power control for enhanced uplink communications
US20060125689A1 (en) * 2004-12-10 2006-06-15 Narayan Anand P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receive diversity system
WO2006067922A1 (ja) * 2004-12-21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ノードの電源管理方法
JP4768283B2 (ja) * 2005-02-15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送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JP4884722B2 (ja) * 2005-03-31 2012-02-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7933287B2 (en) * 2005-08-19 2011-04-26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CQI report method
US7616610B2 (en) * 2005-10-04 2009-11-10 Motorola, Inc.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949631A4 (en) * 2005-10-21 2013-02-20 Nortel Networks Ltd OFD MULTIPLEXING SCHEME
US8006113B2 (en) * 2005-10-27 2011-08-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level and clock frequency supplied to a system
US8489128B2 (en) * 2005-10-31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transmission on a shared data chann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1796414B1 (en) * 2005-12-10 2021-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ard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7072828A1 (ja) * 2005-12-20 2007-06-28 Sharp Kabushiki Kaish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基地局および端末
JP4698418B2 (ja) * 2005-12-28 2011-06-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39354B2 (ja) * 2006-01-23 2011-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局識別情報割り当て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346256B2 (en) * 2006-01-27 2013-01-01 Alcatel Lucent Method of multicast service provisioning
CN101034923A (zh) * 2006-03-07 2007-09-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种用于多天线无线通信系统中的分组调度方法和系统
US8059609B2 (en) * 2006-03-20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to support single-user and multi-user MIMO transmission
US8249607B2 (en) * 2006-03-29 2012-08-21 Motorola Mobility, Inc.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395831B (zh) * 2006-04-20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共享无线资源的方法和装置
JP4732948B2 (ja) * 2006-05-01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並びに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
US8102802B2 (en) * 2006-05-08 2012-01-2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ink acknowledgments and transmit indicator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GB0612439D0 (en) * 2006-06-23 2006-08-02 Siemens Ag Packet re-transmission
US20080025247A1 (en) * 2006-07-28 2008-01-31 Motorola, Inc. Indicating special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165594B2 (en) * 2006-08-21 2012-04-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scheduling, and signaling for grouping real time services
CN100574276C (zh) * 2006-08-22 2009-1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同步码分多址系统增强上行链路随机接入的控制方法
US20080056125A1 (en) * 2006-09-06 2008-03-06 Nokia Corporation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062936A1 (en) * 2006-09-08 2008-03-1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group resource allocations
US20080062944A1 (en) * 2006-09-08 2008-03-1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Signalling With Reduced Retransmission Indications in a Wireless VoIP Communication System
US8271013B2 (en) * 2006-10-31 2012-09-18 Telefonak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CQI on the uplink
KR100830538B1 (ko) * 2007-03-06 2008-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 전송 방법을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지원 방법
WO2008130156A1 (en) * 2007-04-19 2008-10-30 Lg Electronics Inc. Group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the same, and group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controller
US8611439B2 (en) * 2007-06-28 2013-12-17 Edgewater Computer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to optimize multicarrier communication
US7873011B2 (en) * 2007-08-08 2011-01-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i-directional resource allocation to decrease signaling for retransmissions
US8693406B2 (en) * 2007-08-09 2014-04-08 Intel Corporation Multi-user resource allocation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overhead reduction for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ystems
US7715669B2 (en) * 2007-10-17 2010-05-11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Pte. Ltd. Fiber optic link, a transceiver for use in the link,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fiber optic links and trans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11806A (zh) 2010-12-08
US20100284292A1 (en) 2010-11-11
CN101911806B (zh) 2013-09-04
US9445167B2 (en) 2016-09-13
WO2009086667A1 (en) 2009-07-16
EP2225910A1 (en) 2010-09-08
KR101406029B1 (ko) 2014-06-11
JP5314702B2 (ja) 2013-10-16
JP2011509011A (ja) 2011-03-17
EP2225910A4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029B1 (ko)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359411B1 (ko) 통신 방법, 기지국, 통신 시스템 및 이동 단말
AU2007358152B2 (en) Method for scheduling resource, network element and user equipment
US8737365B2 (en) Method of allocating uplink radio resources
JP5155403B2 (ja) 同じ無線リソースへの複数の未要求使用権サービス(ugs)ユーザの多重化
US20100284364A1 (en) Semi-persis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tatistically multiplexing in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EP2391045B1 (e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EP2191676B1 (en) Method for scheduling of uplink VoIP packets, network element and user equipment
Asheraliev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voip services on the lte network
JP2012209960A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Curpe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VoIP Services in LT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