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131A -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 Google Patents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131A
KR20100117131A KR1020107021316A KR20107021316A KR20100117131A KR 20100117131 A KR20100117131 A KR 20100117131A KR 1020107021316 A KR1020107021316 A KR 1020107021316A KR 20107021316 A KR20107021316 A KR 20107021316A KR 20100117131 A KR20100117131 A KR 2010011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rticle
destr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4810B1 (en
Inventor
구미코 스즈키
후미히토 고바야시
사와코 기모토
히로아키 시마네
Original Assignee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 G09F2003/0277Tamper resistant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시트의 재부착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표면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으므로, 개봉 확인, 위조, 위장을 검사할 수 있는 재귀(再歸)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을 제공한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재귀 반사층(2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abel sheet has been reattached by observing the surface condition,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capable of inspecting opening confirmation, forgery, and stomach, and the retroreflective label Provide an article to which the sheet is fixed.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is laminated on the base layer 10 an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10 and is capable of retroreflecting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from a certain direction. (20),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10) and adhered to an article, a destructive layer (40) provided on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and a base material layer It has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which consists of a design, a character, etc. formed by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adhesion layer 30 side of (10).

Description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본 발명은 재귀(再歸) 반사체 라벨 시트, 예를 들면, 유리 비즈(이하, 광 굴절체로 총칭함)가 노출된 오픈 타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typ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exposed to retroreflective label sheets, for example, glass bead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ptical refractors), and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s are fixed. .

재귀 반사체는, 예를 들면, 반사체로서의 유리 비즈에 입사한 광이 다시 입사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반사 현상을 이용한 것이며, 광 굴절체인 유리 비즈층과 그 아래쪽에 설치된 반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귀 반사체에는, 유리 비즈 상에 무색 투명의 수지제의 피복층을 형성한 클로우즈드 타입(closed type)과 유리 비즈가 노출된 오픈 타입(open type)이 있다.The retroreflective body uses, for example, a reflection phenomenon in which light incident on the glass beads as the reflector returns to the incidence direction, and is composed of a glass bead layer that is an optical refractor and a reflecting layer provided below it.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includes a closed type in which a colorless transparent resin coating layer is formed on glass beads and an open type in which glass beads are exposed.

특허 문헌 1에는, 재귀 반사체와 홀로그램을 조합시켜 위조 방지 강화를 도모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재귀 반사체는, 태양광이나 조명광과 같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자연광 하에서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라이트와 같은 방향성이 있는 광 하에서는, 재귀 반사체의 색조가 서로 다르게 보이는 성질을 이용하여, 교통 표지, 완장, 및 작업복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수한 반사광을 가지는 것은 금권(金券), 증명서 등의 위조 방지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위조 방지용 재귀 반사체로서는, 인쇄가 용이한 클로우즈드 타입의 재귀 반사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nti-counterfeiting is enhanced by combining a reflex reflector and a hologram. This retroreflector is used for traffic signs, under the natural light from various directions such as sunlight or illumination light, and under the directional light such as a car light,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retroreflecto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widely used in armbands and work clothes. Moreover, having special reflected light is utilized also for the prevention of counterfeiting such as gold stamps and certificates. As this anti-counterfeiting retroreflective member, the closed type retroreflective body which is easy to print is used in many cases.

특허 문헌 2에는,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이 쉽게 붕괴되도록 하여, 재이용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재귀 반사체는, 재귀 반사체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이 붕괴되면 회복이 곤란한 점을 이용하여, 위장, 변조를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자체 등의 개봉 확인을 행하기 위하여, 개봉 확인 시일로서 사용된다.Patent Literature 2 discloses a technique for making the glass bead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easily collapse,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reuse. This retroreflective body uses the point which is difficult to recover when the glass bead layer or the reflective layer of a retroreflective material collapses, and it confirms that the box or the like is open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amouflage and tampering. Used as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27230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272300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2901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9012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귀 반사체는, 상자체 등에 부착된 재귀 반사 시일 등을 박리하면 유리 비즈층이 파괴되므로 재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박리할 때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거나 가열하면, 재귀 반사체의 점착층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의 파괴를 수반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게 되어, 재이용될 우려가 있었다.When the retroreflective body shown in patent document 2 peels off the retroreflective seal etc. which were attached to a box etc., a glass bead layer is broken, and it cannot become reused. However, when peeling or using organic solvents, such as alcohol, at the time of peel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on layer of a retroreflective body will weaken, peeling is possible without the destruction of a glass bead layer or a reflective layer,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reus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며, 예를 들면, 재귀 반사체로서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 등의 붕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했는지(재부착)의 여부를 재귀 반사체의 표면에 실시된 인쇄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고, 그 결과,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물품에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For example, instead of detecting the collapse of the glass bead layer or the reflective layer as a retroreflective material, it is not determined whether the label sheet is reattached (reattached). This can be determined by observing the situation of the printed layer on the surfac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produc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and therefore whether there is a necessity to inspect whether the article is forged or camouflag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ursive reflector label sheet which can be judged and an article to which the reflex reflector label sheet is fix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열심히 검토한 결과, 재귀 반사체의 유리 비즈 노출면에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易破壞性)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이파괴층(易破壞層)을 설치한 경우, 이파괴층이 근소한 힘으로도 박리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diligently to install a two-destructive lay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two-destructive property against frictional force on the glass beads exposed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member. In one case, it was found that this destructive layer was peeled off even with a slight force,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즉,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기재층(基材層)과,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과, 기재층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하는 점착층과, 재귀 반사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재귀 반사층은, 광 굴절체층과, 광 굴절체층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과, 광 굴절체층의 표면부와는 반대측 면에 적층되고 또는 유지층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파괴층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at is,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ursive sheet which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can retroreflect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from a certain direction. A reflect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and sticking to the article, and a destructive layer provided on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wherein the retroreflective layer includes a light refraction layer and a light refraction layer And a holding layer for keeping the surface portion exposed thereof, and a refl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light refraction layer or laminated inside the holding layer, and the destructive layer has a resistance against frictional force.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destructive properties.

광 굴절체층의 구체예는, 기재층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지층의 표면에 일부가 매립 상태이면서 또한 빈틈없이 깔린 상태로 유지된 복수개의 유리 비즈이다.A specific example of the optical refraction layer is a plurality of glass beads held in a state in which a part is buried in the surface of a holding layer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laminated on a base material layer and is tightly laid.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박리대지(剝離臺紙)를 굴곡시키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굴곡되지 않도록 박리하고, 또한 이파괴층에 조금이라도 손대지 않도록 하여 물품에 접착한다. 이와 같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이파괴층에,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이파괴층이 붕괴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eeling sheet is ben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so as not to bend, and it is adhered to the article without touching the destructive layer at all. In the case of adhering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n this way, the force of the force normally applied to the destructive layer formed of a substance having the destructive property against frictional force does not cause the destructive layer to collapse.

여기서, 이파괴층에 붕괴가 조금도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부착된 물품, 또는 물품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에 대하여, 위조 물품과 교환하고자 하는 부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Here, in the state where no collapse occurs in this destructive layer, 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ttached or the article housed inside the article may be negated to be exchanged with the counterfeit article.

만약,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이 행해지는 경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진품으로부터 박리하여 위조품에 재부착하는 것이 행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에 ROM 등을 수용하고 커버를 씌우고, 용기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씌워서 접착한 물품에 대하여, 만일, ROM 등을 교환하는 부정이 행해지는 경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진품으로부터 박리하여 위조품에 다시 부착하게 된다. 이 때, 재귀 반사체에 부주의하게 힘이 가해지거나, 이파괴층을 부주의하게 마찰하면, 재귀 반사층의 표면으로부터 이파괴층이 박리된다.If the irregularity of exchanging 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dhered is performed,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off from the original and reattached to the counterfeit article. In addition, if an irregularity of exchanging a ROM or the like is performed on an article which accommodates a ROM or the like in a container body and covers it, and attaches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o the joint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the retroreflective label is replaced. The sheet is peeled off from the original and reattached to the counterfeit. At this time, if a force is inadvertently applied to the retroreflective member or inadvertently rubbed the destructive layer, the destructive layer is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물품에 접착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떼내어서 박리할 때에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이파괴층에 절곡하는 힘이 가해지고, 또한 상기 이파괴층이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파괴층이 부분적으로 붕괴 박리된다. 특히, 재귀 반사체의 광 굴절체층의 표면을 마찰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이파괴층이 박리된다.When peeling off and peeling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dhered to the article, a b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destructive layer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nd the destru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destructive property against friction. As a result, the destructive layer partially collapses and peels off. In particular, when a force for rubbing the surface of the light refraction layer of the retroreflective member is applied, the destructive layer is peeled off.

그러므로, 진품에 대하여, 위조, 변조, 위장 등이 행해졌다고 의심이 가는 경우, 물품에 접착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이파괴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파괴층의 붕괴 또는 탈락 상태 등으로부터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파괴층에 붕괴가 조금도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떼내지 않은 것, 즉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하지 않은 것이 증명된다. 또한, 이파괴층에 붕괴가 조금이라도 있을 때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떼낸 것, 즉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한 않은 것이 증명된다. 따라서, 라벨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의 유무 또는 탈락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힘이 가해져서, 물품에 의도적인 조작이 가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re is any doubt that forgery, tampering, camouflage, etc. has been performed on the genuine article, by observing the situation of the destructive layer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dhered to the articl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us of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forgery or camouflage has been performed from the collapse or dropping state of the tooth destructive layer or the like. When no collapse occurred in this destructive layer, it was proved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as not removed, that is,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as not reattached. In addition, when there is even a slight collapse in this destructive layer, it is proved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as removed, that is,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as not reattached. Therefore, by exa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str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label sheet, a force is applied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an intention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article.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 등의 붕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재귀 반사체의 표면에 실시된 이파괴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the situation of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by observing the situation of the destructive layer applied to the surface of a retroreflective object, rather than detecting the collapse of the glass beads layer, a reflective layer, etc. of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detected. It can be confirmed, and accordingly, whether or not counterfeiting or camouflage has been performed can be det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이파괴층이,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해도, 이파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할 때, 손톱이나 손가락끝으로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을 마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시트 표면에 손톱이나 손가락끝에 의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이파괴층의 붕괴가, 이파괴층에 접촉하지 않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걷어올렸을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이파괴층이 현저하게 붕괴되거나 탈락되므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다시 부착된 것을 더욱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color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is color when the destructive layer is transparent under natural light or the reflective layer is colored. With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destructive layer is formed even if it is intended to perform the irregularity of exchanging 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ing sheet is adhered, when peeling the retroreflective labeling sheet with a fingernail or a fingertip, In many cases, the destr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heet is rubbed. By applying a fingernail or fingertip force to the sheet surface, the collapse of the destructive layer occurs more remarkably than 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rolled up without contacting the destructive layer. Thus, since the destructive layer is significantly collapsed or dropped, it can be more clearly confirmed that it is attached again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라벨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의 유무 또는 탈락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강한 광, 예를 들면, 광학 렌즈를 통한 광이나 방향성을 가지는 광을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조사한다. 그러면, 광 굴절체층의 이파괴층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광 굴절체층에 입사한 광이 굴절하여 되돌아오기 때문에 반사층의 색이 강조되어 자연광 하에서 보이는 색채보다 선명한 색채로 되어 보인다. 한편, 이파괴층이 존재하면, 광 굴절체층에서 굴절하여 반사층에서 반사하여 되돌아온 광이 이파괴층에 의해 편향된다. 그러므로, 이파괴층이 존재하는 영역과 이파괴층이 없는 영역 사이에 콘트라스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귀 반사체에 강한 광을 조사하여 이파괴층의 유무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재사용 행위가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tr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label sheet, strong light, for example, light through an optical lens or light having directivity is irradiated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hen, since th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refraction layer is refracted and returned to the portion of the light refraction layer that is not covered with the destructive layer, the color of the reflection layer is emphasized, and the color appears more vivid than the color seen under natural light. On the other hand, if there exists a destructive layer, the light refracted by the optical refraction layer and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will be deflected by the destructive layer. Therefore, contrast occurs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destructive layer exists and the region where the destructive layer does not exis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rradiate strong light on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structive layer, and based on the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reuse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광을 방사하는 리더에 의해 검출광을 주사하고, 투명 물질의 패턴을 화상 표시하거나, 미리 리더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과 비교하고 인식시킴으로써, 이파괴층에 붕괴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방법을 취하지 않고, 보다 용이한 검사에 의해 라벨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의 유무 또는 탈락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apse is caused in the destructive layer by scanning the detection light by a reader that emits the detection light, and displaying a pattern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comparing and recognizing it with a pattern stored in the reader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tr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label sheet by an easier inspection without taking an inspectio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물품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박리 붕괴되고, 물품 중 적어도 일부에 잔류되는 박리 붕괴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시도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한 시점에서, 박리 붕괴층이 박리 붕괴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회복 불가능하게 되어, 재부착을 행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언뜻 보아 평활하지 않고 요철(凹凸)로 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재귀 반사층이 존재함으로써, 라벨 시트가 경화되어, 박리하기 위해서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박리 붕괴층도 박리 붕괴되기 쉬워진다. 즉, 미개봉인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이, 이파괴층의 검출에 더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평활도를 육안 관찰로 검사함으로써 용이하게 판명된다. 또한, 박리 붕괴층을 가지는 구성에서는, 라벨 시트의 합계 두께가 커지므로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서 쉽게 박리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하려면, 더욱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있고, 이 힘이 이파괴층에 작용할 경우, 이파괴층이 확실하게 붕괴 탈락한다. 따라서,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that is peeled and collapsed by being peeled from the state adhered to the article between the substrat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nd remains on at least a part of the article. With such a configuration, an attempt is made to replace 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dhered, and at the time 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off, the peeling collapse layer is peeled and collapsed, and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not recoverable. It can be seen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hich has been formed is not smooth at first glance, but is irregular.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causes the label sheet to harden and a strong force is required to peel off. Therefore, peeling collapse layer also becomes easy to peel collapse. That is, confirmation of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is easily proved by visually inspecting the smoothness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the destructive layer. Moreover, in the structure which has a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since the total thickness of a label sheet becomes large, it is hard to bend easily and it is difficult to peel easily. Therefore, in order to peel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t is necessary to apply a larger force, and when this force acts on this destructive layer, this destructive layer surely collapses and falls out. Therefore, the effect of anti-counterfeiting and camouflage is high.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반사층이,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구조색(構造色)이 생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색이란, 광의 파장 정도가 얇은 막의 상면에서 반사하는 광과 하면에서 반사하는 광이 간섭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채가 생기는 현상을 나타낼 경우의 색이다. 구조색이 생기는 반사층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 금속 화합물을 광의 파장(390nm∼770nm) 정도로 얇은 막의 단층(單層)으로 하고, (2) 금속 화합물의 광의 파장 정도로 얇은 막을 다층으로 하고, (3) 미세한 홈, 돌기, 미립자에 의한 광의 간섭·산란을 생기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바탕색이 위장 도색이 되어, 이파괴층이 쉽게 보이지 않게 되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파괴층의 존재를 더욱 눈치채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ive layer generates a structural color due to interference of light. The structural color is a color in the case wher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having a thin wavelength of light interferes wit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surface, and various colors a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In order to form a reflective layer having a structural color, for example, (1) a metal compound is formed as a single layer of a film thin as a wavelength of light (390 nm to 770 nm), and (2) a film as thin as a wavelength of light of a metal compound is formed into a multilayer. And (3) to cause interference and scattering of light due to fine grooves, projections, and fine particles.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background color becomes a camouflage coating, and the destructive layer is not easily seen, and it is more difficult for a person who intends to perform the irregularity of exchanging the article adhered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o notice the existence of the destructive layer. . Therefore, the effect of anti-counterfeiting and camouflage is high.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재귀 반사층의 측변에 새김눈(切入)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박리대지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남기게 되어, 라벨 시트 잔여부를 박리대지로부터 박리할 때,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고, 또한 새김눈으로부터 접착제에 포함되는 용제의 건조가 촉진되고, 시일이 박리 시트에 강하게 접착하기 때문에 함께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정을 행하고자 물품에 접착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하고자 할 때는, 새김눈으로부터 절개되고, 이것이 박리 붕괴층으로 전파되어 회복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흔적이 없이 재부착을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As for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tch is formed in the side of a retroreflective layer.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left on the release sheet, and whe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abel sheet is peeled off the release sheet, the force applied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dispersed, and the drying of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from the notch is reduced. It is accelerated and since a seal | sticker adheres strongly to a peeling sheet, it can prevent peeling together. In addition, when attempting to peel of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dhered to the article in order to deny it, it is cut out from the notch, which propagates to the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and becomes impossible to recover.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and the effect of anti-counterfeiting and camouflage is high.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재귀 반사층이 투명하고, 기재층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자연광 하에서는 배경 정보가 보이므로, 표면의 이파괴층의 존재를 쉽게 알 수 없고, 그러므로, 부정을 행하고자할 때, 표면의 이파괴층을 마찰하여 붕괴시킬 확률이 높아져,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transparent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and the background information having a design or a character formed on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base material layers.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background information is visible under natural ligh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cannot easily know the existence of the surface of the destructive layer. Therefore, when attempting to negate,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frictionally collapse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aking, the effect of anti-counterfeiting, camouflage is high.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재귀 반사체로서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 등의 붕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라벨 시트의 재부착의 여부를 재귀 반사체의 표면에 실시된 인쇄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그 결과,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물품에 위조, 위장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위조품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로 인해, 위조, 위장 방지에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stead of detecting the collapse of the glass bead layer or the reflective layer as the retroreflective memb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abel sheet is reattached by observing the situation of the printing layer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member. Can b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ituation as to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and to provide a recursive reflector label sheet which can determine the necessity of inspecting whether the article is forged or camoufla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ticle to which a reflector label sheet is fix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make a counterfeit product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his fact is effective in preventing forgery and camouflage.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것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인쇄 보호층을 설치하는 일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것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인쇄 보호층을 설치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박리대지 상에 적층 형성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층에 대하여 원형 하프컷을 부여하여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정렬 형성하고 라벨 시트 잔여부를 박리하기 전의 시트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라벨 시트 잔여부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라벨 시트를 제어 부품의 수용 케이스에 부착된 증명서의 봉인으로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라벨 시트를 제어 부품의 수용 케이스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봉인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라벨 시트를 CPU 등의 제어 기판이나 케이스 측면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9 is a top view of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FIG. 10: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concerns on 9th Embodiment and shows one form which provides a printing protective layer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concerns on 9th Embodiment and shows another form which provides a printing protective layer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eet before applying the circular half cut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layer laminated on the release sheet to align and form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eling of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abel sheet.
It is typical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peeled the remainder of a label shee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used the label sheet as a seal | sticker of the certificate attached to the accommodating case of a control p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used the label sheet sealed so that it may be cover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ase main body and cover of a control component.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bel sheet is adhered to a control board or case side such as a CPU.

이하,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하는 점착층(30)과, 재귀 반사층(2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정면 측으로부터 배경 정보(50)가 보이도록 구성된다. 즉, 재귀 반사층(20)과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이 투명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배경 정보(50)는 기재층(10)의 재귀 반사층(20) 측의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반사체 라벨 시트(1)에 오리지낼리티(originality)를 부여하는 경우, 배경 정보(50)에 특정한 디자인이나 상표, 하우스 마크를 사용하면 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10 and the substrate layer 10 and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from a certain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capable of retroreflecting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the adhesive layer 3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adhered to the article, and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It has the destructive layer 40 provided in a part, and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which consists of a design, a character, etc. formed by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adhesion layer 30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10.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may be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That is,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the destructive layer 40, and the base layer 10 ar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side of the base layer 10. When originality is given to the reflector label sheet 1, a specific design, trademark, or house mark may be used for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기재층(10)은, 재귀 반사층(20)을 지지하는 층이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material layer 10 is a layer which supports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and can use films, such as polyester resin, polyolefin resin, cellulose resin, and acrylic resin.

재귀 반사층(20)은,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광 굴절체층(21)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반사층(23)으로 이루어진다.The retroreflective layer 20 is opposite to the light refractor layer 21, the holding layer 22 which holds the light refractor layer 21 in an exposed state, and the surface portion of the light refractor layer 21. It consists of a reflective layer 23 laminated on the surface.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 굴절체층(21)은 유리 비즈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유리 비즈(21)는, 유지층(22)의 표면 측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되어 있다. 반사층(23)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색 또는 유색이며 투명하다. 유리 비즈(21)는 입사한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구(球)이며, 대체로 하측 절반이 유지층(22)에 매몰된 상태이며, 나머지 상측 절반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유리 비즈(2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BaO-SiO2-TiO2계 유리, BaO-ZnO-TiO2계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은 통상 사용되는 1.9∼2.2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비즈(21)의 굴절률은 1.9 전후이다. 유리 비즈(21)의 입경(粒徑)은 38㎛∼50㎛ 또는 45㎛∼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비즈(21)는, 정렬 상태로 서로 밀착되어 빈틈없이 깔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리 비즈(21) 끼리의 사이가 약간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반사체 라벨 시트(1)에 오리지낼리티를 부여하기 위하여, 일정한 피치로 원형 또는 하트 형상의 면적에 대하여 유리 비즈(21)가 빠져 있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refraction layer 21 is made of glass beads. The glass beads 21 are embedded so that a part of them is ex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holding layer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23 is colorless or colored and transparent. The glass beads 21 are spheres for refracting incident light, and the lower half is generally buried in the holding layer 22, and the other upper half is exposed to air. The material of the glass beads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ossible to use a SiO 2 -TiO 2 type glass-BaO, BaO-ZnO-TiO 2 system glass. The refractive index should just be in the range of 1.9-2.2 normally used. In this embodimen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lass beads 21 is around 1.9.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beads 21 shall be 38 micrometers-50 micrometers, or 45 micrometers-90 micrometers. Although the glass beads 2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n aligned state, it is preferable to lay them tightly, but the glass beads 21 may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ovide originality to the reflector label sheet 1, the glass beads 21 may be missing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or heart-shaped area with a fixed pitch.

유지층(22)은, 유리 비즈(21)를 유지하고, 기재층(10)과 유리 비즈(21)를 접착하여 유지하는 층이다. 유지층(22)은, 유리 비즈(21)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며, 투명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ding layer 22 is a layer which holds the glass beads 21 and adheres and holds the base material layer 10 and the glass beads 21. The holding layer 22 has good adhesiveness with the glass beads 21 and has a high transparency, for example, a polystyrene resin, a polyester resin,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a fluorine resin, and a polyamide resin.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vinyl alcohol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olefin resin, polycarbonate resin and polysulfone resin.

반사층(23)은, 유리 비즈(21)의 아래쪽 표면 측, 즉 유리 비즈(21)가 노출된 면의 반대측을 따라 설치되고, 유리 비즈(21)에 입사한 광을 반사하는 층이다. 반사층(23)은 무색 또는 유색의 박막이며, 여기서는, 자연광의 조사에 의해 광의 간섭 작용을 이용하여 구조색을 발생시키는 것이 채용된다. 반사체 라벨 시트(1)에 오리지낼리티를 부여하는 경우, 반사층(23)의 구조색에 오리지낼리티를 가지게 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반사층(23)은, 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산화 티탄, 산화 비스머스, 산화 지르코늄, 산화 규소, 산화 아연, 황화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 외에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reflective layer 23 is a layer which is provided along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glass beads 21, that is, along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glass beads 21 are exposed, and reflects light incident on the glass beads 21. The reflective layer 23 is a colorless or colored thin film. Here, it is employed to generate a structural color by using interference of light by irradiation of natural light. When the originality is imparted to the reflector label sheet 1, it is also achieved by giving the originality to the structural color of the reflective layer 23. The reflective layer 23 can be formed using aluminum in addition to a metal compound, for example, titanium oxide, bismuth oxide, zirconium oxide, silicon oxide, zinc oxide, zinc sulfide and mixtures thereof.

구조색을 생기게 하는 반사층(23)은,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가시역에 있어서의 광의 굴절률이 높은 금속 화합물과 낮은 화합물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reflective layer 23 which produces | generates a structural color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alternately laminating | stacking the metal compound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low compound in the visible range shown below.

[광의 굴절률이 높은 금속 화합물][Metal Compounds with High Refractive Index]

황화 아연(ZnS): 2.40Zinc Sulfide (ZnS): 2.40

산화 티탄(TiO2): 2.71(루틸 구조체), 2.52(아나타제 구조체)Titanium oxide (TiO 2 ): 2.71 (rutile structure), 2.52 (anatase structure)

산화 인듐(In2O, In2O3): 2.00Indium oxide (In 2 O, In 2 O 3 ): 2.00

산화 주석(SnO, SnO2): 1.90Tin Oxide (SnO, SnO 2 ): 1.90

산화 지르코늄(ZrO2): 2.40Zirconium Oxide (ZrO 2 ): 2.40

알루미나(Al2O3): 1.76Alumina (Al 2 O 3 ): 1.76

산화 마그네슘(MgO): 1.74Magnesium Oxide (MgO): 1.74

[광의 굴절률이 높은 금속 화합물][Metal Compounds with High Refractive Index]

불화 칼슘(CaF2): 1.44Calcium Fluoride (CaF 2 ): 1.44

불화 마그네슘(MgF2): 1.38Magnesium Fluoride (MgF 2 ): 1.38

불화 나트륨(NaF): 1.29Sodium Fluoride (NaF): 1.29

산화규소(SiO2): 1.46Silicon Oxide (SiO 2 ): 1.46

반사층(23)의 층 두께는, 막의 상면에서 반사하는 광과 하면에서 반사하는 광이 간섭하는 범위, 다층의 경우에는 300∼600 nm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의 총 층 두께가 300nm보다 얇으면 간섭광이 뚜렷하지 않으며, 600nm보다 두꺼우면 원하는 구조색을 얻을 수 없거나, 외관의 색이 백탁(白濁)하거나 한다. 1개 층의 두께는, 100∼200 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 층 두께의 범위 내에서 계조(gradation)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층에서 구조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금속 화합물의 박막으로 만들면 된다. 단층의 경우, 막 두께는 100∼600 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이 층 두께의 범위 내에서 계조 처리를 행하면 된다.The layer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23 is preferably selected to be in the range where the light ref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and the light reflected on the lower surface interfere, and in the case of a multilayer, 300 to 600 nm. If the total layer thickness of the multilayer is thinner than 300 nm, the interference light is indistinct, and if it is thicker than 600 nm, the desired structural color cannot be obtained, or the color of the appearance becomes cloud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one layer exists in the range of 100-200 n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gradation process within the range of one layer thickness. In order to achieve a structural color in a single layer, a thin film of the above-described metal compound may be used. In the case of a single layer,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600 nm, and the grad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within the range of this layer thickness.

점착층(30)은,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산화 비닐계 점착제가 있다. 그리고, 점착층(30)의 하면에는 사용 전에 박리하여 점착층(30)을 노출하는 박리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더 부착해도 된다.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dhesion layer 30 using the adhesive with high transparency. For example, there exist a polyester adhesive, an acrylic adhesive, a urethane type adhesive, and a vinyl oxide type adhesive. And the peeling sheet (not shown) which peels before use and exposes the adhesion layer 30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on layer 30.

이파괴층(40)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물질의 두께는 0.5∼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에 의한 이파괴층(40)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잉크의 성분은, 예를 들면, 색료로서 염료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서 수용성 폴리머나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수성 잉크를 예로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로서,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고, 에멀젼 수지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스티렌 에멀젼, 염화 비닐리덴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잉크로서, 예를 들면, 마커로 보드에 문자를 쓰고, 마른 후에 마찰하면 용이하게 벗겨지는 잉크가 있다. 이파괴층(40)은, 각종 인쇄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파괴층(40)은, 또한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The destructive layer 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destructive properties against friction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is substance is less than 0.5-5 micrometer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1-3 micrometers or less. An ink can be used for the bi-destructive layer 40 by the substance which has the destructive property with respect to a frictional force. It is preferable to use only a dye as a component of this ink, for example. Examples of the binder resin include an aqueous ink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or an emulsion resin. As the water-soluble polymer,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oxide, sodium polyacrylate can be used, and as the emulsion resin, vinyl acetate emulsion, ethylene vinyl acetate emulsion, acrylic emulsion, acrylic styrene emulsion, vinylidene chloride emulsion can be used. have. As this ink, for example, there is an ink which peels off easily when writing letters on a board with a marker and rubbing after drying. The destructive layer 40 can be performed by various printing methods. In this embodiment, the destructive layer 40 is furth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color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is color when the transparent layer or the reflective layer is colored under natural light.

배경 정보(50)는, 재귀 반사층이 투명하고, 기재층(10)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자연광 하에서는, 배경 정보(50)가 보이는 구성이므로, 이파괴층(40)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을 채용하거나, 또는 증명력을 갖게 하는 마크나 상표를 채용할 수 있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 강한 광을 조사하면, 투명한 재귀 반사층(20)이 재귀 반사 기능에 의해 전면(全面) 반사하고, 이 때, 이 배경 정보(50)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리 비즈를 설치하지 않은 작은 디자인이 존재하도록, 재귀 반사층(20)의 반사층(23)의 일부를 빼내어 두면, 전면 반사로부터 빠지는 부분에 배경 정보(50)가 보여서, 은폐 광고나 그 외의 표시로서 이용할 수 있다.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is made of a retroreflective layer transparent and having a design or a character on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base layer 10. Under natural light, since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is visible, a design for preventing the destructive layer 40 from being seen well can be adopted, or a mark or a trademark that has proof power can be adopted. When strong light is irradiated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the transparent retroreflective layer 20 reflects the entire surface by the retroreflective function, and at this time,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is not visible. Therefore, if a part of the reflective layer 23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is removed so that a small design without glass beads is present,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is shown on the part missing from the front reflection, thereby concealing advertisements or other displays. It can be used as.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잉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이파괴층에,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이파괴층(40)이 붕괴되지 않게 된다. 박리대지를 굴곡시키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굴곡하지 않도록 박리하고, 또한 이파괴층을 강하게 마찰하지 않도록 물품에 접착한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할 경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진품으로부터 박리하여 위조품에 재부착이 행해지고, 이와 같이 박리할 때, 이파괴층이 박리한다. 그래서, 이파괴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destructive layer 40 does not collapse by the force normally applied to the destructive layer formed of the ink having the destructive property against frictional force. The release sheet is ben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not to bend, and the adhesive layer is adhered to the article so as not to be strongly rubbed. When it is desired to perform the irregularity of exchanging 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dhered,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off from the original and reattached to the counterfeit article. Therefore, by observing the situation of the tooth destru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us of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forgery or camouflage has been performed.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자연광 하에서는, 이파괴층(40)과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을 통하여, 배경 정보(50)가 보이도록 구성하였지만, 반사층(23)을 불투명하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배경 정보(50)를 설치하지 않는다. 또한, 이파괴층(40)을 투명 잉크로 형성하였으나, 불투명 잉크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반사층(23)을 착색하고,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잉크로 이파괴층(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is visible through the destructive layer 40,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and the base layer 10 under natural light. The reflective layer 23 may be made opaque. In this case,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is not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the destructive layer 40 was formed with transparent ink, you may form with opaque ink.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olor the reflective layer 23 and to form the destructive layer 40 with a transparent ink having a color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is color.

(제2 실시형태)(2nd embodiment)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A)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투명하며 검출광이 일정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A)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재귀 반사층(20A)의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the base layer 10, is transparent, and detects ligh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A capable of retroreflecting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adhered to an article, and a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A It has the destructive layer 40 provided in a part of this, and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which consists of a design, a character, etc. on the surface of the adhesion layer 30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10. As shown in FIG.

재귀 반사층(20)은, 유리 비즈가 빈틈없이 깔린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광 굴절체층(21)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거나, 또는 유지층(32)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23A)으로 이루어진다. 이파괴층(40)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잉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잉크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retroreflective layer 20 includes an optical refractor layer 21 in which glass beads are laid tightly, a holding layer 22 which holds the optical refractor layer 21 in an exposed state, and a light refractor layer 21. The reflective layer 23A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portion of or is laminated on the inside of the holding layer 32. The destructive layer 40 is formed of an ink having a destructive property against frictional force,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ink having a color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is color when it is transparent under natural light or when the reflective layer is colored. .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A)는, 반사층(23A)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반사층(23A)은 유리 비즈(21)의 초점 위치에 설치된 것이며, 초점 위치는 유리 비즈(21)의 굴절률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비즈(21)의 굴절률이 2.2 전후이므로, 반사층(23A)이 유리 비즈(21)로부터 이격되어 유지층(22) 내에 매설되어 있다.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A, the reflective layer 23A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23A is provided at the focal position of the glass beads 21, and the focal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lass beads 21.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lass beads 21 is around 2.2, the reflective layer 23A is spaced apart from the glass beads 21 and embedded in the holding layer 22.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the code | symbol of a corresponding component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Effects and effects are also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투명하며 검출광이 일정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기재층(10)과 점착층(30) 사이에 형성된 박리 붕괴층(60)과, 재귀 반사층(20)의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재귀 반사층(20)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유리 비즈가 빈틈없이 깔린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광 굴절체층(21)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거나, 또는 유지층(32)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23)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3,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the base layer 10, and is transparent and detects ligh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A retroreflective layer 20 capable of retroreflecting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n adhesive layer 3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adhered to the article, and a base layer 10 adhered to the article. It is designed on the surface of the peeling collapse layer 60 formed between the layers 30, the destructive layer 40 provid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and the adhesive layer 30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10. Or background information 50 made of characters or the like.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is the same structure as 1st Embodiment, and the holding layer 22 which hold | maintains the optical refraction layer 21 in which glass beads were spread | dough, and the optical refraction layer 21 in the state which the surface part was exposed. ) And a reflective layer 23 lamin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light refraction layer 21 or laminated inside the holding layer 32.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는, 박리 붕괴층(60)을 가지고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박리 붕괴층(60)은, 복수개의 얇은 층막이 약한 접착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측면으로부터의 전단력(剪斷力)이 가해지면 계면 박리가 용이하게 일어나서 층막 사이가 해리(解離)하도록 구성된 층이다. 여기서는, 층막 사이가 해리하는 부분이 라벨 시트의 주위둘레를 제외하는 부분에 존재한다.This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B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has a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60. The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60 is a layer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thin layer films with weak adhesive force, and when the shear force from the side surface is applied, the interfacial peeling occurs easily and dissociates between the layer films. . Here, the part which dissociates between layer films exists in the part except the perimeter of a label sheet.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the code | symbol of a corresponding component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Effects and effects are also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박리 붕괴층(60)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가 물품(도시하지 않음)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박리 붕괴되고 물품(도시하지 않음)의 적어도 일부에 잔류되는 층이다.The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60 is a layer which peels and disintegrates by remaining from the state where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B adheres to the article (not shown) and remains in at least a part of the article (not shown).

이 구성에 의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할 때,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한 시점에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회복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부착을 행한 경우에는, 이파괴층(40)의 붕괴 탈락뿐만 아니라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고 확실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는 요철을 이루므로, 이파괴층(40) 및 박리 붕괴층(60)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위장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article which adhere | attached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as attempted to perform the irregularity, it turns out that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becomes impossible to recover 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off. In the case of reattachment,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B is not smooth and reliably visible, as well as the collapse and dropping of the destructive layer 40, so that the destructive layer 40 By observing the situation of the layer and the peeling collapse layer 6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ituation of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forgery or camouflage is being performed.

(제4 실시형태)(4th Embodiment)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C)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투명하며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A)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기재층(10)과 점착층(30) 사이에 형성된 박리 붕괴층(60)과, 재귀 반사층(20A)의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the base layer 10, and is transparent and detects light from a constant direction. A retroreflective layer 20A capable of retroreflecting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10 and adhered to an article, and a base layer 10 It is designed on the surface of the peeling collapse layer 60 formed between the layers 30, the destructive layer 40 provid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A, and the adhesive layer 30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10. Or background information 50 made of characters or the like.

재귀 반사층(20)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유리 비즈가 빈틈없이 깔린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기재층(10)의 표면부에 적층된 반사층(23A)으로 이루어진다.The retroreflective layer 20 is the same structure as 2nd Embodiment, and the holding layer 22 which hold | maintains the optical refraction layer 21 in which glass beads were spread | diffused tightly, and the optical refraction body layer 21 in the state which the surface part was exposed. ) And a reflective layer 23A laminated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base layer 10.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C)는, 박리 붕괴층(60)을 가지고 있는 점이 제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This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C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60 is provided. 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2nd Embodiment, the code | symbol of a corresponding component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ction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제5∼제8 실시형태)(5th-8th Embodiment)

제5∼제8 실시형태를 도 5∼도 8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제5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D)는, 재귀 반사층(20D)의 광 굴절체층(21D)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6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E)는, 재귀 반사층(20E)의 광 굴절체층(21E)이 제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7에 나타내는 제7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F)는, 재귀 반사층(20F)의 광 굴절체층(21F)가 제3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8에 나타내는 제8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G)는, 재귀 반사층(20G)의 광 굴절체층(21G)이 제4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5th-8th embodiment is shown to FIGS. 5-8.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D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light refraction layer 21D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D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E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light refraction layer 21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E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F of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light refraction layer 21F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F is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G of the eighth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light refraction layer 21G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20G is different from the fourth embodiment.

이들 광 굴절체층(21D∼21G)은, 유리 비즈가 아니라, 양면에 볼록한 구면을 배열한 성형 광학체이며, 실질적으로, 유리 비즈가 정렬되어 빈틈없이 깔린 재귀 반사층과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대응하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These optical refraction layers 21D to 21G are not molded of glass beads, but molded optical bodies in which convex spheres are arranged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retroreflective layer in which glass beads are aligned and laid tightly can be obtained. 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9 실시형태)(Ninth embodiment)

도 9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전술한 제1∼제8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 1A∼1G)에 대하여, 재귀 반사층의 표면 주위에 인쇄 보호층(70)을 설치한 것이다. 도 10에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이파괴층(40)이 라벨 시트 주변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서는, 인쇄 보호층(70)이 이파괴층(40)의 위에 중첩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이파괴층(40)이 라벨 시트 주변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서는, 인쇄 보호층(70)이 재귀 반사층(20)의 위에 중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쇄 보호층(70)은, 제2∼제8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 1A∼1G)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Fig. 9 shows a top view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and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s 1, 1A to 1G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print protection layer 70 is provided around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FIG. 10 shows a case where the destructive layer 40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reaches the label sheet periphery and is formed. In this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FIG. The print protection layer 70 is provided on the destructive layer 40 so as to overlap. FIG. 11 shows a case where the destructive layer 40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label sheet, and this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is shown. In this case, the print protection layer 70 is provided on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so as to overlap. The print protection layer 70 can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s 1 and 1A to 1G according to the second to eighth embodiments.

인쇄 보호층(70)은, 박리대지 상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배열 상태로 구비한 시트가 반송 시 등에 중첩되거나 하여, 가해진 힘 등에 의해 이파괴층(4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효하다. 인쇄 보호층(70)을 형성함으로써, 이파괴층(40)에 정당한 취급자가 취급할 때 부주의하게 접촉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위조 행위나 위장 발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inting protective layer 70 is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destructive layer 40 from collapsing due to an applied force or the like, when the sheet provided wit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n an arrangement state on the peeling sheet is superimposed upon conveyance or the like. . By forming the print protective layer 70, it is possible to avoid inadvertent contact with the destructive layer 40 when the rightful operator handles it, so that the forgery behavior and the camouflage detec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인쇄 보호층(70)은, 인쇄 잉크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 수지 등이 있다. 인쇄 보호층(70)을 형성함으로써, 이파괴층(40)은 두께가 증가하고, 쉽게 붕락(崩落)하지 않게 된다. 인쇄 보호층(70)은, 이파괴층(40)과 합하여 5㎛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nt protection layer 70 is preferably a printing ink or a thermoplastic resin. As the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polystyrene resin, polyester resin, acrylic resin, silicone resin, fluorine resin, polyamide resin, polyvinyl alcohol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olefin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 Sulfone resins and the like. By forming the print protective layer 70, the destructive layer 40 increases in thickness and does not easily collap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nted protective layer 70 has a thickness of 5 µm or more in combination with the destructive layer 40.

[실시예 1]Example 1

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를 적색으로 한 재귀 반사체의 표면(유리 비즈의 노출면)에 도요잉키 제품인 FD카튼ACE매트OP니스로 이루어지는 투명 잉크를 사용하여, 활판 인쇄에 의해 투광성 문자 「Sample」의 이파괴층을 형성하였다. 이파괴층은, 두께 3㎛와 5㎛의 2종류로 하였다.Translucent letter “Sample” by letterpress printing, using transparent ink made of FD Carton ACE Matte OP, manufactured by Toyo Inky, on the surface (exposed surface of glass beads) of the retroreflector whose red color is seen when light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layer. '' Formed a destructive layer. This destructive layer was made into two types of thickness of 3 micrometers and 5 micrometers.

층 두께가 상이한 각각의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층을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문자 「Sample」은, 자연광 하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강한 광을 조사하면, 문자 「Sample」이 나타나서 보였다. 이어서, 시일을 상체로부터 벗겨내고, 다시 상체에 부착하고, 강한 광을 조사하여 시일을 관찰했다. 두께 3㎛의 이파괴층을 가지는 시일의 경우, 「Sample」의 문자가 지워져 있고, 문자가 지워진 영역에서는, 「Sample」의 문자가 거의 판독할 수 없는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한편, 두께 5㎛의 이파괴층을 가지는 시일의 경우, 「Sample」의 문자가 나타나서 보였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The retroreflective layer having each bi-destructive layer having a different layer thickness was punched into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 cm and attached to the box as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lthough the letter "Sample" of this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hard to see under natural light, the letter "Sample" appears when the strong light is irradiated. Subsequently, the seal was peeled off from the upper body, adhered to the upper body again, and irradiated with strong light to observe the seal. In the case of a seal having a two-layer destru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µm, the letters of "Sample" were erased, and in the area where the letters were erased, the letters of "Sample" appeared to appear in an erased state that was hardly read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eal having a two-layered destru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µm, letters of "Sample" appeared and appeared. And this observation was repeated 20 times, but all were the same result.

[실시예 2][Example 2]

재귀 반사체(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는 적색)의 유리 비즈 상에, 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와는 다른 색조의 유색 투명 잉크[도요잉키 제품 FD카튼ACE매트OP니스 + 사쿠라노미야카가쿠 제품 마이크로리스블루(전체 양에 대하여 3%)]로 문자 「Sample」을 인쇄했다.Colored transparent ink of a color tone different from the color tone seen when the light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layer on the glass beads of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the color visible when the light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layer) [FD Carton ACE Matte OP + Sakura by Toyo Inky The text "Sample" was printed by Nomi-kagaku Microlith Blue (3% of the total volume)].

얻어진 유색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를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The retroreflective member having the colored bi-destructive layer thus obtained was punched into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 cm and adhered to the box as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일의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Sample」의 문자가 지워진 것은 자연광 하에서 약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였지만, 강한 광을 조사하면 반사층의 색이 강조되고, 또한 「Sample」의 문자가 지워져 있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peeling test of the seal was performed. Although the letters of "Sample" were erased to some extent under natural light, the color of the reflective layer was emphasized when strong light was irradiated, and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letters of "Sample" were erased. And this observation was repeated 20 times, but all were the same result.

[실시예 3]Example 3

재귀 반사체(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는 보는 각도에 따라 레인보우색으로 변화하는 이른바 구조색)의 표면(유리 비즈의 노출면)에 난색(warm cloor)계 유색 투명 잉크로 활판 인쇄에 의해 두께 3㎛로 문자 「Sample」의 이파괴층을 형성하였다.By typography with warm cloor colored transparent ink on the surface (exposed surface of glass beads) of the retroreflector (the so-called structural color that changes to rainbow color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when light is reflected on the reflecting layer. The two fracture layer of the letter "Sample" was formed in thickness of 3 micrometers.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를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이 재귀 반사체의 문자 「Sample」은, 자연광 하에서 겨우 확인할 수 있는 정도였다. 강한 광을 조사하면, 문자 「Sample」은, 재귀 반사체의 반사층의 구조색이 난색계로 보였을 때는 확인할 수 없게 되고, 재귀 반사체를 경사지게 하여 반사층이 난색계 이외의 색조로 보였을 때는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시일의 박리 시험을 행하여, 강한 광을 조사하여 시일을 관찰하면, 「Sample」의 문자가 지워진 영역에서는, 반사층의 구조색이 난색계 이외의 색조로 보였을 때는, 문자가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The retroreflective member having a bi-destructive layer was punched into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 cm and attached to the box as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he letter "Sample" of this retroreflective body was a degree which can barely be confirmed under natural light. When irradiated with strong light, the character "Sample" could not be confirmed when the structural color of the reflective layer of the retroreflective body was seen as a warm color system, and was confirmed when the reflective layer was inclined and the reflective layer was seen as a color tone other than the warm color system. Subsequently, when peeling test of a seal | sticker was performed and strong light was irradiated and observing a seal | sticker, when the structural color of the reflective layer was seen as a hue other than a warm color system i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letter of "Sample" was erased, it appeared in the state erased. And this observation was repeated 20 times, but all were the same result.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3의 재귀 반사체의 유리 비즈 상에, 난색계 유색 투명 잉크[도요잉키 제품 FD카튼ACE매트OP니스 + 사쿠라노미야카가쿠 제품 마이크로리스레드(전체 양에 대하여 3%)]로 별모양의 마크를,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투명 잉크에 의해 문자 「Sample」을 각각 두께 3㎛로 인쇄했다.On the glass beads of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of Example 3, a star-shaped mark was applied with a warm color-based color transparent ink (Toyo Inky FD Carton ACE Matt OP Nice + Sakura-no-Miyakagaku Microless Red (3% of the total amount)). In addition, the letter "Sample" was printed by thickness of 3 micrometers with the transparent ink used in Example 1, respectively.

얻어진 2종류의 인쇄를 가지는 재귀 반사체를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자연광 하에서는 성형의 마크만이 보였다. 이어서, 시일의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The obtained retroreflective object having two types of printing was punched into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 cm and attached to the box as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nly the marks of molding were seen under natural light. Next, the peeling test of the seal | sticker was done.

강한 광을 조사하여 시일을 관찰한 바에 의하면, 구조색이 강조되어 있고, 또한 「Sample」의 문자가 지워진 영역에서는, 「Sample」의 문자는 거의 판독할 수 없는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또한, 반사층의 구조색이 난색계 이외의 색조로 보였을 때는 성형의 마크가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As a result of observing the seal by irradiating strong light, the color of the structure was emphasized, and in the region where the letters of "Sample" were erased, the letters of "Sample" appeared in an almost unreadable state. In addition, when the structural color of the reflective layer was seen as a color tone other than a warm color system, the mark of the molding appeared to be erased. And this observation was repeated 20 times, but all were the same result.

이어서,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제조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유리 비즈 상에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Here,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the two fractured layers on the glass beads will be described.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제조 공정은, 기본적으로는 유리 비즈의 고정 공정, 반사층의 형성 공정, 기재층의 부착 공정, 필름 박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basically comprised of the fixing process of a glass bead, the formation process of a reflection layer, the attachment process of a base material layer, and a film peeling process. Hereinafter, a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1) 반사층이 단층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제조(1) Preparation of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ith Reflective Layer Single Layer

PET 필름 등의 필름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정렬하여 유리 비즈를 살포하고 건조한다. 이로써, 유리 비즈의 하반구를 폴리에틸렌 수지 내에 매몰시킨다(유리 비즈의 고정 공정). 다음으로, 노출된 유리 비즈의 상면에 금속 화합물의 박막을 100∼600 nm의 범위 내에서 증착시킨다(반사층의 형성 공정). 그리고, 박리 시트에 점착층을 통하여 적층된 기재층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이것을 유지층으로 하고, 이 유지층을 상기 반사층에 맞추어서 부착하고(기재층 부착 공정), 마지막으로 PET 필름 등의 필름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박리한다(필름 박리 공정).Polyethylene resin is apply | coated to the upper surface of films, such as PET film, and it arrange | aligns on it, sprays glass beads, and dries. Thereby, the lower hemisphere of the glass beads is embedded in the polyethylene resin (fixing step of the glass beads). Next, a thin film of a metal compound is deposited on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glass beads within the range of 100 to 600 nm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And a polyethylene resin is apply | coated to the base material layer laminated | stack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on the peeling sheet, this was made into a holding layer, this holding layer was made to adhere to the said reflection layer (base layer attachment process), Finally, films, such as PET film, The polyethylene resin is peeled off (film peeling step).

유리 비즈의 표면에는 요철이 있으므로, 금속 화합물의 박막의 두께에 변동이 생겨, 계조가 생긴다.Since there ar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glass beads, variations occur in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of the metal compound, resulting in gradation.

(2) 반사층이 다층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2)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a multilayer reflective layer

PET 필름 등의 필름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유리 비즈를 살포하고, 건조하여 유리 비즈의 하반구를 폴리에틸렌 수지 내에 매몰시킨다(유리 비즈의 고정 공정). 다음으로, 노출된 유리 비즈 상면에 복수개의 금속 화합물의 박막(100∼200 nm의 범위)을 증착시켜, 다층의 반사층으로 만든다(반사층 형성 공정). 그리고, 박리 시트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기재층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이것을 유지층으로 하고, 이 유지층을 상기 반사층에 맞추어서 부착하고(기재층 부착 공정), 마지막으로 PET 필름 등의 필름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박리한다(필름 박리 공정).Polyethylene resin is apply | coated to the upper surface of films, such as PET film, glass beads are sprayed on it, it is made to dry, and the lower hemisphere of glass beads is buried in polyethylene resin (fixing process of glass beads). Next, a thin film (range of 100-200 nm) of a plurality of metal compounds is deposited on the exposed glass beads upper surface to form a multilayer reflective layer (reflective layer forming step). And a polyethylene resin is apply | coated to the base material layer laminated | stack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on the peeling sheet, this was made into a holding layer, this holding layer was made to adhere to the said reflective layer (base layer attachment process), and finally, films, such as PET film, And polyethylene resins (film peeling process).

얻어진 유리 비즈 상에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특정 형태, 예를 들면, 원형상의 라벨 시트로 만든 경우에는, 원형상의 라벨 시트(1)만이 박리 시트(80) 상에 정렬된 시트가 된다(도 12 참조). 라벨 시트만 박리 시트(80) 상에 남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유리 비즈(21) 상에 라벨 시트 형상의 새김눈(91)을 형성하고, 원형상의 라벨 시트 잔여부(93) 만을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a destructive layer on the obtained glass beads is made of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a circular label sheet, the sheet in which only the circular label sheet 1 is aligned on the release sheet 80 is (See FIG. 12). The label sheet 1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remaining only on the release sheet 80 forms the label sheet-shaped notches 91 on the glass beads 21, and forms only the circular label sheet remaining portion 93. It can obtain by peeling.

그러나, 라벨 시트 잔여부(93)를 박리할 때(시일의 불필요한 부분 제거), 라벨 시트 잔여부(93)와 라벨 시트(1)가 동반 박리(이하 「동반 박리」라고 함)가 일어난다. 동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 시트(1)의 측변에 라벨 시트 잔여부(93)에 걸쳐진 새김눈(91)을 형성한다. 새김눈(91)은, 라벨 시트(1)의 주위둘레에서 서로 대각(對角)으로 형성된다. 이 새김눈(91)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재귀 반사층(20)까지 이어지는 하프컷이다.However, when peeling off the label sheet remainder 93 (removing unnecessary portions of the seal), accompanying pee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bined peeling") occurs between the label sheet remainder 93 and the label sheet 1. In order to prevent an accompanying peeling, as shown in FIG. 12, the notch 91 which straddles the label sheet remainder 93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label sheet 1. The notches 91 are formed diagonal to each other at the periphery of the label sheet 1. This notch 91 is a half cut from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o the retroreflective layer 20.

이와 같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와 라벨 시트 잔여부(93)에 걸쳐진 새김눈(91)을 가짐으로써, 새김눈으로부터 접착제에 포함되는 용제의 건조가 촉진되어 라벨 시트 잔여부(93)를 박리대지(80)로부터 박리할 때,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가 박리대지(80)에 강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동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새김눈(91)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재부착에 대하여 쉽게 찢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재부착에 대하여 회복성이 없기 때문에, 개봉 확인 효과가 있다.By having the notch 91 which spans such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and the label sheet remainder 93, drying of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from the notch is promoted to peel off the label sheet remainder 93. When peeling from the board | substrate 80, the force applied to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is disperse | distributed, and since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is adhere | attached strongly to the peeling board 80, accompanying peeling can be prevented. Moreover, the notch 91 has the property of being easily torn against reattachment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and has no recoverability against reattachment, and thus has an opening confirmation effect.

새김눈(91)과 라벨 펀칭 컷(92)을 형성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를 펀칭하기 위한 날은, 예를 들면, 톰슨 날이나 로터리 날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blade for punching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 by forming the notch 91 and the label punching cut 92, for example, a thomson blade, a rotary blade, or the like can be used.

다음으로, 상기 제1∼제9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중 어느 하나가 고착된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article to which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retroreflective label sheets is fixed will be described.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은, 위조 방지 물품이거나 또는 상기 위조 방지 물품을 수용한 수용체 물품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칭코기 또는 혹은 파치슬롯기 등의 유기기(遊技機)에 있어서는, 파칭코 구슬이 나올 확률이 PROM 등에 기록되어 있고, 이 PROM 등은, 박스에 수용되어 있어 쉽게 손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PROM을 교환하여 파칭코 구슬이 나올 확률을 높이는 부정을 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ROM 등의 자체에 또는 PROM 등을 수용하고 있는 박스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위조, 위장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fixed may be an anti-counterfeiting article or a receptor article containing the anti-counterfeiting article. For example, in an organic group such as a pachinko group or a pachislot group, the probability of pachinko beads appearing is recorded in a PROM or the like, and the PROM and the like are stored in a box so that they cannot be easily touched. . In order to prevent fraud tha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pachinko beads coming out by exchanging the PROM, forgery and camouflage are carried out by providing a reflex reflector label sheet in the PROM itself or in a box accommodating the PROM.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system.

PROM 등의 자체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경우에는, 부정한 PROM 등과 교환하고, 또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PROM 등을 수용하고 있는 박스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경우에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하고, 커버를 열어 부정한 PROM 등과 교환하고, 다시 상자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dhered to the PROM itself,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wrong PROM or the like and atta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gain. In addition, whe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bonded to cover the joint surface of the box body and the cover housing the PROM or the like,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peeled off, the cover is opened, the wrong PROM is replaced, and the box body and cover are again replaced.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to cover the joint surface of the wah.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재부착이 행해지면, 이파괴층이 파괴된다. 또한, 박리 붕괴층이 있는 경우에는 박리 붕괴층도 박리 붕괴되므로, 재부착을 행한 것이 즉시 판명된다. 따라서,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또는 물품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attachment is performed, the destructive layer is destroyed. In addition, when there exists a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since a peeling disintegration layer also peels and collapses, it turns out that reattachment was performed immediately. Thu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ituation as to whether it is unopened or already opened, or to check whether the goods have been exchanged.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부착하는 물품으로서는, 유기기의 제어 기판 유닛의 기판 케이스에 수용된 제어 기판, 기판 케이스, PROM 등의 전자 부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증명서에 대한 봉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ttached include a control substrate housed in a substrate case of a control substrate unit of an organic group,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substrate case, a PROM, and a seal for a certificate attached to the case.

도 14에는, 부정 교환의 대상이 되는 제어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101)에 부착된 증명서(101)에 대한 봉인(102)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봉인(102)에 대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02)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02)의 배경 정보(50)를 증명 내용으로 하고, 봉인(102)은 보통의 시일을 사용해도 된다.In FIG. 14, the seal 102 for the certificate 101 attached to the case 101 which accommodates the control component used for the illegal exchange is show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02 is used for the seal 102. As shown in this example, the background information 50 of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02 may be used as proof contents, and the seal 102 may use a normal seal.

도 15에는, 부정 교환의 대상이 되는 제어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104)와 커버(105)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06)가 봉인으로서 부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15 shows that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06 is attached as a seal so as to be cover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104 and the cover 105 which accommodates the control component to be subjected to an illegal replacement.

도 16에는, 부정 교환의 대상으로 되는 CPU(107)나 ROM(108) 등을 구비한 제어 기판(109)에 제1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0)이 부착되고, 하부 케이스(111)에 제어 기판(109)을 탑재하고, 제2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2)가 측면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113)를 씌우고, 하부 케이스(111)와 상부 케이스(113)를 볼트로 연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2)는, 조립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111)의 측면과 상부 케이스(113)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 제1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0)를 CPU(107) 상에 부착해도 된다.In FIG. 16, a first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10 is attached to a control board 109 including a CPU 107, a ROM 108, and the like, which is subjected to an illegal exchange, and the control board is attached to the lower case 111. 109 is mounted, the second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12 covers the upper case 113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case 111 and the upper case 113 are connected by bolts. In this example, the second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12 is locat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case 11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case 113 in an assembled state. In this example, the first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10 may be attached onto the CPU 107.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예를 들면, 유기기의 기판 수납 케이스의 개봉 방지 시일로 함으로써, 부정하게 개봉하면 그 흔적을 남기게 되므로, 부정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By using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the destr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or example, an anti-opening seal of the substrate storage case of the organic group, if it is unsealed, it will leave a trace. It is available.

1, 1A∼1G: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10: 기재층
20, 20A∼20G: 재귀 반사층 21: 유리 비즈
21D∼21G: 광 굴절체층 22: 유지층
23, 23A: 반사층 30: 점착층
40: 이파괴층 50: 배경 정보
60: 박리 붕괴층 70: 인쇄 보호층
80: 박리대지 91: 새김눈
92: 라벨 펀칭 컷 93: 라벨 시트 잔여부
1, 1A-1G: retroreflective label sheet 10: base material layer
20, 20A to 20G: retroreflective layer 21: glass beads
21D to 21G: optical refractor layer 22: holding layer
23, 23A: reflective layer 30: adhesive layer
40: Destroyed Layer 50: Background Information
60: peeling collapse layer 70: printing protective layer
80: peeling sheet 91: notch
92: punching label cut 93: remaining label sheet

Claims (11)

기재층(基材層);
상기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再歸)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
상기 기재층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재귀 반사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易破壞層)
을 포함하고,
상기 재귀 반사층은, 광 굴절체층과, 상기 광 굴절체층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과, 상기 광 굴절체층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층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이파괴층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易破壞性)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Base layer;
A retroreflective layer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capable of retroreflecting the detection light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and adhered to the article; And
Bi-destructive layer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Including,
The retroreflective layer includes a light refraction layer, a holding layer for keeping the light refraction layer in an exposed state,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light refraction layer, or inside the holding layer. With a refl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wo destructive properties against frictio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파괴층은,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상기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color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color when the back layer is transparent under natural light or when the reflective layer is col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물품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박리 붕괴되고 상기 물품 중 적어도 일부에 잔류되는 박리 붕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A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a peeling collapse layer remaining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ticle by being peeled and collapsed by being peeled from a state adhered to the article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구조색을 생기게 하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herein the reflective layer produces a structural color by interference of ligh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층의 측변에 새김눈이 형성되어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having a notch on the side of the retroreflective lay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굴절체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지층의 표면에 일부가 매립 상태이면서, 또한, 빈틈없이 깔린 상태로 유지된 복수개의 유리 비즈로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lass beads in which the optical refraction layer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holding layer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minated on the base material layer and is in a tightly laid stat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층이 투명하며, 상기 기재층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가 형성되어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wherein the retroreflective layer is transparent and background information comprising a design or a character is formed on a surface of any one of the base layer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위조 방지 시일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a anti-counterfeiting seal.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The article to which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fixed. 제9항에 있어서,
위조 방지 물품이거나, 또는 상기 위조 방지 물품을 수용한 수용체 물품으로서,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10. The method of claim 9,
An anti-counterfeiting article or a receptacle article containing the anti-counterfeiting article, where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secured.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부재를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물품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부재의 이음매에 덮이도록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10. The method of claim 9,
An articl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wherein the retroreflective label sheet is secured to be covered by seams of the plurality of members.
KR1020107021316A 2008-04-30 2009-04-28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KR1012048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9387 2008-04-30
JPJP-P-2008-119387 2008-04-30
PCT/JP2009/058329 WO2009133876A1 (en) 2008-04-30 2009-04-28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131A true KR20100117131A (en) 2010-11-02
KR101204810B1 KR101204810B1 (en) 2012-11-26

Family

ID=4125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316A KR101204810B1 (en) 2008-04-30 2009-04-28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161960B2 (en)
KR (1) KR101204810B1 (en)
CN (1) CN102016960B (en)
HK (1) HK1154695A1 (en)
TW (1) TWI394111B (en)
WO (1) WO200913387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94A1 (en) * 2012-04-26 2013-10-31 Kim Tae Il Printed reflective sheet manufactured using open-type beads and product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8568A (en) * 2010-11-04 2012-05-24 Kyodo Printing Co Ltd Forgery prevention seal
KR101417266B1 (en) * 2012-04-26 2014-07-09 김태일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CN102896855B (en) * 2012-09-17 2014-10-15 西安工业大学 Glass bead type anti-counterfeiting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30616B1 (en) * 2013-04-22 2019-10-11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Retro-reflection optical sheet
CN105206194A (en) * 2015-10-14 2015-12-30 恩希爱(杭州)化工有限公司 Three-dimensional dynamic anti-fake product with multiple anti-fake patterns
JP6062082B1 (en) * 2016-01-20 2017-01-18 株式会社ソニー・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サービス Printed matter
JP6745656B2 (en) * 2016-06-24 2020-08-26 共同印刷株式会社 Seal member
CN109073797B (en) * 2017-03-07 2022-03-01 恩希爱(杭州)薄膜有限公司 Anti-counterfeiting reflective sheet
WO2019084295A1 (en) * 2017-10-27 2019-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 comprising locally-laminated reflective layers
JP7113709B2 (en) * 2018-09-20 2022-08-05 テルモ株式会社 Re-seal prevention label and box body with re-seal prevention label
KR102242677B1 (en) * 2019-10-23 2021-04-21 엔비에스티(주) Means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Comprising Retro Reflection Materials
CN111243420B (en) * 2020-02-26 2022-04-29 上海鼎琛印务有限公司 Anti-counterfeit labe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DE102020124060A1 (en) * 2020-09-15 2022-03-17 Erich Utsch Ag Method for detecting tampering or counterfeiting of an object and system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0171A (en) * 1995-01-19 1996-04-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ologram
JP2000272300A (en) * 1999-03-26 2000-10-03 Shiseido Co Ltd Forgery preventive adhesive seal and its manufacture
JP4681164B2 (en) * 2001-07-16 2011-05-11 株式会社資生堂 Retroreflector
US20030024636A1 (en) * 2001-07-17 2003-02-06 Andy Lin Method of manufacturing anti-counterfeit card label
US6894615B2 (en) * 2001-10-09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with retroreflective and radio frequency-responsive features
US6758405B2 (en) * 2001-12-19 2004-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with retroreflective and radio frequency-responsive features
SG152037A1 (en) * 2001-12-20 2009-05-29 Seiko Epson Corp Recorded article with anti-counterfeit measures
AU2004290233B2 (en) * 2003-11-14 2008-04-10 Kiwa Chemical Industry Co., Ltd. Retroreflective Sheet for Secur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68902B2 (en) * 2006-01-17 2010-05-26 株式会社資生堂 LAMINATED MATERIAL RECORDING INFORMATION, ARTICLE HAVING IT, AND INFORMATION READ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94A1 (en) * 2012-04-26 2013-10-31 Kim Tae Il Printed reflective sheet manufactured using open-type beads and product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33876A1 (en) 2011-09-01
WO2009133876A1 (en) 2009-11-05
KR101204810B1 (en) 2012-11-26
CN102016960A (en) 2011-04-13
TWI394111B (en) 2013-04-21
JP5161960B2 (en) 2013-03-13
HK1154695A1 (en) 2012-04-27
CN102016960B (en) 2013-05-15
TW200951901A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10B1 (en)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US7422781B2 (en) Tamper indica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information
JP4468902B2 (en) LAMINATED MATERIAL RECORDING INFORMATION, ARTICLE HAVING IT, AND INFORMATION READING METHOD
US6284337B1 (en) 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eat-shrinkable layer
AU688879B2 (en) 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ologram
JP5686495B2 (en) Security device incorporating optically variable adhesive
US5582434A (en) Tamper-resistant labeling
EP2758813B1 (en) Retroreflective articles including a security mark
JPS59148004A (en) Directivity image sheet
LT3327B (en) Multilayer product with layer of diffract structure
KR20100017670A (en) Tamper indicating article
JP5600412B2 (en) Game machine
JP2012100700A (en) Game machine
KR20140029355A (en) Security article having a switching feature
WO2004024439A1 (en) Object identifying medium using multi-layer thin-film
WO2022030563A1 (en) Laminate, card, card manufacturing method, card 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sheet for card, and card using same
KR0172599B1 (en) Retroreflective security laminates with protective cover sheets
MXPA01009245A (en) Improved tamper-evident form.
JP2009268532A (en) Game machine, integrated circuit package of game machine, integrated circuit of game machine, and label stuck to them
WO2011132466A1 (en) Forgery-preventing adhesive sheet
JP5455017B2 (en) Game machine
RU112479U1 (en) DEVICE FOR PROTECTING GOODS FROM FALSE
RU2477531C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ommodity from counterfeit
JP2009268533A (en) Game machine, integrated circuit package of game machine, integrated circuit of game machine, and label to be stuck to them
JP2020003573A (en) Illicit detection seal and illicit detection seal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