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346A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346A
KR20100116346A KR1020090035003A KR20090035003A KR20100116346A KR 20100116346 A KR20100116346 A KR 20100116346A KR 1020090035003 A KR1020090035003 A KR 1020090035003A KR 20090035003 A KR20090035003 A KR 20090035003A KR 20100116346 A KR20100116346 A KR 2010011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n
section
connecting rod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346A/ko
Publication of KR2010011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피스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핀홀 중 어느 하나의 일부구간에만 압입되도록 체결되는 피스톤핀을 통해 상호 조립되는 밀폐형 압축기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조립구조가 간소화된다. 또 피스톤핀이 압입되는 제2핀홀의 일부구간은 피스톤의 외경 쪽에 위치되는데, 이와 같이 피스톤핀이 피스톤의 외경 쪽에 압입되는 과정에서는 피스톤 측벽에 작용하게 되는 인장력이 아치효과에 따른 수평반력에 의해 상당부분 상쇄되므로, 피스톤의 외경이 큰 폭으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A HERMETIC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이 피스톤핀을 통해 조립되도록 마련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공기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에 채용되는 밀폐형 압축기는 외관을 이루는 밀폐용기의 내부에 냉매의 압축작용이 수행되도록 하는 압축유닛과, 냉매의 압축에 따른 압축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이중 압축유닛은 압축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압축실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은 크랭크샤프트를 통해 압축유닛으로 전달된다.
즉,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은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자에 압입되어 구동유닛의 구동시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크랭크샤프트의 타단부에는 편심회전 하도록 편심축부가 마련되며, 이러한 편심축부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커넥팅로드가 설치된다.
커넥팅로드의 한쪽 단부는 편심축부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커넥팅로드의 다른 쪽 단부는 피스톤핀과 고정핀을 통해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중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사이의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타단 쪽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내부에 구비한다. 피스톤에 조립되는 커넥팅로드의 단부는 제1핀홀을 구비하여 피스톤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수용공간 양측의 피스톤에는 상기 제1핀홀과 통하도록 한 쌍의 제2핀홀이 형성된다.
제2핀홀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피스톤의 측벽은 제2핀홀 쪽 내벽이 피스톤의 중심 쪽으로 연장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제2핀홀이 형성된 부위가 제2핀홀 사이보다 더 두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는 제1핀홀이 형성된 커넥팅로드의 단부가 티스톤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핀홀에 체결되는 피스톤핀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핀홀과 피스톤핀 사이에는 슬라이딩공자차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핀이 피스톤으로부터 피스톤핀의 체결방향이나 체결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 피스톤핀과 피스톤 사이는 피스톤핀의 삽입방향과 교차되도록 체결되는 고정핀을 통해 다시 한 번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핀의 체결을 위해 피스톤핀과 피스톤에는 각각 고정핀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밀폐형 압축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핀은 물론 피스톤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 의 고정핀이 사용됨에 따라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의 조립을 위한 부품수가 늘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핀 체결을 피스톤핀이 설치된 상태에서 피스톤핀과 피스톤의 고정홀을 일치시켜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 밀폐형 압축기 중에는 고정핀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피스톤핀이 피스톤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스톤핀을 제2핀홀에 강제압입으로 고정시킨 것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경우에는 제2핀홀의 전구간과 피스톤핀 사이에 압입공차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피스톤핀이 제2핀홀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피스톤의 외경이 심하게 변형되면서 피스톤의 진원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피스톤 외경 변형은 냉매의 압축과정에서 피스톤이나 실린더가 마모되는 주요 요인으로써 밀폐형 압축기의 제품 신뢰성을 저하시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의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지면서도 피스톤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일단에 제1핀홀이 형성된 커넥팅로드와; 상기 제1핀홀이 형성된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과, 제1핀홀과 통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핀홀을 구비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 및 제2핀홀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을 연결시키는 피스톤핀;을 구비하되, 상기 피스톤핀은 상기 한 쌍의 제2핀홀 중 어느 하나에 강제 압입되고, 상기 피스톤핀이 압입되는 상기 제2핀홀은 상기 피스톤의 중심 쪽에 인접한 제1구간과 상기 피스톤의 외경 쪽에 인접한 제2구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구간과 피스톤핀 사이에는 슬라이딩공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간과 피스톤핀 사이에는 압입공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핀이 압입되는 상기 제2핀홀은 상기 제2구간 쪽 직경이 상기 제1구간 쪽 직경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의 측벽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핀홀 쪽 두께가 제2핀홀 사이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제2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2핀홀 사이의 상기 피스톤 측벽 두께와 대응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핀은 상기 제2구간에 대응하는 부위의 직경이 상기 제1구간에 대응하는 부위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피스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핀홀 중 어느 하나의 일부구간에만 압입되도록 체결되는 피스톤핀을 통해 상호 조립되므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조립구조가 간소화된다.
또한 피스톤핀이 압입되는 제2핀홀의 일부구간은 피스톤의 외경 쪽에 위치되는데, 이와 같이 피스톤핀이 피스톤의 외경 쪽에 압입되는 과정에서는 피스톤 측벽에 작용하게 되는 인장력이 아치효과에 따른 수평반력에 의해 상당부분 상쇄되므로, 피스톤의 외경이 큰 폭으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용기(10a)와 하부용기(10b)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밀폐용기(10)를 구비하며, 밀폐용기(1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밀폐용기(10)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11)과 밀폐용기(10)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쪽으로 안내하는 토출관(12)이 설치된다.
밀폐용기(10) 내부에는 냉매의 압축이 수행되도록 하는 압축유닛(20)과, 냉매의 압축에 따른 압축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30)이 마련되고, 이러한 압축유닛(20)과 구동유닛(30)은 프레임(40)을 통해 설치된다.
구동유닛(30)은 프레임(40)의 하부 외곽 쪽에 고정되는 고정자(31)와, 고정자(31)와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도록 고정자(31)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자(32)를 구비한다.
압축유닛(20)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실(21a)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40)의 중공부(41) 상부 일측에 프레임(40)과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21)와, 압축실(21a) 내부에서 직선왕복 운동하며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피스톤(22)과, 압축실(21a)을 밀폐시키도록 실린더(21) 일단에 결합되며 냉매토출실(23a)과 냉매흡입실(23b)이 상호 구획되게 형성된 실린더헤드(23)와, 실린더(21)와 실린더헤드(23) 사이에 마련되어 냉매흡입실(23b)로부터 압축실(21a)로 흡입되거나 압축실(21a)로부터 냉매토출실(23a)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장치(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매흡입실(23b)은 상기 흡입관(11)을 통해 밀폐용기(10) 내부로 전달된 냉매를 압축실(21a)로 안내하고, 상기 냉매토출실(23a)은 상기 토출관(12)과 연계된다. 미설명 부호 13은 흡입관(11)을 통해 밀폐용기(11)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압력맥동이 저감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흡입실(23b)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입머플러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30)의 구동력은 크랭크샤프트(50)를 통해 상기 압축유닛(20)으로 전달된다. 크랭크샤프트(50)는 프레임(4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하부가 상기 회전자(32)의 중앙에 압입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크랭크샤프트(50)의 상단에는 편심 회전하도록 편심축부(51)가 마련된 다. 또 상기 편심축부(51)와 상기 피스톤(22) 사이에는 크랭크샤프트(50)의 회전운동을 피스톤(22)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커넥팅로드(60)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자(31)와 회전자(32) 간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자(32)와 함께 크랭크샤프트(50)가 회전하게 되면, 편심축부(51)와 커넥팅로드(60)를 통해 연결된 피스톤(22)이 압축실(21a)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 하게 되고, 이를 통해 흡입관(11)을 따라 밀폐용기(10) 내부로 안내된 냉매는 실린더헤드(23)의 냉매흡입실(23b)을 거쳐 압축실(21a)로 흡입되어 압축되고, 압축실(21a)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린더헤드(23)의 냉매토출실(23a)과 토출관(12)을 거쳐 밀폐용기(10) 외부로 토출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밀폐형 압축기를 통한 냉매의 압축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커넥팅로드(60)의 한쪽 단부에는 편심축부(51)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축홀(61)이 형성되고, 커넥팅로드(60)의 다른 쪽 단부는 피스톤핀(70)을 통해 피스톤(22)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상기 피스톤(22)과 커넥팅로드(60)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펴 보자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2)은 일단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타단 쪽으로 개방된 수용공간(22a)을 내부에 구비한다. 피스톤(22)에 조립되는 커넥팅로드(60)의 단부는 제1핀홀(62)을 구비하여 피스톤(22)의 수용공간(22a)으로 삽입되며, 수용공간(22a) 양측(도면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의 피스톤(22)에는 상기 제1핀홀(62)과 통하도록 한 쌍의 제2핀홀(22b,22c)이 형성 된다.
제2핀홀(22b,22c)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피스톤(22)의 측벽은 제2핀홀(22b,22c) 쪽 내벽이 피스톤(22)의 중심 쪽으로 연장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제2핀홀(22b,22c)이 형성된 부위의 측벽이 제2핀홀(22b,22c) 사이의 측벽보다 더 두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22)의 측벽은 각 제2핀홀(22b,22c) 쪽에 두툼하게 형성된 한 쌍의 후(厚)벽부(22f,22g)와 이보다 얇은 제2핀홀(22b,22c) 사이의 한 쌍의 박(薄)벽부(22h,22i)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22)과 커넥팅로드(60)는 제1핀홀(62)이 형성된 커넥팅로드(60)의 단부가 피스톤(22)의 수용공간(2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핀홀(62,22b,22c)에 체결되는 피스톤핀(7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피스톤핀(70)은 별도의 다른 고정수단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피스톤(22)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도록 피스톤(22)에 강제 압입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피스톤(22)과 커넥팅로드(60)의 조립구조가 간소화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피스톤핀(70)과 피스톤(22)의 압입체결 과정에서 피스톤(22)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시켜 냉매의 압축과정에서 피스톤(22)과 실린더(21)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피스톤핀(70)과 피스톤(22)의 강제 압입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핀(70)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의 변화가 없는 일자형 봉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피스톤핀(70)은 피스톤(22)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상부 쪽 제2핀홀(22b)과 제1핀홀(61)과 하부 쪽 제2핀홀(22c)에 차례로 체결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피스톤핀(70)의 체결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화살표 "A"는 피스톤핀(70)의 체결방향을 가리킨다.
상부 쪽 제2핀홀(22b)과 제1핀홀(61)은 피스톤핀(70)이 여유있게 체결될 수 있도록 피스톤핀(70)과의 사이에 슬라이딩공차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피스톤핀(70)은 하부 쪽 제2핀홀(22c)에 강제 압입됨으로써 커넥팅로드(60)와 피스톤(22) 사이를 분리가 방지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핀(70)은 하부 쪽 제2핀홀(22c)의 전구간에 걸쳐 압입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핀홀(22c)에 있어서 피스톤(22)의 외경 쪽 일부구간에서만 압입되는데, 이는 피스톤핀(70)의 압입시 피스톤(22)의 외경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부 쪽 제2핀홀(22c)은 피스톤(22)의 중심 쪽에 인접한 제1구간(22d)과 피스톤의 외경 쪽에 인접한 제2구간(22e)으로 구분되는데, 제1구간(22d)의 경우 피스톤핀(70) 외경과 슬라이딩공차를 이루고 제2구간(22e)은 피스톤핀(70)의 외경과 압입공차를 이루며, 제2구간(22e)은 상기 박(薄)벽부(22h,22i)의 두께에 가까운 길이를 갖도록 그 길이가 박(薄)벽부(22h,22i)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핀홀(22c)은 제2구간(22e)의 직경이 제1구간(22d)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피스톤핀(70)은 피스톤(22) 중심에 인접한 제2핀홀(22c)의 제1구간(22d)까지는 여유있게 체결되고 피스톤(22) 외경 쪽 제2구간(22e)부터 강제 압입되는데, 후(厚)벽부(22f,22g)와 박(薄)벽부(22h,22i)를 구비하는 피스톤(22) 측벽의 구조에 의하면 제2구간(22e) 쪽 후(厚)벽부(22g)는 원주방향 양측의 박(薄)벽 부(22h,22i)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이때 제2구간(22e)에 피스톤핀(70)이 압입됨으로써 피스톤(22)의 측벽에 작용되는 인장력은 아치효과에 따른 수평반력에 의해 상당부분 상쇄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22)의 외경이 크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핀홀(22c)의 제2구간(22e) 쪽 직경을 줄여 피스톤핀(70)이 피스톤(22)의 외경 쪽에 압입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피스톤핀(7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핀(70′)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 6과 같이 제2핀홀(22c′)의 제2구간(22e′)에 대응하는 부위의 피스톤핀(70′) 직경을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피스톤(22)의 외경 쪽에 압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핀홀(22c′)과 피스톤핀(70′)의 구조가 달라진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첫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핀홀(22c′)은 전 구간에 걸쳐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쪽 제2핀홀(22b)과 제1핀홀(62)과 하부 쪽 제2핀홀(22c′)의 제1구간(22d′)은 피스톤핀(70)과 슬라이딩공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핀홀(22c′)의 제2구간(22e′)은 피스톤핀(70′)과 압입공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핀홀(22c′)의 제2구간(22e′)과 피스톤핀(70′) 사이에 압입공차가 형성되도록 피스톤핀(70′)은 제2구간(22e′)에 대응하는 부위에 다른 구간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71)를 구비하고, 이러한 피스톤핀(70′)은 피스톤(22)의 하부 쪽 에서 상부 쪽으로 체결된다. 참고로 도 6에 있어서 화살표 "B"는 피스톤핀(70′)의 체결방향을 가리킨다.
이때는 피스톤핀(70′)의 체결방향은 첫 실시예와 다르지만, 결과적으로 피스톤핀(70′)이 압입되는 부위는 피스톤(22) 측벽의 외경 쪽이 되는 제2핀홀(22c′)의 제2구간(22e′)이 되고, 제2구간(22e′) 쪽 후(厚)벽부(22g)는 원주방향 양측의 박(薄)벽부(22h,22i)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제2구간(22e′)에 피스톤핀(70′)이 압입됨으로써 피스톤(22) 측벽에 작용하게 되는 인장력은 아치효과에 따른 수평반력에 의해 상당부분 상쇄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22)의 외경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와 피스톤핀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피스톤핀이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피스톤핀이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피스톤핀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과 커네팅로드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피스톤핀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피스톤 22a: 수용공간
22b, 22c: 제2핀홀 22d: 제1구간
22e: 제2구간 60: 커넥팅로드
62: 제1핀홀 70: 피스톤핀

Claims (5)

  1. 일단에 제1핀홀이 형성된 커넥팅로드와; 상기 제1핀홀이 형성된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과, 제1핀홀과 통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핀홀을 구비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 및 제2핀홀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을 연결시키는 피스톤핀;을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핀은 상기 한 쌍의 제2핀홀 중 어느 하나에 강제 압입되고, 상기 피스톤핀이 압입되는 상기 제2핀홀은 상기 피스톤의 중심 쪽에 인접한 제1구간과 상기 피스톤의 외경 쪽에 인접한 제2구간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구간과 피스톤핀 사이에는 슬라이딩공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간과 피스톤핀 사이에는 압입공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핀이 압입되는 상기 제2핀홀은 상기 제2구간 쪽 직경이 상기 제1구간 쪽 직경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의 측벽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핀홀 쪽 두께가 제2핀홀 사이보다 두껍게 형성되 며, 상기 제2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2핀홀 사이의 상기 피스톤 측벽 두께와 대응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핀은 상기 제2구간에 대응하는 부위의 직경이 상기 제1구간에 대응하는 부위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의 측벽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핀홀 쪽 두께가 제2핀홀 사이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제2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2핀홀 사이의 상기 피스톤 측벽 두께와 대응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KR1020090035003A 2009-04-22 2009-04-22 밀폐형 압축기 KR20100116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03A KR20100116346A (ko) 2009-04-22 2009-04-22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03A KR20100116346A (ko) 2009-04-22 2009-04-22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46A true KR20100116346A (ko) 2010-11-01

Family

ID=4340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03A KR20100116346A (ko) 2009-04-22 2009-04-22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3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437B2 (en) Rotary compressor with oiling mechanism
US20130129539A1 (en) Rotary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79517B2 (en) Rotary compressor having semicircular-step-snap enlarged diameter portion in groove portion of end plate closing end portion of cylinder
US20060056990A1 (en) Compressor having discharge mufflers
US20080080993A1 (en) Hermetic compressor
US20080145247A1 (en) Hermetic compressor
WO2007108603A1 (en) Hermetic compressor
US20040052661A1 (en) Joint structure for refrigerant discharge tubes used in hermetic compressors
KR100856798B1 (ko) 밀폐형 압축기
US8133038B2 (en) Hermetic compressor
KR20100116346A (ko) 밀폐형 압축기
US20100172756A1 (en) Rotary compressor
KR20050066322A (ko) 압축기
US8974204B2 (en) Scroll compressor
US20070264137A1 (en) Hermetic compressor
KR20080059880A (ko) 밀폐형 압축기
KR101161128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70076219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80056345A (ko) 밀폐형 압축기
KR100856795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1366565B1 (ko) 압축기용 밸브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40033770A (ko) 스크롤 압축기의 밸브 장치
JP2007092639A (ja) 密閉型往復動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80096236A (ko) 밀폐형 압축기
KR101266865B1 (ko) 밀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