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070A -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070A
KR20100116070A KR1020090034801A KR20090034801A KR20100116070A KR 20100116070 A KR20100116070 A KR 20100116070A KR 1020090034801 A KR1020090034801 A KR 1020090034801A KR 20090034801 A KR20090034801 A KR 20090034801A KR 20100116070 A KR20100116070 A KR 2010011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information
wireless
generato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문
황재은
박성규
Original Assignee
대동전자(주)
황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전자(주), 황재문 filed Critical 대동전자(주)
Priority to KR102009003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070A/ko
Publication of KR2010011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3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viding power to equipment other than for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2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for cy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6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자전거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와; 자전거의 바퀴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며, 접촉시 자전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내부 충전부와;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내부 충전부의 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과;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조명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조작부와;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 기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내부 충전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하는 외부기기 충전포트와; 발전기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누적 주행거리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원격의 무선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원격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가 개시된다.
자전거, 자가발전, 발전기, 송/수신기, 원격, 조명, 무선

Description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A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with an independent electric power plant for bicycle and a management system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주행시 자전거 바퀴를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여 충전하고 원격지의 무선 송/수신기와 정보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는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유가 및 에너지소비의 증가로 인하여 자동차를 이용한 출퇴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고, 경제적인 부담뿐만 아니라, 심한 교통체증 및 매연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도심 등에서의 자동차 운행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통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고유가 및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정부 기관 및 지자체 등에서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신설을 확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자전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반해서, 자전거를 체 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 특히 야간에는 자전거 조명의 밝기가 일정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이 있는 등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전거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가발전하면서도 원격의 무선 송/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는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자전거의 바퀴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며, 접촉시 자전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내부 충전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충전부의 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과;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명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조작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 기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내부 충전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하는 외부기기 충전포트와; 상기 발전기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누적 주행거리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원격의 무선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원격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조작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작 회수에 따라서 조명의 항시 온/오프 상태 또는 반복적인 점멸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와; 구획되어 설정된 구역 내로 진입한 자전거의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송수신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구획용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다수 자전거의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에서 자전거의 운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획용 무선/송수신기는 자전거 대여장소 또는 공용 주차장소의 자전거 주차구역별로 설치되며, 상기 자전거 주차구역별로 설치된 구획용 무선/송수신기 각각에서는 해당 주차구역에 주차된 자전거와 무선 송/수신하여 자전거의 주차상황 정보 및 각 자전거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는 상기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로 전송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획용 무선/송수신기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따라 일정 거리로 배치되며, 자전거 전용도로를 통해 이동하는 자전거들의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송수신하여 주행하는 자전거의 자전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자전거 정보는 상기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로 전송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과 상기 장치 본체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단자부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단자부는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와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전거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자전거의 주행시 바퀴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충전시키고,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조명, 외부기기의 충전, 표시장치의 구동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일정한 전압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주행거리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획득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로 전달하여 원격의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지역에서의 자전거의 통행에 관한 정보를 원격에서 획득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전거 전용도로 또는 자전거 유료 또는 무료 대여소 및 자전거 공용 주차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관리지역에서 자전거의 주행, 주차, 자전거 각각의 상태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자전거에 탑재되는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100)와, 구획되어 설정된 구획 내로 진입한 자전거의 무선 송/수신장치(100)와 무선 송/수신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200)와,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300)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자전거(10)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110)와, 발전기(120)와, 내부 충전부(130)와, 조명(140)과, 조명 조작부(150)와, 외부기기 충전포트(160)와, 제어부(170)와, 저장부(180) 및 무선 송/수신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자전거(10)의 바퀴(11)에 인접한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도시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자전거 프레임에서 소정 각도 선택적으로 회동되게 설치됨으로써, 회동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발전기(120)가 바퀴(11)에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전기(120)를 바퀴(11)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여진 기술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전기(120)는 자전거 바퀴(11)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접촉 휠(121)과, 접촉 휠(12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충전부(130)는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발전기(12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류/평활회로(131)와, 충전회로(132)와 배터리(133) 및 배터리 보호회로(134)를 구비한다. 상기 정류/평활회로(131)는 발전기(120)에서 생산된 AC 12V의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충전회로(132)는 정류/평활회로(131)에서 전달되는 DC전원을 배터리(133)에 충전시킨다. 상기 배터리(133)는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충전회로(132)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충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 배터리(133)는 배터리(133)에 연결된 배터리 보호회로(134)에 의해 충전상태나 과부하 발생, 과열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상기 내부 충전부(130)는 조명(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명 조작부(150)의 조작에 의해 파워 온 신호 입력시 조명(14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조명(140)은 장치 본체(110)의 일측 외부에 설치되며, 특히 야간에 고휘도의 조명광을 출력할 수 있어서, 야간에도 안전하게 자전거(1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휘도 LED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명 조작부(150)는 장치 본체(110)의 외측에 버튼식으로 설치되며,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버튼식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조명(140)을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조작부(150)의 조작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조명 조작부(150)에서 전달받은 조작신호를 근거로 하여 배터리(133)의 전원을 조명(14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 및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조작부(15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조 명(140)을 온(ON) 및 오프(OFF) 동작시키고, 또한 조명(140)을 반복적으로 온(ON)/오프(OFF) 동작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명(140)이 내부 충전부(130)의 배터리(13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광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발전기로부터 바로 전원을 공급받아서 조명등을 켜는 경우에 비하여 조명광의 밝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133)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위급상황 시에 비상 조명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전포트(160)는 장치 본체(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충전포트(160)는 외부 기기 예를 들어, MP3, 라디오,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자전거(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가 발전되어 충전된 배터리(133)의 전원을 통해서 휴대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용 배터리를 여유분으로 지참할 필요가 없게 되고, 언제 어디서나 자전거(10)를 이용하여 쉽게 충전을 할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발전기(120)에 연결되어 발전기(120)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그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자전거(10)의 주행속도와 누적 주행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171) 및 콘트롤러(173)를 구비한다.
상기 콘트롤러(173)는 연산부(171)에서 연산된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시키고, 무선 송/수신부(19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원격지의 무선 송/수신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러(173)는 조명 조작부(150)의 조명 제어동작 신호를 근거로 하여 조명(14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에는 제어부(170)에서 획득된 자전거 주행속도정보, 자전거 누적주행거리 정보 및 해당 자전거 등록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자전거 등록정보는 자전거의 고유번호, 자전거 주인의 주소지 정보, 자전거의 사양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0)에는 자전거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 송/수신부(190)를 통해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3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즉, 자전거 대여소에 등록된 자전거의 경우, 해당 자전거 고유 식별정보가 수시로 전송됨으로써,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300)에서는 대여 대상 자전거의 위치파악 내지는 대여시간, 대여위치, 회수시간, 회수구역 등과 같은 정보를 쉽게 획득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190)는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격에 위치한 무선 송/수신기(200)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지그비 칩(Zigbee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9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2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전용도로(30)와 같은 구역에서 미리 일정 단위(거리 또는 넓이)로 설정되어 구획된 구역(31,32,33...) 각각에서의 무선 통신을 담당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따라서 각각의 구역(31,32,33,...) 내로 진입한 자전거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해당 구역별로 설치되는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200)와 각각 무선으로 통신을 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구역 별로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200)를 설치하여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하여 주행하는 자전거(10)의 무선 송수신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곳의 무선 송/수신기로 데이터가 폭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200)는 원격지의 관리센터에 설치되는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300)에 Ethernet(LAN)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장치(300)는 데이타 서버(310)와 모니터(320)를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장치(300)를 통해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도 자전거 전용 도로와 같은 관리지역을 주행하는 자전거들의 통행량과, 통행 속도 및 자전거별 주행거리 등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관리 지역을 주행하는 자전거들(10) 각각으로 필요한 정보를 원격지의 관리서버장치(300)에서 통신망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구역(32)에서 A 방향 및 B방향 각각으로 이동하는 자전거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와, 평균 이동속도와, 특정 지역까지의 예상 도달시간 등의 정보를 각각의 자전거 무선 송수신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격 관리센터의 관리서버장치(300)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송수신장치(100)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볼 수 있도록 표시장치(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장치(400)는 자전거(10)의 운전대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100)와 연결되어 그 무선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정보는 물론,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러한 표시장치(400)는 LC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400)에는 무선 송수신장치(100)에서 획득된 자전거의 주행속도, 주행거리 등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며, 원격의 관리서버장치(300)로부터 전달된 정보도 표시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210,220,230,240)가 자전거 대여장소의 자전거 주차구역별(51,52,53,54)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각각의 자전거 주차구역(51,52,53,54)은 자전거 유료 또는 무료 대여소일 수 있으며, 별도의 자전거 공용 주차구역일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주차구역(51,52,53,54)에 주차된 자전거(10)에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해당 주차구역에 설치된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각 주차구역별(51,52,53,54)로 설치된 무선 송수신기(210,220,230,240)에서는 해당 주차구역에 주차된 자전거의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해 원격 관리서버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전거 대여소 또는 자전거 공용 주차지역에서 주차구역별로 자전거의 주차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자전거 주차정보 및 각 자전거의 누적주행거리, 주행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300)에서 전달받아 통합 관리함으로써, 유료 대여소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자전거의 대여시간과, 대여 가능한 자전거 수량, 대여 가능한 주차구역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차에 여유가 있는 구역, 그렇지 못한 구역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차 관리를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발전기(120)가 별도로 이격되어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장치 본체(11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조명(140)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내부 충전부(130)와, 제어부(170), 저장부(180), 무선 송/수신부(190)가 구비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장치 본체(110')의 외부에 노출되게 충전포트(160)와, 조명 조작부(150)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 충전부(130)와 제어부(170)는 케이블(102)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발전기(120)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장치 본체(110')의 하측에는 장치 본체(110')를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10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고정용 브라켓(105)과 장치 본체(110')는 화살표 방향(A,B)으로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상호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레일결합부(R1,R2)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용 브라켓(105)을 먼저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장치 본체(110')를 고정용 브라켓(10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로 대응되는 레일결합부(R1,R2)에는 결합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단자부들(103,104)이 설치된다. 제1단자부(103)는 고정용 브라켓(105)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102)을 통해 발전기(120)와 연결되고, 제2단자부(104)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어 장치 본체(110')에 구비된 배터리를 포함하여, 조명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발전기(120)를 장치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설치하더라도, 고정용 브라켓(105)을 이용하여 발전기(120)와 장치 본체(110')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전기(120)는 앞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듯이, 자전기 바퀴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도록 바퀴 프레임에 설치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를 나타내보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도 5b에 도시된 장치 본체 및 고정용 브라켓의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자전거 11..바퀴
100,100'..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110,110'..장치 본체 120..발전기
130..내부 충전부 140..조명
150..조명 조작부 160..충전 포트
170..제어부 180..저장부
190..무선 송/수신부 200..구획용 무선 송/수신기
300..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 400..표시장치

Claims (8)

  1. 자전거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자전거의 바퀴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며, 접촉시 자전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내부 충전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충전부의 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과;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명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조작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 기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내부 충전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하는 외부기기 충전포트와;
    상기 발전기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누적 주행거리에 대한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원격의 무선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원격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작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작 회수에 따라서 조명의 항시 온/오프 상태 또는 반복적인 점멸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와;
    구획되어 설정된 구역 내로 진입한 자전거의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송수신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구획용 무선 송/수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구획용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다수 자전거의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에서 자전거의 운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획용 무선/송수신기는 자전거 대여장소 또는 공용 주차장소의 자전거 주차구역별로 설치되며,
    상기 자전거 주차구역별로 설치된 구획용 무선/송수신기 각각에서는 해당 주 차구역에 주차된 자전거와 무선 송/수신하여 자전거의 주차상황 정보 및 각 자전거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는 상기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획용 무선/송수신기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따라 일정 거리로 배치되며, 자전거 전용도로를 통해 이동하는 자전거들의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송수신하여 주행하는 자전거의 자전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자전거 정보는 상기 원격 자전거 관리서버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과 상기 장치 본체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단자부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단자부는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와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1020090034801A 2009-04-21 2009-04-21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20100116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801A KR20100116070A (ko) 2009-04-21 2009-04-21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801A KR20100116070A (ko) 2009-04-21 2009-04-21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070A true KR20100116070A (ko) 2010-10-29

Family

ID=4313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801A KR20100116070A (ko) 2009-04-21 2009-04-21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0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067B1 (ko) * 2011-11-10 2013-08-20 유인하 자전거에 장착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132675A (ko) * 2014-05-15 2015-11-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충전 인증을 이용하는 자전거 잠금 장치 및 방법
WO2022146679A1 (en) * 2020-12-31 2022-07-07 Rad Power Bikes Inc.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 bicy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067B1 (ko) * 2011-11-10 2013-08-20 유인하 자전거에 장착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132675A (ko) * 2014-05-15 2015-11-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충전 인증을 이용하는 자전거 잠금 장치 및 방법
WO2022146679A1 (en) * 2020-12-31 2022-07-07 Rad Power Bikes Inc.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4145B (zh) 车辆与行人的通信系统
US20140310074A1 (en) Apparatus for infrastructure-free roadway tolling
CN107843265A (zh) 车辆系统、装载有副车辆的车辆的导航系统及出行方法
CN103640656B (zh) 自行车龙头
GB2531165A (en) Vehicle and electric bicycle charge monitoring interface
CN104501824B (zh) 一种自行车上的安全骑行投影导航灯装置及系统
CN103129655A (zh) 行车状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10139252A (ko) Id-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TWI805922B (zh) 智慧型充電設備以及智慧型能源補充設備
KR20100116070A (ko) 자전거의 자가발전용 무선 송수신장치 및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20100097894A (ko) 위치추적부를 갖는 자전거
US11897572B2 (en) Handle with a retractable device for indicating a change in direction
CN205931015U (zh) 一种与移动终端交互通信的自行车
CN107284263A (zh) 电动汽车智能驾控系统
KR20110125743A (ko) 자전거의 지시등 제어장치
US10960780B2 (en) Charging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charging energy
US20100033317A1 (en) Car safety device
WO2019095982A1 (zh) 触发感应模组、智能停车架、车辆、规范停车系统及其管理方法
CN203920729U (zh) 一种具有蓝牙功能的汽车刹车控制器
CN205788729U (zh) 一种智能两轮自平衡电动车
KR101261501B1 (ko) 충전스테이션에서의 nev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
US11610486B1 (en) Connected-vehicle interface module and method of use
KR101071179B1 (ko) 송신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CN202907205U (zh) 基于无线传感网络的电动汽车信息采集与监测系统
CN207772896U (zh) 一种应用于客车的限超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