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267A -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267A
KR20100115267A KR1020090033915A KR20090033915A KR20100115267A KR 20100115267 A KR20100115267 A KR 20100115267A KR 1020090033915 A KR1020090033915 A KR 1020090033915A KR 20090033915 A KR20090033915 A KR 20090033915A KR 20100115267 A KR20100115267 A KR 2010011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foam
fitting
sha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선
Original Assignee
전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선 filed Critical 전인선
Priority to KR102009003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267A/ko
Publication of KR2010011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specially adapted to be assembled by adhesive or 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판되는 판형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은,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하부몸체(1)와, 상기 하부몸체(1)의 상면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접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1)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판형상의 상부몸체(3)와,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끼움 돌출부(6), 상기 각 관통홀(11)과 상부몸체(3)의 하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 돌출부(6)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5)를 포함한다.
조립완구,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

Description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Plastic form block for knockdown playth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판되는 판형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완구라 함은, 블록들을 상호 끼워 입체적으로 여러 형상을 만들어 유아들이나 어린이들에게 창의력을 심어줄 수 있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블록들이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에 대표적으로 알려진 조립완구의 일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를 구성하는 블록을 손으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종래의 일실시예의 조립완구는, 상호 끼움을 통해 조립되는 블록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블록들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수 끼움부를 포함하고 있다.
즉 종래에 하나의 암수 끼움부를 가지고 있는 블록(10)은,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의 몸체(20)와, 몸체(2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 돌출부(30)와, 몸체(20)의 하부에 상기 끼움 돌출부(30)와 동일한 수직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다른 블록(10)의 끼움 돌출부(30)가 끼워지는 끼움 홈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하나 이상의 암수 끼움부를 가지고 있는 블록(10)은,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20)와, 몸체(2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끼움 돌출부(30)와, 몸체(20)의 하부에 상기 끼움 돌출부(30)들과 동일한 수직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다른 블록(10)의 끼움 돌출부(30)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 홈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블록(10)들을 제조할 경우에는, 상,하금형의 사이에 용융수지를 주입한 후, 금형을 탈형하는 과정을 통해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블록을 제조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블록들을 유아들이나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상기 블록이 딱딱한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됨으로써 블록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손에 상처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블록들을 끼우는 과정에서, 블록을 구성하는 몸체의 직각 모서리부로 인하여 손가락이나 손톱에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그리고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블록들을 끼우는 과정에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 홈부의 직경보다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 돌출부의 직경이 큼으로써, 강한 힘을 주면서 블록들을 조립해야 함에 따라 힘을 주면서 손가락이 골절되거나 손톱이 부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강한 힘을 주면서 블록들을 조립해야 함으로써 어린 유아들은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블록들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조립완구용 블록의 제작이 곤란하였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발포체는 판형으로 제작됨으로써, 판형의 합성수지 발포체로는 원형봉 형상의 블록이나 양측에 반원형봉 형상의 블록들의 제작이 어려움에 따라,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블록의 제작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판되는 판형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직 발포체 블록을 제공함은 물론, 판형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는 조립완구용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면서 간단한 공정으로 블록들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발포체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제1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 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판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에 제1 접착층을 통해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끼움 돌출부, 상기 각 관통홀과 상부몸체의 하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 돌출부의 상부 둘레에는, 끼움 조립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연마를 통해 형성되는 연마 모따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는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는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양측이 반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사각형판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나 상부몸체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수직 절단하여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몸체를 다수로 제조하는 하부몸체 제조단계와,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하부몸체의 둘레와 동일 형상으로 둘레를 수직 절단하고 상기 끼움홈부와 상응되는 위치의 상부에는 수가공을 통해 끼움 돌출부 삽입홈을 가공하여 다수의 상부몸체를 제조하는 상부몸체 제조단계와,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수직 절단하여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에 삽입 부착되는 원형봉 형상의 끼움 돌출부를 제조하는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부몸체를 제1 접착층을 통해 접착하여 각 수직 관통홀과 상부몸체의 하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몸체 제조단계와, 상기 끼움 돌출부 삽입홈에 제2 접착층을 통해 상기 끼움 돌출부를 삽입 부착하는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끼움 돌출부의 상부 둘레를 연마를 통해 모따기하여 연마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모따기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절단과정에서 몸체의 둘레에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거나 몸체의 둘레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후 연마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는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원형판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는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절단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양측이 반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사각형판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판되는 판형의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직 발포체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각 블록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블록들이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블록들을 상호 연결 조립할 있도록 함에 따라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용이하게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고, 블록 조립시 손가락이나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상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정성을 가지는 블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면서 간단한 공정으로 블록들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싼 가격으로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블록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도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따른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을 제조할 경우에는, 하부몸체 제조단계(100)와, 상부몸체 제조단계(200)와,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300)와, 몸체 제조단계(400)와,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를 진행함으로써, 조립 완구를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을 완성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하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하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하부몸체 제조단계(100)는,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수직 절단하여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된 하부몸체(1)를 다수로 제조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하부몸체 제조단계(100)를 통해 제조된 제1 실시예의 하부몸체(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절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 제조단계(100)를 통해 제조된 제2 실시예의 하부몸체(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절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7)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블록 외관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어린 이들의 색깔 공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상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몸체 제조단계는,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7)를 칼판(8)을 통해 하부몸체(1)의 둘레와 동일 형상으로 둘레를 수직 절단하고 상기 수직 관통홀(11)과 상응되는 위치의 상부에는 수가공을 통해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을 가공하여 다수의 상부몸체(3)를 제조하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몸체 제조단계(200)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상부몸체(3)는, 상기 일 실시예의 하부몸체(1)의 둘레와 동일하게 원형판 형상으로 절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 제조단계(200)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상부몸체(3)는, 상기 일 실시예의 하부몸체(1)의 둘레와 동일하게 양측이 반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사각형판의 형상으로 절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7)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블록 외관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의 색깔 공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돌출부의 모따기 단계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상기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300)는, 제3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7)를 칼판(8)을 통해 수직 절단 하여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에 삽입 부착되는 원형봉 형상의 끼움 돌출부(6)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300)를 진행한 후에는, 도 4b끼움 돌출부(6)의 상부 둘레를 연마를 통해 모따기하여 연마 모따기부(61)를 형성하는 모따기 단계(301)를 더 진행함으로써, 연마 모따기부를 통해 각각의 블록을 용이하게 삽입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몸체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 제조단계(400)는, 상기 하부몸체(1)의 상부에 상부몸체를 제1 접착층(2)을 통해 접착하여 각 수직 관통홀(11)과 상부몸체(3)의 하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5)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몸체 제조단계(400)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몸체(4)는,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절단되어 구성된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의 상부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접착되어 구비되고 상부 중앙에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형성된 원형판 형상의 상부몸체(3)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 제조단계(400)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몸체(4)는,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절단되어 구성된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와 동일한 둘레 형상으로 절단되어 구성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형성된 상부몸체(3)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시예를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에 제2 접착층(62)을 통해 상기 끼움 돌출부(6)를 삽입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즉 상기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블록은, 원형봉 형상으로 구성된 몸체(4)의 상부 중앙에 하나의 끼움 돌출부(6)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은,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으로 구성된 몸체(4)의 상부에 다수의 끼움 돌출부(6)가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 연마단계(501)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를 진행한 후에는 절단과정에서 몸체의 둘레에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거나 몸체의 둘레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간단한 공정을 통해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이용하면서 블록들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들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대 량 생산을 통해 싼 가격으로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블록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블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 8b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하부몸체(1)와, 상기 하부몸체(1)의 상면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접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11)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판형상의 상부몸체(3)와,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끼움 돌출부(6), 상기 각 관통홀(11)과 상부몸체(3)의 하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 돌출부(6)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 돌출부(6)의 상부 둘레에는, 끼움 조립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연마를 통해 형성되는 연마 모따기부(6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는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는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분 해 사시도이고, 도 10b는 사시도이며, 도 10c는 도 10b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에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하부몸체(1)와, 상기 하부몸체(1)의 상면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접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11)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판형상의 상부몸체(3)와,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끼움 돌출부(6), 상기 각 관통홀(11)과 상부몸체(3)의 하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 돌출부(6)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 돌출부(6)의 상부 둘레에는, 끼움 조립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연마를 통해 형성되는 연마 모따기부(61)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는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는 양측이 반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사각형판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 또는 상부몸체(3)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외관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의 색깔 공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블록과 다른 실시예의 블록을 손으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블 록들을 조립하게 되면, 조립 순간에 상부몸체(3)에 구비된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신축되어 직경이 좁아들게 되고, 하부몸체(1)에 형성된 끼움홈부(5)의 직경이 확장됨으로써, 어린이들 물론 특히 힘이 부족한 유아들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블록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블록들이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블록들의 조립시 손가락이나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상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정성을 가지는 블록
또한 시판되고 있는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7)를 이용하면서 간단한 공정으로 블록들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싼 가격으로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블록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하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하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상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하부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돌출부의 모따기 단계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제조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몸체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몸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시예를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 연마단계(501)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 8b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b는 사시도이며,
도 10c는 도 10b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블록과 다른 실시예의 블록을 손으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를 구성하는 블록을 손으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몸체
11 : 수직 관통홀
2 : 제1 접착층
3 : 상부몸체
31 : 끼움 돌출부 삽입홈
4 : 몸체
5 : 끼움홈부
6 : 끼움 돌출부
61 : 연마 모따기부
62 : 제2 접착층
7 :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
8 : 칼판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하부몸체(1)와,
    상기 하부몸체(1)의 상면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접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 관통홀(1)과 상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판형상의 상부몸체(3)와,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31)에 제1 접착층(2)을 통해 삽입되는 원형봉 형상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된 끼움 돌출부(6),
    상기 각 관통홀(11)과 상부몸체(3)의 하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 돌출부(6)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출부(6)의 상부 둘레에는,
    끼움 조립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연마를 통해 형성되는 연마 모따기부(6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는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는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 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는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는 양측이 반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사각형판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나 상부몸체(3)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6.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수직 절단하여 하나 이상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몸체를 다수로 제조하는 하부몸체 제조단계(100)와,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하부몸체의 둘레와 동일 형상으로 둘레를 수직 절단하고 상기 끼움홈부와 상응되는 위치의 상부에는 수가공을 통해 끼움 돌출부 삽입홈을 가공하여 다수의 상부몸체를 제조하는 상부몸체 제조단계(200)와,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칼판을 통해 수직 절단하여 상기 각 끼움 돌출부 삽입홈에 삽입 부착되는 원형봉 형상의 끼움 돌출부를 제조하는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300)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부몸체를 제1 접착층을 통해 접착하여 각 수직 관통홀과 상부몸체의 하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끼움홈부(5)를 형성하는 몸체 제조단계(400)와,
    상기 끼움 돌출부 삽입홈에 제2 접착층을 통해 상기 끼움 돌출부를 삽입 부착하는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출부 제조단계(300)를 진행한 후에는,
    끼움 돌출부의 상부 둘레를 연마를 통해 모따기하여 연마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모따기 단계(301)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출부 고정단계(500)를 진행한 후에는, 절단과정에서 몸체의 둘레에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거나 몸체의 둘레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후 연마단계(501)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형 합성수지 발포체는, 색깔을 달리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조립완구용 합성 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중앙에 상기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평면인 원형봉 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원형판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방법.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양측이 반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수직 관통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절단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양측이 반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이 직사각형판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제조방법.
KR1020090033915A 2009-04-18 2009-04-18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5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915A KR20100115267A (ko) 2009-04-18 2009-04-18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915A KR20100115267A (ko) 2009-04-18 2009-04-18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67A true KR20100115267A (ko) 2010-10-27

Family

ID=4313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915A KR20100115267A (ko) 2009-04-18 2009-04-18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12Y1 (ko) * 2011-10-11 2012-03-23 김응만 완구용 블록
KR101947314B1 (ko) 2018-05-08 2019-02-12 선우윤 액체내에서 모형틀을 이용하여 완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12Y1 (ko) * 2011-10-11 2012-03-23 김응만 완구용 블록
KR101947314B1 (ko) 2018-05-08 2019-02-12 선우윤 액체내에서 모형틀을 이용하여 완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73Y1 (ko) 목재블록
KR101279847B1 (ko) 유아 또는 어린이의 놀이 또는 교육을 위한 소프트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4360B1 (ko) 조립식 완구블록
CN107073343B (zh) 组装式玩具块
US10004998B2 (en) Building block
KR20100115267A (ko) 조립완구용 합성수지 발포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03609873U (zh) 幼儿用变形玩具
KR200478274Y1 (ko) 완구용 블록
JP2009100882A (ja) 組立用ブロック
JP4845136B2 (ja) ビーズ組立治具及び該ビーズ組立治具を備えたビーズ玩具セット
US9028292B2 (en) Flexible toy figure with armature
CN204522308U (zh) 一种全方位立体拼装积木玩具
KR20140100714A (ko) 완구용 블럭
KR200495487Y1 (ko) 놀이용 이음블럭
KR101539988B1 (ko) 조립식 완구블록 세트
JP6666344B2 (ja) 改良された3次元パズル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200164406Y1 (ko) 체스놀이용 조립식 말
KR101889545B1 (ko) 보강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연결구조로 조립되는 조립블록
KR200380938Y1 (ko) 유희용 완구의 입체패널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JP2005058437A (ja) 組立用ブロック玩具
JPH105451A (ja) 連結ブロック
CN219743899U (zh) 鲁班锁
KR20110003765U (ko) 벽돌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